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335B1 -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 Google Patents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335B1
KR102607335B1 KR1020210048773A KR20210048773A KR102607335B1 KR 102607335 B1 KR102607335 B1 KR 102607335B1 KR 1020210048773 A KR1020210048773 A KR 1020210048773A KR 20210048773 A KR20210048773 A KR 20210048773A KR 102607335 B1 KR102607335 B1 KR 102607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on
lower cap
bread
side wall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270A (ko
Inventor
송우신
Original Assignee
송우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신 filed Critical 송우신
Priority to KR102021004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3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2Communion cups, chali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Abstract

본 명세서는, 성찬식에 사용되는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1000)은, 포도주를 담기 위한 용기(容器)(200) 및 상기 용기(200)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캡(100)을 포함하되, 상기 캡(10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캡(130), 상기 하부캡(130)과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하부캡의 상부 및 측면부를 덮도록 폴딩 가능하며, 폴딩시 상기 하부캡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위치하는 상부캡(11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캡(13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 하부캡 플레이트(131),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측벽부(132) 및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상면에 돌출된 빵받침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는 성찬용 빵이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THE ASSEMBLED ONE-TOUCH CUP FOR SACRAMENTAL CEREMONY}
본 명세서는 성찬식용 컵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원터치로 오픈 가능한 성찬식용 컵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성찬식용 컵은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을 위생적으로 보관 및 음용할 수 있게 한다.
종래 성찬식용 컵은 일반적인 컵과 다르지 않다.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컵에 포도주를 따르고, 성찬식용 빵을 별도로 나눠주어 성찬식이 행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성찬식을 진행하면서 신도들간 감염병의 감염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포도주가 미리 담겨지고 비닐뚜껑이 접착제로 붙여진 일회용 성찬식 컵이 출시되었으나, 성찬식용 빵은 여전히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접착제로 붙여진 비닐뚜껑을 개봉하는 과정에서 포도주가 컵 외부로 튀어 버리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허출원공개 제10-2002-0031849호 (2002.05.03) [출원인 :백병룡]
본 명세서는 신도들 개별적으로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을 제공받고,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컵의 뚜껑 개봉 시 컵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의 성찬식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신도가 위생적이고 손쉽게 성찬식용 빵을 꺼낼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신도가 빵에 손을 최대한 접촉하지 않고 취식할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성찬식 준비자가 성찬식용 빵과 포도주를 준비할 때, 성찬식용 빵을 보관하는 용기부분의 밑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도주의 오염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성찬식에 사용되는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1000)은, 포도주를 담기 위한 용기(容器)(200) 및 상기 용기(200)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캡(100)을 포함하되, 상기 캡(10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캡(130), 상기 하부캡(130)과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하부캡의 상부 및 측면부를 덮도록 폴딩 가능하며, 폴딩시 상기 하부캡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위치하는 상부캡(110)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3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 하부캡 플레이트(131),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측벽부(132) 및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상면에 돌출된 빵받침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는 성찬용 빵이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10)은, 상기 상부캡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 위에 위치하는 상부캡 플레이트(111), 상기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벽부를 감싸는 제2 측벽부(112) 및 상기 제2 측벽부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13)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113)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30)의 제1측벽부(132)는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둘레 일 부분에만 형성이 되며, 상기 제1 측벽부(13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132c)은 상기 연결부와 대향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빵받침부(133)에 놓여진 성찬용 빵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토출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벽부(122)의 양 단부(122e)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빵받침부(133)는 소정 높이를 갖는, 링 또는 속이 빈 다각형 형태의 기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도들 개별적으로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을 제공받고,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컵의 뚜껑 개봉 시 컵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의 성찬식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도가 위생적이고 손쉽게 성찬식용 빵을 꺼낼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도가 빵에 손을 최대한 접촉하지 않고 취식할 수 있는 성찬식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찬식 준비자가 성찬식용 빵과 포도주를 준비할 때, 성찬식용 빵을 보관하는 용기부분의 밑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도주의 오염을 예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의 사용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찬식 컵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용 컵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용 컵의 오픈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용 컵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용 컵의 하부캡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 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명세서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파트가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의 사용예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은 교회 등에서 성찬식에 사용되는 컵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1000)은 용기(容器)(200)와 캡(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200)는 포도주를 담기 위한 저장공간으로서, 일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용기(200)는 바닥에서 상부로 갈수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용기는 원기둥 형태일 수도 있으며 다른 다각형의 3차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용기(200)는 포도주를 담는 바디(220)와 바디(220)의 개구부쪽 단부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10)는 바디의 외측면보다 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10)는 후술할 하부캡(130)이 용기(2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캡(130)의 아랫면 단부(122b)를 미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캡(100)은 용기(200)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캡(100)은, 용기(200)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캡(130)과 하부캡(130)과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되며, 하부캡(130)의 상부를 덮도록 폴딩 가능하며, 폴딩시 하부캡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위치하는 상부캡(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하부캡(130)은 용기의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 하부캡 플레이트(131) 및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측벽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캡 플레이트(131)와 제1 측벽부(132)는 성찬용 빵(10)이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서 하부캡(130)은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상면에 돌출된 빵받침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빵받침부(133)는 소정 높이를 갖는, 링 또는 속이 빈 다각형 형태의 기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빵받침부(133)는 빵과 접촉하는 면을 최소화하면서 빵을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임의의 구조체일 수 있다. 일 예로 빵받침부(133)는 하나의 피라미드 형태 또는 보수의 피라미드형태의 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성찬식 준비자는 하부캡 플레이트(131) 위에 빵을 넣고 상부캡(110)을 폴딩함으로써 빵을 캡(100) 안에 보관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상기 상부캡(110)은, 상기 상부캡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21) 위에 위치하는 상부캡 플레이트(111, 상기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벽부를 감싸는 제2 측벽부(112) 및 상기 제2 측벽부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113)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13)를 밀어 상부캡을 오픈하고, 빵받침대 위에 놓여진 빵을 꺼내 먹을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찬식 컵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성찬식용 빵(10)은 빵받침대 위에 놓여질 수 있다. 그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110)이 하부캡(130)으로 폴딩됨으로써 닫힐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찬식용 빵(10)이 표시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성찬식용 빵(10)은 상술한 하부캡과 상부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찬식용 빵은 원반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는 도 4의 상태로 신도(성찬식 참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캡(130)이 용기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성찬식 준비자는 용기에 포도주를 채운 후, 하부캡(130)을 용기의 상단에 끼워 우선 포도주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용 컵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캡 부분이 상부캡 부분에 비하여 큰 부피를 차지하며, 컵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부캡이 오픈되더라도 컵이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5의 측면도는 도2의 상태와 같이 하부캡(130)이 용기에 결합되고, 상부캡(110)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캡은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를 윗면과 측면에서 감싸면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용기 내부의 포도주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부캡은 하부캡을 윗면과 측면에서 감싸면서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캡은 하부캡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용 컵의 오픈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캡(110)은 상부캡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 위에 위치하는 상부캡 플레이트(111) 및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폴딩되었을 때) 제1 측벽부(132)를 감싸는 제2 측벽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캡은 하부캡 플레이트(121)에 놓여진 성찬용 빵의 윗 부분을 덮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용 컵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일 예에서 제1 측벽부(132)의 높이d3는 제2 측벽부(112)의 높이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측벽부의 높이는 성찬용 빵의 높이와 빵받침대의 높이d1,d2의 합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일 예에서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돌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형태는 상술한 빵받침대(133)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이에 대하여 설명한 예시 중 하나일 수 있다. 돌출부는 빵이 상부캡플레이트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에서 빵받침대의 높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서 d1과 d2는 서로 다른 갓일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d2가 d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빵은 연결부(120)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자연스럽게 또는 손쉽게 빵받침대에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제2 측벽부(112)는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둘레 중 적어도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는 곡선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용 컵의 하부캡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부캡(130)의 제1측벽부(132)는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둘레 중 일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도 9의 (a)). 즉 하부캡 플레이트(131)위 공간이 모두 제1 측벽부(132)로 둘러싸이는 것이 아니라 소정 부분은 측벽이 개방될 수 있다. 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신도들은 성찬식 빵을 밀어서 캡(100) 밖으로 꺼낼 수 있다. 즉 이에 따라서 성착식 빵이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캡 플레이트(131)에 빵 받침대는 존재하지 않거나(도 9의 (b)) 또는 음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빵받침대는 하부캡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부분이 비어지거나 홈이 생김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캡 플레이트(131)에 또는 빵받침대(133)에 놓여진 성찬용 빵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토출 될 수 있도록, 제1 측벽부(132)의 양 단부(132a,132b)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벽부(132)는 둘레방향(원의 호 방향)으로 곡선(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곡선(곡면)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곡면에 의해 성찬용 빵이 손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에서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제1측벽부(132)의 적어도 일 부분은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부분을 푸시부(132f)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푸시부(132f)의 외측을 누름으로써 내측에 위치하는 빵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되도록 신도의 손이 빵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해야하기 때문에, 푸시부(132f)의 외부를 누름으로써 빵을 토출시켜 신도가 빵을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푸시부(132f)는 제1 측벽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반대면 또는 제1 측벽부의 높이가 낮은 부분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1000)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외형의 변화가 사람의 힘으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 따른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은 신도들 개별적으로 포도주와 성찬식용 빵을 제공받고,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게 하며, 컵의 뚜껑 개봉 시 컵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신도가 손쉽게 성찬식용 빵을 꺼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성찬식 준비자가 성찬식용 빵과 포도주를 준비할 때, 성찬식용 빵을 보관하는 용기부분의 밑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도주의 오염을 예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캡
200 : 용기
110 : 상부캡
111 : 상부캡 플레이트
112 : 제2 측벽부
120 : 연결부
130 : 하부캡
131 : 하부캡 플레이트
132 : 제1 측벽부
1000 :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Claims (6)

  1. 성찬식에 사용되는 일체형 성찬식 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체형 성찬식 컵(1000)은,
    포도주를 담기 위한 용기(容器)(200); 및
    상기 용기(200)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캡(100)을 포함하되,
    상기 캡(10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캡(130);
    상기 하부캡(130)과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하부캡의 상부 및 측면부를 덮도록 폴딩 가능하며, 폴딩시 상기 하부캡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위치하는 상부캡(11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130)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 하부캡 플레이트(131);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측벽부(132); 및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상면에 돌출된 빵받침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는 성찬용 빵이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10)은,
    상기 상부캡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 위에 위치하는 상부캡 플레이트(111);
    상기 상부캡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벽부를 감싸는 제2 측벽부(112); 및
    상기 제2 측벽부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13)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113)는 연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30)의 제1측벽부(132)는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둘레 일 부분에만 형성이 되며, 상기 제1 측벽부(13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132c)은 상기 연결부와 대향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 플레이트(131)의 빵받침부(133)에 놓여진 성찬용 빵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토출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벽부(132)의 양 단부(132a, 132b)는 곡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빵받침부(133)는 소정 높이를 갖는, 링 또는 속이 빈 다각형 형태의 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성찬식 컵.
KR1020210048773A 2021-04-14 2021-04-14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KR102607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73A KR102607335B1 (ko) 2021-04-14 2021-04-14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73A KR102607335B1 (ko) 2021-04-14 2021-04-14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270A KR20220142270A (ko) 2022-10-21
KR102607335B1 true KR102607335B1 (ko) 2023-11-29

Family

ID=8380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773A KR102607335B1 (ko) 2021-04-14 2021-04-14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3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956B2 (ja) * 1992-09-21 2001-08-1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849A (ko) 2000-10-24 2002-05-03 백병룡 종교의식용 성찬기세트
JP3197956U (ja) * 2015-03-27 2015-06-11 株式会社シンギ 飲食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956B2 (ja) * 1992-09-21 2001-08-1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270A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816B2 (e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D561522S1 (en) Container lid with anti-spill spout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US20060118453A1 (en) Cup caddy
KR101456387B1 (ko) 식품 및 음료 용기
US20180072460A1 (en) Container
CN111655070A (zh) 具有抓握部的容器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USD982977S1 (en)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with cup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KR101556424B1 (ko) 포장 용기
JP6328371B2 (ja) 飲み物用カップ蓋および飲み物用カップ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KR102473849B1 (ko) 일체형 성찬식 컵
CA2360947A1 (en) Improved lid for a container
KR102096186B1 (ko) 조립식 음료수병
WO2004000086A1 (en) Vacuum flask
JP3235667U (ja) 容器組立体及びその蓋体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200429418Y1 (ko) 컵 뚜껑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