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51Y1 -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51Y1
KR200480651Y1 KR2020160002018U KR20160002018U KR200480651Y1 KR 200480651 Y1 KR200480651 Y1 KR 200480651Y1 KR 2020160002018 U KR2020160002018 U KR 2020160002018U KR 20160002018 U KR20160002018 U KR 20160002018U KR 200480651 Y1 KR200480651 Y1 KR 200480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outer body
door
rotary
loc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화
Original Assignee
정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화 filed Critical 정영화
Priority to KR2020160002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인바디 동작부; 상기 인바디 동작부에 결합되는 내측몸체와, 상기 내측몸체와 일체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회전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외측몸체로 구성되는 도어락 브라켓; 일측면이 상기 외측몸체에 밀착 설치되되 상기 회전돌부가 결합되는 회전 결합공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키 입력부가 고정 설치되는 아웃바디; 및 상기 아웃바디를 상기 외측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상기 도어락 브라켓의 회전돌부와 상기 아웃바디의 회전 결합공의 경계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유리문의 좌수용 및 우수용 타입에 따라 별도의 설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키 입력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신속하고 손쉽게 변경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The door rock bracket for a glass door}
본 고안은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문은 여닫이 방식에 의해 그 개폐관계가 단속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내부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 및 각 건물 내에 사용되는바, 최근에는 단순한 개폐작동에서 벗어나서 디지털 잠금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락은 편의에 따라 좌수용과 우수용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실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 바디와, 실내에 설치되는 인바디와의 유기적인 동작으로 잠금기능과 해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고, 우측으로 열리는 우수용과 좌측으로 열리는 좌수용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락은 실외측부에 설치되는 키 입력부가 올바로 설치되지 못하고, 좌수용 유리문에는 좌수용 도어락이 설치되고 우수용 유리문에는 우수용 도어락이 설치되고 있었다.
하지만, 키입력부의 180도 회전을 위해 아웃바디를 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결합하기 위한 설치가 필요하였고, 볼트에 의한 체결 방식이었으므로 아웃바디를 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체결 설치하는 작업을 실행해야 하므로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작업자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9398호(2015년 1월 28일 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시 키 입력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좌수용 유리문과 우수용 유리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강화 유리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브라켓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는,
인바디 동작부;
상기 인바디 동작부에 결합되는 내측몸체와, 상기 내측몸체와 일체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회전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외측몸체로 구성되는 도어락 브라켓;
일측면이 상기 외측몸체에 밀착 설치되되 상기 회전돌부가 결합되는 회전 결합공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키 입력부가 고정 설치되는 아웃바디; 및
상기 아웃바디를 상기 외측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상기 도어락 브라켓의 회전돌부와 상기 아웃바디의 회전 결합공의 경계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죔 고정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돌부에는,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죔 고정수단은, 상기 경계부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각 고정공에 결합되어 상기 아웃바디의 타측면을 누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에 의하면, 좌수용 유리문 또는 우수용 유리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화유리에 인바디와 아웃 바디를 설치한 상태에서 키입력부를 회전하여 설치함으로써 매우 빠르게 작업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좌수용 및 우수용을 모두 대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의 일부 구성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의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는, 유리문 안쪽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인바디(200), 유리문용 도어락(100), 유리문 바깥쪽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아웃바디(104) 및 키 입력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문용 도어락(100)은 상기 인바디(200)와 결합 설치되는 도어락 브라켓(102)과, 상기 키입력부(202)와 결합되는 상기 아웃바디(104)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도어락 브라켓(102)은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몸체(10)와 외측몸체(12)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몸체(10) 및 외측몸체(12)의 일변부가 절곡되어서 절곡부(11)가 형성되고, 좌측 방향으로 연장몸체(13)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몸체(13)에는 일부가 개구된 장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4)은 상기 도어락 브라켓(102)의 설치시 넣고 빼기가 수월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측몸체(10)에는 다수 개의 고정공(16)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몸체(12)에는 다수 개의 고정공(18)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16)은 전술된 인바디(200)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수단(20)에 의해 일방향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몸체(12)의 중앙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키입력부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돌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돌부(22)는 상기 외측몸체(1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몸체(12)의 우측면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돌부(22)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과 타원형 등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당연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고, 이러한 형상의 설계상의 단순 기술 변경은 본 출원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회전돌부(22)의 중앙부에는 인입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공(24)은 상기 키입력부(202) 및 기타 다른 조작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콘트롤선 즉, 전기,전자 라인이 들어가고 나오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돌부(22)에 형성된 상기 인입공(24)의 주변으로는 다수 개의 고정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외측몸체(12)의 일측면부에는 아웃바디(104)가 부착 고정된다.
상기 아웃바디(104)는 고정수단(36)에 의해 상기 키입력부(202)의 후면에 밀착하도록 연결 고정된다.
상기 아웃바디(104)는 사각 평판형상의 회전패널(28)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부에는 회전 결합공(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 모서리부에는 다수 개의 고정공(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 결합공(30)은 상기 회전돌부(22)와 끼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돌부(22)에 회전 결합공(3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아웃바디(104)가 밀착 결합되고 상기 아웃바디(104)의 일면부에서 다수 개의 죔 고정수단(34)을 이용하여 체결 고정한다.
상기 다수 개의 죔 고정수단(34)은 아웃바디(104)의 회전 결합공(30)과 회전돌부(22)가 서로 밀착 접촉되는 경계부(C)를 누름 가압하도록 하부에 스페이서(S)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죔 고정수단(34)의 스페이서(S)가 상기 회전패널(28)과 상기 회전돌부(22)의 일면 바람직하기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을 밀착 가압하여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S)는 상기 죔 고정수단(34)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하여 각각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죔 고정수단(34)의 체결시 밀착력을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함으로써 키입력부(202)의 회전이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아웃바디(104)는 다수 개의 고정수단(36)에 의해서 상기 키 입력부(202)의 후면 또는 좌측면 고정된다.
이어서,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락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어락 브라켓(102)의 우측면부에 아웃바디(104)의 회전패널(28)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락 브라켓(102)에는 회전돌부(22)가 우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좌측부에는 오목한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돌부(22)에는 죔 고정수단(34)이 체결되는바, 상기 회전돌부(22)에 회전패널(28)이 결합된후, 체결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죔 고정수단(34)의 머리부 하부에 구비되는 스페이서(S)에 의해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죔 고정수단(34)을 강하게 조여주거나 약하게 조여줌으로서 상기 회전패널(28)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즉, 강하게 조이는 경우에는 움직임이 적고 회동이 어려우며, 약하게 조이는 경우에는 움직임이 자유롭고 회동이 느슨해지므로 일정한 강도로 조여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죔 고정수단(34)의 하단 체결부가 상기 회전돌부(22)의 수납홈을 벗어나지 않도록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아웃바디(104)는 상기 다수 개의 고정수단(36)에 의해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36)에 의해 상기 키 입력부(202)가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키 입력부(202)는 상기 고정수단(36)에 의해 아웃바디(104)와 키 입력부(202)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좌수용 유리문(300)에 본 고안의 유리문용 도어락(10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유리문용 도어락(100)의 키 입력부(202)는 좌수용 유리문(300)에 적합하도록 숫자키가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수용 유리문(300)에 설치된 유리문용 도어락(100)을 우수용 유리문(302)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키 입력부(202)를 180도 회전시켜서 숫자키가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우수용 유리문(302)에 도어락 브라켓(102)을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좌수용과 우수용 유리문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우수용 유리문(302)에 본 고안의 유리문용 도어락(10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유리문용 도어락(100)의 키 입력부(202)는 우수용 유리문(300)에 적합하도록 숫자키가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우수용 유리문(302)에 설치된 유리문용 도어락(100)을 좌수용 유리문(302)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키 입력부(202)를 180도 회전시켜서 숫자키가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좌수용 유리문(300)에 도어락 브라켓(102)을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우수용과 좌수용 유리문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내측몸체 12 : 외측몸체
14 : 장공 16, 18, 26, 32 : 고정공
20 : 고정수단 22 : 회전돌부
24 : 인입공 28 : 회전패널
30 : 회전 결합공 34 : 죔 고정수단
36 : 고정수단
100 : 유리문 도어락 102 : 도어락 브라켓
104 : 아웃바디
200 : 인바디 동작부 202 : 키 입력부
300 : 좌수용 유리문 302 : 우수용 유리문
C: 경계부 S: 스페이서

Claims (2)

  1. 인바디 동작부(200);
    상기 인바디 동작부(200)에 결합되는 내측몸체(10)와, 상기 내측몸체(10)와 일체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회전돌부(22)가 일체로 형성된 외측몸체(12)로 구성되는 도어락 브라켓(102);
    일측면이 상기 외측몸체(12)에 밀착 설치되되 상기 회전돌부(22)가 결합되는 회전 결합공(30)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키 입력부(202)가 고정 설치되는 아웃바디(104); 및
    상기 아웃바디(104)를 상기 외측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상기 도어락 브라켓(102)의 회전돌부(22)와 상기 아웃바디(104)의 회전 결합공(30)의 경계부(C)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죔 고정수단(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부(22)에는, 복수의 고정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죔 고정수단(34)은, 상기 경계부(C)에 스페이서(S)를 개재하여 상기 각 고정공(26)에 결합되어 상기 아웃바디(104)의 타측면을 누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KR2020160002018U 2016-04-14 2016-04-14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KR200480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18U KR200480651Y1 (ko) 2016-04-14 2016-04-14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18U KR200480651Y1 (ko) 2016-04-14 2016-04-14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651Y1 true KR200480651Y1 (ko) 2016-06-21

Family

ID=5634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18U KR200480651Y1 (ko) 2016-04-14 2016-04-14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5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230A (ko) * 2013-12-30 2014-02-06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KR101489398B1 (ko) 2012-05-08 2015-02-04 남경훈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398B1 (ko) 2012-05-08 2015-02-04 남경훈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KR20140015230A (ko) * 2013-12-30 2014-02-06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943B1 (ko)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KR100827302B1 (ko) 도어용 경첩
US10316544B2 (en) Return cartridge for door handles
KR100717370B1 (ko) 공동주택의 회전형 창문
KR200480651Y1 (ko)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US20030145638A1 (en) Interiorly reinforced door lock set
CN210598444U (zh) 一种有内衬板左右万向面板把手
CN209603653U (zh) 一种门锁
KR100961232B1 (ko) 힌지 조립체
KR200399410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102623990B1 (ko)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KR200238414Y1 (ko) 도어록 몸체 고정장치
KR200464332Y1 (ko) 컵 핸들형 도어손잡이
CN208363811U (zh) 把手快速换向机构
KR200355677Y1 (ko)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KR200300263Y1 (ko) 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0357509Y1 (ko)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KR200274413Y1 (ko) 쌍여닫이문용 개폐장치
JP4884952B2 (ja) 面付錠の外装構造
KR200490103Y1 (ko) 도어락 본체의 설치 조립체
CN109610935A (zh) 一种防撬锁具
KR100898016B1 (ko) 강화도어용 잠금장치
KR102560909B1 (ko) 시스템 창호용 핸들 조립체
CN210122848U (zh) 一种门锁的手柄复位驱动装置
KR200272705Y1 (ko) 자성체를 이용한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