KR100903256B1 -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256B1
KR100903256B1 KR1020080002483A KR20080002483A KR100903256B1 KR 100903256 B1 KR100903256 B1 KR 100903256B1 KR 1020080002483 A KR1020080002483 A KR 1020080002483A KR 20080002483 A KR20080002483 A KR 20080002483A KR 100903256 B1 KR100903256 B1 KR 100903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liding door
piece
hand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범 filed Critical 김용범
Priority to KR102008000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는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슬리브와, 슬리브의 내측에 형성되는 각형축공을 포함하는 레버; 슬리브가 관통되는 삽입공과, 내측에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수용공간 내에서 삽입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슬리브가 관통 고정되는 결합공과, 결합공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서 돌출편이 돌출된 링형테두리를 포함하고,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회전체; 걸림턱부의 개구부 전방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한 쌍의 지지편과, 지지편 일측과 걸림턱부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체와, 지지편의 선단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부; 레버의 각형축공에 조립되어 레버의 회전에 따라 도어의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설치 위치에 따라 손잡이의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전환할 수 있고, 레버와 회전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레버, 베이스, 방향전환부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A Handl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 타입의 대형 도어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로써,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설치 위치에 따라 손잡이의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전환할 수 있고, 레버와 회전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문은 미닫이 타입이 대부분이며, 창문을 옆 방향으로 밀어 열거나 닫도록 사용된다.
미닫이 도어는 닫힘 상태에서 잠금 작동되도록 크리센트와 같은 별도의 잠금장치가 필요하고, 이러한 잠금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레버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면, 작동레버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고, 잠금 해제상태에서 미닫이 도어의 프레임을 잡고 밀거나 잡아당겨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때 도어의 프레임을 손으로 잡고 여닫기가 불편하므로 창문프레임에 손잡 이를 설치하거나, 손잡이에 잠금장치를 마련하여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잠금장치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란다나 테라스등의 창문이 대형화되면서 창문의 자체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힘이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레버형의 손잡이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레버형의 손잡이는 창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 레버를 소정각도 회동시켜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창문을 열고, 창문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버를 잡고 힘을 가하면 레버가 회동하지 않고 그대로 창문에 힘을 전달하여 닫히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레버형의 손잡이는 잠금 상태에서 도어의 개방 방향에 따라 레버의 회동 방향이 달라진다. 다시 말해, 도어의 개방방향이 좌측이면 레버가 좌측으로만 회전(좌수용이라 함)되어야 하고, 개방 방향이 우측이면 레버가 우측으로만 회전(우수용이라 함)되어야 하므로, 레버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수용과 우수용을 구분하여 각각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설치 위치에 따라 손잡이의 레버의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전환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레버와 회전체의 결합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레버에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방향전환부에서 방향 전환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레버 또는 베이스의 외주면에 커버를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베이스의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커버를 형성하여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수용공간 내에서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용공간이 폐쇄되어도 방향전환부에 의한 레버의 회전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조돌출편을 형성하여 레버의 회전에 따른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있어서,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형성되는 각형축공을 포함하는 레버; 상기 슬리브가 관통되는 삽입공과, 내측에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삽입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슬리브가 관통 고정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서 돌출편이 돌출된 링형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걸림턱부의 개구부 전방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 일측과 상기 걸림턱부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체와, 상기 지지편의 선단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부; 상기 레버의 각형축공에 조립되어 레버의 회전에 따라 도어의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의 슬리브 외부면에는 복수 개의 제1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결합공 내주면에는 상기 제1키홈에 대응하여 제2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키홈과 대응하는 제2키홈에 고정키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가 상기 레버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링형테두리의 내측에서 함몰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탄성부재가 설치 고정되어 레버가 회동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비틀림 탄성복원력에 의해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돌출편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저지홈과, 상기 고정편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편을 향해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편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버는 외측면 가장자리를 감싸는 레버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커버의 상부면을 폐쇄하는 탑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체결부재에 의해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제1베이스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베이스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베이스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삽입공에 대응하여 제1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부의 고정편에 대응하여 제2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저지홈에 인접하여 제1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부는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전환부에 대응되는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2관통부에 대응하는 제2전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돌출편의 반대 방향으로 보조돌출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설치 위치에 따라 손잡이의 레버의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전환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한, 레버와 회전체의 결합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한, 레버에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한, 방향전환부에서 방향 전환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한, 레버 또는 베이스의 외주면에 커버를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한, 베이스의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커버를 형성하여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수용공간 내에서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한, 수용공간이 폐쇄되어도 방향전환부에 의한 레버의 회전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한, 보조돌출편을 형성하여 레버의 회전에 따른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첨부 도면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는 레버(1)와 베이스(2), 회전체(3), 방향전환부(4), 연결바(5)로 구분할 수 있다.
레버(1)는 일측면에 슬리브(11)가 돌출 형성되고, 슬리브(11)의 내측에는 각형축공(12)이 형성되며, 슬리브(11)의 외주면에는 제1키홈(13)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제1키홈(13)은 도면에서처럼 슬리브(11)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레버(1)에는 레버(1)의 외측면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레버커버(81)가 결합되고, 레버커버(81)의 상부면을 폐쇄하도록 탑커버(82)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2)는 레버(1)의 슬리브(1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삽입공(2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용공간(22)이 함몰 형성된다. 수용공간(22)에는 삽입공(21)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부(23)가 돌출 형성되고, 수용공간(22)의 길이 방향으로 걸림턱부(23)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베이스(2)에는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1베이스커버(83)가 결합되고, 베이스(2)의 수용공간(22)을 폐쇄하도록 제2베이스커버(8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베이스커버(84)에는 레버(1)의 슬리브(11)에 대응하는 제1관통부(86)와, 후술하는 방향전환부(4)의 고정편(43)에 형성된 제2전환부(48)에 대응하는 제2관통부(88)가 관통 형성된다. 제1관통부(86)에는 후술하는 방향전환부(4)의 지지편(41)에 형성된 제1전환부(45)에 대응하는 유도홈(87)이 함몰 형성된다.
회전체(3)는 중심에서 레버(1)의 슬리브(11)가 관통 고정되는 결합공(31)이 형성되고, 결합공(31)의 외주면을 따라 링형테두리(32)가 돌출 형성되며, 결합공의(31)의 내주면에는 레버(1)의 제1키홈(13)에 대응하여 제2키홈(34)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링형테두리(32)의 일측에는 돌출편(33)이 돌출 형성되고, 돌출편(33)의 반대 방향으로 링형테두리(32)의 타측에는 보조돌출편(36)이 돌출 형성된다.
방향전환부(4)는 지지편(41)과 탄성체(42), 그리고 고정편(4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지편(41)은 제1지지편(41a)과 제2지지편(41b)으로 구분하여 한 쌍으로 형 성되고, 걸림턱부(23)의 개구부(24) 전방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1지지편(41a)과 제2지지편(41b)에는 회전체(3)의 돌출편(33)에 대응하여 돌출편(33)의 일측 모서리에 안착되는 저지홈(44)이 각각 마주보며 함몰 형성되고, 저지홈(44)에 인접하여 제1전환부(45)가 함몰 형성되며, 저지홈(44)이 형성된 지지편(41)의 타측단에는 제2고정부(46)가 각가 마주보며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제1전환부(45)와 제2고정부(46)는 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42)는 제1지지편(41a)과 제2지지편(41b)의 측면에서 지지편(41)과 걸림턱부(23)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고정편(43)은 지지편(41)의 선단에 형성되고, 고정편(33)의 양단에는 상술한 제2고정부(46)에 대응하여 제1고정부(47)가 돌출 형성되며, 고정편(33)의 하부면에는 제2전환부(48)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1고정부(47)와 제2전환부(48)는 홈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5)는 상술한 레버(1)의 각형축공(12)에 삽입 고정되어 도시되지 않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레버(1)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레버(1)에는 레버커버(81)와 탑커버(82)가 차례로 결합된다. 레버(1)에 레버커버(81)와 탑커버(82)가 형성되면, 손잡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레버커버(81)와 탑커버(82)가 레버(1)에 결합되는 구조는 통상의 후크 결합이나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레 버(1)와 커버(81)(82)의 결합구조를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레버(1)의 슬리브(11)가 베이스(2)의 삽입공(21)을 관통하여 회전체(3)의 결합공(31)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키홈(13)과 제2키홈(34)이 일치하도록 조절하고, 고정키(7)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면 레버(1)는 회전체(3)와 고정 결합된 채, 베이스(2)의 삽입공(21)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레버(1)와 회전체(3)가 고정 결합될 때, 통상 슬리브(11) 또는 회전체(3)의 결합공(31)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가 대응되는 슬리브(11) 또는 회전체(3)의 결합공(31)에 형성된 홈에 끼움 삽입되는 구조로서, 레버(1)의 작동에 따른 돌기의 파손 위험이 발생하고, 돌기 파손에 따른 유지 보수가 어려웠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슬리브(11)와 회전체(3)의 결합공(31)에 각각 키홈(13)(34)을 형성하고, 고정키(7)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슬리브(11)와 회전체(3)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은 물론 레버(1)의 작동에 따른 고정키(7)의 파손에도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회전체(3)는 베이스(2)의 걸림턱부(23) 내에서 링형테두리(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돌출편(33) 및 보조돌출편(36)이 걸림턱부(23)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24)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편(33)의 전방으로 베이스(2)의 수용공간(22)에는 방향전환부(4)가 안착 설치되는데, 제1지지편(41a)과 제2지지편(41b)은 각각 수용공간(22)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고정편(43)은 지지편(41)의 선단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제1지지편(41a)과 제2지지편(41b)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공간(22) 내에 설치된 회전체(3)와 방향전환부(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2베이스커버(84)를 이용하여 베이스(2)의 수용공간(22)을 폐쇄한다.
제2베이스커버(84)가 설치되면, 제1관통부(86)를 통해 레버(1)의 슬리브(11) 및 각형축공(12)이 노출되고, 유도홈(87)을 통해 지지편(41)의 제1전환부(45)가 노출되며, 제2관통부(88)를 통해 고정편(43)의 제2전환부(48)가 노출된다. 그리고 제1관통부(86)를 통해 노출된 각형축공(12)에 연결바(5)가 삽입된다.
이렇게 조립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어에 설치할 때, 통상 체결부재를 이용한 나사 결합에 의해 베이스(2)를 도어에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베이스(2)의 외주면으로 체결부재에 의한 결합 흔적이 나타나므로 레버(1)와 베이스(2) 사이에 제1베이스커버(83)가 삽입되어 베이스(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면 도어에 결합된 손잡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베이스(2)와 제1베이스커버(83)가 결합되는 구조는 통상의 후크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베이스(2)와 제2베이스커버(84)가 결합되는 구조는 통상의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지만, 여기서 제1베이스커버(83)와 제2베이스커버(84)가 베이스(2)에 결합되는 구조를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의 레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방향전환부의 작동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레버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어의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레버(1)의 회전 방향이 결정되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도어에 설치할 때, 베이스(2)를 도어에 고정시키기 전에 베이스(2)의 배면에 설치된 방향전환부(4)를 이용하여 레버(1)의 회전 방향을 결정한다. 도면에서 제2베이스커버(84)와 제1관통부(86), 제2관통부(88)의 도면번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회전체(3)의 돌출편(33)은 베이스(2)의 개구부(24)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지지편(41)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저지홈(44)이 돌출편(33)을 감싸게 되고, 고정편(43)은 제1지지편(41a)과 제2지지편(41b) 사이에서 제1지지편(41a)과 제2지지편(41b)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그러면, 레버(1)는 지지편(41)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부(88)에 노출된 제2전환부(48)를 이용하여 고정편(43)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지지편(41a)은 저지홈(44)에 돌출편(33)의 일측 모서리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지지편(41b)은 탄성체(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구부(24)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돌출편(33)이 저지홈(44)에서 이탈되고, 제2지지편(41b)의 제2고정부(46)에 제1고정부(47)가 안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4)를 설정하여 손잡이를 도어에 설치한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방향전환부(4)의 제2지지편(41b)이 베이스(2)의 개구부(24)에서 이탈된 상태이므로 회전체(3)의 돌출편(33)이 개구부(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돌출편(33)은 제1지지편(41a)의 저지홈(44)과 걸림턱부(23) 사이에서 제한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돌출편(33)이 걸림턱부(23)에 접촉하게 되면, 레버(1)의 회전이 멈추게 되어 도어의 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고, 도어를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실내를 개방할 수 있다.
회전체(3)의 돌출편(33)은 레버(1)의 회동에 따라 걸림턱부(23) 또는 방향전환부(4)의 지지편(41)과 접촉될 때, 외력에 의한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이때, 돌출편(33)의 반대 방향에 보조돌출편(36)이 더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1)의 회전에 따라 돌출편(33)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레버(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방향전환부(4)의 제1지지편(41a)에 의해 회전체(3)의 돌출편(33)이 저지되어 레버(1)가 회전할 수 없고, 도어의 잠금장치가 잠금 설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를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실내를 폐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4)가 설정된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는 레버(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의 잠금장치를 잠금 해제할 수 있으므로,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실내를 개방하는 도어에 적합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초기 상태에서 고정편(43)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키거나, 도 3에 도시된 방향전환부(4)의 설정에서 제2지지편(41b)의 제1전환부(45)를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고정편(43)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방향전환부(4)의 설정과 반대가 된다.
다시 말해, 제2지지편(41b)의 저지홈(44)에 돌출편(33)이 안착하게 되고, 제1지지편(41a)은 탄성체(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1지지편(41a)의 제2고정부(46)에 제1고정부(47)가 안착하게 된다.
이렇게 방향전환부(44)가 설정된 손잡이를 도어에 설치하면, 레버(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실내를 개방하는 도어에 적합하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딩 도어용 손잡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써,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구성과 더불어 탄성부재(6)가 더 형성된다. 탄성부재(6)는 베이스(2)와 회전체(3)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체(3)의 링형테두리(32)에는 내측으로 안착홈(35)이 함몰 형성되어 안착홈(35)에 탄성부재(6)가 설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탄성부재(6)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링형테두리(32)의 안착홈(35)에 삽입되고, 양끝단이 링형테두리(32) 및 걸림턱부(23)에 고정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의 레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방향전환부의 작동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레버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배면도로써,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고정편(43)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도 3에 도시된 방향전환부(4)의 설정에서 제2지지편(41b)의 제1전환부(45)를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고정편(43)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로써, 제2지지편(41b)의 저지홈(44)에 돌출편이 안착하게 되고, 제1지지편(41a)은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1지지편(41a)의 제2고정부(436)에 제1고정부(47)가 안착하게 된다.
이렇게 방향전환부(44)가 설정된 손잡이를 도어에 설치하면, 레버(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의 잠금 장치를 잠금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실내를 개방하는 도어에 적합하다.
여기서 회전체(3)의 안착홈(35)에는 탄성부재(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1)의 회전 동작에서 레버(1)에 가해지는 외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6)의 비틀림 탄성복원력에 의해 레버(1)가 자동으로 원위치하게 되고, 도어의 잠금장치를 잠금 설정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4)를 설정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도어에 설치하면, 레버(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 면서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실내를 개방하는 도어에 적합하고, 탄성부재(6)의 비틀림 탄성복원력에 의해 레버(1)가 자동으로 원위치하게 되어 도어의 잠금장치를 잠금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방향전환부의 작동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레버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방향전환부의 작동을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레버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레버 2: 베이스 3: 회전체
4: 방향전환부 5: 연결바 6: 탄성부재
7: 고정키 11: 슬리브 12: 각형축공
13: 제1키홈 21: 삽입공 22: 수용공간
23: 걸림턱부 24: 개구부 31: 결합공
32: 링형테두리 33: 돌출편 34: 제2키홈
35: 안착홈 36: 보조돌출편 41: 지지편
41a: 제1지지편 41b: 제2지지편 42: 탄성체
43: 고정편 44: 저지홈 45: 제1전환부
46: 제2고정부 47: 제1고정부 48: 제2전환부
81: 레버커버 82: 탑커버 83: 제1베이스커버
84: 제2베이스커버 86: 제1관통부 87: 유도홈
88: 제2관통부

Claims (12)

  1.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있어서,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형성되는 각형축공을 포함하는 레버;
    상기 슬리브가 관통되는 삽입공과, 내측에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삽입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슬리브가 관통 고정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서 돌출편이 돌출된 링형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걸림턱부의 개구부 전방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 일측과 상기 걸림턱부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체와, 상기 지지편의 선단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방향전환부;
    상기 레버의 각형축공에 조립되어 레버의 회전에 따라 도어의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슬리브 외부면에는 복수 개의 제1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의 결합공 내주면에는 상기 제1키홈에 대응하여 제2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키홈과 대응하는 제2키홈에 고정키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가 상기 레버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링형테두리의 내측에서 함몰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탄성부재가 설치 고정되어 레버가 회동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비틀림 탄성복원력에 의해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돌출편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저지홈과, 상기 고정편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편을 향해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편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외측면 가장자리를 감싸는 레버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커버의 상부면을 폐쇄하는 탑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체결부재에 의해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제1베이스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베이스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삽입공에 대응하여 제1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부의 고정편에 대응하여 제2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저지홈에 인접하여 제1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부는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전환부에 대응되는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2관통부에 대응하는 제2전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돌출편의 반대 방향으로 보조돌출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20080002483A 2008-01-09 2008-01-09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0903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83A KR100903256B1 (ko) 2008-01-09 2008-01-09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83A KR100903256B1 (ko) 2008-01-09 2008-01-09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256B1 true KR100903256B1 (ko) 2009-06-17

Family

ID=4098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483A KR100903256B1 (ko) 2008-01-09 2008-01-09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2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403B1 (ko) 2009-04-28 2010-12-09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012498B1 (ko) * 2008-08-11 2011-02-08 김용범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1132198B1 (ko) 2011-10-12 2012-04-02 주식회사 아이펙 도어손잡이용 커버
KR101162695B1 (ko) 2012-04-30 2012-07-05 주식회사 디에스윈 양방향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딩창문 잠금장치
KR101195842B1 (ko) 2009-04-13 2012-10-30 김용범 잠금장치용 핸들
KR101220833B1 (ko) * 2010-07-22 2013-01-15 주식회사 디에스윈 창호용 손잡이
KR102560909B1 (ko) 2023-03-13 2023-07-28 주식회사 미맥스 시스템 창호용 핸들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413U (ko) * 1988-01-22 1989-08-19 남선경금속공업주식회사 도어용 괘정구
KR200149669Y1 (ko) 1996-12-20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압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413U (ko) * 1988-01-22 1989-08-19 남선경금속공업주식회사 도어용 괘정구
KR200149669Y1 (ko) 1996-12-20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압 조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498B1 (ko) * 2008-08-11 2011-02-08 김용범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1195842B1 (ko) 2009-04-13 2012-10-30 김용범 잠금장치용 핸들
KR100999403B1 (ko) 2009-04-28 2010-12-09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220833B1 (ko) * 2010-07-22 2013-01-15 주식회사 디에스윈 창호용 손잡이
KR101132198B1 (ko) 2011-10-12 2012-04-02 주식회사 아이펙 도어손잡이용 커버
KR101162695B1 (ko) 2012-04-30 2012-07-05 주식회사 디에스윈 양방향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딩창문 잠금장치
KR102560909B1 (ko) 2023-03-13 2023-07-28 주식회사 미맥스 시스템 창호용 핸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2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012498B1 (ko)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0872687B1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GB2413153A (en) Latch assembly with lockable sliding actuator
KR101775331B1 (ko) 푸시-풀 타입 도어락
RU2657686C2 (ru) Механизм открывания двери
KR10101248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JP4624828B2 (ja) スイッチ付き錠装置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KR20180040772A (ko)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KR101923211B1 (ko) 푸시-풀 타입 도어락
KR20190007249A (ko) 도어록용 사각축의 결속구조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JP5484828B2 (ja) ハンド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開閉扉
KR20000075381A (ko)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JP2019107265A (ja) 家具におけるハンドルケース
JP5481130B2 (ja) ハンド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開閉扉
JP5581155B2 (ja) 角芯の固定構造、並びに、ドアハンドル
KR100836333B1 (ko) 도어 록 장치
KR20090011802A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100940336B1 (ko) 디지털 도어록 클러치
KR200382919Y1 (ko) 도어록의 도어 닫힘 감지구조 및 도어록이 도어 닫힘을감지하기 위한 스트라이크 어셈블리
KR10179133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