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58B1 - 농산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농산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58B1
KR101693458B1 KR1020160009650A KR20160009650A KR101693458B1 KR 101693458 B1 KR101693458 B1 KR 101693458B1 KR 1020160009650 A KR1020160009650 A KR 1020160009650A KR 20160009650 A KR20160009650 A KR 20160009650A KR 101693458 B1 KR101693458 B1 KR 10169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container
binding
rim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상범
Original Assignee
설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상범 filed Critical 설상범
Priority to KR102016000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을 담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테두리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용기의 테두리와 바닥면 외측 둘레에 암결속체와 수결속체가 복수 개 형성되어 동일구조의 용기 한 쌍이 상부 및 하부로 안정되게 결착되어 일체의 용기세트를 가지면서 적층구조로 다수 개의 용기가 일체로 결착되는 구조로서, 상기 테두리의 좌측과 상기 좌측에 대면하는 우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와 상기 제1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가 형성되는 제1암결속체와, 상기 테두리의 상측과 상기 상측에 대면하는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이 형성되는 제1수결속체와, 상기 원형본체 하부의 저면 좌측 및 우측 일면에 각각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와 상기 제2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가 형성되는 제2암결속체 및, 상기 원형본체 하부의 저면 상측 및 하측 일면에 각각 부착 고정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과 상기 제2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이 형성되는 제2수결속체로 구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산물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for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주로 딸기 등의 농산물을 산지에서 단위 중량별로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산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농산물을 담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테두리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용기의 테두리와 바닥면 외측 둘레에 암결속체와 수결속체가 복수 개 형성되어 동일구조의 용기 한 쌍이 상부 및 하부로 안정되게 결착되어 일체의 용기세트를 가지면서 적층구조로 다수 개의 용기가 일체로 결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농산물 포장용기에 관한 분야이다.
농산물 포장, 운반 또는 보관(이하, '포장'이라 칭함)하기 위한 종래의 용기(이하, '용기'라 칭함)는 단순히 열린 입구의 외주에 테두리를 구비하는 몸체상단 및 닫힌 입구의 저면판을 구비하는 몸체하단이 일정의 높이를 갖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에 각각 연장 구성되고, 내부공간에 농산물이 담긴 용기(하부 용기)는 몸체상단의 개구 측에 위치하는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하부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하는 다른 용기(상부 용기)를 뒤집어 하부 용기의 테두리와 상부 용기의 테두리를 결착시켜 용기세트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농산물을 포장, 운반 또는 보관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는 종래의 용기는 단순히 내부공간에 농산물을 담아 포장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것을 용기의 본연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하부 용기와 상부 용기의 안정된 결착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서, 하부 용기의 뚜껑 기능을 하며 하부 용기의 테두리에 결착되는 상부 용기의 테두리가 하부 용기의 테두리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용기 사용자가 하부 용기의 테두리에 상부 용기의 테두리를 안정되게 결착시켰을 경우에도, 하부와 상부 용기의 테두리 상부면이 일반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테두리 상부면 간의 결착시에 테두리 간의 긴밀한 밀폐성이 생성되어 하부 용기와 상부 용기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통기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써 하부 용기에 담겨져 있는 농산물이 급격하게 부패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용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상부 용기가 하부 용기의 뚜껑의 기능을 하며 뒤집혀 포개짐으로써 형성되는 용기세트를 다수 개 적층하여 보관하기 위하여 하부 용기세트를 구성하는 상부 용기의 몸체하단에 구비되는 저면판에 상부 용기세트(하부 용기세트와 동일한 구성을 함)를 구성하는 하부 용기의 몸체하단에 구비되는 저면판을 결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각각의 용기세트를 구성하는 용기들의 몸체하단에 구비되는 저면판에 용기세트 간의 안정된 적층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기 때문에 다수 개의 용기세트 적층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단순한 구성의 용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또 다른 종래기술은 용기 테두리에 다수 개의 결착구를 구성하여 하부 용기에 상부 용기를 뒤집어 하부 용기의 테두리와 상부 용기의 테두리가 결착될 때, 하부 용기의 테두리와 상부 용기의 테두리가 일정의 결착력을 갖으며 결착될 수 있도록 하고, 다수 개 결착구의 높이로서 용기세트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통기공을 확보하려 하였으나, 하부 용기에 구성되는 결착구가 상부 용기의 테두리를 내입하는 방식으로 결착가능하기 때문에 결착구의 크기가 테두리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어 생산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00857호(발명의 명칭 : 과일용기) 2.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3692호(고안의 명칭 : 농산물 포장용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테두리와 저면부 외측에 암결속체와 수결속체가 형성되어 한 쌍의 용기를 포개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면서 다단으로 적층하여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용물의 포장 및 밀봉은 물론 개방 또한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밀봉시 임의로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용기를 떨어뜨리더라도 내용물을 쏟지 않을 수 있으며, 용기 자체는 작은 부피가 되도록 포개어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류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도 있는 농산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한 쌍의 용기를 상호 포개어 견고히 결속하여 테두리에 형성된 끈결합체를 통해 끈 등과 같은 이동결속수단을 견고히 결속하여 쉽게 들고 이동이 간편한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농산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밀폐되면서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형본체와 상기 원형본체의 상부 개방된 외주에 원형의 테두리로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좌측과 상기 좌측에 대면하는 우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와 상기 제1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가 형성되는 제1암결속체와,
상기 테두리의 상측과 상기 상측에 대면하는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이 형성되는 제1수결속체와,
상기 원형본체 하부의 저면 좌측 및 우측 일면에 각각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와 상기 제2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가 형성되는 제2암결속체 및,
상기 원형본체 하부의 저면 상측 및 하측 일면에 각각 부착 고정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과 상기 제2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이 형성되는 제2수결속체로 구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암결속체와 제1수결속체 사이의 테두리에 복수 개로 형성되어 테두리 외측 일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안내홀과 상기 안내홀과 연계되면서 안내홀 내경에 비해 더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끈결합체가 더 포함되는 농산물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밀폐되면서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본체와 상기 사각본체의 상부 개방된 외주에 사각형의 테두리로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와 상기 제1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가 형성되는 제1암결속체와,
상기 테두리의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이 형성되는 제1수결속체와,
상기 사각본체 하부의 저면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에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와 상기 제2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가 형성되는 제2암결속체 및,
상기 사각본체 하부의 저면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형성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과 상기 제2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이 형성되는 제2수결속체로 구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의 사변(四邊)에 각각 형성되도록 테두리의 변(邊) 중앙에 소정의 폭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측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그립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그립부 중앙에 외측 일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안내홀과 상기 안내홀과 연계되면서 안내홀 내경에 비해 더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끈결합체가 더 포함되는 농산물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한 쌍의 용기를 포개어 밀봉시 복수의 걸속홈과 결속돌기가 견고히 끼움결합되므로 별도의 테이핑 작업을 하지 않고도 자체로서 매우 견고한 밀봉상태를 이루어 설사 용기를 떨어뜨리더라도 용기가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저면판 외측에 테두리와 동일형상의 암결속체와 수결속체가 형성되어 포개어진 용기세트를 상향으로 견고히 적층되어 정상적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산지에서 과일을 담은 후 용기의 밀봉을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견고히 결속된 일체의 용기세트가 상호 다단으로 견고히 결속된 일체의 적층용기세트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최소의 부피가 되도록 다단으로 포개어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므로 물류비 및 보관비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제1암결속체, 제1수결속체 및 끈결합체를 나타낸 도면(a)(b)(c).
도 4는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제2암결속체 및 제2수결속체를 설명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2개의 용기를 서로 포개지는 용기세트 분리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2개의 용기가 서로 포개진 용기세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2개의 용기가 포개진 용기세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2개의 용기세트가 적층된 적층용기세트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사각형태를 가진 용기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사각형태를 가진 용기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사각형태를 가진 용기의 테두리에 그립부 및 끈결합체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사각형태를 가진 2개의 용기를 서로 포개진 용기세트를 설명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용기에서 사각형태를 가진 2개의 용기가 서로 포개진 용기세트를 적층한 적층용기세트를 설명한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밀폐되면서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형본체(101)와 상기 원형본체(101)의 상부 개방된 외주에 원형의 테두리(102)로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02)의 좌측과 상기 좌측에 대면하는 우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111)와 상기 제1안내구(111)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111)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112)가 형성되는 제1암결속체(110)와,
상기 테두리(102)의 상측과 상기 상측에 대면하는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121)과 상기 제1기둥(12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122)이 형성되는 제1수결속체(120)와,
상기 원형본체(101) 하부의 저면 좌측 및 우측 일면에 각각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131)와 상기 제2안내구(131)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131)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132)가 형성되는 제2암결속체(130) 및,
상기 원형본체(101) 하부의 저면 상측 및 하측 일면에 각각 부착 고정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141)과 상기 제2기둥(14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142)이 형성되는 제2수결속체(140)로 구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100)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기(이하, ‘용기’라 칭함. 1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밀폐되면서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형본체(101)와 상기 원형본체(101)의 상부 개방된 외주에 원형의 테두리(102)를 형성한다.
즉, 상기 밀폐된 내부의 바닥면이 원형으로 상기 원형의 외주에서 확개되면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을 형성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형본체(101)를 형성하면서 상기 벽면의 상단 외주에 외측의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테두리(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102)에 형성되는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가 각각 한 쌍씩 형성되되, 각각의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즉 용기(100)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의 테두리(102)를 좌측 그리고 상기 좌측에 대면하는 테두리(102)의 우측 및 테두리(102)의 상측 그리고 상기 상측에 대면하는 테두리(102)의 하측에 각각 제1암결속체(110) 및 제1수결속체(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암결속체(110)는 상기 테두리(102)의 좌측과 상기 좌측에 대면하는 우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102)의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111)와 상기 제1안내구(111)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111)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112)가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1수결속체(120)는 상기 테두리(102)의 상측과 상기 상측에 대면하는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121)과 상기 제1기둥(12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결속체(120)의 제1결속편(122) 외경은 제1암결속체(110)의 제1안내구(111)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1결속편(122)의 외경은 제1결속구(112)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102)에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가 형성된 하부 용기(100)와 상기 하부 용기(100)의 테두리(102)에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가 동일구조로 형성된 상부 용기(100)를 가지고,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100)를 일체의 용기세트(100a)로 조립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2개의 용기(100)가 상하로 서로 포개져 조립되는 상기 하부 용기(100)와 상부 용기(100)는 동일 구조와 동일 형태를 가지고 있다.
먼저, 상기 하부 용기(100)의 테두리(102)가 상부로 향하도록 한 후, 상기 상부 용기(100)를 뒤집어 즉, 상부 용기(100)의 테두리(102)가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하부 용기(100)의 테두리(102)와 상부 용기(100)의 테두리(102)가 서로 마주하도록 면접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용기(100)의 제1암결속체(110)에 상부 용기(100)의 제1수결속체(120)가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제1수결속체(120)의 제1결속편(122)을 제1암결속체(110)의 제1안내구(111)로 통과시켜 제1결속편(122)에 연결된 제1기둥(121)이 제1안내구(111)로 내속시킨 후 상부 용기(100)를 하부 용기(100)의 제1암결속체(110)의 제1결속구(112)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수결속체(120)의 제1기둥(121)이 제1결속구(112)로 이동하여 상부 용기(100)의 제1수결속체(120)가 하부 용기(100)의 제1암결속체(110)에 조립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하부 용기(100)의 제1수결속체(120)와 상부 용기(100)의 제1암결속체(110)가 상술한 동일 방법으로 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용기(100)가 각각 테두리(102)를 면접하면서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가 상호 결속 조립되어 일체의 용기세트(100a)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둥(121)의 높이는 테두리(102)의 두께에 비례하여 제1기둥(121)이 상기 제1결속구(112)로 이동되면서 제1결속편(122)이 제1결속구(112)의 외측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100)가 견고히 조립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4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2개의 용기(100)가 서로 포개어 조립된 용기세트(100a) 다수 개를 상부로 적층시킬 때 용기의 원형본체(101) 하부 바닥면 즉, 외측 저면에 제2암결속체(130)와 제2수결속체(140)가 형성되어 용기세트(100a)가 적층되는 일체의 적층용기세트(100b)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원형 바닥면의 원주방향으로 제2암결속체(130)와 제2수결속체(14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암결속체(130)는 상기 원형본체(101) 하부의 저면 좌측 및 우측 일면에 각각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131)와 상기 제2안내구(131)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131)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132)가 형성된다.
제2수결속체(140)는 상기 원형본체(101) 하부의 저면 상측 및 하측 일면에 각각 부착 고정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141)과 상기 제2기둥(14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14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층 용기세트(100a)의 상부 용기(100)의 상면과 상기 하층 용기세트(100a)의 상부에 적층되는 또다른 상층 용기세트(100a)의 하부 용기(100)가 서로 면접될 때 하층 상부 용기(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2암결속체(130) 및 제2수결속체(140)가 각각 또다른 상층 용기세트(100a)의 하부 용기(100)의 하면에 형성된 제2수결속체(140) 및 제2암결속체(130)가 대응되어 서로 결합되어 조립하게 된다.
상기 하층 용기세트(100a)의 상부 용기(100)에 형성된 제2암결속체(130)의 제2안내구(131)로 상층 용기세트(100a)의 하부 용기(100)에 형성된 제2수결속체(140)의 제2결속편(142)이 통과되어 제2기둥(141)이 제2안내구(131)로 내속되며, 이때 상기 상층 용기세트(100a)의 하부 용기(100)를 하층 용기세트(100a)의 상부 용기에 형성된 제2결속구(132)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기둥(141)이 제2결속구(132)로 이동되어 하층 용기세트(100a)와 상층 용기세트(100a)가 조립되어 일체의 적층용기세트(100b)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용기세트(100a) 상부로 다수 개의 용기세트(100a)를 조립하여 다단으로 적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둥(141)의 높이는 제2암결속체(130)의 상면 즉, 제2안내구(131) 및 제2결속구(132)의 외측면의 두께에 비례하여 제2기둥(141)이 상기 제2결속구(132)로 이동되면서 제2결속편(141)이 제2결속구(132)의 외측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상층 용기세트(100a)와 하층 용기세트(100a)를 서로 적층하여 적층용기세트(100b) 조립시 견고히 조립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용기(100)의 저면에 형성된 제2암결속체(130)와 제2수결속체(140)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를 가져 지면 또는 바닥에 용기를 놓을 시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도 3의 (b)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 사이의 테두리(102)에 복수 개로 형성되어 테두리(102) 외측 일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안내홀(151)과 상기 안내홀(151)과 연계되면서 안내홀(151) 내경에 비해 더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홀(152)이 형성되는 끈결합체(150)가 더 포함되는 농산물 포장용기(100)를 제공한다.
상술한 용기세트(100a)를 조립 하거나 다단으로 적층용기세트(100b)를 조립한 후 용기세트(100a)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끈 등을 이용하여 용기세트(100a)를 결속할 수 있도록 용기(100)의 테두리(102)에 끈결합체(15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용기세트(100a)를 조립 후 상/하부의 용기(100)가 서로 테두리(102)를 면접하면서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가 상호 대응 결합되어 일체의 용기세트(100a)를 조립하게 되며, 이때 상기 테두리(102)에 형성된 끈결합체(150)가 서로 마주하여 동일선상에 형성되게 된다.
이에, 테두리(102)의 원주 사방(四方)으로 끈결합체(150)가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는 한 쌍의 끈결합체(150)에 끈의 양단을 끈결합체(150)의 안내홀(151)을 통과하여 결합홀(152)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끈(미도시)의 양단은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매듭이 결합홀(152)에 단속되어 끈의 단부가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용기세트(100a)에 결속된 2개의 끈(미도시)이 용기세트(100a) 상부로 서로 교차 연결되며, 상기 용기세트(100a) 상부에 위치한 교차되는 2개의 끈을 사용자가 잡아 안전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 용기의 형태와는 달리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외주에 상향으로 확개되면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을 형성하는 사각본체(101)를 형성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벽면의 상단 외주에 외측의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테두리(102)가 형성되는 용기(100)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의 용기(100)에 형성되는 테두리(102)의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 및 사각 용기(100)의 저면에 형성된 제2암결속체(130)와 제2수결속체(140)의 구조는 상술한 원형 용기(100)에 형성되는 테두리(102)의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 및 원형 용기(100)의 저면에 형성된 제2암결속체(130)와 제2수결속체(14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설명되며, 이에 도면은 도 3의 (a), 도 3의 (b) 및 도 4에 나타낸 제1암결속체, 제1수결속체, 제2암결속 및 제2수결속체의 도면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밀폐되면서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본체(101)와 상기 사각본체(101)의 상부 개방된 외주에 사각형의 테두리(102)로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02)의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111)와 상기 제1안내구(111)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111)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112)가 형성되는 제1암결속체(110)와,
상기 테두리(102)의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121)과 상기 제1기둥(12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122)이 형성되는 제1수결속체(120)와,
상기 사각본체(101) 하부의 저면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에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131)와 상기 제2안내구(131)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131)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132)가 형성되는 제2암결속체(130) 및,
상기 사각본체(101) 하부의 저면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형성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141)과 상기 제2기둥(14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142)이 형성되는 제2수결속체(140)로 구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제1암결속체(110)는 상기 사각 테두리(102)의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111)와 상기 제1안내구(111)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111)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112)가 형성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일 구조로 형성된 2개의 용기(100)를 조립시 하부에 위치한 하부 용기(100)와 상기 하부 용기(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용기(100)를 가지되, 상기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100)가 서로 대칭구조인 서로 포개져 조립되는 것으로 즉, 상부 용기(100)는 하부 용기(100)를 뒤집은 형태를 가진 것으로 상호 조립시 하부 용기(100)의 테두리(102)에 상부 용기(100)의 테두리(102)가 사로 면접하여 서로 대조되는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가 마주하여 결속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수결속체(120)의 제1결속편(122)이 제1암결속체(110)의 제1안내구(111)를 통과하여 제1수결속체(120)의 제1기둥(121)이 제1안내구(111)로 내속되면서 상부 용기(100)를 회전시켜 제1기둥(121)이 제1결속구(112)로 이동되면서 제1수결속체(120)의 제1결속편(122)이 제1결속구(112)로부터 단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둥(121)의 높이는 테두리(102)의 두께에 비례하여 제1기둥(121)이 상기 제1결속구(112)로 이동되면서 제1결속편(122)이 제1결속구(112)의 외측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100)가 견고히 조립된 용기세트(100a)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수결속체(120)는 상기 사각 테두리의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121)과 상기 제1기둥(12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122)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102)의 사각면 중 서로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에 제1암결속체(110)가 형성되면, 사각면 중 다른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제1수결속체(12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테두리(102)에 제1암결속체(110) 및 제1수결속체(120)가 형성됨으로서 동일구조의 용기 2개가 상하로 서로 포개어져 용기세트(100a)가 일체로 조립되게 되며, 이때 상하의 각각 용기(100)의 테두리(102)에 형성된 제1암결속체(110) 및 제1수결속체(120)가 상호 결속 결합되어 일체의 용기세트(100a)를 조립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각본체(101)의 하부 저면에 제2암결속체(130)와 제2수결속체(140)가 형성됨으로서 용기세트(100a)를 다단으로 적층시 용기세트(100a) 상호간에 결합되어 일체의 적층용기세트(100b)를 조립하게 된다.
상기 제2암결속체(130)는 상기 사각본체(101) 하부의 저면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에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131)와 상기 제2안내구(131)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131)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13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수결속체(140)는 상기 사각본체(101) 하부의 저면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형성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141)과 상기 제2기둥(14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1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용기(100) 사각본체(101) 하부의 저면이 사각형태를 가지면서 사각면 중 서로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에 제2암결속체(130)가 형성되면, 저면 사각면 중 다른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제2수결속체(140)가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용기(100)가 서로 포개져 조립된 용기세트(100a) 2개를 상하층으로 적층시 상층 용기세트(100a)의 하부 용기(100) 하부 저면에 형성된 제2암결속체(130)가 하층 용기세트(100a)의 상부 용기(100) 상부 상면에 형성된 제2수결속체(140)에 결속 결합되어 상하층의 용기세트(100a)가 적층 조립되게 된다.
즉, 제2암결속체(130)의 제2안내구(131)로 제2수결속체(140)의 제2결속편(142)이 통과되어 제2수결속체(140)의 제2기둥(141)이 제2안내구(131)로 내속되며, 상층 용기세트(100a) 또는 하층 용기세트(100a)를 회전시켜 제2암결속체(130)의 제2결속구(132)로 제2수결속체(140)의 제2기둥(141)이 이동되어 상하의 용기세트(100a)가 조립되어 일체의 적층용기세트(100b)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기둥(141)의 높이는 제2암결속체(130)의 상면 즉, 제2안내구(131) 및 제2결속구(132)의 외측면의 두께에 비례하여 제2기둥(141)이 상기 제2결속구(132)로 이동되면서 제2결속편(142)이 제2결속구(132)의 외측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상층 용기세트(100a)와 하층 용기세트(100a)를 서로 적층하여 적층용기세트(100b) 조립시 견고히 조립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용기(100)의 저면에 형성된 제2암결속체(130)와 제2수결속체(140)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를 가져 지면 또는 바닥에 용기를 놓을 시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102)의 사변(四邊)에 각각 형성되도록 테두리의 변(邊) 중앙에 소정의 폭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측에 수용홈(161)이 형성되는 그립부(160)가 형성되면서 상기 그립부(160) 중앙에 외측 일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안내홀(151)과 상기 안내홀(151)과 연계되면서 안내홀(151) 내경에 비해 더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홀(152)이 형성되는 끈결합체(150)가 더 포함되는 농산물 포장용기(100)를 제공한다.
상술한 용기세트(100a)를 조립 하거나 다단으로 적층용기세트(100b)를 조립한 후 용기세트(100a)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끈 등을 이용하여 용기세트(100a)를 결속할 수 있도록 용기(100)의 테두리(102)에 그립부(160) 및 그립부(160)에 끈결합체(15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102)의 변 중앙에 하향 돌촐되면서 내부에 수용홈(161)을 형성하는 그립부(160)가 형성됨은 서로 포개져 용기세트(100a)를 조립시 상부 또는 하부 용기(100)를 회전시 사용자의 손이 상기 그립부(160)를 잡아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하면서 후술되는 끈(미도시)의 결합시 하부 용기(100)의 그립부(160)에 형성된 끈결합체(150)에 끈(미도시)을 결합하면서 마주하는 상부 용기(100)의 그립부(160)의 끈결합체(150)에 끈이 내속되어 이중으로 결합되어 용기세트(100a) 내부에 담겨진 농산물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용기세트(100a)를 조립 후 상/하부의 용기(100)가 서로 테두리(102)를 면접하면서 제1암결속체(110)와 제1수결속체(120)가 상호 대응 결합되어 일체의 용기세트(100a)를 조립하게 되며, 이때 상기 테두리(102)에 형성된 그립부(160) 및 끈결합체(150)가 서로 마주하여 동일선상에 형성되게 된다.
이에, 상기 사각 테두리(102)의 사변(四邊)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그립부(160) 중앙에 끈결합체(150)가 형성되어 2개의 용기(100)를 상하로 서로 포개져 조립시 서로 마주하는 끈결합체(150) 즉, 하부에 위치한 용기(100)의 그립부(160)에 형성된 끈결합체(150)에 끈(미도시)의 양단을 끈결합체(150)의 안내홀(151)을 통과하여 결합홀(152)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끈의 양단은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매듭(미도시)이 결합홀(152)에 단속되어 끈의 단부가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이때 상부에 위치한 용기(100)의 그립부(160)에 형성된 끈결합체(150)에 끈의 일면이 내속되면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서로 포개진 용기세트(100a)의 끈결합체(150)에 끈의 일단이 결속되며, 상기 끈의 타단은 상기 끈의 일단이 결속된 끈결합체(150)에 대응되는 끈결합체(150)에 결속하게 된다.
상기 용기세트(100a)에 결속된 2개의 끈(미도시)이 용기세트(100a) 상부로 서로 교차 연결되며, 상기 용기세트(100a) 상부에 위치한 교차되는 2개의 끈을 사용자가 잡아 안전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포장용기 100 용기세트 100a 적층용기세트 100b
원형(사각)본체 101 테두리 102 제1암결속체 110
제1안내구 111 제1결속구 112 제1수결속체 120
제1기둥 121 제1결속편 122 제2암결속체 130
제2안내구 131 제2결속구 132 제2수결속체 140
제2기둥 141 제2결속편 142 끈결합체 150
안내홀 151 결합홀 152 그립부 160
수용홈 161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밀폐되면서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형본체와 상기 원형본체의 상부 개방된 외주에 원형의 테두리로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좌측과 상기 좌측에 대면하는 우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와 상기 제1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가 형성되는 제1암결속체와,
    상기 테두리의 상측과 상기 상측에 대면하는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이 형성되는 제1수결속체와,
    상기 원형본체 하부의 저면 좌측 및 우측 일면에 각각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와 상기 제2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가 형성되는 제2암결속체와,
    상기 원형본체 하부의 저면 상측 및 하측 일면에 각각 부착 고정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과 상기 제2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이 형성되는 제2수결속체 및,
    상기 제1암결속체와 제1수결속체 사이의 테두리에 복수 개로 형성되어 테두리 외측 일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안내홀과 상기 안내홀과 연계되면서 안내홀 내경에 비해 더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끈결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용기.
  2. 삭제
  3.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밀폐되면서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본체와 상기 사각본체의 상부 개방된 외주에 사각형의 테두리로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안내구와 상기 제1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1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1결속구가 형성되는 제1암결속체와,
    상기 테두리의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형성되어 일면에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1결속편이 형성되는 제1수결속체와,
    상기 사각본체 하부의 저면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일각면에 대칭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둘레와 상면이 밀폐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에 관통된 제2안내구와 상기 제2안내구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제2안내구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된 제2결속구가 형성되는 제2암결속체와,
    상기 사각본체 하부의 저면 사각(四角)면 중 대각되는 각각의 타각면에 형성되어 상향의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2기둥과 상기 제2기둥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형의 제2결속편이 형성되는 제2수결속체 및,
    상기 테두리의 사변(四邊)에 각각 형성되도록 테두리의 변(邊) 중앙에 소정의 폭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측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그립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그립부 중앙에 외측 일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안내홀과 상기 안내홀과 연계되면서 안내홀 내경에 비해 더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끈결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용기.
  4. 삭제
KR1020160009650A 2016-01-26 2016-01-26 농산물 포장용기 KR10169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50A KR101693458B1 (ko) 2016-01-26 2016-01-26 농산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50A KR101693458B1 (ko) 2016-01-26 2016-01-26 농산물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58B1 true KR101693458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650A KR101693458B1 (ko) 2016-01-26 2016-01-26 농산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708A (ko) * 2021-07-28 2023-02-06 임기순 원스톱 아이스 음료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857A (ko) 2003-06-25 2005-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연동형 서스펜션
KR200453692Y1 (ko) 2010-09-09 2011-05-23 권용기 농산물 포장용기
KR20130125211A (ko) * 2012-05-08 2013-11-18 남경훈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857A (ko) 2003-06-25 2005-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연동형 서스펜션
KR200453692Y1 (ko) 2010-09-09 2011-05-23 권용기 농산물 포장용기
KR20130125211A (ko) * 2012-05-08 2013-11-18 남경훈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708A (ko) * 2021-07-28 2023-02-06 임기순 원스톱 아이스 음료용기
KR102577204B1 (ko) * 2021-07-28 2023-09-13 임기순 원스톱 아이스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745B1 (ko) 딸기 포장용기
US10611517B2 (en)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US20180327161A1 (en) Meal-kit preparation and shipping system
US20110180446A1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NZ565857A (en) Produce packaging container with dual hinged resealable tops
US2839214A (en) Basket for berries and the like
KR101693458B1 (ko) 농산물 포장용기
AU2005332298A1 (en) Produce packaging container with dual hinged resealable tops
KR102104834B1 (ko)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US20140308410A1 (en) Package Including A Tray Which Contains a Group of Flanged Containers
KR200453692Y1 (ko) 농산물 포장용기
KR102087231B1 (ko) 딸기 포장용기
KR102087236B1 (ko)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JP3187246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CN106185012B (zh) 具有释压阀的包装容器
KR200455968Y1 (ko) 식품 보관 용기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200328902Y1 (ko) 식품 보관용기
JPH054658A (ja) 密封容器および蓋材
JP2006188283A (ja) 品物の包装容器におけるコンパクトディスクの収納構造
US20120261291A1 (en) Stable stacked multipack assembly including stackable packing units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JP2014005041A5 (ko)
KR20170002459U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386101Y1 (ko) 컵라면의 덕용 포장 구조
JP2012254827A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