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774B1 -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774B1
KR101463774B1 KR1020130065111A KR20130065111A KR101463774B1 KR 101463774 B1 KR101463774 B1 KR 101463774B1 KR 1020130065111 A KR1020130065111 A KR 1020130065111A KR 20130065111 A KR20130065111 A KR 20130065111A KR 101463774 B1 KR101463774 B1 KR 10146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cover
main body
rib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라이즈
Priority to KR102013006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774B1/ko
Priority to EP13846610.7A priority patent/EP2910485B1/en
Priority to PCT/KR2013/009202 priority patent/WO2014061966A1/ko
Priority to CA2888607A priority patent/CA2888607A1/en
Priority to JP2015538014A priority patent/JP6105071B2/ja
Priority to TW102137304A priority patent/TW20142787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774B1/ko
Priority to US14/688,159 priority patent/US952276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가 개시된다.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다른 본체의 리브가 끼워지는 결합용 슬롯이 상기 리브가 배치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용 슬롯을 내부에 포함하는 크기의 트랙 형상의 밀폐용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가 끼워지며, 상기 본체의 리브의 분리된 부분이 인접한 서로 다른 커버의 상면 가장자리를 한꺼번에 수용한다.

Description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Container capable for being combin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본체와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는데 냉장고 등에 다수의 용기를 수납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한다.
이때, 수직방향으로의 적층시 적층된 용기가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하며, 상부에 위치한 본체와 하부에 위치한 커버 간의 결합을 많이 이용하며, 가령, 국내 공개특허 제2010-0106947호, 제2009-0096058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의 경우, 수직방향으로만 적층되는 구조로서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용기의 결합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한, 수직으로 적층되는 각 용기의 경계면에서 공기 흐름이 전혀 없기 때문에, 가령 냉장고에 수납된 경우 적층되는 용기의 경계면의 상하에 위치하는 음식물에는 냉기가 전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국내 특허등록 제1248351호에서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다른 본체의 리브가 끼워지는 트랙 형상의 결합용 그루우브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용 그루우브를 내부에 포함하는 크기의 트랙 형상의 밀폐용 그루우브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 의하면, 결합용 그루우브가 트랙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트랙이 마주하는 중간 부분에서는 트랙에 의해 접힐 수 있어 강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으며,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리브도 이에 대응하여 반드시 트랙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리브의 이격된 부분에 의해 용기가 한 덩어리를 이루고 있더라도 각 용기 사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지만, 여전히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다수의 용기가 수직 및 수평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된 다수의 용기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공기 흐름이 더욱 원활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다른 본체의 리브가 끼워지는 결합용 슬롯이 상기 리브가 배치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용 슬롯을 내부에 포함하는 크기의 트랙 형상의 밀폐용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가 끼워지며, 상기 본체의 리브의 분리된 부분이 인접한 서로 다른 커버의 상면 가장자리를 한꺼번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각각 제1방향으로 돌출 연장하고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리브 쌍이 적어도 둘 이상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결합용 슬롯이 상기 리브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용 슬롯을 내부에 포함하는 크기의 트랙 형상의 밀폐용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가 끼워지며, 하나의 리브 쌍과 인접한 다른 리브 쌍 사이의 간격이 서로 인접하는 용기의 커버의 상면 가장자리의 폭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의 높이는 상기 결합용 슬롯의 깊이보다 클 수 있고, 상기 결합용 슬롯의 단면 형상은 하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팽창된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용 슬롯에 끼워지는 상기 리브에 의해 상기 밀폐용 슬롯과 상기 결합용 슬롯 사이의 벽이 상기 밀폐용 슬롯 쪽으로 밀리도록 상기 밀폐용 슬롯과 상기 결합용 슬롯은 인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용 슬롯의 수직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상기 밀폐용 슬롯에 끼워지는 상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의 수직 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상기 밀폐용 슬롯의 입구는 하방으로 벌어지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공기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분리된 부분이나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공기 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 출입구와 상기 공기 유동공간을 연결하는 공기 흐름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다수의 용기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한 덩어리를 이루어 신뢰성 있게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각 용기의 경계 부분에 공기 유동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공기 출입구를 통하여 공기 흐름이 생기기 때문에 용기가 한 덩어리를 이루고 있더라도 각 용기 사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용기를 결합함으로써 오히려 밀폐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다수의 용기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용기 간의 결합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a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X방향을 폭 방향, Y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한다.
용기(100)는 음식물 등을 수납하는 본체(120)와 본체(120)에 결합하는 커버(110)로 이루어진다.
본체(120)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이루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본체(120)의 각 측면은 바닥(123)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지만, 위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체(120)의 하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각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리브(122, 124)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연장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 결과, 본체(120)의 하면과 리브(122, 124)에 의해 공기 유동공간(125)이 형성되고, 리브(122, 124) 사이의 분리된 부분과 리브(122, 124)가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가 공기 출입구의 역할을 하여 이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기 유동공간(125)으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 흐름 채널을 구성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버(110)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는데, 커버(110)의 상면에 다른 본체(120)의 리브(122, 124)가 끼워지는 결합용 슬롯(112, 114)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결합용 슬롯(112, 114)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리브(122, 124) 위치에 정확히 대응하여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10)의 하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트랙 형상의 밀폐용 슬롯(115)이 형성된다. 밀폐용 슬롯(115)이 트랙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트랙 형상을 이루되 적어도 한 곳 이상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과 1a를 보면, 밀폐용 슬롯(115)은 결합용 슬롯(112, 114)을 내부에 포함하는 크기로 반대 면에 형성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결합용 슬롯(112, 114)의 수직 단면의 형상이 사각 형상이고, 밀폐용 슬롯(115)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밀폐용 슬롯(115)의 수직 단면 형상이 원형이므로, 이에 끼워지는 본체(120)의 개구 가장자리(121)의 수직 단면 형상도 원형을 이룬다.
밀폐용 슬롯(115)의 입구는 하방으로 벌어지는 경사부(115a)가 형성되어 본체(120)의 가장자리(121)가 쉽게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다수의 용기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용기 간의 결합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최하부에 위치한 크기가 가장 큰 용기(100) 위에 용기(200)와 용기(300)가 나란히 결합하여 배치되고 용기(200)와 용기(300) 위에 공통으로 겹치도록 용기(400)가 수직으로 적층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400)를 용기(200)와 용기(300)에 겹쳐 적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각 용기(100, 200, 300)는 커버(110, 210, 310)의 하면에 형성된 밀폐용 슬롯에 본체(120, 220, 320)의 개구 가장자리가 끼워져 미리 결합되어 있다.
용기(300)의 결합용 슬롯(314)과 용기(200)의 결합용 슬롯(214)에는 각각 용기(400)의 리브(421, 422)가 끼워진다.
이때, 리브(421, 422) 사이의 이격된 부분이 용기(200)의 커버(210) 상면 가장자리와 용기(300)의 커버(310) 상면 가장자리 위를 한꺼번에 덮게 되어 결과적으로 용기(200, 300)는 용기(100) 위에 수직으로 적층됨과 동시에 용기(400)에 의해 수평으로 결합된다. 그 결과, 용기(100, 200, 300, 400)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한 덩어리를 이루어 신뢰성 있게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한 것처럼, 용기(400)의 리브(421, 422)의 높이를 결합용 슬롯(214, 314)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리브(421, 422)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통하여 용기(400)의 하면과 용기(200, 3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각 용기(100, 200, 300, 400)의 수직방향으로의 경계 부분에 공기 유동공간(125)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적층된 용기(200, 300, 400)의 리브의 이격된 부분이 공기 유동공간(125)과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 출입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용기(100, 200, 300, 400)가 한 덩어리를 이루고 있더라도 각 용기(100, 200, 300, 400) 사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냉장고에 수납되는 경우 서로 결합된 용기 사이를 원활하게 흐를 수 있어 경계 부분에 위치한 음식물에도 균일하게 냉기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용기 간의 수직 결합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밀폐용 슬롯(215)에 본체(220) 개구의 가장자리(221)가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용 슬롯(214)에 수직으로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리브(422)가 끼워지면, 작은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이들 사이의 경계 벽(214a)이 리브(422)에 의해 밀폐용 슬롯(215) 쪽으로 밀려 밀폐용 슬롯(215)과 본체(220) 개구의 가장자리(221)가 더욱 확실하게 결합하여 본체(220) 내부를 더욱 밀폐시킨다.
도 4는 도 1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용기(100a)에 의하면, 커버(110a)의 상면에 대향하여 쌍으로 형성된 결합용 슬롯(112a, 114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가장자리 끝까지 연장되어 단부가 열린다.
따라서, 커버(110a) 위에 적층되는 다른 용기는 위로부터 눌러 끼울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결합용 슬롯(112a, 114a)의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밀어 넣어 끼울 수 있다.
이때, 결합용 슬롯(112a, 114a)의 단면은 도 4에서 원 안에 나타낸 것처럼, 항아리처럼 하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팽창된 형상을 구비하고 여기에 끼워지는 리브(121 내지 124)의 단면 형상도 유사하게 형성하여 결합용 슬롯(112a, 114a)에 끼워진 리브(121 내지 124)가 잘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520)의 하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쌍을 이루는 리브(522, 524)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또한, 커버(510)의 상면에도, 리브(522, 524)와 같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쌍을 이루는 결합용 슬롯(512, 514)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한 쌍의 결합용 슬롯(512, 514) 및 리브(522, 524)와 인접하는 다른 쌍의 결합용 슬롯 및 리브 사이의 간격 t를 인접하는 용기의 커버의 상면 가장자리의 폭 w의 합, 즉 2w와 같거나 크게 함으로써, 상기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인접하는 용기를 수평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는, 리브(522, 52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가령 폭 방향 단부에서 공기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용기
110: 커버
112, 114: 결합용 슬롯(slot)
120: 본체
122, 124: 리브(rib)
123: 바닥
125: 공기 유동공간

Claims (8)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로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다른 본체의 리브가 끼워지는 결합용 슬롯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용 슬롯을 내부에 포함하는 크기의 트랙 형상의 밀폐용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가 끼워지며,
    상기 본체의 인접하는 리브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하는 하나의 커버와 다른 하나의 커버 각각의 결합용 슬롯에 위로부터 끼워져 상기 인접하는 리브 사이의 분리된 부분이 상기 하나의 커버와 상기 다른 하나의 커버 각각의 가장자리를 한꺼번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높이는 상기 결합용 슬롯의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슬롯의 단면 형상은 하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팽창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슬롯에 끼워지는 상기 리브에 의해 상기 밀폐용 슬롯과 상기 결합용 슬롯 사이의 벽이 상기 밀폐용 슬롯 쪽으로 밀리도록 상기 밀폐용 슬롯과 상기 결합용 슬롯은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슬롯의 수직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상기 밀폐용 슬롯에 끼워지는 상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의 수직 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상기 밀폐용 슬롯의 입구는 하방으로 벌어지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공기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분리된 부분이나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공기 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 출입구와 상기 공기 유동공간을 연결하는 공기 흐름 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8. 삭제
KR1020130065111A 2012-10-17 2013-06-07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KR101463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111A KR101463774B1 (ko) 2013-06-07 2013-06-07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EP13846610.7A EP2910485B1 (en) 2012-10-17 2013-10-15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nnected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PCT/KR2013/009202 WO2014061966A1 (ko) 2012-10-17 2013-10-15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CA2888607A CA2888607A1 (en) 2012-10-17 2013-10-15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up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JP2015538014A JP6105071B2 (ja) 2012-10-17 2013-10-15 水平及び垂直方向への同時結合が可能な容器
TW102137304A TW201427871A (zh) 2012-10-17 2013-10-16 可用於同時水平地及垂直地組合之容器
US14/688,159 US9522762B2 (en) 2012-10-17 2015-04-16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up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111A KR101463774B1 (ko) 2013-06-07 2013-06-07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774B1 true KR101463774B1 (ko) 2014-11-21

Family

ID=5229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111A KR101463774B1 (ko) 2012-10-17 2013-06-07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235B1 (ko) 2015-11-23 2017-04-03 주식회사 이지앤 다양한 크기의 밀폐용기를 크기와 결합방향에 상관없이 다양한 배열로 적층결합되는 다단적층밀폐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902Y1 (ko) * 2003-07-14 2003-10-01 주식회사 윤창 식품 보관용기
KR200439210Y1 (ko) * 2007-01-05 2008-03-27 김인식 콩나물 재배 및 포장용기
KR20120113845A (ko) * 2011-04-06 2012-10-16 안병용 적층형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902Y1 (ko) * 2003-07-14 2003-10-01 주식회사 윤창 식품 보관용기
KR200439210Y1 (ko) * 2007-01-05 2008-03-27 김인식 콩나물 재배 및 포장용기
KR20120113845A (ko) * 2011-04-06 2012-10-16 안병용 적층형 수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235B1 (ko) 2015-11-23 2017-04-03 주식회사 이지앤 다양한 크기의 밀폐용기를 크기와 결합방향에 상관없이 다양한 배열로 적층결합되는 다단적층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276B2 (en) Compressible seal member for container
CA2537563A1 (en) Article accommodating case
KR101248451B1 (ko)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US9631860B2 (en) Chest freezer
JP6990868B2 (ja) 開封防止通気容器
KR102044036B1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USD986058S1 (en) Component for a single draw container insert having two metered flow outlets
KR200443141Y1 (ko) 보냉용 포장박스
KR101463774B1 (ko)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US9522762B2 (en)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up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KR200469862Y1 (ko) 적층형 보관용기
KR101249002B1 (ko) 찬합식 도시락 용기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JP2014506548A (ja) 密閉容器の取っ手組立体
KR102547830B1 (ko) 보냉 기능을 갖는 조립식 종이박스
JP5817618B2 (ja) 冷蔵庫の扉及びこの扉を備えた冷蔵庫
KR101823395B1 (ko) 수납 상자 조립체
KR102099531B1 (ko) 적층형 딸기용기
CN212100173U (zh) 异型冰盒及其在保温箱内的限位组合结构
CN208248915U (zh) 一种新型多合一纸板缓冲结构
CN211657563U (zh) 一种可拆卸式快餐盒
JP3193347U (ja) 発泡樹脂製容器
JP7194959B2 (ja) 運搬用容器
JP3012533B2 (ja) コンテナの積み構造
JP5289385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