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946B1 -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946B1
KR102099946B1 KR1020180170005A KR20180170005A KR102099946B1 KR 102099946 B1 KR102099946 B1 KR 102099946B1 KR 1020180170005 A KR1020180170005 A KR 1020180170005A KR 20180170005 A KR20180170005 A KR 20180170005A KR 102099946 B1 KR102099946 B1 KR 102099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eg cover
leg
open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권기훈
Original Assignee
고문당인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문당인쇄(주) filed Critical 고문당인쇄(주)
Priority to KR102018017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2External covering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막혀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는 바닥부는 평평하게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져 상기 개구부의 일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면 상기 바닥부가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의 상기 본체를 받쳐서 상기 본체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레그 커버; 상기 본체의 타단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져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면 상기 바닥부가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의 상기 본체를 받쳐서 상기 본체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레그 커버; 상기 제1 레그 커버가 다리 기능 수행 중에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레그 커버와 상기 본체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제1 결속수단; 및 상기 제2 레그 커버가 다리 기능 수행 중에 상기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레그 커버와 상기 본체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제2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PACKING CONTAINER HAVING FUNCTION OF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포장의 용도 이외에 뚜껑을 본체에 세워서 결합하면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외식 산업들이 발달하고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음식을 배달 주문하거나 테이크 아웃(Take-out)하여 한 끼 식사를 해결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쾌적한 자연 환경을 찾아 소풍이나 나들이를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특별한 준비 없이 여행가는 길에 음식물을 테이크 아웃하거나 현지에서 음식을 배달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 일회용 포장 박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특히 단가가 저렴하고 경량이면서 사용 후 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종이 포장 박스가 상용화되어 있다.
한편, 소풍이나 나들이에서 섭취할 맥주나 음료수 등을 준비하게 되는 경우, 여러 개의 병 또는 캔을 쉽게 보관하고 운반할 수 있도록 병 또는 캔을 담을 수 있는 포장 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야외에서는 병 또는 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테이블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 또는 캔을 바닥에 놓은 상태로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 박스는 단순히 음식이나 음료수(이하, "음식물"이라 한다)를 담아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한 단일의 목적으로만 활용되기 때문에 포장 박스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용도가 종료되고 나면 폐기되어 쓰레기가 될 수 밖에 없는 바, 이에 따라 포장 박스의 일회 사용에 따른 자원의 낭비가 심각하고 이와 더불어 쓰레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포장 박스에서 음식물을 꺼내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야외에서 이용하는 경우, 음식물을 바닥에 놓은 후 섭취를 위해 허리와 머리를 숙여 자세를 낮추게 되는바, 이때 사용자는 허리와 머리를 과도하게 숙인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세를 낮추더라도 음식물과의 거리가 멀어 음식물을 떨어뜨리면 음식물이 다른 곳으로 튀어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포장 박스에서 꺼낸 음식물을 바닥에 놓고 섭취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벌레들이 음식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바닥이 평탄하지 못한 경우 음식물이 넘어져 쏟아질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수반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7476호(2017.08.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포장 박스가 갖는 본래의 용도 이외에 음식물 섭취 시 테이블의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포장 박스 본래의 용도 이외에 테이블의 기능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포장 박스의 활용도를 높이고 폐기물을 줄여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에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의 높이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떨어뜨린 음식물이 다른 곳으로 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부수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에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을 바닥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켜 벌레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으며, 평탄하지 않은 바닥에서 음식물이 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부수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막혀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는 바닥부는 평평하게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져 상기 개구부의 일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면 상기 바닥부가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의 상기 본체를 받쳐서 상기 본체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레그 커버; 상기 본체의 타단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져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면 상기 바닥부가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의 상기 본체를 받쳐서 상기 본체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레그 커버; 상기 제1 레그 커버가 다리 기능 수행 중에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레그 커버와 상기 본체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제1 결속수단; 및 상기 제2 레그 커버가 다리 기능 수행 중에 상기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레그 커버와 상기 본체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제2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속 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속홈; 및 상기 제1 결속홈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레그 커버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제1 레그 커버를 결속시키는 제1 결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속 수단은, 상기 본체의 타단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속홈; 및 상기 제2 결속홈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레그 커버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속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레그 커버를 결속시키는 제2 결속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레그 커버의 끼움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레그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일단의 개구부 주변에 함몰 형성되는 제1 끼움홈; 및 상기 제2 레그 커버의 끼움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레그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타단의 개구부 주변에 함몰 형성되는 제2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끼움홈은, 상기 본체의 일단 부위에서 상기 제1 레그 커버와 맞닿는 상기 개구부 주변의 측벽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홈은, 상기 제1 끼움홈의 반대 편이 되는 상기 본체의 타단 부위에서 상기 제2 레그 커버와 맞닿는 상기 개구부 주변의 측벽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포장 박스가 갖는 본래의 용도 이외에 음식물을 섭취할 때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박스 본래의 용도 이외에 테이블의 기능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포장 박스의 활용도를 높이고 폐기물을 줄여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에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의 높이를 바닥보다 상승시켜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떨어뜨린 음식물이 다른 곳으로 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에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을 바닥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켜 벌레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으며, 평탄하지 않은 바닥에서 음식물이 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1,2 레그 커버가 양 옆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본체의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2 레그 커버가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테이블을 만들기 위하여 본체를 상하 반전시키고 제1,2 레그 커버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본체 양단에 제1,2 레그 커버를 각각 끼운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체와 레그 커버 간에 제1,2 결속수단을 결속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1,2 결속수단을 결속하여 테이블을 완성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10)는 크게 본체(100), 제1 레그 커버(200), 제2 레그 커버(300), 제1 결속수단(400) 및 제2 결속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10)에서 음식물을 수납 및 포장하기 위한 주요 구성으로서, 음식물 그 자체 또는 음식물이 담긴 별도의 전용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대략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가 반드시 박스 형상으로 국한될 필요는 없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다른 형상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100)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성형과 가공이 용이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전용 용기를 내부의 수용 공간에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그 상부에는 막히지 않고 개방된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110)를 제외한 본체(100)의 나머지 부위는 막혀서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체(100)에는 개구부(110)와 대향되는 곳에 바닥부(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바닥부(120)는 본체(100)를 상하 반전으로 뒤집어서 사용할 때 테이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본체(100)는 수용 공간의 하부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120)와, 상기 바닥부(120)의 가장 자리를 둘러싸며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세워지는 측벽부(130)를 포함하여 대략적으로 박스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측벽부(130)의 상부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개구부(110)가 된다.
한편, 상기 제1 레그 커버(200)와 상기 제2 레그 커버(300)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끼워져 본체(100)의 개구부(110)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본체(100)의 뚜껑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레그 커버(200)와 제2 레그 커버(300)가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끼워져 가운데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개구부(110)를 덮으면 본체(100)의 수용 공간이 폐쇄되는바, 이에 따라 본체(100)의 수용 공간에 수납된 음식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되어 포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그 커버(200)는 개구부(110)의 일 부분을 폐쇄하고, 제2 레그 커버(300)는 개구부(110)의 나머지 부분을 폐쇄하여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또는 물품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 커버(200) 및 제2 레그 커버(300)가 본체(10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개구부(110)는 점차 개방되며, 도 3에서 보듯이 제1 레그 커버(200) 및 제2 레그 커버(300)가 본체(100)에서 완전히 이탈, 분리되면 본체(100)의 수용 공간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며, 사용자는 본체(100)의 수용 공간에 수납된 음식물을 쉽게 꺼낼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00)로부터 음식물을 꺼내고 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10)를 다른 방식으로 조립하여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바닥부(120)가 상방에 위치하고 개구부(110)가 하방에 위치하는 상하 반전 상태가 되도록 상기 본체(100)를 뒤집는다.
이때, 상기 본체(100)를 하부에서 받치기 위해 제1 레그 커버(200)를 뒤집힌 본체(100)의 일단측 하부에 끼우고 제2 레그 커버(300)를 본체(100)의 타단측 하부에 끼워서 제1 레그 커버(200) 및 제2 레그 커버(300)가 각각 본체(100)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체(100)는 제1 레그 커버(200) 및 제2 레그 커버(300)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한 상태가 되고, 뒤집힌 본체(100)의 바닥부(120)가 상부면이 되어 그 바닥부(120)의 상부면에 음식물이나 음료용 병, 캔 등의 물건을 올려 놓음으로써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제1 끼움홈(140)과 제2 끼움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홈(140)은 다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0)의 일단측 하부에 끼워지는 제1 레그 커버(200)의 정확한 끼움 위치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제1 끼움홈(140)은 제1 레그 커버(200)가 본체(100)의 하부를 받칠 때 본체(100)에서 미끄러져 본체(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 레그 커버(200)가 끼워져야 할 본체(100)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끼움홈(140)은 본체(100)의 일단 부위에서 제1 레그 커버(200)와 맞닿는 개구부(110)의 주변 부위(측벽부(130))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끼움홈(140)은 본체(100)의 수용 공간을 둘러 싸고 있는 측벽부(130) 상에서 제1 레그 커버(200)의 일부분(a)과 맞닿는 부위에 제1 레그 커버(200)의 일부분(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끼움홈(140)은 제1 레그 커버(200)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도록 본체(100)의 일단에서 서로 마주 보는 곳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끼움홈(150)은 제1 끼움홈(140)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2 레그 커버(300)의 정확한 끼움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2 끼움홈(150) 역시 제2 레그 커버(300)가 본체(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100)의 타단 부위에서 제2 레그 커버(300)와 맞닿는 개구부(110)의 주변 부위(측벽부(130))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끼움홈(150)은 본체(100)의 측벽부(130) 상에서 제1 끼움홈(140)의 반대 편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레그 커버(300)의 일부분(b)과 맞닿는 부위에 제2 레그 커버(300)의 일부분(b)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2 레그 커버(300)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도록 본체의 타단 부위에서 서로 마주 보는 곳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레그 커버(200) 및 제2 레그 커버(300)가 제1 끼움홈(140) 및 제2 끼움홈(150)에 각각 끼워져 본체(100)를 하부에서 받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바닥부(120)의 상부면에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테이블의 구조가 만들어진다.
한편, 이러한 상태는 제1 레그 커버(200) 및 제2 레그 커버(300)가 뒤집힌 본체(100)의 하부와 단순히 끼움 결합되어 있을 뿐, 아직 완벽하게 조립된 것은 아니므로 뒤집힌 본체(100)의 바닥부(120)의 상면에 음식물이나 병, 캔 등과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물건을 올려두게 되는 등, 본체(100)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직립해 있는 제1 레그 커버(200) 및 제2 레그 커버(300)의 상단 끝단부가 본체(100)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해 본체(10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벌어지며 본체(100)로부터 분리, 해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그 커버(200) 및 제2 레그 커버(300)가 본체(100)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본체(100)와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본체(10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결속수단(400) 및 제2 결속수단(5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속수단(400)은 제1 레그 커버(200)와 본체(100)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속수단(400)은 제1 결속홈(410) 및 제1 결속돌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속홈(410)은 도 3 및 도 6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단의 측면에 소정 크기를 갖는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속홈(410)은 본체(100)의 내부로 함몰되는 홈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본체(100)를 관통하는 구멍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결속돌기(420)는 테이블로 조립될 때 제1 결속홈(410)과 마주보는 제1 레그 커버(200) 상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돌기(420)는 제1 레그 커버(200)에서 제1 결속홈(4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본체(100)와 제1 레그 커버(200)를 결속시킴으로써 본체(100)와 제1 레그 커버(200)가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1 결속돌기(420) 및 제1 레그 커버(200)는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예컨대, 종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 결속돌기(420)를 제1 결속홈(410)에 삽입할 때 제1 결속돌기(420) 및 제1 레그 커버(200)가 자유 자재로 변형되면서 제1 결속돌기(420)가 제1 결속홈(41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와 제1 레그 커버(200)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의도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결속돌기(420)를 제1 결속홈(410)에서 빼내면 결속력이 해제되어 본체(100)와 제1 레그 커버(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속수단(500)은 상술한 제1 결속수단(400)과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갖는 것으로, 제2 레그 커버(300)와 본체(100)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속수단(500)은 제2 결속홈(510) 및 제2 결속돌기(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속홈(510)은 본체(100)의 타단의 측면에 소정 크기의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홈(510)은 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결속돌기(520)는 제2 결속홈(510)과 마주보는 제2 레그 커버(300) 상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제2 결속돌기(520)는 제2 레그 커버(300)에서 제2 결속홈(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본체(100)와 제2 레그 커버(300)를 결속시켜 본체(100)와 제2 레그 커버(300)가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력을 증대시킨다. 제2 결속수단(500)은 제1 결속수단(400)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
100 : 본체 110 : 개구부
120 : 바닥부 130 : 측벽부
140 : 제1 끼움홈 150 : 제2 끼움홈
200 : 제1 레그 커버 300 : 제2 레그 커버
400 : 제1 결속수단 410 : 제1 결속홈
420 : 제1 결속돌기 500 : 제2 결속수단
510 : 제2 결속홈 520 : 제2 결속돌기

Claims (5)

  1. 상부에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막혀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0)와 대향 배치되는 바닥부(120)는 평평하게 이루어진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져 상기 개구부(110)의 일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면 상기 바닥부(120)가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110)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의 상기 본체(100)를 받쳐서 상기 본체(100)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레그 커버(200);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져 상기 개구부(110)의 나머지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면 상기 바닥부(120)가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110)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의 상기 본체(100)를 받쳐서 상기 본체(100)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레그 커버(300); 및
    상기 제1 레그 커버(200)가 다리 기능 수행 중에 상기 본체(100)의 일단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레그 커버(200)와 상기 본체(100)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제1 결속수단(400);
    을 포함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그 커버(300)가 다리 기능 수행 중에 상기 본체(100)의 타단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레그 커버(300)와 상기 본체(100)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제2 결속수단(500);
    을 포함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수단은,
    상기 본체(100)의 일단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속홈(410); 및
    상기 제1 결속홈(410)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레그 커버(200)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홈(4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와 상기 제1 레그 커버(200)를 결속시키는 제1 결속돌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속 수단은,
    상기 본체(100)의 타단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속홈(510); 및
    상기 제2 결속홈(510)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레그 커버(300)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속홈(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와 상기 제2 레그 커버(300)를 결속시키는 제2 결속돌기(520)를 포함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5. 상부에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막혀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0)와 대향 배치되는 바닥부(120)는 평평하게 이루어진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져 상기 개구부(110)의 일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면 상기 바닥부(120)가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110)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의 상기 본체(100)를 받쳐서 상기 본체(100)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레그 커버(200); 및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져 상기 개구부(110)의 나머지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면 상기 바닥부(120)가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110)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의 상기 본체(100)를 받쳐서 상기 본체(100)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레그 커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제1 레그 커버(200)의 끼움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레그 커버(200)가 상기 본체(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의 일단의 개구부(110) 주변에 함몰 형성되는 제1 끼움홈(140); 및
    상기 제2 레그 커버(300)의 끼움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레그 커버(300)가 상기 본체(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의 타단의 개구부(110) 주변에 함몰 형성되는 제2 끼움홈(150)을 포함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KR1020180170005A 2018-12-27 2018-12-27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KR102099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005A KR102099946B1 (ko) 2018-12-27 2018-12-27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005A KR102099946B1 (ko) 2018-12-27 2018-12-27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946B1 true KR102099946B1 (ko) 2020-04-10

Family

ID=7029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005A KR102099946B1 (ko) 2018-12-27 2018-12-27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562B1 (ko) * 2020-12-10 2021-04-30 주식회사 나우스 좌우가 분리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KR20220059829A (ko) * 2020-11-03 2022-05-10 김명숙 다과상을 겸하는 선물용 포장상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378U (ko) * 1998-01-16 1999-08-25 박우희 포장상자.
KR20170097476A (ko)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의식주플러스 간이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378U (ko) * 1998-01-16 1999-08-25 박우희 포장상자.
KR20170097476A (ko)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의식주플러스 간이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포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829A (ko) * 2020-11-03 2022-05-10 김명숙 다과상을 겸하는 선물용 포장상자
KR102497347B1 (ko) * 2020-11-03 2023-02-07 김명숙 다과상을 겸하는 선물용 포장상자
KR102246562B1 (ko) * 2020-12-10 2021-04-30 주식회사 나우스 좌우가 분리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312B1 (en) Container lid system with a lid portion and food container portion
CA2823863C (en) Cutlery utensil dispensing package
US20080110881A1 (en) Ez lift
CA2890254C (en) Food storage apparatus
US20060118453A1 (en) Cup caddy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KR102040508B1 (ko) 이중구조 뚜껑 용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170053064A (ko) 음식물 포장 용기
KR200473377Y1 (ko)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KR200399128Y1 (ko) 음료수 캔 용기용 커버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20080001059U (ko) 포장용 종이 상자
KR20160003682U (ko)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JP2006188283A (ja) 品物の包装容器におけるコンパクトディスクの収納構造
KR200383646Y1 (ko) 식품용기의 구획판
NO173053B (no) Flaskekasse
KR102473849B1 (ko) 일체형 성찬식 컵
KR200398299Y1 (ko) 햄버거 포장용 박스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US20060124496A1 (en) X-trz food tray insert
JP2017088202A (ja) 蓋体付き容器体
KR200245645Y1 (ko) 음식물 배달용기
JP3028198U (ja) 弁当容器
JP4825039B2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