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747Y1 -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747Y1
KR200390747Y1 KR20-2005-0012861U KR20050012861U KR200390747Y1 KR 200390747 Y1 KR200390747 Y1 KR 200390747Y1 KR 20050012861 U KR20050012861 U KR 20050012861U KR 200390747 Y1 KR200390747 Y1 KR 200390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oor
fixed
movable
movab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운식
Original Assignee
조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운식 filed Critical 조운식
Priority to KR20-2005-0012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어놓은 주택의 여닫이문이 바람에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용 금구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고층 아파트에 바람이 잘 통하도록 외부로 통하는 창문과, 방의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여닫이문을 열어놓았을 때 강한 바람이 불면 여닫이 출입문이 갑자기 닫히는 경우가 자주 있다.
출입문이 닫히면 다시 열어놓는 것이 성가시고, 큰 소리가 나서 집안 식구들이 놀라고, 아래 위의 층에 소음이 들려 이웃에 미안하고, 간난 아이를 키우는 세대에서는 문에 끼어 아이가 다칠 염려가 있다.
무거운 물체로 여닫이 문을 고여서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많지만 고이고 치우는 과정이 번거롭고 출입에 지장을 주고 미관상 좋지 못하다.
본 고안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여닫이문을 열어서 벽체에 닿을 때까지 밀면, 여닫이문에 부착된 고정편의 경사턱이 벽체에 부착된 가동편의 가동판을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전진하고, 경사턱이 가동판을 통과하여 고정편의 좌측이 완충재에 충돌하면 가동판이 제자리로 돌아와 고정편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경사턱을 압착하여 여닫이문은 벽체에 고정된다.
벽체에 고정된 여닫이문을 세게 당기면 경사턱이 가동판을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빠져나와 가동편과 고정편이 분리되어 여닫이문이 닫힌다.

Description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door-stop}
본 고안은 열어놓은 주택의 여닫이문이 바람에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용 금구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문을 열린 채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창호용 철물은 "도어스톱"이라고 불리는 말굽모양의 철물이 있다.
이것을 철제 여닫이 출입문의 하단에 부착하여 문을 원하는 각도로 열고 아래로 내리면 바닥에 닿아서 문이 열린 상태로 고정된다.
이것은 철제 출입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우저"라고 불리는 철물에 내장된 용수철의 힘이 작용하여 출입문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도어클로우저가 없으면 도어스톱은 작용을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어클로우저가 부착된 여닫이문은 열 때는 힘이 많이 들고 닫을 때는 저절로 닫히지만 닫히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가벼운 목제 출입문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도어스톱은 건물의 바닥에 접촉되어 마찰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장판지가 부착된 실내에 사용하면 장판지가 닳아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것은 도어클로우저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며,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지 않고 벽체에 고정되도록 만들어 장판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며, 고정하고 해지하는 별도의 동작 없이 열어서 벽체를 향하여 세게 밀기만 하면 여닫이문이 열린 채로 벽체에 고정되고, 여닫이문을 세게 당기기만 하면 고정이 해지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를 만드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10)는 도5에서부터 도20가지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편(20)과 고정편(30)으로 구성된다.
도1에서부터 도4까지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편(20)은 나사못(16)으로 벽체(14)에 부착되고, 고정편(30)은 나사못(16)으로 여닫이문(11)에 부착된다.
벽체에 부착된 가동편(20)과 여닫이문에 부착된 고정편(30)이 결합되는 과정은 도21에서부터 도24까지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25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10)의 가동편(20)과 고정편(30)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26은 가동편의 사시도이고, 도27은 고정편의 사시도이다.
가동편(2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관 형태의 외통(21)의 좌측 개구부를 나사홈(23)이 형성된 좌측판(22)으로 막은 내부에 완충재(25)가 내장되며, 외통(21)에는 다수의 가동판(24)이 형성되어있다.
완충재(25)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여닫이문(11)에 부착된 고정편(30)이 부딪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킨다.
외통(21)을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좌우로 경사지게 구부려서 외통의 내부로 돌출시킨 가동판(24)은 고정편(30)의 경사턱(34)이 들어오면 압착하여 이탈하지 못하도록 만들어 여닫이문(11)을 벽체(14)에 고정시킨다.
고정편(30)은 원형 관 형태의 내통(31)의 우측 개구부를 나사홈(33)이 형성된 우측판(32)으로 막고, 내통의 좌측에 좌우로 경사진 경사턱(34)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경사턱(34)은 좌우측 단부는 외경이 작고 중간 부분은 외경이 커서 좌우로 경사진 원형 관 형태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인 고정편(30)이 부착된 여닫이문(11)을 열어서 가동편(20)이 부착된 벽체(14)를 항하여 밀면,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30)이 가동편(20)에 접근하며, 더욱 접근시키면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턱(34)의 좌측과 가동판(24)이 접촉된다
상기 상태에서 여닫이문(11)에 힘을 가하여 벽체(14)를 향하여 밀면 고정편(30)의 경사턱(34)이 가동편(20)의 가동판(24)을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좌측으로 들어가며, 가동판(24)을 통과한 경사턱(34)은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재(25)에 충돌하면서 멈추고 가동판(24)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상기 상태에서 여닫이문(11)이 닫히는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도 경사턱(34)이 가동판(24)에 가로막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여닫이문(11)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4)에 고정된다.
도2에 도시된 여닫이문을 우측으로 세게 당기면 경사턱(34)이 가동판(24)을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우측으로 빠져나와 도3에 도시된 상태가 되고 여닫이문(11)은 벽체(14)와 분리되어 닫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는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여닫이문의 아래 부분에 설치되는 도어스톱과는 달리 도어클로우저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며, 건물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아 장판지가 손상되지 않으며,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며, 여닫이문을 벽체에 고정하고 분리하는데 별도의 동작 없이 열어서 벽체를 향해 세게 밀면 고정되고 반대로 세게 당기면 분리된다.
본 고안은 가동편과 고정편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와 전후의 구분이 없어서 벽체와 여닫이문에 부착할 때 각각을 단 한 개의 나사못으로 고정하여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하와 전후의 형상이 다르거나 원형 단면이 아닌 사각형 단면이라면, 벽체와 여닫이문에 부착할 때 가동편(20)과 고정편(30)의 각도를 서로 정확하게 맞추어 설치해야 하고, 사용 중에 나사못이 느슨하여지더라도 회전하여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동편과 고정편을 부착할 때 각각 두 개 이상의 나사못을 사용해야 한다.
목재로 된 여닫이문(11)에 고정편(30)을 부착하기 위해 나사못을 박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콘크리트 벽체(14)에 가동편(20)을 부착하려면 드릴로 콘크리트를 뚫고 플라스틱 앵커를 삽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나사못의 수효를 줄이는 것은 설치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벽체에 고정된 여닫이문과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사시도
도2는 벽체에 고정된 여닫이문과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a-a' 방향 단면도
도3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여닫이문과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a-a' 방향 단면도
도4는 벽체에 고정된 여닫이문과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b-b' 방향 단면도
도5는 가동편과 고정편이 결합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평면도
도6은 가동편과 고정편이 결합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정면도
도7은 가동편과 고정편이 결합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c-c' 방향 단면도
도8은 가동편과 고정편이 결합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d-d' 방향 단면도
도9은 가동편과 고정편이 분리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평면도
도10은 가동편과 고정편이 분리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정면도
도11은 가동편과 고정편이 분리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e-e' 방향의 단면도
도12는 가동편과 고정편이 분리된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의 n-n' 방향 단면도
도13은 f-f' 방향의 가동편 단면도
도14는 g-g' 방향의 가동편 단면도
도15는 h-h' 방향의 가동편 단면도
도16은 i-i' 방향의 가동편 단면도
도17은 j-j' 방향의 고정편 단면도
도18은 k-k' 방향의 고정편 단면도
도19는 l-l' 방향의 고정편 단면도
도20은 m-m' 방향의 고정편 단면도
도21은 고정편이 가동편에 접근하는 상태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단면도
도22는 고정편의 경사턱과 가동편의 가동판이 접촉된 상태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단면도
도23은 고정편의 경사턱이 가동편의 가동판을 바깥으로 밀어내고 통과하는 도중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단면도
도24는 고정편의 경사턱이 가동편의 가동판을 통과하여 고정편의 좌측 단부와 가동편의 완충재가 충돌하고 가동편과 고정편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단면도
도25는 고정편과 가동편이 결합된 상태의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사시도
도26은 가동편의 사시도
도27은 고정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11 : 여닫이문
12 : 손잡이 13 : 문틀
14 : 벽체 15 : 정첩
16 : 나사못 20 : 가동편
21 : 외통 22 : 좌측판
23 : 나사홈 24 : 가동판
25 : 완충재 30 : 고정편
31 : 내통 32 : 우측판
33 : 나사홈 34 : 경사턱

Claims (1)

  1. 원형의 관 형태를 이루는 외통(21)의 좌측 개구부를 나사홈(23)이 형성된 좌측판(22)으로 막은 내부에 완충재(25)를 넣고, 외통의 원주면 일부를 절개하여 좌우로 경사지게 만들어 내부로 돌출시킨 다수의 가동판(24)을 형성한 가동편(20)과,
    원형의 관 형태를 이루는 내통(31) 좌측에, 중간부의 외경은 크고 좌측과 우측의 단부 외경은 작아서 좌우로 경사진 원형 관 형태를 이루는 경사턱(34)을 형성하고, 내통의 우측 개구부는 나사홈(33)이 형성된 우측판(32)으로 막은 고정편(30)으로 이루어지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10)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10)의 가동편(20)과 고정편(30)을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가동편(20)의 외통(21)에 다수의 가동판(24)을 형성하고, 고정편(30)의 단부에 경사턱(34)을 형성하며.
    고정편(30)을 가동편(20) 방향으로 세게 밀어서 결합시킬 때 고정편과 가동편의 충돌로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경감시키는 수단으로서 가동편의 내부에 완충재(25)를 내장하며.
    가동편(20)과 고정편(30)의 부착에 사용된 나사못이 느슨하여져 가동편과 고정편이 회전하여 각도가 변하여도 눈에 띄지 않고 미관과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가동편(20)과 고정편(30)의 단면을 상하 전후의 구분이 없는 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20-2005-0012861U 2005-05-04 2005-05-04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200390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61U KR200390747Y1 (ko) 2005-05-04 2005-05-04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61U KR200390747Y1 (ko) 2005-05-04 2005-05-04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747Y1 true KR200390747Y1 (ko) 2005-07-25

Family

ID=4369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861U KR200390747Y1 (ko) 2005-05-04 2005-05-04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7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31B1 (ko) * 2016-03-25 2016-06-08 (주)케이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내부도어 열림고정장치
CN117627227A (zh) * 2024-01-26 2024-03-01 山西陆华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装配式隔断及其制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31B1 (ko) * 2016-03-25 2016-06-08 (주)케이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내부도어 열림고정장치
CN117627227A (zh) * 2024-01-26 2024-03-01 山西陆华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装配式隔断及其制作方法
CN117627227B (zh) * 2024-01-26 2024-04-23 山西陆华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装配式隔断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4584B2 (en) Structuring for cushioning deadbolt and/or latch at door frame
CA2978316C (en) Shower door
MXPA01006693A (es) Accionador para un cierre inclinado para ventana de guillotina.
KR200390747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20100006942U (ko) 밀폐 성능이 우수한 강화유리문
KR200388641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102248737B1 (ko)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AU2016392764B2 (en) Shower door
KR20100052719A (ko) 문의 측면 마감부재
KR200384211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KR1009863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로크 걸림편
KR100721329B1 (ko) 건축물 실내도어 충격흡수 구조체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KR200216308Y1 (ko) 여닫이문용 고정구
KR102264558B1 (ko) 손끼임 방지용 쿠션패널이 구비된 안전출입문
KR100532267B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0373197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JP4065930B2 (ja) 折戸装置
KR20120083191A (ko) 문잡이
DE50113525D1 (de) Vorsatztür mit Schliessmechanismus
KR200183477Y1 (ko) 방충망의 설치가 자유로운 세멘트재 창문틀
KR20040009320A (ko) 안전문
KR200272204Y1 (ko) 여닫이식 유리문용 보호구
KR101920053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