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861Y1 - 가구용 힌지 - Google Patents

가구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861Y1
KR200394861Y1 KR20-2005-0017992U KR20050017992U KR200394861Y1 KR 200394861 Y1 KR200394861 Y1 KR 200394861Y1 KR 20050017992 U KR20050017992 U KR 20050017992U KR 200394861 Y1 KR200394861 Y1 KR 200394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door
plate
hing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07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the hinges having two or more pins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의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의 회동수단으로 이용되는 가구용힌지에 관한 것으로, 가구본체(200)에 고정되면서 그 몸체에 볼트공(111)과 장공(112)이 형성된 본체플레이트(110)와, 가구도어(300)에 고정되면서 그 일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도어플레이트(120) 및, 이 도어플레이트(120)의 체결부에 힌지핀(121)을 통해 결합되어 본체플레이트(1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그 몸체에 상기 볼트공(111) 및 장공(112)과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제1조절볼트(140)가 체결되는 장공(131)과 제2조절볼트(150)가 체결되는 볼트공(132)이 형성된 힌지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 가구용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볼트공(111)의 주변에 가구도어(300)의 개폐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절결부(10)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조절볼트(140,150)에 의해 상기 가구도어(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결부(10)가 제2조절볼트(140)의 조임 및 풀림과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지거나 펼쳐져, 가구도어의 세팅에 따른 작업하중 및 시간이 최소화되어 편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가구도어의 세팅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용 힌지 {Hinge for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의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의 회동수단으로 이용되는 가구용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구용힌지에 구성되는 본체플레이트의 작동구조를 변경하여 도어의 간극 조절 및 높낮이 조절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가구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용힌지는, 가구본체와 가구도어의 사이에 연결되어 가구본체의 일면을 중심으로 하여 가구도어를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가구용힌지(100)는 가구본체(200)와 가구도어(300)의 사이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힌지식으로 작동한다.
예컨대, 가구용힌지(100)는, 가구본체(200)에 고정되면서 그 몸체에 볼트공(111)과 장공(112)이 형성된 본체플레이트(110)와, 가구도어(300)에 고정되면서 그 일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도어플레이트(120) 및, 이 도어플레이트(120)의 체결부에 힌지핀(121)을 통해 결합되어 본체플레이트(110)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볼트공(111)과 장공(112)과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장공(131)과 볼트공(132)이 형성된 힌지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물론, 본체플레이트(110)의 장공(112)과 힌지플레이트(130)의 장공(131)은 일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체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슬라이딩식으로 힌지플레이트(130)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장공(131)과 볼트공(111)에 제1조절볼트(140)를 체결하면서 상기 볼트공(132)과 장공(112)에 제2조절볼트(150)를 체결하면, 가구본체(200)에서 회동가능하게 가구도어(30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제2조절볼트(150)는 그 하단부에 힌지플레이트(130)의 장공(112)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151)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구용힌지(100)에서 제1,2조절볼트(140,150)의 조임 또는 풀림작용에 의해 가구도어(300)의 위치 조절 즉, 본체플레이트(110)로부터 힌지플레이트(130)의 간극이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힌지(100)는 가구도어(300)의 간극 조절 및 높낮이의 조절이 쉽지 않아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가구도어(300)의 조절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즉, 가구본체(200)에 가구도어(300)가 장착되면, 상기 가구용힌지(100)에 제1,2조절볼트(140,150)의 체결력 및 가구도어(300)의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로서, 예컨대 제1.2조절볼트(140,150)를 조이거나 풀려는 경우 가구용힌지(10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회전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하중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제1.2조절볼트(140,150)를 완전히 해체하여야만 가구도어(300)의 세팅이 가능해져 작업시간 및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구용힌지에 구성되는 본체플레이트의 작동구조를 변경하여 도어의 높낮이 조절 및 도어의 간극 조절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가구용 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구본체에 고정되면서 그 몸체에 볼트공과 장공이 형성된 본체플레이트와, 가구도어에 고정되면서 그 일면에 힌지핀이 장착된 도어플레이트 및, 이 도어플레이트의 힌지핀에 힌지결합되어 본체플레이트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그 몸체에 상기 볼트공 및 장공과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제1조절볼트가 체결되는 장공과 제2조절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힌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가구용힌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레이트에 형성된 볼트공의 주변에 가구도어의 개폐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절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가구도어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결부가 제2조절볼트의 조임 및 풀림과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힌지의 결합상태와 분해상태 및 가구용힌지의 본체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가구본체(200)에 고정되면서 그 몸체에 볼트공(111)과 장공(112)이 형성된 본체플레이트(110)와, 가구도어(300)에 고정되면서 그 일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도어플레이트(120) 및, 이 도어플레이트(120)의 체결부에 힌지핀(121)을 통해 결합되어 본체플레이트(1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그 몸체에 상기 볼트공(111) 및 장공(112)과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제1조절볼트(140)가 체결되는 장공(131)과 제2조절볼트(150)가 체결되는 볼트공(132)이 형성된 힌지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 가구용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볼트공(111)의 주변에 가구도어(300)의 개폐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절결부(10)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조절볼트(140,150)에 의해 상기 가구도어(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결부(10)가 제2조절볼트(140)의 조임 및 풀림과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성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힌지(100)의 구성요소 중 본체플레이트(110)와 도어플레이트(120)와 힌지플레이트(130)의 기술구성은 공지기술과 동일하며, 다만 도어플레이트(120)의 작동구조를 변경하여 가구도어(300)의 위치세팅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체플레이트(110)의 절결부(10)는 힌지플레이트(120)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삼면이 절결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볼트공(111)의 주변을 따라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체플레이트(1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적어도 한면은 본체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구본체(200)의 일면에 다수개의 가구용힌지(100)를 장착하여 가구도어(300)를 장착한 상태에서 가구도어(300)의 위치를 세팅하려는 경우, 일단 제1,2조절볼트(140,150)를 어느 정도 풀어준다.
이렇게 하면, 본체플레이드(110)에 슬라이딩식으로 장착된 힌지플레이트(130)가 절결부(10)를 매개로하여 제2조절볼트(140)의 풀림정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플레이트(110)의 절결부(10)가 제2조절볼트(150)의 조임 및 풀림정도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져, 제2조절볼트(150)의 체결정도와 절결부(10)의 펼침각도가 대응하는 위치에 세팅되는 것이다.
즉, 본체플레이트(110)에 구성된 절결부(1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제2조절볼트(15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므로, 제1.2조절볼트(140,150)의 조절에 따른 각종 작업하중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어서, 본체플레이트(110)를 중심으로하여 힌지플레이트(130)를 미끄럼이동시키거나 또는 제2조절볼트(150)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제1,2조절볼트(140, 150)를 체결하면 가구도어(200)의 세팅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힌지에 의하면, 본체플레이트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가구도어의 간극 및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가구도어의 세팅에 따른 작업하중 및 작업시간이 최소화되어 편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가구도어의 세팅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힌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힌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힌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힌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힌지의 본체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구용힌지 110 : 본체플레이트
120 : 도어플레이트 121 : 힌지핀
130 : 힌지플레이트 111,132 : 볼트공
112,131 : 장공 140,150 : 제1,2조절볼트
10 : 절결부

Claims (1)

  1. 가구본체(200)에 고정되면서 그 몸체에 볼트공(111)과 장공(112)이 형성된 본체플레이트(110)와, 가구도어(300)에 고정되면서 그 일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도어플레이트(120) 및, 이 도어플레이트(120)의 체결부에 힌지핀(121)을 통해 결합되어 본체플레이트(1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그 몸체에 상기 볼트공(111) 및 장공(112)과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제1조절볼트(140)가 체결되는 장공(131)과 제2조절볼트(150)가 체결되는 볼트공(132)이 형성된 힌지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 가구용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볼트공(111)의 주변에 가구도어(300)의 개폐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절결부(10)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조절볼트(140,150)에 의해 상기 가구도어(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결부(10)가 제2조절볼트(140)의 조임 및 풀림과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힌지.
KR20-2005-0017992U 2005-06-22 2005-06-22 가구용 힌지 KR200394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92U KR200394861Y1 (ko) 2005-06-22 2005-06-22 가구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92U KR200394861Y1 (ko) 2005-06-22 2005-06-22 가구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861Y1 true KR200394861Y1 (ko) 2005-09-06

Family

ID=4369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992U KR200394861Y1 (ko) 2005-06-22 2005-06-22 가구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8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72B1 (ko) * 2008-07-16 2009-02-06 표진호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72B1 (ko) * 2008-07-16 2009-02-06 표진호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3279B1 (en) Slide and snap clamp
JP4855775B2 (ja) 三方向の微調整機能付き隠し丁番
EP1732414B1 (en) Slide and snap clamp
JP6195560B2 (ja) ヒンジ
US20110296652A1 (en) Three-direction adjustable hinge
US9834260B2 (en) Truck bed extension apparatus
WO2005076882A3 (en) Bicentric hinge for use in a brace
JPH06288139A (ja) 隠し蝶番とその製造方法
KR200394861Y1 (ko) 가구용 힌지
CA2363781A1 (en) Mechanism and method for adjusting doors
KR101047855B1 (ko)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RU2522983C2 (ru) 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рытых петель и скрытая петля,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ое 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113195906A (zh) 家具驱动装置
KR20120092406A (ko) 벽면고정판을 고정한 다관절 가구힌지
US6722717B2 (en) Distance-variable closing stirrup for rotary-latch locks
WO2007065509A1 (en) Clamp device, adapted in particular to be secured on members of variable section.
KR101494895B1 (ko) 창호용 레버핸들 유닛트
JP3067879U (ja) 液晶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2441318A (en) Lock hinge
JP2002052218A (ja) パチンコ類遊技機の外枠における鍵受け
KR200357509Y1 (ko)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US12006746B2 (en) Adjustable gate latch assembly
EP2924211B1 (en) Adjustable hinge for doors or windows
CN215859627U (zh) 快装三维可调节合页
US20230040016A1 (en) Adjustable gate latch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