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472B1 -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 Google Patents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472B1
KR100882472B1 KR1020080069219A KR20080069219A KR100882472B1 KR 100882472 B1 KR100882472 B1 KR 100882472B1 KR 1020080069219 A KR1020080069219 A KR 1020080069219A KR 20080069219 A KR20080069219 A KR 20080069219A KR 100882472 B1 KR100882472 B1 KR 100882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plate
bolt
hole
gear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철수
Original Assignee
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진호 filed Critical 표진호
Priority to KR102008006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07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the hinges having two or more pins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8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of cylindr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14Adjustable or mov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벽체와 가구도어의 사이에 장착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기어열(15-1)을 갖는 조절공(15)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기어열(15-1)과 맞물리는 기어열(15-2)이 형성된 조절볼트(10);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지면서 그 상부면에 상기 조절볼트(10)가 끼워지는 회동공(30)이 형성된 고정판(140) 및;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면에 걸림식으로 결합되면서 그 몸체가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이동판(130)을 포함하며;
상기 가구힌지의 세팅작업이 상기 몸체부와 조절볼트에 각각 구성된 기어열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동판의 작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조절에 따른 편리성이 증대됨은 물론 상기 가구도어의 세팅작업이 육안으로 확인되므로 정밀도가 향상된다.
가구힌지, 몸체부, 회동판, 고정판, 이동판, 기어열

Description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Furniture hinge of having a gear moving plate}
본 발명은 가구도어와 벽체의 사이에 장착된 가구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구힌지용 이동판의 작동거리를 증대함은 물론 가구도어의 세팅에 따른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힌지는 장롱이나 싱크대 등과 같은 가구의 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되는 철구조물로서, 이 가구힌지는 가구도어의 개폐에 따른 각종 편리성을 제공하여야 함은 물론 가구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유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리고, 가구힌지는,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과 가구벽체에 고정되는 이동판(Mounting plate)이 구성되며, 특히 가구힌지의 몸체부에 볼트 또는 걸림후크를 통해 상기 이동판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동판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가구힌지(100)는,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및, 상기 몸체부(110)에 고정볼트(132)와 장력볼트(134)를 통해 결합된 이동판(1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롱이나 싱크대 등과 같은 가구의 개폐경로에 상기 가구힌지(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D)를 손으로 잡고 개폐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에 구성된 힌지축을 따라 상기 회동판(120)이 회전하므로,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고정볼트(132)가 왕복이동하는 결합공(112)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체결되는 볼트공(114)이 각각 형성되는 반면, 상기 이동판(130)에는 상기 고정볼트(132)가 체결되는 볼트공(136)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이동하는 절결홈(138)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고정판의 고정볼트(132)를 약간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결합공(112)을 따라 상기 고정판의 위치를 약간 이동시킨 다음, 상기 고정볼트(132)를 다시 체결하면, 상기 가구도어(D)의 세팅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가구힌지(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결합공(112)이 일방향을 따라 절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가구도어(D)의 반복적인 개폐동작의 과정에서 고정볼트(132)가 느슨해지는 경우, 상기 가구도어(D)가 유동하여 소음이 발생하거나 상기 결합공(112)을 이탈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가구힌지(100)의 결합공(112)이 일방향을 따라 절결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가구도어(D)의 유동이나 이탈과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가구힌지(100)는,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몸체부(110)에 고정볼트(132)와 장력볼트(134)를 통해 고정된 고정판(140) 및, 상기 고정판(140)의 하면에 후크식으로 결합되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이동판(1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장롱이나 싱크대 등의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상기 가구힌지(100)를 설치하고, 상기 가구도어(D)를 개폐하는 경우, 상기 회동판(120)을 중심으로 상기 가구도어(D)가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상기 고정볼트(132)가 끼워지는 결합공(112)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체결되는 볼트공(11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140)에는 상기 고정볼트(132)가 체결되는 볼트공(142)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끼워지는 절결홈(144)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하면에 상기 고정볼트(132)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고정판(140)을 상호 고정하여 상기 고정판(140)의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측에 걸림식 또는 볼트식으로 상기 이동판(130)을 고정하면, 상기 가구도어(D)의 세팅에 따른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가구힌지(100)는, 상기 결합공(112)이 상기 몸체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태이므로, 상기 가구도어(D)의 이동거리가 한정되어 상기 가구도어의 조절에 따른 편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구도어의 세팅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구힌지에 구성된 이동판의 작동거리를 최대화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가구도어의 세팅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가구벽체와 가구도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벽체와 가구도어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기어열을 갖는 조절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 상기 몸체부의 조절공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기어열과 맞물리는 기어열이 형성된 조절볼트;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맞대어지면서 그 상부면에 상기 조절볼트가 끼워지는 회동공이 형성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하부면에 걸림식 또는 볼트식으로 결합되면서 그 몸체가 상기 가구벽체에 고정되는 이동판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실시예는; 가구벽체와 가구도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벽체와 가구도어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기어열을 갖는 조절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 상기 몸체부의 조절공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기어열과 맞물리는 기어열이 형성된 조절볼트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맞대어져 상기 가구벽체에 고정됨은 물론 그 상면에 상기 조절볼트가 끼워지는 회동공이 형성된 이동판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구힌지의 세팅작업이 상기 몸체부와 조절볼트에 각각 구성된 기어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동판의 작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조절범위가 넓어진다.
둘째, 가구힌지의 세팅작업이 조절볼트의 풀림없이 리벳팅된 상태에서 정.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가구도어의 위치조절에 따른 작업하중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위치조절이 편리해진다.
셋째, 가구힌지의 세팅과정에서 상기 조절볼트의 위치가 육안으로 정확히 인식되므로, 상기 가구도어의 위치조절에 따른 편리성이 증대됨은 물론 상기 가구도어의 정밀한 조절작업이 가능해진다.
넷째, 가구힌지의 고정볼트가 텐션와셔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판에 밀착되므로, 상기 가구도어의 위치조절과정에서 이동거리 시작부터 끝까지 부드러움을 줌은 물론 항상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4a는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가구힌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4c는 가구힌지의 거리조절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d는 가구힌지의 조절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기어열(15-1)을 갖는 조절공(15)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기어열(15-1)과 맞물리는 기어열(15-2)이 형성된 조절볼트(10);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지면서 그 상부면에 상기 조절볼트(10)가 끼워지는 회동공(30)이 형성된 고정판(140) 및;상기 고정판(140)의 하부면에 걸림식으로 결합되면서 그 몸체가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이동판(13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상기 고정판(14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상기 기어열(15-1,15-2)의 상호작용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상기 고정판(140)을 통해 이동판(130)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힌지(1)는, 몸체부(110)에 조절볼트(10)를 통해 고정판(140)을 장착하고 상기 고정판(140)에 상기 이동판(13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어열(15-1,15-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판(130)을 세팅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측에 걸림방식으로 상기 이동판(130)이 장착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측에 볼트나 걸림기구 등을 통해 이동판(130)이 장착된 경우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몸체부(110)는, 가구힌지(1)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몸체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절공(15)과 볼트공(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15)에 조절볼트(10)가 체결되고 상기 볼트공(25)에 장력볼트(20)가 체결된다.
또한, 조절공(15)은, 그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기어열(15-1)이 형성되며, 특히 조절공(15)의 형상은 가능한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140)의 이동거리를 증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볼트(10)는,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공(15)에 맞대어짐과 동시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머리부(11)와, 상기 머리부(11)의 하면중심에 일체로 형성된 다리부(12) 및, 상기 다리부(12)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열(15-1)과 맞물리는 기어열(15-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공(15)의 기어열(15-1)과 상기 조절볼트(10)의 기어열(15-2)은 상기 고정판(140)의 이동수단으로 이용함은 당연하다.
또한, 조절볼트(10)는,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과 상기 고정판(140)의 회동공(30)을 경유한 상태에서 그 하단부에 탄성와셔를 끼우고 리벳팅하여 텐션부(1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텐션부(13)에 의해 상기 고정판(140)이 탄력적으로 밀착됨은 물론 리벳팅에 의해 이탈이 원천봉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텐션부(13)가 상기 조절볼트(10)의 하단부에 탄성와셔를 끼운 상태에서 리벳팅하여 고정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조절볼트(10)가 상기 조절공(15)과 상기 회동공(30)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판(130)에 탄력을 제공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장력볼트(20)는, 상기 몸체부(110)의 볼트공(25)에 체결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부에 이후에 설명하는 고정판(140)이 슬라이딩식으로 이동하는 결합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판(120)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힌지축을 따라 회동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가 상기 가구도어(D)에 결합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고정판(140)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져 상기 조절볼트(10)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정에서 전후진함은 물론 상기 장력볼트(2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으로서, 그 상면에 상기 조절볼트(10)가 끼워지는 회동공(30)과 상기 장력볼트(20)의 결합홈(21)을 따라 이동하는 절결홈(4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회동공(30)에 상기 몸체부(110)를 따라 밀착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절결부(37)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결부(37)의 상면에 상기 몸체부(110)의 천정면에 접촉하는 요철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판(130)은,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측에 걸림후크를 통해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 양측부에 상기 가구벽체(B)에 맞대어지는 날개부(135)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구힌지(1)를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몸체부(110)의 회전축에 회동판(1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하면에 고정판(140)을 맞대고 정위치에 세팅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과 볼트공(25)에 상기 조절볼트(10)와 장력볼트(20)를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력볼트(20)의 결합홈(21)에 상기 고정판(140)의 절결홈(40)에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조절볼트(10)의 하단부가 상기 회동공(30)을 통해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조절볼트(10)의 하단부에 텐션부(13)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몸체부(110)에 맞대어진 상기 고정판(140)이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이탈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장력볼트(20)의 결합홈(21)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110)의 기어열(15-1)과 상기 조절볼트(10)의 기어열(15-2)이 상호 기어맞물림식으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조절볼트(10)에 의해 고정판(140)이 이동가능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측에 이동판(130)을 맞대고 고정하면,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상기 이동판(130)이 왕복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가구힌지(1)의 구성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0)의 머리부(1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부(110)의 하면에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결합된 고정판(140)이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기어열(15-1)의 전체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고정판(140)이 이동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판(140)에 결합된 이동판(130)의 세팅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볼트(10)에 의해 고정판(140)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정판(140)의 기어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판(130)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5a는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가구힌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5c는 가구힌지의 거리조절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d는 가구힌지의 조절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기어열(15-1)을 갖는 조절공(15)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기어열(15-1)과 맞물리는 기어열(15-2)이 형성된 조절볼트(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져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됨은 물론 그 상면에 상기 조절볼트(10)가 끼워지는 회동공(30)이 형성된 이동판(13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상기 이동판(13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상기 기어열(15-1,15-2)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이동판(130)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힌지(1)는, 몸체부(110)의 일측부에 힌지축을 통해 상기 회동판(120)을 장착함은 물론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이동판(13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기어열(15-1,15-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판(130)의 위치를 세팅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는, 가구힌지(1)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구벽 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몸체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절공(15)과 볼트공(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15)에 조절볼트(10)가 체결되고 상기 볼트공(25)에 장력볼트(20)가 체결된다.
또한, 조절공(15)은, 그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기어열(15-1)이 형성되며, 특히 조절공(15)의 형상은 가능한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이동판(130)의 이동거리를 증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볼트(10)는,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공(15)에 맞대어져 드라이버가 삽입되는 머리부(11)와, 상기 머리부(11)의 하면중심에 일체로 형성된 다리부(12) 및, 상기 다리부(12)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열(15-1)과 맞물리는 기어열(15-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공(15)의 기어열(15-1)과 상기 조절볼트(10)의 기어열(15-2)은 상기 이동판(130)의 이동수단으로 이용함은 당연하다.
또한, 장력볼트(20)는, 상기 몸체부(110)의 볼트공(25)에 체결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높이조절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부에 이후에 설명하는 이동판(130)이 슬라이딩식으로 이동하는 결합홈(21)이 형성된다.
또한, 조절볼트(10)는,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과 상기 이동판(130)의 회동공(30)을 경유한 상태에서 그 하단부에 탄성와셔를 끼우고 리벳팅하여 텐션부(1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텐션부(13)에 의해 상기 이동판(130)이 탄력적으로 밀착됨은 물론 리벳팅에 의해 이탈이 원천봉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텐션부(13)가 상기 조절볼트(10)의 하단부에 탄 성와셔를 끼운 상태에서 리벳팅하여 고정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조절볼트(10)가 상기 조절공(15)과 상기 회동공(30)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판(130)에 탄력을 제공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회동판(120)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힌지축을 따라 회동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가 상기 가구도어(D)에 결합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이동판(130)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져 상기 조절볼트(10)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정에서 전후진함은 물론 상기 장력볼트(2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으로서, 그 상면에 상기 조절볼트(10)가 끼워지는 회동공(30)과 상기 장력볼트(20)의 결합홈(21)을 따라 이동하는 절결홈(40)이 각각 형성되며, 그 양측부에 상기 가구벽체(B)에 맞대어지는 날개부(135)가 형성된다.
또한, 회동공(30)에 상기 몸체부(110)를 따라 밀착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절결부(37)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결부(37)의 상면에 상기 몸체부(110)의 천정면에 밀착되는 요철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구힌지(1)를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몸체부(110)의 일측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동판(1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이동판(130)을 맞대고 정위치에 세팅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과 볼트공(25)에 상기 조절볼트(10) 와 장력볼트(20)를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력볼트(20)의 결합홈(21)에 상기 이동판(130)의 절결홈(40)에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조절볼트(10)의 하단부가 상기 회동공(3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조절볼트(10)의 하단부에 텐션부(13)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몸체부(110)에 맞대어진 상기 이동판(130)이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이탈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장력볼트(20)의 결합홈(21)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110)의 기어열(15-1)과 상기 조절볼트(10)의 기어열(15-2)이 상호 기어맞물림식으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조절볼트(10)에 의해 이동판(130)이 이동가능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
한편,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0)의 머리부(1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부(110)의 하면에 조절볼트(10)를 통해 결합된 상기 이동판(130)이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기어열(15-1)의 전체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이동판(130)이 이동하므로 세팅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볼트(10)에 의해 이동판(130)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어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판(130)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힌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일 예,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다른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일 예로서,
도 4a는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가구힌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4c는 가구힌지의 거리조절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d는 가구힌지의 조절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다른 예로서,
도 5a는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가구힌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5c는 가구힌지의 거리조절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d는 가구힌지의 조절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가구몸체 D : 가구도어
1 : 가구힌지 110 : 몸체부
120 : 회동판 130 : 이동판
140 : 고정판 10 : 조절볼트
15-1,15-2 : 기어열 20 : 장력볼트
30 : 회동공 40 : 절결홈

Claims (15)

  1. 삭제
  2.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기어열(15-1)을 갖는 조절공(15)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지면서 그 상부면에 회동공(30)이 형성된 고정판(140);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면에 걸림식으로 결합되면서 그 몸체가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이동판(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과 상기 고정판(140)의 회동공(30)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기어열(15-1)과 맞물리는 기어열(15-2)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고정판(140)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텐션부(13)가 형성된 조절볼트(1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상기 고정판(14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상기 기어열(15-1,15-2)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상기 고정판(140)을 통해 이동판(130)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13)는,
    상기 조절볼트(10)에 탄성와셔를 끼우고 리벳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기어열(15-1)을 갖는 조절공(15)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지면서 그 상부면에 회동공(30)이 형성된 고정판(140);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면에 볼트식으로 결합되면서 그 몸체가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이동판(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과 상기 고정판(140)의 회동공(30)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기어열(15-1)과 맞물리는 기어열(15-2)이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 상기 몸체부(110)와 고정판(140)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텐션부(13)가 형성된 조절볼트(1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상기 고정판(14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상기 기어열(15-1,15-2)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상기 고정판(140)을 통해 이동판(130)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13)는,
    상기 조절볼트(10)에 탄성와셔를 끼우고 리벳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기어열(15-1)을 갖는 조절공(15)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져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면서, 그 상부면에 회동공(30)이 형성된 이동판(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조절공(15)과 상기 이동판(130)의 회동공(30)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기어열(15-1)과 맞물리는 기어열(15-2)이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 상기 몸체부(110)와 이동판(130)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텐션부(13)가 형성된 조절볼트(1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조절볼트(10)를 통해 상기 이동판(13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작동하는 상기 기어열(15-1,15-2)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이동판(130)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13)는,
    상기 조절볼트(10)에 탄성와셔를 끼우고 리벳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69219A 2008-07-16 2008-07-16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KR100882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219A KR100882472B1 (ko) 2008-07-16 2008-07-16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219A KR100882472B1 (ko) 2008-07-16 2008-07-16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472B1 true KR100882472B1 (ko) 2009-02-06

Family

ID=4068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219A KR100882472B1 (ko) 2008-07-16 2008-07-16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4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905B1 (ko) 2013-09-02 2015-02-06 주식회사 우신씨앤티 경첩용 장착위치 조절장치
CN105604421A (zh) * 2016-03-03 2016-05-25 伍志勇 一种家具铰链的可拆装调节机构
KR20160120541A (ko) * 2015-04-08 2016-10-1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댐퍼어댑터의 고정장치
KR101845774B1 (ko) 2016-03-07 2018-04-05 임동호 방화문 힌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082A (ko) * 2003-03-10 2004-09-18 유피아이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조립체
JP2004324059A (ja) * 2003-04-21 2004-11-18 Tsuchikawa Zenji 蝶番
KR200394861Y1 (ko) * 2005-06-22 2005-09-0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082A (ko) * 2003-03-10 2004-09-18 유피아이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조립체
JP2004324059A (ja) * 2003-04-21 2004-11-18 Tsuchikawa Zenji 蝶番
KR200394861Y1 (ko) * 2005-06-22 2005-09-0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905B1 (ko) 2013-09-02 2015-02-06 주식회사 우신씨앤티 경첩용 장착위치 조절장치
KR20160120541A (ko) * 2015-04-08 2016-10-1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댐퍼어댑터의 고정장치
KR101702416B1 (ko) 2015-04-08 2017-02-0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댐퍼어댑터의 고정장치
CN105604421A (zh) * 2016-03-03 2016-05-25 伍志勇 一种家具铰链的可拆装调节机构
KR101845774B1 (ko) 2016-03-07 2018-04-05 임동호 방화문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472B1 (ko)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US8398126B2 (en) Multipoint lock mechanism
US20160369547A1 (en) Sliding-Door Closer Set
RU2418141C2 (ru) Замок для установки в отверстии тонкой стенки
KR101856862B1 (ko) 브레이슬릿 용의 조절가능한 링크
KR101047855B1 (ko)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US7971319B2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DE3016398A1 (de) Treibstangenbeschlag fuer fenster, tueren o.dgl.
DE102011075778B3 (de) Schiebetüranordnung
DE10300876A1 (de) Gleitstück für Türschliesser oder Drehflügelantriebe
US20080115321A1 (en) Adjustable window hinge
EP3172392B1 (de)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schliessnocken, der eine koppelnase mit einer mulde aufweist
EP2984264B1 (de)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einen anschlag aufweisenden türschliess-beschlagsteil
KR101155777B1 (ko) 유리문 개폐범위 단속가능한 경첩
KR100885529B1 (ko) 고정판을 이중 고정한 가구용힌지
CH712730A1 (de) Kopplungsmechanismus mit einem zwangsgeführten Kopplungselement für ein mechatronisches Schliesssystem.
DE102008006800B4 (de)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n Schiebeflügel
US2681245A (en) Frictional floating mechanism for door mounting and retaining and the like
KR101714196B1 (ko) 차량 도어용 공용 도어 힌지
US6722717B2 (en) Distance-variable closing stirrup for rotary-latch locks
KR101119018B1 (ko) 힌지장치
KR200254755Y1 (ko) 가구용 힌지
DE202006016738U1 (de) Bandanordnung für Türen, Fenster u.dgl.
KR101489905B1 (ko) 경첩용 장착위치 조절장치
ATE445755T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fenster oder tü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