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398B1 -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398B1
KR101489398B1 KR20120048779A KR20120048779A KR101489398B1 KR 101489398 B1 KR101489398 B1 KR 101489398B1 KR 20120048779 A KR20120048779 A KR 20120048779A KR 20120048779 A KR20120048779 A KR 20120048779A KR 101489398 B1 KR101489398 B1 KR 10148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roove
engaging
door lock
engag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211A (ko
Inventor
남경훈
Original Assignee
남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훈 filed Critical 남경훈
Priority to KR2012004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3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켓에 대한 아웃바디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리문의 양면을 감싸며, 일측에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디지털 도어록의 인바디가 설치되는 브라켓;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대향된 아웃바디에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네크부와 이 네크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로 구성된 결합돌기;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출입홈과 이 출입홈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네크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걸림홈으로 구성된 결합홈부;상기 아웃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밀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부에는 걸림홈에 삽입된 결합돌기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속판에는 결합돌기의 헤드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헤드부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구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a bracket and outbody of digital door lock for a glass door}
본 발명은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에 대한 이웃바디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리문 타입에 따른 아웃바디의 변경 설치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문은 여닫이 방식에 의해 그 개폐관계가 단속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내부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 및 각 건물 내에 구획된 공간의 실내외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으로 사용된다.
유리문은 출입문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하는 미려한 특징과 더불어, 유리문 개폐시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리문 개폐시 상대방에 부딪히는 일 없이 원활한 개폐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유리문의 개폐작용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 즉, 잠금장치는 여러 종류가 제공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잠금장치로서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디지털 도어록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지문 등을 활용하는 첨단 잠금장치로서, 전자키, 비밀번호, 카드 혹은 지문인식을 통한 전자적인 반응에 의해 유리문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킨다.
상기 디지탈 도어록은 유리문의 내측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록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티스 록은 외부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와, 실내에 설치되는 인바디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어의 잠금기능과 해제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유리문(1)은 편의에 따라 좌수(左手)로 잡고 여는 좌수형과 우수(右手)로 잡고 여는 우수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바, 이러한 좌수형과 우수형 유리문(1)은 데드볼트(2)가 돌출되는 방향이 좌측과 우측으로 상이하므로 형태에 따라 도 1과 같이 우수형인 상태에서 도 2로 보인 바와 같이 뒤집어 좌수형으로 전환시키면 실내에 설치된 인바디에 대한 사용에는 아무 지장이 없으나, 실외에 설치된 아웃바디(3) 즉, 키입력부가 함께 뒤집히게 되므로 키입력부의 숫자 자리 위치 및 숫자 자체가 뒤집히게 되어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사실상, 디지털 도어록에 대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아웃바디(3)를 유리문(1)에 고정된 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하고 180도 뒤집은 후 플랫 케이블을 이에 맞춰 정돈한 다음 다시 아웃바디(3)를 브라켓에 조립하여야 하여 설치함으로써, 유리문(1)에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되는 방향에 무관하도록 대처하였다.
이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형태의 단면을 갖는 브라켓(10)은 상호 간에 폴딩이 용이하도록 경첩(11)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며, 아웃바디(3)는 브라켓(10)의 일측에 볼트로 결합된다.
이때, 브라켓(10)의 일측이라 함은 유리문(1)의 외측면 즉, 아웃바디(3)가 설치된 부위를 말한다.
브라켓(10)의 일측에는 아웃바디(3)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10)의 양면을 관통하는 체결공(12)이 형성되며, 아웃바디(3)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공(12)에 대응되는 나사공(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도어록은 우수형 유리문 또는 좌수형 유리문에 무관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유리문의 타입에 따라 디지탈 도어록을 바꿔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리문(1)으로부터 브라켓(10)을 분리시킨 후, 경첩(11)을 중심으로 브라켓(10)의 일측과 타측을 펼친다.
이때, 브라켓(10)의 일측에 노출된 체결볼트(B)를 풀어 아웃바디(3)를 분리시킨다.
이후, 아웃바디(3)를 180도 회전하여 브라켓(10)의 일측에 아웃바디(3)를 다시 밀착시킨 후, 체결볼트(B)를 이용하여 체결시킴으로써, 아웃바디(3)의 키입력부는 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바뀌어 결합된다.
이후, 펼쳐진 브라켓(10)을 접어 타입이 바뀐 유리문에 결합시킴으로써, 우수형 유리문, 좌수형 유리문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에 대한 변경 설치가 완료된다.
하지만, 키입력부의 180도 회전을 위해 아웃바디(3)를 브라켓(10)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볼트(B) 체결에 의한 결합 방식이기 때문에, 아웃바디(3)를 브라켓(1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일련의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체결볼트(B)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서는 반드시 체결볼트(B) 타입에 맞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수반되어야 함으로써 작업도구의 준비를 항상 신경 써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87699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문 타입의 유리문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를 180도 회전하여 변경 설치하는 과정에서 브라켓에 대한 아웃바디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문의 양면을 감싸며, 일측에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디지털 도어록의 인바디가 설치되는 브라켓;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대향된 아웃바디에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네크부와 이 네크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로 구성된 결합돌기;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출입홈과 이 출입홈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네크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걸림홈으로 구성된 결합홈부;상기 아웃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밀착부재:를 포함하되,상기 결합홈부에는 걸림홈에 삽입된 결합돌기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속판에는 결합돌기의 헤드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헤드부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구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밀착부재에는 결합홈부에 대응되는 대응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는 대응공을 통해 엠보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때, 상기 구속판은 걸림홈의 일측 결합홈부에 고정되어 출입홈의 위치까지 대응되며, 탄성력을 갖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속판 중, 출입홈에 대응된 부위는 외향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홈부는 출입홈으로부터 걸림홈으로 갈수록 점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는 출입홈과 걸림홈의 위치가 브라켓 또는 아웃바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브라켓 또는 아웃바디의 너비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서로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유리문의 두께에 대응되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중간부 두께는 연결부재의 나머지 두께에 비해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브라켓과 아웃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상호 간에 결합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문의 타입(좌수형,우수형)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를 180도 회전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일련의 작업과정이 편리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결합홈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출입홈과 걸림홈으로 구성되며, 결합돌기의 헤드부가 출입홈으로 삽입된 뒤 걸림홈으로 이동하여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호 간에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돌기가 결합홈부에 결합된 뒤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둘째, 결합홈부는 브라켓으로부터 엠보싱으로 돌출되고, 결합홈부의 반대면에는 헤드부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판이 설치되어 결합돌기의 결합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헤드부가 출입홈을 통해 걸림홈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홈에 대응된 위치의 구속판에 형성된 구속공에 상기 헤드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돌기의 유동을 구속하는 것이다.
이때, 구속판의 단부에 개방돌기가 더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속판의 구속공으로부터 결합돌기의 헤드부를 빼내기 위하여 상기 구속판을 젖히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결합홈부는 출입홈으로부터 걸림홈으로 갈수록 점점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결합홈부와 구속판 사이의 간격 역시 점점 더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의 헤드부가 걸림홈에 걸려 결합된 상태에서는 구속판이 상기 헤드부를 밀착시키게 되므로 결합돌기의 결합력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우수형 유리문에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좌수형 유리문에 우수형 유리문에 설치되어 있던 디지털 도어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에 아웃바디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탈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아웃바디가 하강하여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탈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에 따른 결합돌기가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탈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결합홈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탈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탈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이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는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아웃바디를 브라켓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아웃바디는 좌수형 유리문 또는 우수형 유리문에 따라, 180도 회전되어 브라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바, 상호 간에 결합을 위한 작업의 효율성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과, 밀착부재(200)와, 결합돌기(300)와, 결합홈부(400)와, 구속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100)은 디지탈 도어록을 유리문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결합 매개체로서, 유리문의 양면을 감싸도록 한 쌍으로 제공된다.
이때, 한 쌍의 브라켓(100)은 연결부재(11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브라켓(100)의 횡단면은 'ㄷ' 형태가 된다.
이때, 브라켓(100)의 일측에는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3)가 설치되고, 브라켓(100)의 타측에는 디지탈 도어록의 인바디(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00)의 내측면 즉, 유리문에 밀착되는 면은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리문(1) 단부에 손 끼임 방지부재(미도시)가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손 끼임 방지부재가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만약 유리문(1)에 손 끼임 방지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면 고무부재(120)가 단차진 부위에 부착된다.
이때, 고무부재(120)에는 후술하는 결합홈부가 노출되도록 노출공(12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밀착부재(200)는 브라켓(100)에 대한 아웃바디(3)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브라켓(100)의 일측과 아웃바디(3) 사이에 개재된다.
밀착부재(200)는 고무재질임이 바람직하며, 밀착부재(200)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대응공(210)이 형성된다.
대응공(210)은 밀착부재(200)의 양측을 관통하며, 후술하는 결합홈부가 배치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결합돌기(300)는 브라켓(100)에 걸려 아웃바디(3)를 브라켓(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아웃바디(3)에 설치된다.
결합돌기(300)는 브라켓(100)에 대향되는 아웃바디(3)의 일면에 설치되며, 복수로 설치된다.
이때, 결합돌기(300)는 아웃바디(3)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두 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결합돌기(30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돌기(300)는 네크부(310)와 헤드부(320)로 구성된다.
네크부(310)는 아웃바디(3)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헤드부(320)는 후술하는 결합홈부의 걸림홈에 결합되어 아웃바디(3)를 브라켓(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네크부(310)의 단부에 형성된다.
헤드부(32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네크부(31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결함홈부(400)는 아웃바디(3)의 결합돌기(310)가 결합되는 부위이며, 브라켓(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결합홈부(400)는 결합돌기(300)에 대응되며, 브라켓(100)의 일측으로부터 엠보싱(embossing)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홈부(400)가 형성된 브라켓(100)의 반대면에는 요홈(400a)이 형성된다.
한편, 결합홈부(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홈(410)과 걸림홈(420)으로 구성된다.
출입홈(410)은 결합돌기(300)의 헤드부(320)가 출입되는 부위이며, 출입홈(410)의 직경은 헤드부(320)가 출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출입홈(410)은 결합돌기(300)의 네크부(310) 보다 일측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된다.
그리고, 걸림홈(420)은 헤드부(320)가 걸려 결합홈부(4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출입홈(4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420)의 직경은 결합돌기(300)의 네크부(310) 직경에 대응되며, 걸림홈(420)의 위치는 상기 네크부(310)의 위치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구속판(500)은 결합홈부(400)에 결합된 결합돌기(300)의 유동을 구속하여 결합돌기(300)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하며, 결합홈부(400)가 돌출됨으로 인해 결합홈부(400)의 반대면에 형성된 요홈(400a)에 고정된다.
이때, 구속판(500)은 금속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구속판(500)의 일단부는 요홈(400a)에 리벳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구속판(500)의 리벳 고정 부위는 걸림홈(420)의 결합홈부(400)에 해당되며, 상기 구속판(500)은 고정된 부위를 기준으로 탄성력을 가지면서 젖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판(500)의 타단부는 결합홈부(400)의 출입홈(410)의 근처에 위치된다.
그리고, 구속판(500)의 중앙에는 구속공(510)이 형성된다.
구속공(510)은 결합홈부(400)의 걸림홈(420)에 위치된 헤드부(320)를 수용하여 헤드부(32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구속공(510)은 걸림홈(420)에 일직선 방향에 위치된다.
이때, 구속공(510)의 둘레에는 구속편(511)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속편(511)은 구속공(510)에 결합돌기(300)의 헤드부(320)가 삽입되었을 때, 구속공(510)의 둘레 방향으로 헤드부(32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그 구속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구속판(500)의 타단부는 외향 절곡되어 절곡부(520)를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520)는 작업자가 임으로 구속판(500)을 용이하게 젖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요홈(400a)을 벗어나게 형성되지는 않는다.
한편, 브라켓(100)에 대한 아웃바디(3)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결합돌기(300) 주변에 복수의 보조돌기(130)가 더 설치되고, 결합홈부(400)의 주변으로 복수의 보조 결합홈부(430)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조돌기(130)는 결합돌기(30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보조 결합홈부(430) 역시 결합홈부(40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호 간에 결합방식은 결합돌기(300)와 결합홈부(400)의 결합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보조 결합홈부(430)에는 굳이 구속판(500)이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브라켓에 아웃바디를 결합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브라켓(100)의 타측에는 디지털 도어락의 인바디(4)를 설치하고, 브라켓(100)의 일측에는 아웃바디(3)를 설치시킨다.
이때, 브라켓(1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부(400) 및 보조 결합홈부(430)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후, 브라켓(100)의 일측에 밀착부재(200)를 배치시킨다.
이때, 결합홈부(400) 및 보조 결합홈부(430)는 밀착부재(200)의 대응공(210)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아웃바디(3)에 설치된 결합돌기(300)의 헤드부(320)를 결합홈부(400)의 출입홈(410)에 삽입시킨다.
이때, 출입홈(410)의 위치가 도면상 브라켓(100)의 상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웃바디(3) 전체의 위치 역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상방으로 치우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320)는 출입홈(4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홈부(400)의 요홈(400a)에 설치된 구속판(500)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어낸다.
다음으로, 아웃바디(3)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시키면 결합돌기(300)의 네크부(310)는 걸림홈(420)으로 위치되며, 헤드부(320)의 직경은 걸림홈(420)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결합돌기(300)는 결합홈부(4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네크부(310)가 걸림홈(420)으로 이동되는 순간, 걸림홈(420)의 위치와 구속공(510)의 위치가 대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헤드부(32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판(500)의 구속공(510)으로 삽입되어 구속편(511)에 감싸지게 되며, 젖혀져 있던 구속판(500)은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된다.
이때, 헤드부(320)는 구속공(510)에 전체가 삽입되는 것은 아니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20)의 일부만 삽입된다.
이로써, 브라켓(100)에 대한 아웃바디(3)의 결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아웃바디(3) 및 인바디(4)가 결합된 브라켓(100)을 유리문(1)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된 디지털 도어록을 유리문(1)으로부터 분리하여 좌수형 유리문을 우수형 유리문으로, 또는 우수형 유리문을 좌수형 유리문으로 바꿔 설치할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유리문(1)에 고정된 브라켓(100)을 해제하여 유리문(1)으로부터 브라켓(100)을 분리시킨다.
이때, 브라켓(100)은 평면에서 봤을 때, 'ㄷ'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아웃바디(3)를 180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브라켓(100)으로부터 아웃바디(3)를 분리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결합홈부(400)로부터 결합돌기(300)를 이탈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결합홈부(400)의 요홈(400a)과 구속판(5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 구속판(500)의 절곡부(520)를 요홈(400a)으로부터 들어내어 구속판(500)을 임의로 젖힌다.
이에 따라, 구속판(500)의 구속공(510)은 헤드부(320)를 벗어나게 되며, 결합돌기(300)의 유동은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후, 아웃바디(3)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결합돌기(300)의 네크부(310)는 출입홈(410)으로 이동되며, 헤드부(320)는 출입홈(410)을 통해 외측으로 빠져나옴에 따라 브라켓(100)으로부터 아웃바디(3)가 분리된다.
이때, 보조 결합돌기(130) 역시 동일한 원리로 보조 결합홈부(430)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아웃바디(3)를 180도 회전하여 헤드부(320)를 출입홈(410)에 대응시킨다.
이후, 헤드부(320)를 출입홈(410)에 삽입한 후,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브라켓(100)에 아웃바디(3)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디지털 도어록을 180도 회전하여 유리문(1)의 반대방향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유리문 타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변경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홈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결합돌기(300)의 헤드부(320)가 출입홈(410)을 통해 걸림홈(420)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결합홈부(400)는 출입홈(410)으로부터 걸림홈(420)으로 갈수록 점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출입홈(410)과 구속판 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되며, 걸림홈(420) 측으로 갈수록 구속판(500)과 걸림홈(420) 사이의 간격은 점점 좁아지게 된다.
이때, 결합홈부(400)의 경사진 부위의 최고점은 아웃바디(3)에 간섭될 수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고점에 대응되는 아웃바디(3)에는 간섭홈(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결합돌기(300)의 헤드부(320)를 출입홈(410)에 삽입시, 구속판(500)과 출입홈(41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헤드부(320)는 걸림홈(420)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점점 타이트해지면서 걸림홈(420)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부(400)의 경사진 구성은 결합돌기의 결합 작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돌기(300)와 결합홈부(400) 간에 결합 방식은 브라켓(10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돌기(300)를 승강시키면서 결합돌기(300)를 결합홈부(400)에 결합하거나 결합홈부(400)로부터 결합돌기(300)를 분리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너비 방향으로 결합돌기(300)를 결합홈부(4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400)의 출입홈(410)과 걸림홈(420)은 브라켓(100)의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웃바디(3)의 결합돌기(300)를 브라켓(100)의 좌,우 방향으로 밀면서 결합홈부(400)에 결합시키거나 결합홈부(4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는 브라켓에 대한 아웃바디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유리문 타입에 따라 아웃바디를 180도 회전하여 브라켓에 결합시키는 결합 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100 : 브라켓 110 : 연결부재
120 : 고무부재 121 : 노출공
200 : 밀착부재 210 : 대응공
300 : 결합돌기 310 : 네크부
320 : 헤드부 330 : 보조 결합돌기
400 : 결합홈부 400a : 요홈
410 : 출입홈 420 : 걸림홈
430 : 보조 결합홈부 500 : 구속판
510 : 구속공 511 : 구속편
520 : 절곡부

Claims (8)

  1. 유리문의 양면을 감싸며, 일측에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디지털 도어록의 인바디가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대향된 아웃바디에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네크부와 이 네크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로 구성된 결합돌기;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출입홈과 이 출입홈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네크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걸림홈으로 구성된 결합홈부;
    상기 아웃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밀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부에는 걸림홈에 삽입된 결합돌기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속판에는 결합돌기의 헤드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헤드부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구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에는 결합홈부에 대응되는 대응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는 대응공을 통해 엠보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판은 걸림홈의 일측 결합홈부에 고정되어 출입홈의 위치까지 대응되며, 탄성력을 갖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판 중, 출입홈에 대응된 부위는 외향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는 출입홈으로부터 걸림홈으로 갈수록 점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는 출입홈과 걸림홈의 위치가 브라켓 또는 아웃바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브라켓 또는 아웃바디의 너비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KR20120048779A 2012-05-08 2012-05-08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KR10148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8779A KR101489398B1 (ko) 2012-05-08 2012-05-08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8779A KR101489398B1 (ko) 2012-05-08 2012-05-08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11A KR20130125211A (ko) 2013-11-18
KR101489398B1 true KR101489398B1 (ko) 2015-02-04

Family

ID=4985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8779A KR101489398B1 (ko) 2012-05-08 2012-05-08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51Y1 (ko) 2016-04-14 2016-06-21 정영화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58B1 (ko) * 2016-01-26 2017-01-05 설상범 농산물 포장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205A (ko) * 1999-06-12 2001-01-05 김대영 도어록 장착용 부착판
KR200339973Y1 (ko) * 2003-08-30 2004-01-31 주식회사 엔젤금속 디지털 도어록의 고무패드 결합구조
KR20090010354U (ko) * 2008-04-07 2009-10-12 (주)에버넷 회전부재가 구비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20110001471A (ko) * 2009-06-30 2011-01-06 남경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고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205A (ko) * 1999-06-12 2001-01-05 김대영 도어록 장착용 부착판
KR200339973Y1 (ko) * 2003-08-30 2004-01-31 주식회사 엔젤금속 디지털 도어록의 고무패드 결합구조
KR20090010354U (ko) * 2008-04-07 2009-10-12 (주)에버넷 회전부재가 구비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20110001471A (ko) * 2009-06-30 2011-01-06 남경훈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고정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51Y1 (ko) 2016-04-14 2016-06-21 정영화 강화유리용 도어락 브라켓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11A (ko) 201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6585C (zh) 压紧闩锁机构
CA2604354A1 (en) Protective cover for a lock
US8434335B2 (en) Combination door latch and deadbolt assembly
KR101489398B1 (ko)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KR100770277B1 (ko) 도어유닛
KR200434093Y1 (ko) 도어용 손잡이의 록킹레버 결합구조
EP2873790B1 (en) Lock with hook-bolt
KR102376294B1 (ko) 모티스 장치
KR200397197Y1 (ko) 강화문용 안전브라켓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JP2007285088A (ja) 電気錠用取り付け座
KR101742220B1 (ko) 데드래치 기능을 가진 도어락 모티스
KR102239610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KR200428171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JP5307167B2 (ja) 電線共同溝の蓋板旋錠装置
KR101512240B1 (ko) 도어의 잠금편 걸림홈장치
JP6980340B2 (ja) 鎖錠構造
US20060232079A1 (en) Door lock having simple installation process and suitable for passage and bathroom doors
KR101218740B1 (ko) 방범용 방화문
KR200444970Y1 (ko) 도어 잠금장치
KR100656274B1 (ko) 모티스록 고정장치
KR102135747B1 (ko) 가설도어록용 래치어셈블리
CN211115572U (zh) 超防撬防盗安全门
KR200262091Y1 (ko) 강화 유리도어 보조잠금장치
KR200431564Y1 (ko) 맨홀 커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