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508B1 - 이중구조 뚜껑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구조 뚜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508B1
KR102040508B1 KR1020170171121A KR20170171121A KR102040508B1 KR 102040508 B1 KR102040508 B1 KR 102040508B1 KR 1020170171121 A KR1020170171121 A KR 1020170171121A KR 20170171121 A KR20170171121 A KR 20170171121A KR 102040508 B1 KR102040508 B1 KR 10204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ainer
cover
lower cover
container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524A (ko
Inventor
박미경
Original Assignee
박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경 filed Critical 박미경
Priority to KR102017017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5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중구조 뚜껑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가지는 주 용기, 하부에 하부덮개와 결합가능한 하부덮개 결합부를 가지는 상부덮개 및 상부가 상기 하부덮개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덮개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주 용기와 결합가능한 주 용기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주 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주 용기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구조 뚜껑 용기{DOUBLE LID CONTAINER}
본 발명은 이중구조 뚜껑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중 구조를 가지는 덮개를 가진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바쁜 생활로 인해 직접 음식을 만드는 것이 아닌 음식을 구입하여 먹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음식의 섭취 장소 또한 음식점 내부에 설치된 테이블이 아닌, 들고 이동하면서, 배달을 통해 선택된 장소 등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더불어, 음식을 담는 일회용 포장용기 또한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상부가 개방된 용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배달을 할 경우에는 음식물이 배달중에 넘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이 담긴 성형 용기에 뚜껑을 체결하여 소비자에게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식의 종류에 따라서는 다양한 종류의 소스 등이 더 필요할 수 있는데, 소스 등이 음식물과 섞이지 않기 위해서는 음식물을 담는 공간과는 별도로 추가적인 공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추가적인 작은 용기에 소스를 담고 비닐봉투 등에 함께 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비닐봉투 등에 담을 경우 이동중에 추가적인 용기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고, 작은 용기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압력에 의해 찌그러진 뒤 소스가 넘칠 수도 있으며,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용기는 용기로 쓰고 난 뒤에 바로 버려지게 되어 자원의 낭비가 심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추가적인 작은 용기를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하면서도 용기로 사용한 뒤에도 활용될 수 있는 제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소스 등을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없었다. 또한 용기로 사용한 뒤에 활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에 별도의 보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중구조 뚜껑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용기로 사용한 뒤에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중구조 뚜껑 용기를 제공한다.
전술한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이중구조 뚜껑 용기를 제공한다. 이중구조 뚜껑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가지는 주 용기, 하부에 하부덮개와 결합가능한 하부덮개 결합부를 가지는 상부덮개 및 상부가 상기 하부덮개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덮개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주 용기와 결합가능한 주 용기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주 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주 용기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부덮개 결합부는, 상기 상부덮개 하부 양 말단에 상부덮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하부덮개 양 말단에 상기 상부덮개 돌출부를 수용하기위한 상부덮개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 돌출부와 상기 상부덮개 수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하부덮개와 끼움 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용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덮개 하부 양 말단에 주 용기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주 용기는, 상기 주 용기 상부 양 말단에 상기 주 용기 수용홈에 수용되기위한 주 용기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용기 돌출부와 상기 주 용기 수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주 용기와 끼움 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는, 하부에 상기 주 용기와 결합가능한 추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용기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결합부는, 상기 상부덮개 하부 양 말단에 추가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주 용기 돌출부는, 상기 추가 수용홈에도 수용되고, 상기 추가 수용홈과 상기 주 용기 돌출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주 용기와 끼움 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중구조 뚜껑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가지는 주 용기, 하부 일 말단은 하부덮개와 연결되고, 하부 타 말단은 하부덮개와 결합가능한 하부덮개 결합부를 가지는 상부덮개 및 상부 일 말단은 상기 상부덮개와 연결되고, 상부 타 말단은 상기 하부덮개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덮개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주 용기와 결합가능한 주 용기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주 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주 용기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하부덮개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주 용기의 저장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덮개는, 상부가 프린팅이 가능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는, 중앙에 사전 결정된 크기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구조 뚜껑 용기를 제조함으로써, 적재공간에 소스를 보관하여 공간을 절약하는 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부뚜껑의 가이드를 따라 구멍을 냄으로써 화분을 보관하거나, 음료 디스펜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후술될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뚜껑 용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이중구조 뚜껑과 가이드를 갖는 용기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따라 상부뚜껑 일부를 제거한 용기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뚜껑 용기의 또 다른 형태의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중구조 뚜껑 용기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몸체의 외벽에 합성수지막 등으로 코팅될 수 있고, 용기 몸체의 내벽에 합성수지막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막은 두께가 약 0.02~0.3mm로 코팅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내지 3에 도시되는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구현에 따라 도 1내지 3의 형태 중 일부가 생략, 변형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 형태가 부가될 수도 있다.
도 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뚜껑 용기는 주 용기(11), 하부덮개(12), 상부덮개(13), 주 용기 돌출부(15), 주 용기 수용홈(16), 상부덮개 수용홈(17), 상부덮개 돌출부(18), 추가 수용홈(19), 가이드(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구조 뚜껑 용기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3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주 용기(11)는 형상이 육면체나 원통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주 용기(11)는 내부에 음식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주 용기(11)는 하부덮개(12) 및 상부덮개(13)와 끼움 결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단면도 기준 주 용기(11) 상부 양 말단에 주 용기 돌출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돌출부는 라운드 형상일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덮개(13)는 상기 주 용기(11) 및 상기 하부덮개(12)를 덮을 수 있도록 주 용기(11) 및 하부덮개(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덮개(13)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육각형, 원형일 수 있고 정면도는 돔, 반구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덮개(13)는 단면도 기준 상부덮개(13) 하부에 하부덮개(12)와 결합가능한 하부덮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덮개 결합부는 상기 하부덮개(12)의 상부덮개 수용홈(17)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덮개 돌출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수용홈은 라운드 형상의 돌출부를 결합하기 위한 형상일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덮개(13)의 상부덮개 돌출부(18)와 상기 하부덮개(12)의 상부덮개 수용홈(17) 간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상부덮개(13)와 상기 하부덮개(12)는 끼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13)는 단면도 기준 상부덮개(13) 하부에 상기 주 용기(11)와 결합 가능한 추가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결합부는 상기 주 용기(11)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추가 수용홈(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13)의 추가 수용홈(19)과 상기 주 용기(11)의 주 용기 돌출부(15) 간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상부덮개(13)와 상기 주 용기(11)는 끼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수용홈(19)에 의해 상기 주 용기(11)는 상기 하부덮개(12)와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덮개(12) 상부에 상기 상부덮개(13)를 추가로 결합할 수도 있고, 상기 주 용기(11)는 상기 하부덮개(12)와 결합없이 상기 상부덮개(13)와 바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덮개(13)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상부덮개(13)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이중 구조 뚜껑 용기 내부에 적재된 물건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13)는 사전결정된 크기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가이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4)는 점선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24)는 별도의 조작이 없으면 결합되어 있지만 조작을 가할 때에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사전결정된 크기는 내부에 음료나 화분 등을 수용하거나 직접적으로 화분 등으로 이용하기 용이하기위해 지름이 7.5cm~13.5cm일 수 있다. 이중구조 뚜껑 용기가 화분으로 이용될 때는 하부덮개(12)에 최소 한 개 이상의 작은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여 물이 주 용기(11)로 빠지게 하고, 하부덮개(12) 상부에 흙을 수용하여 내부에 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하부덮개(12)에 물이 들어왔을 때 하부덮개(12)의 작은구멍을 따라 물이 주 용기(11)로 가게 되며, 주 용기(11) 내부에 물이 모일 수 있다. 이중구조 뚜껑 용기는 이러한 공기 순환이 상부 구멍으로만 이루어지는 구조로 인해 식물을 기르기 적합한 온실과 비슷한 효과를 줄 수도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덮개(12)는 상기 주 용기(11)를 덮을 수 있도록 주 용기(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덮개(13)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육각형, 원형일 수 있고, 정면도는 사각형 일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덮개(12)는 상기 주 용기(11)의 주 용기 돌출부(15)와 끼움 결합 할 수 있도록 주 용기 수용홈(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용기 돌출부(15)와 상기 주 용기 수용홈(16)의 결합으로 인해 하부덮개(13)와 주 용기(11)는 끼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13)의 상부덮개 돌출부(18)를 끼움 결합 할 수 있도록 상부덮개 수용홈(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 돌출부(18)와 상기 상부덮개 수용홈(17)의 결합으로 인해 하부덮개(12)와 상부 덮개(13)는 끼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12)는 상부에 소스 등을 담은 작은 용기를 올릴 수 있고, 식사시에 분리하여 접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덮개(12)는 상면이 최소 2개이상의 분리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덮개(12)는 중앙에 2mm두께와 1cm높이의 격벽을 세워 하부덮개(12)의 상면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나뉘어진 구역에 각각 다른 제품, 소스, 또는 용기 등이 보관 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덮개(12)는 사전결정된 크기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가이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4)는 점선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24)는 별도의 조작이 없으면 결합되어 있지만 조작을 가할 때에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사전결정된 크기는 내부에 음료나 화분 등을 수용하기 용이하기위해 지름이 7.5cm~13.5cm일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덮개(12)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주 용기(11)에 적재되는 물건은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덮개(12)는 상면이 프린팅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면에 원하는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브랜드나 장식 등을 프린팅 할 수 도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중구조 뚜껑 용기는 상부덮개(13)와 하부덮개(12) 사이에 공간에 음식 종류에 따라 필요한 소스 등을 담은 작은 용기를 넣어 배달 시 외부로 작은 용기가 빠져나가지 않게 보관 할 수 있으므로 작은 용기가 주 용기(11)나 외부요인에 의해 찌그러질 염려가 없고 수용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뚜껑 용기는 주 용기(41), 하부덮개(42), 상부덮개(43), 주 용기 돌출부(45), 주 용기 수용홈(46), 하부덮개 돌출부(47), 하부덮개 수용홈(48), 힌지(4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는 달리 단면도 기준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는 일 말단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되는 방식은 힌지(49) 방식일 수 있다.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의 연결된 부분인 힌지(49)는 연결된 상태에서 0도에서 270도 까지 움직일 수 있다.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 간의 각도가 0도부터 270도 까지 변화하면서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 사이의 내부공간이 열릴 수 있다.
또한, 힌지(49)는 쉽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할 수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49)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멍에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다. 연결부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필요시에 결합상태와 분리상태를 전환 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주 용기(41)는 형상이 육면체나 원통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주 용기(41)는 내부에 음식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주 용기(41)는 하부덮개(42)와 끼움 결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단면도 기준 주 용기(41) 상부 양 말단에 주 용기 돌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돌출부는 라운드 형상일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덮개(43)는 상기 주 용기(41) 및 상기 하부덮개(42)를 덮을 수 있도록 주 용기(41) 및 하부덮개(4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덮개(43)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육각형, 원형일 수 있고 정면도는 돔, 반구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덮개(43)는 단면도 기준 상부덮개(43) 일 말단이 상기 하부덮개(42)의 상부 일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되는 방식은 힌지(49) 방식일 수 있다.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의 연결된 부분인 힌지(49)는 연결된 상태에서 0도에서 270도 까지 움직일 수 있다.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 간의 각도가 0도부터 270도 까지 변화하면서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 사이의 내부공간이 열릴 수 있다.
또한, 힌지(49)는 쉽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할 수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49)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멍에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다. 연결부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필요시에 결합상태와 분리상태를 전환 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단면도 기준 상부덮개(43) 하부 타 말단은 하부덮개(42)와 결합가능한 하부덮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덮개 결합부는 하부덮개(42)의 하부덮개 돌출부(47)에 수용될 수 있도록, 단면도 기준 상기 상부덮개(43) 하부 타 말단에 하부덮개 수용홈(48)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수용홈은 라운드 형상의 돌출부를 결합하기 위한 형상일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덮개(43)의 하부덮개 수용홈(48)과 상기 하부덮개(42)의 하부덮개 돌출부(47) 간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상부덮개(43)와 상기 하부덮개(42)는 끼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43)는 사전결정된 크기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가이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4)는 점선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덮개는(42)는 상기 주 용기(41)를 덮을 수 있도록 주 용기(4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덮개(43)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육각형, 원형일 수 있고, 정면도는 사각형 일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덮개(42)는 단면도 기준 상기 하부덮개(42)의 상부 일말단과 상기 상부덮개(43) 하부 일말단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되는 방식은 힌지(49) 방식일 수 있다.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의 연결된 부분인 힌지(49)는 연결된 상태에서 0도에서 270도 까지 움직일 수 있다.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 간의 각도가 0도부터 270도 까지 변화하면서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 사이의 내부공간이 열릴 수 있다.
또한, 힌지(49)는 쉽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할 수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49)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멍에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다. 연결부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필요시에 결합상태와 분리상태를 전환 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덮개(42)는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덮개 수용홈(48)에 수용될 수 있도록, 단면도 기준 하부덮개(42) 타 말단에 하부덮개 돌출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43)의 하부덮개 수용홈(48)과 상기 하부덮개(42)의 하부덮개 돌출부(47) 간의 결합으로 인해 상부덮개(43)와 하부덮개(42)는 끼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42)는 단면도 기준 하부덮개(42)의 하부 타 말단에 상기 주 용기(41)의 돌출부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주 용기 수용홈(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용기(41)의 주 용기 돌출부(45)와 상기 하부덮개(42)의 주 용기 수용홈(46) 간의 결합으로 인해 주 용기(41)와 하부덮개(42)는 끼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42)는 상면이 최소 2개이상의 분리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덮개(42)는 중앙에 2mm두께와 1cm높이의 격벽을 세워 하부덮개(42)의 상면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나뉘어진 구역에 각각 다른 제품, 소스, 또는 용기 등이 보관 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덮개(42)는 사전결정된 크기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가이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4)는 점선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본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덮개(42)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주 용기(41)에 적재되는 물건은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덮개(42)는 상면이 프린팅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면에 원하는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특정브랜드나 장식 등을 프린팅 할 수 도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사상이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과 균등물 등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것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주 용기
12 하부덮개
13 상부덮개
15 주 용기 돌출부
16 주 용기 수용홈
17 상부덮개 수용홈
18 상부덮개 돌출부
19 추가 수용홈
22 가이드가 포함된 하부덮개
23 가이드가 포함된 상부덮개
24 가이드
32 가이드에 의해 일부가 제거된 하부덮개
33 가이드에 의해 일부가 제거된 상부덮개
41 주 용기
42 하부덮개
43 상부덮개
45 주 용기 돌출부
46 주 용기 수용홈
47 하부덮개 돌출부
48 하부덮개 수용홈
49 힌지

Claims (10)

  1. 내부에 저장공간을 가지는 주 용기;
    하부에 하부덮개와 결합가능한 하부덮개 결합부, 그리고 중앙에 사전 결정된 크기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가이드를 가지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상부덮개; 및
    상부가 상기 하부덮개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덮개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주 용기와 결합가능한 주 용기 결합부, 그리고 상기 공간으로 물이 들어왔을 때 상기 주 용기로 물을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가이드를 가지고, 상기 주 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주 용기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주 용기의 저장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덮개;
    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뚜껑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 결합부는,
    상기 상부덮개 하부 양 말단에 상부덮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하부덮개 양 말단에 상기 상부덮개 돌출부를 수용하기위한 상부덮개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 돌출부와 상기 상부덮개 수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하부덮개와 끼움 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중구조 뚜껑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용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덮개 하부 양 말단에 주 용기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주 용기는,
    상기 주 용기 상부 양 말단에 상기 주 용기 수용홈에 수용되기위한 주 용기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용기 돌출부와 상기 주 용기 수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주 용기와 끼움 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중구조 뚜껑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하부에 상기 주 용기와 결합가능한 추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용기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중구조 뚜껑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결합부는,
    상기 상부덮개 하부 양 말단에 추가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주 용기 돌출부는,
    상기 추가 수용홈에도 수용되고,
    상기 추가 수용홈과 상기 주 용기 돌출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주 용기와 끼움 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중구조 뚜껑 용기
  6. 내부에 저장공간을 가지는 주 용기;
    하부 일 말단은 하부덮개와 연결되고, 하부 타 말단은 하부덮개와 결합가능한 하부덮개 결합부, 그리고 중앙에 사전 결정된 크기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가이드를 가지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상부덮개; 및
    상부 일 말단은 상기 상부덮개와 연결되고, 상부 타 말단은 상기 하부덮개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덮개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주 용기와 결합가능한 주 용기 결합부, 그리고 상기 공간으로 물이 들어왔을 때 상기 주 용기로 물을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가이드를 가지고, 상기 주 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주 용기와 결합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주 용기의 저장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덮개;
    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뚜껑 용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는,
    상부가 프린팅이 가능한 재질인
    이중구조 뚜껑 용기

  10. 삭제
KR1020170171121A 2017-12-13 2017-12-13 이중구조 뚜껑 용기 KR10204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121A KR102040508B1 (ko) 2017-12-13 2017-12-13 이중구조 뚜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121A KR102040508B1 (ko) 2017-12-13 2017-12-13 이중구조 뚜껑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524A KR20190070524A (ko) 2019-06-21
KR102040508B1 true KR102040508B1 (ko) 2019-11-05

Family

ID=6705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121A KR102040508B1 (ko) 2017-12-13 2017-12-13 이중구조 뚜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357A (ko) * 2020-12-02 2022-06-09 송우신 일체형 성찬식 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64566T3 (es) * 2020-07-17 2024-04-08 Heraeus Medical Gmbh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espaciadores
KR102606453B1 (ko) * 2022-12-30 2023-11-29 김준웅 음료통이 내장된 간편 취식형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098B2 (ja) * 1991-05-31 2001-02-0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サイレンサー構造
JP2001122315A (ja) * 1999-10-21 2001-05-08 Athena Kogyo Co Ltd 中蓋付き食品容器
JP3197956B2 (ja) * 1992-09-21 2001-08-1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098U (ja) * 2006-11-06 2007-07-05 エフピコチュ−パ株式会社 食品容器
KR20090009093U (ko) * 2008-03-06 2009-09-10 유승석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101169961B1 (ko) * 2009-12-02 2012-08-06 주식회사 유상 음식물 용기
KR20120008842U (ko) * 2011-06-16 2012-12-27 문성호 피복통
JP3197956U (ja) * 2015-03-27 2015-06-11 株式会社シンギ 飲食用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098B2 (ja) * 1991-05-31 2001-02-0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サイレンサー構造
JP3197956B2 (ja) * 1992-09-21 2001-08-1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2001122315A (ja) * 1999-10-21 2001-05-08 Athena Kogyo Co Ltd 中蓋付き食品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357A (ko) * 2020-12-02 2022-06-09 송우신 일체형 성찬식 컵
KR102473849B1 (ko) 2020-12-02 2022-12-02 송우신 일체형 성찬식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524A (ko)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508B1 (ko) 이중구조 뚜껑 용기
USD846985S1 (en) Beverage container lid
US20180242553A1 (en) Kit for storing and serving pet food
US8727149B1 (en) Container with stored scoop
USD515940S1 (en) Liquid beverage container
USD962719S1 (en) Storage container for food
US9776765B2 (e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EP2398718A1 (en) Double containment capacity container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USD960664S1 (en) Storage container for food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WO200703446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KR101613908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101825664B1 (ko) 기능성 도시락 용기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101097807B1 (ko) 일회용 용기
KR101824872B1 (ko) 화분으로 재활용 가능한 일회용 컵 조립체
KR20170053064A (ko) 음식물 포장 용기
KR20100003171U (ko) 물 김치통
KR101576662B1 (ko)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EP3381833A1 (en) Kimchi packing container having flexibility and standard form
JP3201756U (ja) 物品収納容器
KR200285946Y1 (ko) 도시락 용기
KR200408083Y1 (ko) 측면 결합식 식품용기
KR200383646Y1 (ko) 식품용기의 구획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