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902Y1 - 식품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902Y1
KR200328902Y1 KR20-2003-0022658U KR20030022658U KR200328902Y1 KR 200328902 Y1 KR200328902 Y1 KR 200328902Y1 KR 20030022658 U KR20030022658 U KR 20030022658U KR 200328902 Y1 KR200328902 Y1 KR 200328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rage container
closing lid
contain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창
Priority to KR20-2003-0022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9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19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bottom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from the bottom of a superimpose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관용기의 적층 보관시 보관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결착끈에 의하여 발생되던 적층불량 현상을 개선시킴으로서 보관용기가 안정적인 적층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결착끈의 체결시 체결위치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결착끈의 유동에 따른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관용기는, 내부에 일정 체적의 식품보관부을 형성하고 있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상단측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뚜껑(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뚜껑(20)에는 테두리를 따라 강도보강을 위한 돌기부(22)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개폐뚜껑(20)와 용기몸체(10)의 결합을 위한 결착끈(30)이 외면상에 체결되어지는 식품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뚜껑(20)의 돌기부(22)에는 체결되어지는 결착끈(30)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홈(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보관용기{A CHARGE VESSEL FOR FOOD}
본 고안은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잼, 음료수, 주스, 주류, 고추장 등과 같은 액상 또는 분말 식품의 보관이 가능한 보관용기의 적층보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보관용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잼, 고추장 등과 같은 액상식품의 경우 보관 또는 이송도중 내용물이 누출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가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의 보관용기에 담아 보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식품용기의 일 예로 다량의 잼을 보관할 수 있는 잼 보관용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를 덮는 뚜껑(2)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조된 잼을 몸체의 내부에 넣고, 뚜껑(2)으로 몸체(2)의 상부 개구부를 덮음으로써 보관한다.
그리고 용기의 이동성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뚜껑(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결착끈(3)을 도시된 바와같이 십자 형태로 묶어주어 몸체와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용기의 뚜껑(2) 상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강도보강을 위한 돌기부(2a)가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 돌기부(2a)로 인하여 결착끈(3)이 뚜껑(2) 상면과 밀착되지 못하고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로인하여 종래 보관용기를 적층시키는 경우 도 2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적층된 상부 용기의 바닥면이 하부용기의 상면과 맞닿지 못하고 결착끈에 의해 소정높이(h)로 지지되면서 떠있는 불안한 적층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적층보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관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결착끈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용기를 적층보관시키는 경우 보다 안정적인 적층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잼 보관용기의 결착끈 체결시 외관 사시도.
도 2는 종래 잼 보관용기의 적층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잼 보관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잼 보관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잼 보관용기의 결착끈 체결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잼 보관용기의 적층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개구부
12 : 수용홈 20 : 뚜껑
21 : 상면 22 : 돌기부
23 : 안내홈 24 : 안착홈
30 : 결착끈
상기 목적은, 내부에 일정 체적의 식품보관부을 형성하고 있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측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뚜껑에는 테두리를 따라 강도보강을 위한 돌기부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개폐뚜껑과 용기몸체의 결합을 위한 결착끈이 외면상에 체결되어지는 식품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뚜껑의 돌기부에는 체결되어지는 결착끈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잼 보관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잼보관용기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잼 보관용기에 결착끈이 결착되어진 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잼 보관용기의 적층시 사시도이며, 도 7은 A-A부 단면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잼보관용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대략 사각형태를 이루는 용기몸체(10)의 상부 개구부(11)에는 보관되어지는 내용물이 유출되거나 외부 이물질의 유입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개폐뚜껑(20)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지게 된다.
상기 개폐뚜껑(20)의 상면(21)에는 주변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진 강도보강용 돌기부(22)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돌기부(22)의 각 변부 중앙에는 결착끈(30)의 체결시 체결위치를 안내함과 함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홈(23)이 상호 대칭형태로 가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이와함께, 개폐뚜껑(20)에는 상면(21)과 돌기부(22)간의 경계부위를 따라 안착홈(24)이 형성되어져 있어, 보관시 상부에 적층되어지는 또다른 보관용기(10')의 하부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용기몸체(10)의 하부에도 상부 개폐뚜껑(20)에 형성되어져 있는 안착홈(24)과 대응되는 동일한 위치인 테두리측 각 변부 중앙에 수용홈(12)이 형성되어져 있어 결착끈(30)이 수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실시예인 잼 보관용기의 이용 및 적층보관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잼 보관용기는 내부에 잼이 충진되어진 상태에서 이송 또는 보관중 개폐뚜껑(20)의 밀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결착끈(30)을 개폐뚜껑(20) 상에서 열십자 형태로 각각 결착시키게 되는데, 각 결착끈(30)은 체결부위를 따라 경로상에 형성되어져 있는 안내홈(23)에 의해 개폐뚜껑(20)을 밀착고정시킴과 함께 하부의 수용홈(12)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몸체(10)를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결착끈(30)이 체결되어진 본 고안의 잼 보관용기를 살펴보면 상부에서는 양측 안내홈(23)의 높이만큼 결착끈(30)과 뚜껑상면(21)과의 간격이 감소하게 됨으로서 결착끈(30)이 뚜껑상면(21)에 근접하는 체결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결착끈(30)과 개폐뚜껑(20) 상면과의 간격이 종래에 비해 감소하게 됨으로서 결착력이 향상되고, 또한 안내홈(23) 및 수용홈(12)에 의해 결착끈(30)의 유동이 방지되게 됨으로서 한층 안정적인 결착상태를 이룰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와같이 결착끈(30)이 감겨져 있는 본 고안의 잼 보관용기를 이송 또는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용기를 적절한 높이로 적층시켜 보관하게 되는데, 이는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 용기몸체(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적층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뚜껑 상면(2)으로 부터 이격되어져 있는 결착끈(3)에 의해 보관용기의 상단 적층을 이룰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의 용기구조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 용기몸체(10')의 하부가 하단 용기몸체(10)의 개폐뚜껑(20) 상면(21)에 맞닿게 되면서 안정적인 적층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의 용기 개폐뚜껑(20) 상부에 또다른 용기몸체(10')가 올려지게 되면 상호간의 사이에서 각각의 결착끈(30.30') 부위가 상호 중첩되어지게 되나, 결착끈(30,30')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안내홈(23) 구조 및 하부 수용홈(12) 을 통과하는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상단 용기몸체(10')는 결착끈(30,30')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가운데 하단 용기몸체(10)의 개폐뚜껑(20)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단 용기몸체(10')의 하부가 하단 용기몸체(10)의 개폐뚜껑(20) 상부의 안착홈(24)에 안착되어짐으로서 한층 효율적인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보관용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잼 보관용기를 예를들어 상세하게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보관용기는 잼 뿐만 아니라 음료수나 고추장, 캐찹 등 액상의 성질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 보관을 위한 보관용기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관용기의 형상 역시 도시된 사각형태 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다각형상으로 이룰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식품 보관용기는, 보관용기의 적층 보관시 보관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결착끈에 의하여 발생되던 적층불량 현상을 개선시킴으로서 보관용기가 안정적인 적층상태를 이룰 수 있게되는 유용한 고안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결착끈의 체결시 체결위치가 지지되어짐으로서 작업자가 체결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결착끈의 유동에 따른 이탈이 방지되어지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3)

  1. 내부에 일정 체적의 식품보관부을 형성하고 있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상단측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뚜껑(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뚜껑(20)에는 테두리를 따라 강도보강을 위한 돌기부(22)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개폐뚜껑(20)과 용기몸체(10)의 결합을 위한 결착끈(30)이 외면상에 체결되어지는 식품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뚜껑(20)의 돌기부(22)에는 체결되어지는 결착끈(30)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홈(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3)은 개폐뚜껑(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복수의 개소에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의 몸체(10) 하부에는 적층시 하부용기의 결착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2)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기.
KR20-2003-0022658U 2003-07-14 2003-07-14 식품 보관용기 KR200328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58U KR200328902Y1 (ko) 2003-07-14 2003-07-14 식품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58U KR200328902Y1 (ko) 2003-07-14 2003-07-14 식품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902Y1 true KR200328902Y1 (ko) 2003-10-01

Family

ID=4941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658U KR200328902Y1 (ko) 2003-07-14 2003-07-14 식품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9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74B1 (ko) * 2013-06-07 2014-11-21 주식회사 썬라이즈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KR200476613Y1 (ko) * 2013-10-31 2015-03-18 현진제업주식회사 식품용기
US9522762B2 (en) 2012-10-17 2016-12-20 Sunrise Co., Ltd.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up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2762B2 (en) 2012-10-17 2016-12-20 Sunrise Co., Ltd.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up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KR101463774B1 (ko) * 2013-06-07 2014-11-21 주식회사 썬라이즈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KR200476613Y1 (ko) * 2013-10-31 2015-03-18 현진제업주식회사 식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4636A (en) Box for encasing a bag containing liquid
US5823345A (en) Stackable receptacle assembly for pourable products
US6237758B1 (en) Stackable container case
CA2254321C (en) High strength container with interior button latch
US20100065461A1 (en) Stackable container with interlocking arrangement
KR20060015011A (ko) 재밀폐 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KR101513154B1 (ko) 개폐 구조를 개선한 용기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200328902Y1 (ko) 식품 보관용기
JP2010111401A (ja) 運搬用容器
TWM541444U (zh) 食物容器
US5501336A (en) Generic goods-containing crate
KR20190001483U (ko)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KR200473377Y1 (ko)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KR101693458B1 (ko) 농산물 포장용기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KR200237024Y1 (ko)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JP2928457B2 (ja) 蓋付容器
JP7437155B2 (ja) 食品包装容器
KR200468395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JP4195602B2 (ja) 密閉式仕切り容器
JP3068535U (ja) 蓋付き容器
JP4248640B2 (ja) 合成樹脂製運搬容器
KR200167107Y1 (ko) 캔음료용기
JPH01254540A (ja) 金属蓋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