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377Y1 -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77Y1
KR200473377Y1 KR2020120011211U KR20120011211U KR200473377Y1 KR 200473377 Y1 KR200473377 Y1 KR 200473377Y1 KR 2020120011211 U KR2020120011211 U KR 2020120011211U KR 20120011211 U KR20120011211 U KR 20120011211U KR 200473377 Y1 KR200473377 Y1 KR 200473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ood storage
container body
storage contai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583U (ko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주)상지인터내쇼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지인터내쇼날 filed Critical (주)상지인터내쇼날
Priority to KR2020120011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7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음식물 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은 하부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의 상부에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와 결합하여 용기 본체(110)의 측면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하나의 음식물 보관용기로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COVER OF STACKABLE VESSEL FOR KEEPING FOOD}
본 고안은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음식물 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은 냄새와 수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이 있는 보관용기에 담아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 보관용기 중 가정에서 냉장고 등에 넣고 오래 사용하는 용기는 유리나 도자기 또는 비교적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음식물을 냉장고에 임시 보관하거나 음식점 등에서 포장용으로 사용하는 보관용기 또는 야외 나들이 등에서 사용하는 보관용기는 통상 1회 사용되거나 비교적 단기간에 사용되기 때문에 가볍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얇은 합성수지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음식물 보관용기는 개별적으로 음식을 담아 보관하도록 되어 있는데, 용기가 여러 개인 경우 용기를 여러 개 쌓은 상태로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배달 음식점의 경우에는 한 번에 가급적 많은 양의 음식 보관용기를 배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음식물 보관용기를 여러 개 쌓게 되면 이동 중 용기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적층형 음식물 보관용기로는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11870호 "보관용기"가 있다. 도 1은 상기 공개 실용신안의 보관용기 사시도로서, 상기 공개 실용신안은 저면에 제1결착돌기(13)가 형성된 용기본체(11)와,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단부를 커버하고 상면에 제2결착돌기(14)가 형성된 덮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의 용기를 적층할 경우 상측의 용기본체(11)를 눌러 상기 제1결착돌기(13)와 제2결착돌기(14)를 결합함으로써 상측의 용기본체(11)를 하측의 덮개(1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개 실용신안은 여러 개의 용기본체를 상하로 결합하여 적층할 수 있게 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공개 실용신안은 덮개(12) 상면에 형성된 제2결착돌기(14)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이와 결합 가능한 크기를 갖는 제1결착돌기(13)가 형성된 용기와 결합됨으로써 그 사용 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보관용기는 보관되는 음식물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데, 상기 보관용기는 정해진 크기의 보관용기만을 결합하여 적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보관용기에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보관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에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와 결합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다수 형성하여 하나의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음식물 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은 하부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용기 본체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하여 용기 본체의 측면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와 동일한 크기의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제 1 걸림돌기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보다 작은 크기의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1,2 걸림돌기는 뚜껑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걸림돌기 및 제 2 걸림돌기는 용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의 외측 벽을 외측에서 밀착 지지하거나, 내측 벽을 내측에서 밀착 지지하여 좌우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용기 본체보다 작은 크기의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제 3 걸림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2,3 걸림돌기는 뚜껑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상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2,3 걸림돌기는 용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의 외측 벽을 외측에서 밀착 지지하거나, 내측 벽을 내측에서 밀착 지지하여 좌우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에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음식물 보관용기로 다양한 규격의 음식물 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어 그 활용 범위가 넓은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에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배달 음식점이나 나들이 및 음식물의 임시 보관용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적층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의 일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측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동일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동일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라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라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소(小)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측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동일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동일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소(小)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동일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평면도이고, 도 6은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부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벽체(111)로 형성되며 하부에 바닥(112)이 형성되어 음식물이 담겨져 보관되는 통상의 용기로서, 이 용기 본체(110)의 벽체(111) 상부 테두리에는 뚜껑(1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뚜껑 결합턱(11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10)의 바닥(112) 외측 테두리에 하부에는 결합돌기(113)가 돌출 형성되게 되는데, 이 결합돌기(113)는 다른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결합되어 음식물 보관용기(100)가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돌기(113)는 벽체(111)의 외측 벽(113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외측 벽(113a)과 바닥(112)의 외측 테두리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 벽(113b)을 통하여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본체(1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110)의 바닥(112)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13) 또한 그 수평 단면이 원형을 띠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13)가 다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 본체(110)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직경이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는 얇은 합성수지 재질이나 종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경량으로 제작됨으로써 냉장고에 음식물을 임시 보관하거나 배달 음식점에서의 음식 배달용 또는 나들이 등에서 음식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120)은 용기 본체(110)의 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 본체(110)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냄새 및 수분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뚜껑(120)의 하부 외측 테두리에는 용기 본체(110)의 벽체(111) 상부에 형성된 뚜껑 결합턱(111a)에 끼움 결합되는 용기 본체 결합부(121)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120)은 용기 본체(110)의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뚜껑(120)은 탄력을 갖는 얇은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용기 본체(110)의 뚜껑 결합턱(11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상기 용기 본체(110)의 뚜껑 결합턱(111a)과 뚜껑(120)의 용기 본체 결합부(121)를 통하여 용기 본체(110)와 뚜껑(120)이 결합된 경우, 용기 본체(110)로부터 뚜껑(120)의 분리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120)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120)의 상부에는 크기가 다른 여러 개의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규격을 갖는 걸림돌기(122)가 돌출 형성되게 된다. 이 걸림돌기(122)는 뚜껑(120)의 상부에서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이 걸림돌기(122)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110)의 결합돌기(1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그 크기(용량)에 따라 대(大), 중(中), 소(小)로 구분되어 제작된다. 상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일례로서, 상기 대(大) 크기의 용기 본체(110) 상부에 형성되는 뚜껑(120)에는 다른 대(大) 크기의 용기 본체와, 중(中) 크기의 용기 본체 및 소(小) 크기의 용기 본체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3개의 걸림돌기(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122)는 뚜껑(120)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110)와 동일한 크기의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는 제 1 걸림돌기(122a)와, 상기 뚜껑(120)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110)보다 작은 크기의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는 제 2 걸림돌기(122b)와, 상기 제 2 결합돌기(113)에 결합되는 용기 본체(110)보다 작은 크기의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는 제 3 걸림돌기(122c)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2,3 걸림돌기(122a)(122b)(122c)는 뚜껑(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상에 배치되는데, 상기 제 1 걸림돌기(122a)와 제 2 걸림돌기(122b) 및 제 3 걸림돌기(122c)는 용기 본체(110) 바닥(112)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외측 벽(113a)을 외측에서 감싸 지지함으로써, 용기 본체(110)가 뚜껑(120)의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뚜껑(120)의 제 1,2,3 걸림돌기(122a)(122b)(122c)는 용기 본체(110)의 바닥(112)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하는 경우 결합돌기(113)의 외측 벽(113a)을 밀착시켜 지지함으로써 용기 본체(1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2,3 걸림돌기(122a)(122b)(122c)는 용기 본체(110)의 바닥(112)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내측 벽(113b)을 내측에서 밀착시켜 지지하도록 그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110) 및 뚜껑(120)은 용기 본체(110) 내측에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고 뚜껑(120)을 결합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렇게 용기 본체(110) 및 뚜껑(120)이 결합된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여러 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동일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대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가 적층될 수 있는데, 하부에 위치한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122a)에 상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어 측면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즉, 상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외측 벽(113a)이 하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122a)의 내측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측면으로 흔들이지 않고 적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이보다 작은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가 적층될 수 있는데,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형성된 제 2 걸림돌기(122b)에 중(中) 크기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어 측면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또한, 도 10은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소(小)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가장 작은 소(小)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가 적층될 수 있는데,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형성된 제 3 걸림돌기(122c)에 소(小) 크기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어 측면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는 대(大), 중(中), 소(小) 크기의 용기 본체(110)가 결합되어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7 내지 10에서 음식물 보관용기(100)를 대(大), 중(中), 소(小)로 구분한 것은 음식물 보관용기(100)를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는 반드시 3가지 종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대(大), 중(中), 소(小)의 구분보다 더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2) 또한 이와 대응되도록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음식물 보관용기(100) 중 비교적 그 크기가 작은 음식용기, 예를 들면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에도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사시도이고, 도 12는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배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적용된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중(中) 크기를 갖는 음식물 보관용기로서, 이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도 2 내지 도 10에서 상술하였던 대(大)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와 그 크기 및 뚜껑(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22)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 또한, 벽체(111)와 바닥(112) 및 하부에 결합돌기(113)가 형성된 용기 본체(110)와, 상부에 걸림돌기(122)가 형성된 뚜껑(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120)의 상부에는 중(中) 크기의 용기 본체(110)와 이보다 작은 소(小) 크기의 용기 본체(11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2개의 걸림돌기(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122)는 뚜껑(120)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110)와 동일한 크기인 중(中) 크기의 용기 본체(110)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는 제 1 걸림돌기(122a)와, 상기 뚜껑(120)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110)보다 작은 소(小) 크기의 용기 본체(110)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는 제 2 걸림돌기(12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2 걸림돌기(122a)(122b) 또한 뚜껑(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상에 배치되는데, 상기 제 1 걸림돌기(122a)와 제 2 걸림돌기(122b)는 용기 본체(110)의 바닥(112)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외측 벽(113a)을 외측에서 감싸 지지하거나 결합돌기(113)의 내측 벽(113b)을 내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용기 본체(110)가 뚜껑(120)으로부터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실시 뚜껑(120)의 제 1 걸림돌기(122a)는 용기 본체(110)의 바닥(112)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하는 경우 결합돌기(113)의 외측 벽(113a)을 밀착시켜 지지함으로써 용기 본체(110)를 고정시키게 되고, 제 2 걸림돌기(122b)의 경우에는 용기 본체(110)의 바닥(112)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내측 벽(113b)을 내측에서 지지하여 측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동일한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외측 벽(113a)이 하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122a)의 내측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측면으로 흔들이지 않고 적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에 소(小)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중(中)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이보다 작은 소(小)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내측 벽(113b)이 하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형성된 제 2 걸림돌기(122b)의 외측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적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小)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100) 또한 뚜껑(120)에 걸림돌기(122)를 형성하여 동일한 소(小) 크기의 음식물 보관용기나 이보다 더 작은 음식물 보관용기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음식물 보관용기(100)는 용기 본체(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20)에 복수의 걸림돌기(122)를 형성하여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용기 본체(110)를 적층하여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뚜껑(120)에 3개 또는 2개의 걸림돌기(122)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크기에 따라 걸림돌기(122)의 수를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음식물 보관용기(100)의 평면이 원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사각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음식물 보관용기 110 : 용기 본체
111 : 벽체 111a : 뚜껑 결합턱
112 : 바닥 113 : 결합돌기
113a : 외측 벽 113b : 내측 벽
120 : 뚜껑 121 : 용기 본체 결합부
122 : 걸림돌기 122a : 제 1 걸림돌기
122b : 제 2 걸림돌기 122c : 제 3 걸림돌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크기가 다른 복수의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와 결합하여 결합된 용기 본체(110)의 측면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돌기(122)가 돌출 형성된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120)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22)는 상기 뚜껑(120)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110)와 동일한 크기의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와 결합되는 제 1 걸림돌기(122a)와, 상기 뚜껑(120)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110) 보다 작은 크기의 용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는 제 2 걸림돌기(1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걸림돌기(122a)는 용기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외측 벽(113a)을 외측에서 밀착하여 지지하고, 상기 제 2 걸림돌기(122b)는 용기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내측 벽(113b)을 내측에서 밀착 지지하여, 상기 뚜껑(120)의 걸림돌기(122a)(122b)에 결합된 용기 본체(110)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22)에는
    상기 제 2 결합돌기(113)에 결합되는 용기 본체(110)보다 작은 크기의 용기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결합되는 제 3 걸림돌기(122c)가 구비되고,
    상기 제 3 걸림돌기(122c)는 용기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의 외측 벽(113a)을 외측에서 밀착 지지하여, 상기 뚜껑(120)의 제 3 걸림돌기(122c)에 결합된 용기 본체(110)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걸림돌기(122a)(122b)(122c)는 뚜껑(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7. 삭제
KR2020120011211U 2012-12-03 2012-12-03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KR200473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211U KR200473377Y1 (ko) 2012-12-03 2012-12-03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211U KR200473377Y1 (ko) 2012-12-03 2012-12-03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83U KR20140003583U (ko) 2014-06-13
KR200473377Y1 true KR200473377Y1 (ko) 2014-07-03

Family

ID=5199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211U KR200473377Y1 (ko) 2012-12-03 2012-12-03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62A (ko) 2021-03-04 2022-09-14 배한성 포장용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KR20230001304U (ko) 2021-12-19 2023-06-27 이상민 통로 일체형 분리 보관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477A (ja) * 1995-11-13 1997-06-03 Kaoru Abe 蓋又はカバー
KR19980071414A (ko) * 1997-02-18 1998-10-26 스티븐 마플리트 식품 및 액체 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477A (ja) * 1995-11-13 1997-06-03 Kaoru Abe 蓋又はカバー
KR19980071414A (ko) * 1997-02-18 1998-10-26 스티븐 마플리트 식품 및 액체 용기용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62A (ko) 2021-03-04 2022-09-14 배한성 포장용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KR20230001304U (ko) 2021-12-19 2023-06-27 이상민 통로 일체형 분리 보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83U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175B2 (en) Food plate with beverage support
KR20090039667A (ko) 저장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 시스템
JP5142094B2 (ja) 積み重ね弁当箱
US20170245666A1 (en) Nesting and reconfigurable wine glass
AU2006216694B2 (en) Sealing container with stackable tops and bottoms
US11292635B2 (en) Plate attachment assembly
US9181009B1 (en) Cup with outwardly protruding straw channel and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CA2879015C (en) Caseless tier sheet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WO2013066676A1 (en) Food storage apparatus
KR200473377Y1 (ko)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US20060124648A1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KR20140055330A (ko) 용기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US20110095039A1 (en) Multi-user Lid for Beverage Containers
JP5510516B2 (ja) 積み重ね弁当箱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JP2004167112A (ja) 箸で携帯枠に固定する段積み弁当箱セット
JP3202018U (ja) 食品収容容器
KR200383646Y1 (ko) 식품용기의 구획판
KR200366851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다단식 적층장치
RU119327U1 (ru) Термоформован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KR200313050Y1 (ko)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배달할 수 있는 배달용기
KR200328902Y1 (ko) 식품 보관용기
US20230047406A1 (en) Kitchen Storage System with Stackable Cani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