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851B1 - 도어 개방 제한구 - Google Patents

도어 개방 제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851B1
KR101303851B1 KR1020110092062A KR20110092062A KR101303851B1 KR 101303851 B1 KR101303851 B1 KR 101303851B1 KR 1020110092062 A KR1020110092062 A KR 1020110092062A KR 20110092062 A KR20110092062 A KR 20110092062A KR 101303851 B1 KR101303851 B1 KR 101303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plate
door open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475A (ko
Inventor
안영준
Original Assignee
안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준 filed Critical 안영준
Priority to KR102011009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8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방시 도어와 벽이 부딪쳐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배제하면서 손가락이 끼어 손상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개방 제한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힌지의 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지관홈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제한구바디와, 상기 제한구바디에 고정판과 가동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판슬로트와, 상기 판슬로트에 가동판이 도어의 개방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고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 개방 방향으로 형성하는 개방공간과, 상기 개방공간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가동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제한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도어 개방 제한구{RESTRICTION DEVICE FOR DOOR OPENING}
본 발명은 도어 개방 제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힌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도어의 개방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도어 개방 제한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실내에 구획된 구획공간으로 출입하기 위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건축물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곳에 설치되며, 대표적으로 건축물의 출입을 위한 현관 도어와 실내에 구획되는 방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실내 도어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는 건축물의 벽면에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힌지로 연결되어 자유롭게 여닫이 형태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는 현관 도어와 실내 어로 구분되어 있으나 현관 도어 또는 실내 도어 모두가 개방범위가 80°∼ 120°정도에 지나지 않게 되는데 이는 방이나 거실, 화장실을 구획하거나 각각의 세대를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된 벽 때문이다.
현관 어의 경우에는 개방시 항상 닫혀 지도록 도어클로저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시 도어 또는 도어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도어록이 벽면과 부딪치게 되는 현상은 크게 없으나,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의 경우에는 부드럽게 개,페 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시 작음 힘을 가하여도 쉽게 최대 개방각도로 열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실내 도어를 개방시 도어에 가한 힘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면서 벽면과 부딪쳐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도어의 가장자리 또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 또는 도어록이 벽면과 부딪치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의 벽면에 사람이 서 있거나 신체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개방되는 도어와 벽면 사이에 신체 일부가 부딪치게 되므로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벽면과 도어 사이에 판단력이 거의 없는 영,유아 및 어린이가 위치하고 있거나,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하여 도어를 강하게 밀어서 개방시킬 경우에는 충격이 더욱 심하기 때문에 신체 손상을 야기하는 안전사고의 위험도가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위치의 벽면 또는 도어 가장자리나 손잡이 및 도어록에 완충패드를 부착하거나, 벽면에 완충패드를 가지는 스토퍼를 고정하는 등 다양한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스토퍼 또는 패드를 부착하여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얇은 패드에 의하여 충격과 소음을 완전하게 줄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역시 벽면과 도어가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충격과 소음발생 및 안전사고는 그대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벽면에서 도어 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하는 스토퍼의 경우에는 도어의 어느 한 곳과 집중적으로 부딪치게 되므로 이 부분의 도어에 구멍이 형성되는 손상을 유발하게 되는 등 충격과 소음방지 및 안전사고 방지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도어힌지의 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지관홈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제한구바디와, 상기 제한구바디에 고정판과 가동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판슬로트와, 상기 판슬로트에 가동판이 도어의 개방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고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 개방 방향으로 형성하는 개방공간과, 상기 개방공간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가동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제한판으로 구성되는 제한구를 제공하여,
도어 개방시 도어와 벽이 부딪쳐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배제하면서 손가락이 끼어 손상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결합하여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유지하는 도어힌지에 필요에 의하여 탈,부착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어와 벽면이 부딪쳐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어와 벽면사이에 신체가 끼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도어와 벽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도어 개방 제한구(100)는, 도어프레임(101)과 고정되는 고정판(102)과 상기 고정판(102)의 끝단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유지관(103)과 가동유지관(104)을 연접시켜 힌지핀(105)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106)와 고정되는 가동판(107)으로 구성되는 도어힌지(108)에 선택적으로 결합 시켜 도어(106)의 개방범위를 제한하여 도어(106)와 벽(109)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개방 제한구(100)는, 금속재질로 도어힌지(108)의 고정유지관(103)과 가동유지관(10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유지관홈(110)을 형성한 관체형상의 제한구바디(111)를 구비한다.
상기 제한구바디(111)의 길이는 가동유지관(104)의 상단부까지만 내려오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개방되는 도어(106)를 제한할 수 있도록 최소한 도어(106)와 고정되는 가동판(107)의 1/2까지 내려와 가동유지관(104)의 절반 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한구바디(111)의 상단면은 폐쇄시켜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하단면은 개방시켜 도어힌지(108)의 고정 및 가동유지관(103,104) 및 힌지핀(105)으로 구성되는 축부(112)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한구바디(111)에는 종 방향으로 고정판(102)과 가동판(107)이 끼워질 수 있도록 판슬로트(113)를 형성하고, 상기 판슬로트(113)의 폭(B)은 고정 및 가동판(102,107)의 두께(T)와 동일하거나 결합과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약간 크게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판슬로트(113)에는 도어(106)와 고정되는 가동판(107)이 도어(106)의 개방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도록 도어(106) 개방 방향으로 개방공간(115)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공간(115)의 끝단에는 가동판(107)의 회동(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106)의 개방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판(116)을 일체로 돌출시켜 구성한다.
상기 제한판(116)의 형성위치는 도어(106)를 개방하고자 하는 범위에 따라 가변할 수 있을 것이며, 최대 개방시에는 개방된 도어(106)의 끝단이 벽(109)과 연접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가동판(107)과 연접되는 제한판(116)의 내측면에는 완충패드(117)를 부착하여 가동판(107)과 연접시 충격을 흡수하면서 소음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도어 개방 제한구(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차후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수단으로 연결하여 항상 도어힌지(108)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구성으로는 도어힌지(108)와 제한구(100)를 와이어 등의 결속수단으로 연결하는 경우와, 도어힌지(108)와 제한구(100)에 통상적인 토글스위치로 결합시켜 제한구(100)를 한 번 누르면 결합 되고, 다시 한 번 누르면 제한구(100)가 상승하여 하단부가 가동판(107)이 회동하는 데 지장 없는 위치로 상승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 개방 제한구(100)를 이용하여 도어(106)를 개방할 때 도어(106)와 벽(109)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106)가 최대 개방위치까지 열려 벽(109)과 충돌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도어 개방 제한구(100)를 도어프레임(101)과 도어(106)에 설치되는 도어힌지(108)의 축부(112)에 결합시킴으로써 도어(106)를 개방하더라도 벽(109)과 부딪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한구(100)를 도어힌지(108)에 결합하면 제한구바디(111)에 형성되는 유지관홈(110)과 판슬로트(113)를 통하여 축부(112)와 고정 및 가동판(102,107)을 수용하면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한구(100)를 도어힌지(108)에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106)를 개방하게 되면, 도어(106)와 고정된 가동판(107)이 도어와 함께 회동하게 되며, 도어(106)의 개방 방향으로 제한구바디(111)에 형성하는 개방공간(115)에 의하여 가동판(107)이 움직이는 데 지장이 없게 되므로 일상적인 도어(106)의 개,폐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106)가 개방되면서 최대 개방위치에 이르기 전에 개방공간(115)의 끝단에 제한구바디(1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한판(116)에 가동판(107)이 연접하게 되므로 도어(106)의 개방이 제한되고, 도어(106)의 가장자리나 손잡이 또는 도어록이 벽(109)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한판(116)에는 완충패드(117)를 더 부착하고 있어 가동판(107)이 연접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면서 부딪치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게 하므로 소음유발을 배제할 수 있고 도어와 벽 사이에 손가락이 위치하고 있더라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도어 개방 제한구
103; 고정유지관
104; 가동유지관
107; 가동판
108; 도어힌지
110; 유지관홈
111; 제한구바디
113; 판슬로트
115; 개방공간
116; 제한판

Claims (3)

  1. 삭제
  2. 도어프레임과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끝단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유지관과 가동유지관을 연접시켜 힌지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와 고정되는 가동판으로 구성되는 도어힌지에 결합시켜 도어의 개방범위를 제한하여 도어와 벽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방 제한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제한구는, 도어힌지의 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지관홈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제한구바디와;
    상기 제한구바디에 고정판과 가동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판슬로트와;
    상기 판슬로트에 가동판이 도어의 개방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고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 개방 방향으로 형성하는 개방공간과;
    상기 개방공간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가동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제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제한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판에는 충격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패드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제한구.
KR1020110092062A 2011-09-09 2011-09-09 도어 개방 제한구 KR10130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062A KR101303851B1 (ko) 2011-09-09 2011-09-09 도어 개방 제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062A KR101303851B1 (ko) 2011-09-09 2011-09-09 도어 개방 제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475A KR20130028475A (ko) 2013-03-19
KR101303851B1 true KR101303851B1 (ko) 2013-09-04

Family

ID=4817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062A KR101303851B1 (ko) 2011-09-09 2011-09-09 도어 개방 제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8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2271U (ko) * 1985-06-06 1986-12-18
KR200391505Y1 (ko) 2005-05-13 2005-08-03 최철환 도어용 경첩
KR200423868Y1 (ko) * 2006-05-18 2006-08-11 임상훈 문짝용 경첩
KR20060116144A (ko) * 2006-02-07 2006-11-14 남중선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2271U (ko) * 1985-06-06 1986-12-18
KR200391505Y1 (ko) 2005-05-13 2005-08-03 최철환 도어용 경첩
KR20060116144A (ko) * 2006-02-07 2006-11-14 남중선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200423868Y1 (ko) * 2006-05-18 2006-08-11 임상훈 문짝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475A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86757A (en) Door hinge check
US10724286B2 (en) Structuring for cushioning deadbolt and/or latch at door frame
JP2007092425A (ja) ドア体における指挟み防止構造
KR101232283B1 (ko)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KR101303851B1 (ko) 도어 개방 제한구
CN108825016B (zh) 一种防火窗多角度限位机构
KR101262765B1 (ko)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1082375B1 (ko) 문닫힘 방지기구
KR102045798B1 (ko)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KR101146493B1 (ko) 안전 도어록
KR200448664Y1 (ko)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JP3770641B2 (ja) 指詰め防止装置付き扉
KR200426894Y1 (ko) 손가락 협착 사고 및 개폐 소음 방지용 여닫이문
EP3765691B1 (en) Cubicle comprising a door locking device providing emergency access
KR102040123B1 (ko) 도어 안전장치
KR20220132331A (ko) 끼임방지도어
KR200398852Y1 (ko) 방충망 이탈방지재
KR200390747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JP6350888B2 (ja) 衝撃吸収機構付きドアストッパー
KR100696202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0691388B1 (ko) 건축물에 설치되어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는 창문
KR102264558B1 (ko) 손끼임 방지용 쿠션패널이 구비된 안전출입문
CN219754399U (zh) 一种耐冲撞的钢质防盗门
JP6990632B2 (ja) 引き戸用引き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