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357A - 일체형 성찬식 컵 - Google Patents

일체형 성찬식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357A
KR20220077357A KR1020200166207A KR20200166207A KR20220077357A KR 20220077357 A KR20220077357 A KR 20220077357A KR 1020200166207 A KR1020200166207 A KR 1020200166207A KR 20200166207 A KR20200166207 A KR 20200166207A KR 20220077357 A KR20220077357 A KR 2022007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p
cap
container
communion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849B1 (ko
Inventor
송우신
Original Assignee
송우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신 filed Critical 송우신
Priority to KR102020016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8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2Communion cups, chali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성찬식에 사용되는 일체형 성찬식 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체형 성찬식 컵(1000)은, 포도주를 담기 위한 용기(容器)(200) 및 상기 용기(200)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캡(100)을 포함하되, 상기 캡(10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캡(120) 및 상기 하부캡과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하부캡의 상부를 덮도록 폴딩 가능한 상부캡(11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성찬식 컵{THE ASSEMBLED CUP FOR SACRAMENTAL CEREMONY}
본 명세서는 성찬식용 컵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성찬식용 컵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성찬식용 컵은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종래 성찬식용 컵은 일반적인 컵과 다르지 않다.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컵에 포도주를 따르고, 성찬식용 빵을 별도로 나눠주어 성찬식이 행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성찬식을 진행하면서 신도들간 감염병의 감염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포도주가 미리 담겨지고 비닐뚜껑이 접착제로 붙여진 일회용 성찬식 컵이 출시되었으나, 성찬식용 빵은 여전히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접착제로 붙여진 비닐뚜껑을 개봉하는 과정에서 포도주가 컵 외부로 튀어 버리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허출원공개 제10-2002-0031849호 (2002.05.03) [출원인 :백병룡]
본 명세서는 신도들 개별적으로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을 제공받고,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컵의 뚜껑 개봉 시 컵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의 성찬식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신도가 손쉽게 성찬식용 빵을 꺼낼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성찬식 준비자가 성찬식용 빵과 포도주를 준비할 때, 성찬식용 빵을 보관하는 용기부분의 밑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도주의 오염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1000)은, 포도주를 담기 위한 용기(容器)(200) 및 상기 용기(200)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캡(100)을 포함하되, 상기 캡(10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캡(120), 상기 하부캡과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하부캡의 상부를 덮도록 폴딩 가능한 상부캡(11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2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 하부캡 플레이트(121) 및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측벽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는 성찬용 빵(10)이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10)은, 상기 상부캡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 위에 위치하는 상부캡 플레이트(111) 및 상기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벽부를 감싸는 제2 측벽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120)은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110)의 제2 측벽부(112)는 상기 걸림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구(113) 및 상기 걸림구(113)가 형성된 영역 아래에, 상기 걸림부(12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20)의 제1측벽부(122)는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둘레 일 부분에만 형성이 되며, 상기 걸림부(123)를 중심으로 하부캡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른 소정 구간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에 놓여진 성찬용 빵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벽부(122)의 양 단부(122e)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도들 개별적으로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을 제공받고,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컵의 뚜껑 개봉 시 컵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의 성찬식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도가 손쉽게 성찬식용 빵을 꺼낼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찬식 준비자가 성찬식용 빵과 포도주를 준비할 때, 성찬식용 빵을 보관하는 용기부분의 밑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도주의 오염을 예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1000)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찬식용 빵(10)이 표시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1000)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대 위에 용기(200)와 캡(100)이 각각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컵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 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명세서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파트가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체형 성찬식 컵은 교회 등에서 성찬식에 사용되는 컵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체형 성찬식 컵(1000)은 용기(容器)(200)와 캡(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200)는 포도주를 담기 위한 저장공간으로서, 일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용기(200)는 바닥에서 상부로 갈수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용기는 원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용기(200)는 포도주를 담는 바디(220)와 바디(220)의 개구부쪽 단부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10)는 바디의 외측면보다 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10)는 후술할 하부캡(120)이 용기(2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캡(120)의 아랫면 단부(122b)를 미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캡(100)은 용기(200)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캡(100)은, 용기(200)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캡(120)과 하부캡(120)과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되며, 하부캡(120)의 상부를 덮도록 폴딩 가능한 상부캡(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하부캡(120)은 용기의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 하부캡 플레이트(121) 및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측벽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캡 플레이트(121)와 제1 측벽부(122)는 성찬용 빵(10)이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성찬식 준비자는 하부캡 플레이트(121) 위에 빵을 넣고 상부캡(110)을 폴딩함으로써 빵을 캡(100) 안에 보관할 수 있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하부캡(120)의 제1측벽부(122)는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둘레 중 일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캡 플레이트(121)위 공간이 모두 제1 측벽부(122)로 둘러싸이는 것이 아니라 소정 부분은 측벽이 개방될 수 있다. 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신도들은 성찬식 빵을 밀어서 캡(100) 밖으로 꺼낼 수 있다. 즉 이에 따라서 성착식 빵이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캡 플레이트(121)에 놓여진 성찬용 빵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토출 될 수 있도록, 제1 측벽부(122)의 양 단부(122e)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벽부(122)는 둘레방향(원의 호 방향)으로 곡선(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곡선(곡면)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곡면에 의해 성찬용 빵이 손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캡(110)은 상부캡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 위에 위치하는 상부캡 플레이트(111) 및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폴딩되었을 때) 제1 측벽부(122)를 감싸는 제2 측벽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캡은 하부캡 플레이트(121)에 놓여진 성찬용 빵의 윗 부분을 덮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측벽부(122)의 높이h2는 제2 측벽부(112)의 높이h1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측벽부의 높이h1은 성찬용 빵의 높이와 제1측벽부의 높이 h2의 합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또한 제2 측벽부(112)는 상술한 제1 측벽부(121)와 동일하게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둘레 중 적어도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112e)는 곡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딩된 상부캡(110)이 하부캡(120)에 고정되기 위해서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은 소정의 구성요소를 더 가질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캡(120)은 하부캡 플레이트(12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제1 측벽부(122)가 형성되지 않는 구간은 상기 걸림부(123)의 주변부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3)에 대응되게 상술한 상부캡(110)의 제2 측벽부(112)는 걸림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부캡(110)이 폴딩됨에 따라서 걸림부(123)가 걸림구(113)에 삽입되어 상부캡과 하부캡이 고정될 수 있다. 성찬식 준비자는 하부캡 플레이트(121) 위에 성찬식용 빵을 놓고 상부캡을 폴딩하여 하부캡과 고정시킴으로써 성찬식용 빵을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신도가 성찬식용 빵을 꺼내기 쉽도록, 상부캡(110)은 걸림구(113)가 형성된 영역 아래에(도 1 참조), 상기 걸림부(12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걸림구 위에 손잡이부(114)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걸림구 위에 또는 옆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신도가 손잡이부를 위쪽으로 밀면, 걸림구에 삽입된 걸림부가 빠지면서 상부캡과 하부캡이 펼쳐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1000)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외형의 변화가 사람의 힘으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1000)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캡(120)이 용기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성찬식 준비자는 용기에 포도주를 채운 후, 하부캡(120)을 용기의 상단에 끼워 우선 포도주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찬식용 빵(10)이 표시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성찬식용 빵(10)은 상술한 하부캡과 상부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찬식용 빵은 원반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1000)의 측면도이다. 도 4의 측면도는 도2의 상태와 같이 하부캡(120)이 용기에 결합되고, 상부캡(110)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캡은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를 윗면과 측면에서 감싸면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용기 내부의 포도주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부캡은 하부캡을 윗면과 측면에서 감싸면서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캡은 하부캡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를 더 참조하면 걸림부(123)는 돌출된 일 면이 아래쪽은 직각이며 상부는 라운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상부가 라운드된 형태를 가질 경우 걸림부는 걸림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도 4에서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200)의 밑면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측벽부(122)는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로도 연장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제1 측벽부(122)는 위쪽 및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특히 돌출된 측벽부 아래 부분(122b)는 용기의 미끄럼방지부(210)와 접촉하여 서로 미는 힘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대 위에 용기(200)와 캡(100)이 각각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용기(200)에 포도주를 담을 수 있다. 그 후 작업대에 올려진 캡(100)에 성찬식용 빵을 넣고 캡을 닫은 후, 캡을 용기에 끼울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 캡은 작업대에 올려질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120)은 제1 측벽부의 아래부분(122b)로 인하여 작업대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h3 이격될 수 있다. 즉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아랫면이 바닥에 닿지 않을 수 있다.
이 아랫면은 캡이 용기와 결합시, 포도주가 직접 닿을 수도 있는 부분으로서, 오염될 경우 포도주에 오염물질이 전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밑면이 바닥과 소정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1측벽부(122)는 성찬식용 빵이 위치할 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상부 돌출 부분), 포도주와 접촉 가능한 하부캡의 밑면이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하부 돌출 부분), 용기와 캡이 고정되도록 용기의 미끄럼방지부를 안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할 수도 있다(하부 돌출 부분).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컵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110)은 하부캡(12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되며, 폴딩 및 언폴딩 될 수 있다.
이상에 따른 일체형 성찬식 컵은 신도들 개별적으로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을 제공받고,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게 하며, 컵의 뚜껑 개봉 시 컵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신도가 손쉽게 성찬식용 빵을 꺼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성찬식 준비자가 성찬식용 빵과 포도주를 준비할 때, 성찬식용 빵을 보관하는 용기부분의 밑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도주의 오염을 예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캡
200 : 용기
110 : 상부캡
111 : 상부캡 플레이트
112 : 제2 측벽부
120 : 하부캡
121 : 하부캡 플레이트
122 : 제1 측벽부
1000 : 일체형 성찬식 컵

Claims (5)

  1. 성찬식에 사용되는 일체형 성찬식 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체형 성찬식 컵(1000)은,
    포도주를 담기 위한 용기(容器)(200); 및
    상기 용기(200)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캡(100)을 포함하되,
    상기 캡(10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캡(120);
    상기 하부캡과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하부캡의 상부를 덮도록 폴딩 가능한 상부캡(110)을 포함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2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 하부캡 플레이트(121); 및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측벽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는 성찬용 빵(10)이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10)은,
    상기 상부캡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 위에 위치하는 상부캡 플레이트(111); 및
    상기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벽부를 감싸는 제2 측벽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120)은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110)의 제2 측벽부(112)는 상기 걸림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구(113); 및
    상기 걸림구(113)가 형성된 영역 아래에, 상기 걸림부(12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20)의 제1측벽부(122)는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의 둘레 일 부분에만 형성이 되며, 상기 걸림부(123)를 중심으로 하부캡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른 소정 구간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에 놓여진 성찬용 빵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토출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벽부(122)의 양 단부(122e)는 곡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KR1020200166207A 2020-12-02 2020-12-02 일체형 성찬식 컵 KR10247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07A KR102473849B1 (ko) 2020-12-02 2020-12-02 일체형 성찬식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07A KR102473849B1 (ko) 2020-12-02 2020-12-02 일체형 성찬식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357A true KR20220077357A (ko) 2022-06-09
KR102473849B1 KR102473849B1 (ko) 2022-12-02

Family

ID=8198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207A KR102473849B1 (ko) 2020-12-02 2020-12-02 일체형 성찬식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849A (ko) 2000-10-24 2002-05-03 백병룡 종교의식용 성찬기세트
KR200322101Y1 (ko) * 2003-04-09 2003-07-31 씨제이 주식회사 조미료 용기
JP3197956U (ja) * 2015-03-27 2015-06-11 株式会社シンギ 飲食用容器
KR102040508B1 (ko) * 2017-12-13 2019-11-05 박미경 이중구조 뚜껑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956B2 (ja) * 1992-09-21 2001-08-1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849A (ko) 2000-10-24 2002-05-03 백병룡 종교의식용 성찬기세트
KR200322101Y1 (ko) * 2003-04-09 2003-07-31 씨제이 주식회사 조미료 용기
JP3197956U (ja) * 2015-03-27 2015-06-11 株式会社シンギ 飲食用容器
KR102040508B1 (ko) * 2017-12-13 2019-11-05 박미경 이중구조 뚜껑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849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56032B2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DK2956377T3 (en) CONTAINER WITH A BASE AND LOW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US20070284276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US7614518B2 (en) Holder for baked goods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CN101500898B (zh) 具有堆积装置的容器组件
KR20170004080U (ko) 달걀 보관함
KR20220077357A (ko) 일체형 성찬식 컵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JP2004167112A (ja) 箸で携帯枠に固定する段積み弁当箱セット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JPS6320386Y2 (ko)
JP7404401B2 (ja) 保持具
JP2002308340A (ja) クーラーボックス
RU149264U1 (ru) Крышка контейнера
JP2017088202A (ja) 蓋体付き容器体
JP3028198U (ja) 弁当容器
KR200486245Y1 (ko) 반지 케이스
JP3083929U (ja) 金属製小物の収納容器
KR200481323Y1 (ko) 보관 용기
KR200380764Y1 (ko) 병에 컵지지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