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505Y1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505Y1
KR200391505Y1 KR20-2005-0013515U KR20050013515U KR200391505Y1 KR 200391505 Y1 KR200391505 Y1 KR 200391505Y1 KR 20050013515 U KR20050013515 U KR 20050013515U KR 200391505 Y1 KR200391505 Y1 KR 200391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onnection fixing
right connection
fix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환
Original Assignee
최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환 filed Critical 최철환
Priority to KR20-2005-0013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여 도어와 벽체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도어용 경첩은 도어(2)와 도어프레임(3)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연결고정판(10),(20)과, 상기 좌·우 연결고정판(10),(20)이 절첩 가능하도록 그 내측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원통형 힌지부(12),(22)로 구성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연결고정판(10),(20)의 힌지부(12),(22) 사이에 결합되어 도어(2)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링부재(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용 경첩{A HINGE}
본 고안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여 도어와 벽체간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과 도어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서 좌,우 두개의 연결고정판이 구비되어 있고, 이 연결고정판 사이를 힌지핀으로 결합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어와 도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는 경첩은 대부분이 360°에 가깝게 회전되기 때문에 도어가 최대로 개방될 경우 도어가 개방되는 측 벽면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특히 도어에 순간적인 외력이 작용하거나 여닫는 힘이 지나치게 강하게 작용하면서 도어가 순간적으로 개방될 경우에는 상기 도어가 벽체와 충돌하게 되면서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었으며, 도어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음으로 인해서 사용자들이 많은 불편함을 격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어가 개방되는 벽체 또는 바닥면에 별도의 충격방지용 스토퍼를 설치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일부 해소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충격방지용 스토퍼의 경우에는 시공 및 보수 작업시 마감재를 훼손시킬 우려가 있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서 욕실내의 거울과 맞닿는 부위 또는 도어측에 세탁기가 설치되어 있는 욕실내에는 상기 스토퍼의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설치되어진 충격방지용 스토퍼는 벽체와 바닥면의 미관을 저하시켜 전체적으로 외관미를 떨어뜨리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여 도어의 순간적인 열림 작동시에도 도어가 벽체와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토퍼 기능이 부가된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으로써,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시공에 따른 자재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연결고정판과, 상기 좌·우 연결고정판이 절첩 가능하도록 내측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원통형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결합되어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이 부착된 도어의 작동상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1)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와 도어프레임(3)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연결고정판(10),(20)과, 상기 좌·우 연결고정판(10),(20)이 절첩 가능하도록 내측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원통형 힌지부(12),(22)와, 상기 힌지부(12),(22)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스토퍼링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12),(22)는 좌·우 연결고정판(10),(20)의 내측 단부에서 교호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쪽 힌지부(12)에 힌지축(13)이 돌설되고 다른 한쪽 힌지부(22)에 힌지축공(23)이 형성되어 이들이 상호 절첩가능하게 끼워져 조립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12),(22) 사이에는 좌·우 연결고정판(10),(2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링부재(30)가 끼워져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진다.
상기 스토퍼링부재(30)는 중앙에 상기 힌지축(13)이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12),(22)와 동일 축선상에서 일측이 일정한 각도(θ) 만큼 절개되어 단차면(33)을 형성하고 상기 단차면(33)을 따라서 양측 끝단에 걸림턱(33a),(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33a),(33b)에는 좌·우 연결고정판(10),(20)의 내측단이 걸리게 되면서 그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차면(33)을 따라서 형성된 양측 걸림턱(33a),(33b)이 이루는 최대 각도(θ)는 9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0a)와 (20a)는 상기 경첩을 도어(2) 및 도어프레임(3)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설치공을 나타내는 것이고, (24)는 상기 설치공들을 통해 고정되는 나사못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 4a와 도4b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와 도어프레임(3) 사이에 본 고안의 도어용 경첩(1)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2)를 닫으면, 이 도어(2)측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고정판(20)이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상기 스토퍼링부재(30)의 단차면(33)을 따라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좌·우 연결고정판(10),(20)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절첩되어진다.
다음은, 도 4b에서와 같이 도어(2)를 개방하게 되면 도어(2)측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고정판(20)이 상기 스토퍼링부재(30)의 단차면(33)을 따라서 외측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단차면(33)을 따라서 회전되는 연결고정판(20)은 그 내측단이 상기 단차면(33)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3b)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서 도어(2)의 개방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도어(2)의 개방 각도는 상기 단차면(33)을 형성하는 절개부의 각도(θ)를 크게 할 경우 커지게 되며, 이와 반대로 절개부의 각도(θ)를 작게 할 경우에는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용 경첩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 각도를 효과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도어에 순간적인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도어가 벽체와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충돌에 의한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용 경첩에 의하면,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기능이 부가된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순간적인 열림 작동시에도 도어가 벽체와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충격방지용 스토퍼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실내의 미관이 향상되고 시공 따른 자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이 부착된 도어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용 경첩 2 : 도어
3 : 도어프레임 10,20 : 좌·우 연결고정판
12,22 : 힌지부 13 : 힌지축
23 : 힌지축공 30 : 스토퍼링부재
32 : 결합공 33 : 단차면
33a,33b : 걸림턱

Claims (2)

  1. 도어(2)와 도어프레임(3)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연결고정판(10),(20)과, 상기 좌·우 연결고정판(10),(20)이 절첩 가능하도록 내측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원통형 힌지부(12),(22)로 구성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연결고정판(10),(20)의 힌지부(12),(22) 사이에 결합되어 도어(2)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링부재(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링부재(30)는 중앙에 결합공(3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12),(22)와 동일 축선상에서 일측이 일정한 각도 만큼 절개되어 단차면(33)을 형성하고 상기 단차면(33)을 따라서 양측 끝단에 걸림턱(33a),(33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33)을 따라 형성된 양측 걸림턱(33a),(33b)이 이루는 최대 각도(θ)는 90˚이내로 제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KR20-2005-0013515U 2005-05-13 2005-05-13 도어용 경첩 KR200391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515U KR200391505Y1 (ko) 2005-05-13 2005-05-13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515U KR200391505Y1 (ko) 2005-05-13 2005-05-13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505Y1 true KR200391505Y1 (ko) 2005-08-03

Family

ID=4369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515U KR200391505Y1 (ko) 2005-05-13 2005-05-13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51B1 (ko) 2011-09-09 2013-09-04 안영준 도어 개방 제한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51B1 (ko) 2011-09-09 2013-09-04 안영준 도어 개방 제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64819A (ja) 窓障子用ステ−
KR101206621B1 (ko) 노출 차단형 경첩
KR200391505Y1 (ko) 도어용 경첩
US20100269302A1 (en) Door hinge stop mechanism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KR20070058064A (ko) 잠금기능을 갖는 비상문을 셔터의 내,외측에서 열 수있도록 한 방화셔터
JP5358042B2 (ja) 隠し丁番
KR200427866Y1 (ko) 사물함의 도어 고정장치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KR19990010016U (ko) 도어용 경첩의 개방각도 조절장치
KR200345030Y1 (ko) 안전도어 개폐장치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CN219197030U (zh) 一种铰链保护结构
KR100914953B1 (ko) 사물 보관함의 돌촉이 문짝 고정구조
KR20150071855A (ko) 방화문의 경첩장치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KR200376907Y1 (ko) 경첩
KR20190000169U (ko) 문용 경첩
KR200275860Y1 (ko) 가구용 경첩
KR200415837Y1 (ko) 창문용 크리센트
KR200357509Y1 (ko)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KR20190000574U (ko) 스윙 도어
KR200344365Y1 (ko) 무돌출 경첩에 의한 4방향 밀폐날개를 갖는 방화문
KR200187437Y1 (ko) 도어용 피봇 힌지
KR200339803Y1 (ko) 편심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무돌출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