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101Y1 - 조미료 용기 - Google Patents

조미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101Y1
KR200322101Y1 KR20-2003-0010772U KR20030010772U KR200322101Y1 KR 200322101 Y1 KR200322101 Y1 KR 200322101Y1 KR 20030010772 U KR20030010772 U KR 20030010772U KR 200322101 Y1 KR200322101 Y1 KR 200322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lid
capacity
smal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수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0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미료의 대용량 또는 소용량 배출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하는 조미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조미료 용기는, 조미료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소정의 조미료를 수용하고, 상방에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면에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 베이스; 상기 뚜껑 베이스의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 베이스와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대용량 뚜껑; 및 상기 대용량 뚜껑의 관통구 내벽에 형성된 중심축에 회전지지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일측을 버튼식으로 누르면 타측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소용량 조미료 배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대용량 뚜껑의 관통구 내벽에 형성된 중심축에 회전지지되는 소용량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소용량 뚜껑이 대용량 뚜껑에 설치되어 조미료 배출 용량의 선택이 자유롭고,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여 한 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조미료 양 조절을 필요할 때,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조미료 용기{Seasoning container}
본 고안은 조미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미료의 대용량 또는 소용량 배출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하는 조미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조미료는 일상 조리 생활에서 없어서 안 되는 필수 음식 재료이다.
이러한 조미료는 요리 중 시간에 맞추어 신속한 투입이 요구되고, 음식의 맛을 위해 조리사나 시식자가 원하는 량만큼의 적당량이 투입되도록 투입량이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특히, 조리사나 주부들에게는 조미료 용기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 종래의 조미료 용기는, 소정량의 조미료를 수용하는 몸체에 소용량 구멍과 대용량 구멍을 뚫어 놓고, 소용량 구멍과 대용량 구멍에 각각 뚜껑을 달아서 사용하거나, 슬라이딩식 뚜껑을 달아서 트위스트식으로 회전시키거나 미끄러뜨려서 상기 소용량 구멍과 대용량 구멍을 번갈아가며 막을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수용된 조미료가 소용량 또는 대용량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미료 용기는, 소용량 구멍과 대용량 구멍을 선택적으로 열고 닫는 과정에서 반드시 두 손을 모두 이용하거나, 열고 닫아야 하는 뚜껑이 두 개로 이중 작업을 하거나, 열고 닫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조미료 양 조절이 어렵고, 양 조절에 필요한 시간으로 인하여 신속한 조미작업이 어려운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조미료 용기는, 소용량 구멍 및 대용량 구멍이 모두 상방을 향하거나, 측방을 향하고 있어서, 흔히 조미료를 스푼으로 떠서 이용하는 대용량 구멍은 상방으로, 직접 음식에 뿌리는 소용량 구멍은 측방으로 형성되는 섬세한 고려가 부족하다.
또한, 종래의 조미료 용기는, 슬라이딩식이나 별도 뚜껑으로 인하여 조미료가 배출되는 입구의 밀봉성이 나쁘고, 조미료 보관성이 떨어지며,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기 쉬워서 입구에 묻은 조미료로 인하여 조미료 용기의 외관을 해치거나, 조미료 및 조미료 용기가 외부 물질로부터 오염되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용량 뚜껑이 대용량 뚜껑에 설치되어 조미료 배출 용량의 선택이 자유롭고,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여 한 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조미료 양 조절을 필요할 때,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조미료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미료를 스푼으로 떠서 이용하는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는 상방으로 형성되고, 직접 음식에 뿌리는 소용량 조비료 배출구는 측방으로 형성되어 조미료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조미료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힌지 마개식 대용량 뚜껑과, 지렛대 수납식 소용량 뚜껑을 구비하여 조미료가 배출되는 입구의 밀봉성이 좋고, 조미료 보관성능을 향상시키며, 소용량 조미료 배출구의 입구가 내부로 수납되어 입구에 조미료가 묻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인 동시에 조미료 용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조미료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미료 용기의 대용량 조미료 배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미료 용기의 소용량 조미료 배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미료 용기는, 조미료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소정의 조미료를 수용하고, 상방에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면에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 베이스; 상기 뚜껑 베이스의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 베이스와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대용량 뚜껑; 및 상기 대용량 뚜껑의 관통구 내벽에 형성된 중심축에 회전지지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일측을 버튼식으로 누르면 타측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소용량 조미료 배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대용량 뚜껑의 관통구 내벽에 형성된 중심축에 회전지지되는 소용량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조미료의 잔량을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반투명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뚜껑 베이스와 대용량 뚜껑은 힌지부를 관통하는 금속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대용량 뚜껑과 소용량 뚜껑은, 소용량 뚜껑에 형성된 걸림홀에 상기 중심축이 억지 물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용량 뚜껑의 닫힘시 상기 뚜껑 베이스와 대용량 뚜껑의 억지 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 베이스의 원주면에 일방향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대용량 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손으로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들린 형상의 걸림주걱이 형성되고, 상기 소용량 뚜껑의 중심축은 선단부의 노출면이 넓어지도록 후방에 치우쳐 형성되고, 후방 상면에는 누르는 자리를 표시하는 누름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는, 크게 몸체(10)와, 뚜껑 베이스(20)와, 대용량 뚜껑(30) 및 소용량 뚜껑(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조미료(1)를 수용하고, 상방에 개방된 개구(10a)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0)는 조미료(1)의 잔량을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반투명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몸체(10)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원통형인 것이 아니라 조미료(1)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통, 삼각통 등 다양한 형태의 통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베이스(20)는, 상기 몸체(10)의 개구(10a)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면에 별도의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20a)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용량 뚜껑(30)은, 상기 뚜껑 베이스(20)의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20a)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 베이스(20)와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면에 별도의 관통구(30a)가 형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 베이스(20)와 대용량 뚜껑(30)은 힌지부를 관통하는 금속핀(2)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용량 뚜껑(40)은, 상기 대용량 뚜껑(30)의 관통구(30a) 내벽에 형성된 중심축(32)에 회전지지되고, 상기 중심축(32)을 중심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일측을 버튼식으로 누르면 타측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원주면에 형성된 소용량 조미료 배출구(40a)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대용량 뚜껑(30)의 관통구(30a) 내벽에 형성된 중심축(32)에 회전지지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대용량 뚜껑(30)과 소용량 뚜껑(40)은, 소용량 뚜껑(40)에 형성된 걸림홀(40b)에 상기 중심축(32)이 물림되어 서로 헐겁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대용량 뚜껑(30)의 닫힘시 상기 뚜껑 베이스(20)와 대용량 뚜껑(30)의 억지 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 베이스(20)의 원주면에 일방향 걸림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대용량 뚜껑(30)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2)와 대응하는 걸림홈(34)이 형성되며, 손으로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들린 형상의 걸림주걱(3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용량 뚜껑(40)의 회전중심이 되는 중심축(32)은 선단부의 노출면이 넓어지도록 후방에 치우쳐 형성되고, 후방 상면에는 누르는 자리를 표시하는 누름홈(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조미료(1)를 보관할 때, 뚜껑 베이스(20)에 설치된 상기 대용량 뚜껑(30)과 소용량 뚜껑(40)이 모두 닫혀 있어서, 내부의 조미료를 변질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미료(1)를 음식물에 많이 투여하는 경우, 상기 대용량 뚜껑(30)을 열어서,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20a)를 통해 다량의 조미료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20a)는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계량 스푼의 유출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미료(1)를 음식물에 조금씩 투여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누름홈(42) 부분을 눌러서 상기 소용량 뚜껑(40)의 선단 원주면이 노출되도록 들어 올림으로써 노출된 소용량 조미료 배출구(40a)를 통해 조미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소용량 조미료 배출구(40a)는 상방이 아닌 측방, 즉 앞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미료(1)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뿌리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앞 방향 즉, 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조미료 용기에 국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상의 조미료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조미료 용기에는 조미료 이외에 각종 음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조미료 용기에 의하면, 소용량 뚜껑이 대용량 뚜껑에 설치되어 조미료 배출 용량의 선택이 자유롭고,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여 한 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조미료 양 조절을 필요할 때,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조미료를 스푼으로 떠서 이용하는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는 상방으로 형성되고, 직접 음식에 뿌리는 소용량 조비료 배출구는 측방으로 형성되어 조미료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모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힌지 마개식 대용량 뚜껑과,지렛대 수납식 소용량 뚜껑을 구비하여 조미료가 배출되는 입구의 밀봉성이 좋고, 조미료 보관성능을 향상시키며, 소용량 조미료 배출구의 입구가 내부로 수납되어 입구에 조미료가 묻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인 동시에 조미료 용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조미료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소정의 조미료를 수용하고, 상방에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면에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 베이스;
    상기 뚜껑 베이스의 대용량 조미료 배출구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 베이스와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대용량 뚜껑; 및
    상기 대용량 뚜껑의 관통구 내벽에 형성된 중심축에 회전지지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일측을 버튼식으로 누르면 타측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소용량 조미료 배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대용량 뚜껑의 관통구 내벽에 형성된 중심축에 회전지지되는 소용량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조미료의 잔량을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반투명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뚜껑 베이스와 대용량 뚜껑은 힌지부를 관통하는 금속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대용량 뚜껑과 소용량 뚜껑은, 소용량 뚜껑에 형성된 걸림홀에 상기 중심축이 헐겁게 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 뚜껑의 닫힘시 상기 뚜껑 베이스와 대용량 뚜껑의 억지 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 베이스의 원주면에 일방향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대용량 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손으로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들린 형상의 걸림주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용량 뚜껑의 중심축은 선단부의 노출면이 넓어지도록 후방에 치우쳐 형성되고, 후방 상면에는 누르는 자리를 표시하는 누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KR20-2003-0010772U 2003-04-09 2003-04-09 조미료 용기 KR200322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72U KR200322101Y1 (ko) 2003-04-09 2003-04-09 조미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72U KR200322101Y1 (ko) 2003-04-09 2003-04-09 조미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101Y1 true KR200322101Y1 (ko) 2003-07-31

Family

ID=4941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772U KR200322101Y1 (ko) 2003-04-09 2003-04-09 조미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1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357A (ko) * 2020-12-02 2022-06-09 송우신 일체형 성찬식 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357A (ko) * 2020-12-02 2022-06-09 송우신 일체형 성찬식 컵
KR102473849B1 (ko) * 2020-12-02 2022-12-02 송우신 일체형 성찬식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1564C (en) Container with drip-proof cap
CN108784390A (zh) 具有可调节的蒸汽通道的盖
US20080083639A1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s and methods
US5669400A (en) Cosmetic jar and storage device
US20060191948A1 (en) Closure with lid having an opening resistance
US6286731B1 (en) Sealed dispensing container
KR200322101Y1 (ko) 조미료 용기
JP5306857B2 (ja) 取出口を二つ設けた容器
KR20180070042A (ko)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KR101490768B1 (ko)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JP3371883B2 (ja) 電気ポットの蓋開閉装置
CN216439072U (zh) 一种陶瓷调味罐
CN210902727U (zh) 可旋开的食用油油壶
JP2001031162A (ja) 麺類ストッカー
CN219709149U (zh) 一种过滤壶结构
JP3242897U (ja) 調味料ボトルの蓋
JPH0720045Y2 (ja) 容 器
KR200277198Y1 (ko) 개폐손잡이가 형성된 튜브용기 뚜껑
JP3028049B2 (ja) 飲料製造装置の貯蔵容器用の蓋体
KR100845879B1 (ko) 조미료 용기
KR200356810Y1 (ko) 위생간장용기
KR200346292Y1 (ko) 다기능 주전자
JPH0344684Y2 (ko)
KR20190131187A (ko) 정량 토출이 가능한 캡 구조
KR20030049477A (ko) 개폐손잡이가 형성된 튜브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