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107Y1 - 캔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캔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107Y1
KR200167107Y1 KR2019990017188U KR19990017188U KR200167107Y1 KR 200167107 Y1 KR200167107 Y1 KR 200167107Y1 KR 2019990017188 U KR2019990017188 U KR 2019990017188U KR 19990017188 U KR19990017188 U KR 19990017188U KR 200167107 Y1 KR200167107 Y1 KR 200167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parts
container
sealing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만용
Original Assignee
양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만용 filed Critical 양만용
Priority to KR2019990017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각각 다른종류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캔음료용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원통형상의 측부와; 상기 측부를 상,하 두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두 부분을 서로 격리시키는 밀봉벽과; 상기 측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개구가 있는 두껑을 포함하는 캔음료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캔음료용기{The can for a beverage}
본 고안은 캔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수나 주류를 수용하고, 손으로 쉽게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캔용기는 일반적으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측부(10)와 상측에 오픈될 수 있는 두껑(12)이 있고, 하측에는 그냥 밀봉을 위한 플레이트(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조를 가진 이러한 종래의 캔 용기는 한 종류의 음료만을 수용하고 있다. 예를들어, 커피, 콜라, 사이다, 맥주 등 한종류의 음료수만 수용하고 있다.
이들의 용량은 대체로 300ml 내지 350ml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종류의 음료만 마실 수 밖에 없고, 또한 실제로 한번에 마시기에는 용량이 많은 것이 사실이고, 일부가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한편, 용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은 용량의 음료용기가 나오고 있으나, 이는 통상의 캔음료라기보다는 플라스틱용기이고 이 또한 하나의 음료만 수용할 뿐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캔음료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두가지 종류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캔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캔음료용기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캔음료용기의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 부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 원통형 측부 30: 밀봉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원통형상의 측부와; 상기 측부를 상,하 두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두 부분을 서로 격리시키는 밀봉벽과; 상기 측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개구가 있는 두껑을 포함하는 캔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봉벽은 플라스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캔음료용기의 내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한 개략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캔음료용기는 원통형상의 측부(20)와, 상기 측부내에서 상,하로 구분짓는 밀봉벽(30)과, 상기 측부의 상,하측에 두껑(22a)(22b)을 포함하고 있다. 상,하 각 두껑(22a)(22b)은 바람직하게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어, 아래에서나 위에서 음료캔을 열어 상,하로 구분되어 형성된 측부(20)내의 음료를 각각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의 밀봉벽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재질로서, 탄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도 3의 단면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 제조시 원통형상의 측부(20)를 형성할 때 두 부분을 구분하는 밀봉벽(30)을 적당한 위치에 두고, 감아서 형성한다.
따라서 알루미늄 재질의 측부를 잘 밀봉하기위해서는 플라스틱재질로된 밀봉벽(30)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두 부분의 구분은 정확하게 반으로 구분할 필요는 없고 일측은 1/3로하고 타측을 2/3정도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는 음료의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바, 예를들어 2/3정도는 커피로 하고 나머지는 커피냄새를 지울 수 있는 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원통형상의 측부와 밀봉벽을 형성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하로 오픈할 수 있는 두껑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캔음료용기는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캔음료용기로 인하여, 두가지 종류의 음료를 하나의 캔음료용기에 수용할 수 있게되어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적절한 용량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게되어, 용기의 소비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원통형상의 측부와;
    상기 측부를 상,하 두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두 부분을 서로 격리시키는 밀봉벽과;
    상기 측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개구가 있는 두껑을 포함하는 캔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벽은 플라스틱재질인 캔음료용기
KR2019990017188U 1999-08-19 1999-08-19 캔음료용기 KR200167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88U KR200167107Y1 (ko) 1999-08-19 1999-08-19 캔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88U KR200167107Y1 (ko) 1999-08-19 1999-08-19 캔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107Y1 true KR200167107Y1 (ko) 2000-02-15

Family

ID=1958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188U KR200167107Y1 (ko) 1999-08-19 1999-08-19 캔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1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63B1 (ko) * 2013-04-11 2014-12-01 오혁진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액체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63B1 (ko) * 2013-04-11 2014-12-01 오혁진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액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709A (en)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5301830A (en) Container
EP1009667B1 (en) Can for drinks
KR200167107Y1 (ko) 캔음료용기
KR20190001483U (ko)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KR20090114295A (ko) 이중용기
WO2006027234A1 (en) High-functionality beverage can
KR200190559Y1 (ko) 내용물이 분리되는 격판이 형성된 음료용 캔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200328902Y1 (ko) 식품 보관용기
KR200282170Y1 (ko) 쌍둥이 음료수 용기
CN217625081U (zh) 一种可存贮速溶粉末或浓缩液的水瓶盖子
KR200237024Y1 (ko)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KR200256167Y1 (ko) 이중 음료수 캔
KR200191415Y1 (ko) 음료수 캔
KR200284872Y1 (ko) 이중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KR200167400Y1 (ko) 두개의수장부를구비한음료용캔
KR200352957Y1 (ko)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KR200166579Y1 (ko) 분할 구조의 음료캔
KR200316639Y1 (ko) 재밀봉이 가능한 캔
KR200354678Y1 (ko) 다종 음료보관용 캔
KR200276214Y1 (ko) 컵형 뚜껑
KR200156729Y1 (ko) 내부공간이 상하 분할된 2중캔
KR200286100Y1 (ko) 일회용 축소 컵
KR200290667Y1 (ko) 음료용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