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509Y1 -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509Y1
KR200357509Y1 KR20-2004-0010989U KR20040010989U KR200357509Y1 KR 200357509 Y1 KR200357509 Y1 KR 200357509Y1 KR 20040010989 U KR20040010989 U KR 20040010989U KR 200357509 Y1 KR200357509 Y1 KR 200357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bolt
hinge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식
Original Assignee
이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식 filed Critical 이춘식
Priority to KR20-2004-0010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틀에 강화유리로된 문짝을 회동자재토록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문짝 상측의 회동브라켓트와 힌지결합되어져 문짝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문틀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의 구성을 보다 간단히 하여 재료의 낭비를 줄이고 재료비 또한 적게 소요되도록 하며 문틀에 고정설치하기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고정설치후에는 고정볼트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가 뛰어나도록 한 고품질 고품격의 문짝설치용 경첩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문틀(100)의 상측에 고정착설되며 힌지축핀(11)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1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10)와 힌지축핀(11)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문짝(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회동브라켓트(20)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문틀(100)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내측으로 90°각도로 절곡형성되고 내면에 수직으로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형성하여서된 폭이 좁은 고정편(30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폭이 좁은 고정편(300)을 문틀(100)에 맞대고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에 나사 또는 고정볼트(400)를 체결하여서 일측몸체(10a)를 고정설치한다음 덮개(10b)를 일측몸체(10a)에 볼트(13)체결하면 외부에서 나사머리 또는고정볼트(400)머리가 보이지 않도록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Fixing bracket establishment structure for hinge}
본 고안은 문틀에 강화유리로된 문짝을 회동자재토록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 상측의 회동브라켓트와 힌지결합되어져 문짝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문틀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재료의 낭비를 줄이고 재료비 또한 적게 소요되도록 하며 문틀에 고정설치하기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고정설치후에는 고정볼트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가 뛰어나도록 한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구조물에는 다양한 재질의 문짝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문짝들은 거의 대부분이 건축구조물에 형성된 문틀에 경첩을 이용하여 개폐가능토록 설치된다.
이때 강화유리 문짝의 설치시 사용되는 경첩을 살펴보면 첨부도면 도1a 내지 도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부분의 경우에는 문틀(100)의 상측에 고정착설되며 힌지축핀(11)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1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10)와 힌지축핀(11)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문짝(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회동브라켓트(20)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상측경첩부분과,
건축물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힌지축편(31)을 구비한 힌지작동뭉치(30)와, 상기 힌지작동뭉치(30)와 힌지축편(31)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문짝(2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회동브라켓트(40)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하측경첩부분(200)으로 나누어진다.
이중 상측경첩부분에 해당하는 문짝(200) 상측의 상측회동브라켓트(20)와 힌지 결합되는 문틀(100) 상측의 고정브라켓트(10)는, 일측몸체(10a)선단에 비교적 면적이 넓고 각 모서리부분에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14a)이 형성된 고정편(14)이 일체로 용접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몸체(10a)에 형성된 볼트체결부(12)에 덮개(10b)를 볼트(13)체결하여 문틀(100)에 고정브라켓트(10)의 고정설치를 완료하게 되면 고정편이 좌,우측으로 심하게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경첩용 고정브라켓트(10)는 고정편(14)의 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가 심하였고, 재료비 또한 더 많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고정편(14) 네모서리부분에 형성된 각각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14a) 모두에 나사 또는 고정볼트(15)를 일일히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그러는 한편, 고정설치후에는 고정편(14)이 폭이 넓고, 고정볼트(15) 또한 외부에서 그대로 보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미관상으로도 수려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문짝 상측의 회동브라켓트와 힌지결합되어져 문짝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문틀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의 구성을 보다 간단히 하여 재료의 낭비를 줄이고 재료비 또한 적게 소요되도록 하며 문틀에 고정설치하기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고정설치후에는 고정볼트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가 뛰어나도록 한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a,도1b는 종래의 고안으로서,
도1a는 종래의 경첩을 이용한 일반적인 유리문짝의 설치상태도.
도1b는 종래 경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a,도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도로서,
도2a는 일부 분해상태 사시도.
도2b는 설치 상태 측단면도.
도3a,도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3a는 일부 분해상태 사시도.
도3b는 설치 상태 측단면도.
도4a,도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4a는 일부 분해상태 사시도.
도4b는 설치 상태 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으로서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연장부를 고정편 하측에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고정브라켓트 10a:일측몸체
10b:덮개 20:회동브라켓트
12:볼트체결부 100:문틀
200:문짝 300:고정편
300a,300b:연장부 310: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
400:고정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2a 내지 도4b에 도시한 바와같이 문틀(100)의 상측에 고정착설되며 힌지축핀(11)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1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10)와 힌지축핀(11)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문짝(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회동브라켓트(20)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를 구성하되,
상기 문틀(100)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내측으로 90°각도로 절곡형성되고 내면에 수직으로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형성하여서된 폭이 좁은 고정편(30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폭이 좁은 고정편(300)을 문틀(100)에 맞대고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에 나사 또는 고정볼트(400)를 체결하여서 문틀(100)에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를 고정설치한다음 덮개(10b)를 일측몸체(10a)에 볼트체결하였을때 외부에서 나사 또는 고정볼트(400)가 보이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고정편(300)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은 임의대로 다수개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은 기본이다.
즉, 첨부도면 도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일측몸체(10a)에 형성되어 덮개(10b)를 볼트(13)체결시 사용되는 볼트체결부(12)를 기준으로 고정편(30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형성하거나 도2b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다수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3a 내지 도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고정편(300)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일측몸체(10a)에 형성되어 덮개(10b)를 볼트(13)체결시 사용되는 볼트체결부(12)를 기준으로 고정편(300)의 상측단에만 편향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도 있는 것은 물론,
첨부도면 도4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고정편(300)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고정편(300)상측으로 연장부(300a)를 형성한다음 일측몸체(10a)에 형성되어 덮개(10b)를 볼트(13)체결시 사용되는 덮개체결용 볼트체결부(12)를 기준으로 고정편(300)의 상측단과 연장부(300a)에만 편향되게 형성하여서 체결력을 보강토록 이루어질 수 도 있는데,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고정브라켓트(10)의 내면에 힌지축편(31)을 상,하출몰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고정편(300)의 하측단에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형성하였다하더라도 이에 나사 또는 고정볼트(400)를 체결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도3a 내지 도4b와 같은 상태에서도 고정편(300) 하측단에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형성한다음 끝부분이 절곡된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본 고안으로서 구성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고정편(300)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고정편(300)하측으로 연장부(300b)를 형성한다음 일측몸체(10a)에 형성된 덮개(10b) 체결용 볼트체결부(12)를 기준으로 고정편(300)의 상측단과 하측 연장부(300b)에 형성하여서 체결력을 보강토록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해 결코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본 고안의 단순 설계변경 내지는 단순 치환한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짝(200)의 설치시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폭이 좁은 고정편(300)을 문틀(100)에 맞대고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에 나사 또는 고정볼트(400)를 체결하여서 문틀(100)에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를 고정설치한다.
그런다음 덮개(10b)를 일측몸체(10a)에 볼트(13)로 체결하면 아주 간단하게 고정브라켓트(10)를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문짝(200)에 고정브라켓트(10)를 고정설치한다음에는 통상적인 문짝설치방법 즉, 고정브라켓트(10)의 힌지축핀(11)을 문짝(200)의 상측에 설치된 상측회동브라켓트(20)에 힌지결합함과 동시에 문짝(200)의 하측에 설치된 하측회동브라켓트(40)를 건축물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작동뭉치(30)에 구비된 힌지축편(31)에 힌지결합하면 문짝이 개폐가능하게 설치완료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경첩용 고정브라켓트는 문짝(200)에 볼트(13)체결하였을때 외부에서 나사 또는 고정볼트(400)가 보이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경첩용 고정브라켓트의 구성이 보다 간단하며,
재료의 낭비를 줄여 주고 재료비 또한 적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문틀에 고정설치하기가 용이하며,
고정설치후에는 나사 또는 고정볼트가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기때문에 외관미가 뛰어난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문틀(100)의 상측에 고정착설되며 힌지축핀(11)을 구비한 고정브라켓트(1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10)와 힌지축핀(11)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문짝(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회동브라켓트(20)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문짝설치용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문틀(100)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내측으로 90°각도로 절곡형성되고 내면에 수직으로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형성하여서된 폭이 좁은 고정편(30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일측몸체(10a)에 구비된 폭이 좁은 고정편(300)을 문틀(100)에 맞대고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에 나사 또는 고정볼트(400)를 체결하여서 일측몸체(10a)를 문틀(100)에 고정설치한다음 덮개(10b)를 일측몸체(10a)에 체결하면 외부에서 나사머리 또는 고정볼트(400)머리가 보이지 않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고정편(300)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일측몸체(10a)에 형성되어 덮개(10b)를 볼트(13)체결시 사용되는 볼트체결부(12)를 기준으로 고정편(30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형성하여 이루어짐을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고정편(300)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일측몸체(10a)에 형성되어 덮개(10b)를 볼트(13)체결시 사용되는 볼트체결부(12)를 기준으로 고정편(300)의 상측단에만 편향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고정편(300)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고정편(300)상측으로 연장부(300a)를 형성한다음 일측몸체(10a)에 형성된 덮개(10b) 체결용 볼트체결부(12)를 기준으로 고정편(300)의 상측단과 연장부(300a)에만 편향되게 형성하여서 체결력을 보강토록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일측몸체(10a)선단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고정편(300)의 나사공 또는 볼트체결공(310)을,
    고정편(300)하측으로 연장부(300b)를 형성한다음 일측몸체(10a)에 형성된 덮개(10b) 체결용 볼트체결부(12)를 기준으로 고정편(300)의 상측단과 하측 연장부(300b)에 형성하여서 체결력을 보강토록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KR20-2004-0010989U 2004-04-21 2004-04-21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KR200357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989U KR200357509Y1 (ko) 2004-04-21 2004-04-21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989U KR200357509Y1 (ko) 2004-04-21 2004-04-21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509Y1 true KR200357509Y1 (ko) 2004-07-30

Family

ID=4943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989U KR200357509Y1 (ko) 2004-04-21 2004-04-21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5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197Y1 (ko) 댐퍼가 구비된 도어힌지
EA018240B1 (ru) Угловая опора для окна или двери
RU2488930C2 (ru) Сбор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шкаф
KR200357509Y1 (ko)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KR101068134B1 (ko) 문의 비노출식 경첩구조
KR20210133014A (ko) 컨트롤 패널 구조
KR20090023954A (ko) 도어용 경첩
KR102372802B1 (ko) 가변형 내부 프레임을 이용한 도어구조
KR200427866Y1 (ko) 사물함의 도어 고정장치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KR200477204Y1 (ko) 창문용 록 장치
KR102247630B1 (ko) 방화문용 피봇힌지장치
KR100961232B1 (ko) 힌지 조립체
KR200309403Y1 (ko) 경첩
KR200497829Y1 (ko)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도어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샤워부스 창호용 힌지유닛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229810Y1 (ko) 스테인레스 문틀용 도어 힌지 결합구조
KR200376907Y1 (ko) 경첩
KR200223566Y1 (ko) 회전개폐 도아용 상부 피봇힌지
KR200391505Y1 (ko) 도어용 경첩
KR200394861Y1 (ko) 가구용 힌지
KR200248096Y1 (ko) 가구 문짝 개폐방향 변경장치
KR200171781Y1 (ko) 문짝설치용 경첩
KR100318725B1 (ko)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KR200187437Y1 (ko) 도어용 피봇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