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768B1 -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 Google Patents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768B1
KR101490768B1 KR20140000153A KR20140000153A KR101490768B1 KR 101490768 B1 KR101490768 B1 KR 101490768B1 KR 20140000153 A KR20140000153 A KR 20140000153A KR 20140000153 A KR20140000153 A KR 20140000153A KR 101490768 B1 KR101490768 B1 KR 10149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eighing
barrel
season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0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운
방복구
Original Assignee
김용운
방복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운, 방복구 filed Critical 김용운
Priority to KR20140000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768B1/ko
Priority to CN201480065281.7A priority patent/CN105792709B/zh
Priority to PCT/KR2014/005328 priority patent/WO2015080359A1/ko
Priority to JP2016535137A priority patent/JP201750608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768B1/ko
Priority to US15/161,296 priority patent/US201602625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의 맛을 돋우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양념을 담아 조리시 또는 식사시 필요한 양만큼의 양념을 편리하게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념통(10)은 배럴(20), 계량 부재(40) 및 덮개 부재(50)를 구비하여, 크기가 커지거나 복잡한 장치 구성이 배제되므로 일반적인 병으로 형태의 양념통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양념통 본래의 사용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여 싱크대와 같은 조리대, 식탁 등에 병의 형태로 놓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양념의 계량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CRUET HAVING MEASURING FUNCTION}
본 발명은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음식의 맛을 돋우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양념을 담아 조리시 또는 식사시 필요한 양만큼의 양념을 편리하게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조리시에 정량의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를 위해서 계량기구가 사용된다. 음식을 조리시에는 다양한 양념이 사용되고 각 양념마다 정량을 달리하여 조리를 하므로 매번 양념을 첨가할 때마다 계량 수푼을 사용하여 정량을 재는 것은 조리사를 번거롭게 한다.
최근 웰빙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량의 조미료를 사용하여 인체에 건강한 식사를 만들려고 한다. 따라서 손쉽게 양념을 계량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관심이 대두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10248호 "양 조절 양념통"은 소금이나 설탕 등을 넣어두는 양념통의 나오는 양 조절에 관한 것으로서, 양념통 안의 상하 두 판이 겹치면서 나오는 양이 조절되게 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 두 판은 양념 통의 뚜껑 안에 위치해 있으며, 스위치가 움직임에 따라 겹치는 정도가 달라져 나오는 양이 조절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7472호 "계량스푼이 필요 없는 양념통"은 양념통 자체에 계량기능을 추가시키기 위해 양념통 본체를 둘러싸는 외벽, 리필 구멍, 뚜껑, 뚜껑의 손잡이, 이동체,양념배출입구가 있는 상판, 양념배출입구가 있는 하판, 경사로, 스프링, 당김 레버, 당김 레버의 손잡이, 양념통 본체의 내부, 하단 판의 배출통로로 되어있어, 당김 레버를 당겼을 때, 이동체 사이의 일정한 공간에 양념이 담기게 됨으로써 양념의 계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계량 스푼 없이도 정확하고 일정한 양의 양념을 배출하는 양념통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397호 "양념통 계량 마개(뚜껑)"은 양념이 최초로 들어가고 구멍으로 형성된 양념투입구와, 상기 양념투입구와 어긋나게 형성하고 양념을 배출시키는 구멍으로 형성된 양념분사구와, 상기 양념투입구와 상기 양념분사구의 사이에 형성하여 적당량의 양념이 들어갈 공간을 형성하는 양념계량틀과, 상기 양념계량틀과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들어갈 홈이 형성된 걸림돌기걸림투입구와, 상기 걸림돌기걸림투입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양념계량틀을 내부로 밀어주는 누름버튼과, 상기 걸림돌기걸림투입구 내부에 걸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양념계량틀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걸림돌기와 상기 양념계량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양념계양틀을 외부로 밀어내는 탄성의 스프링으로 구성된 양념통 계량마개의 내부에 형성되어 양념이 적당량 들어갈 공간이 형성된 양념담는통의 상부와 돌려서 결합하도록 돌출 형성된 양념통과마개결합돌기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계량 수푼과 같이 정확한 양념량을 계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계량 수푼의 경우, 1.25cc(1/2 작은 술), 3.75cc(1/4 큰술), 5cc(1 중간술), 7.5cc(1/2 큰술) 등 세밀하게 양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종래기술에서 제공하는 양념통은 이와 같은 세밀한 계량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7472호와 같이 계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양념통 본래의 구조를 벗어나 복잡한 장치화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싱크대와 같은 조리대, 식탁 등에 병의 형태로 놓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념통 본래의 사용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양념의 계량 기능을 갖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병으로 형태의 양념통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시키면서 계량 수푼과 같이 세밀한 양념의 계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은 양념통을 열어서 양념을 계량하고 다시 양념통을 닫아서 보관하는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리사에게 수고로움을 주고, 조리 시간이 증가되도록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양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21)을 형성하는 미들 바디(22)를 갖고, 상기 미들 바디(22)내에서 상기 내부공간(21)과 차단되는 유출로(31)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출관(30)을 갖는 배럴(20)과; 상기 배럴(2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텀 바디(42)를 갖고, 정해진 양의 양념이 수용되어 상기 바텀 바디(42)의 회전을 통해 상기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지는 계량홈(41)을 갖는 계량 부재(40) 및; 상기 배럴(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톱 바디(52)를 갖고, 상기 톱 바디(52)의 회전을 통해 상기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지는 유출홀(51)을 갖는 덮개 부재(50)를 포함하여; 상기 계량 부재(40)의 계량홈(41)에 의해 계량된 양념이 상기 배럴(20)의 유출로(31)를 통해 상기 덮개 부재(50)의 유출홀(51)로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상기 계량 부재(40)의 계량홈(41)은 원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양의 양념이 수용되도록 다수개의 서브 계량홈(41a, 41b, 41c, 41d)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상기 덮개 부재(50)는 상기 배럴(20)에 고정결합되었을 때 상기 유출관(30)과 맞추어지는 위치로 배치되는 덮개 유출관(51')을 갖고, 상기 덮개 유출관(51')의 상측에 개구로 형성되는 내부 유출홀(51b)을 갖는 고정 덮개(50b) 및, 상기 고정 덮개(50b)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시 상기 내부 유출홀(51b)과 맞추어지는 외부 유출홀(51a)을 갖는 회동 덮개(50a)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 덮개(50b)는 상기 내부 유출홀(51b)과 이격되되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서브 유출홀(51c, 51d)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을 상기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의 위치에 맞추었을 때 상기 계량 부재(40)의 계량홈(41)에 의해 계량된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을 상기 고정 덮개(50b)의 서브 유출홀(51c, 51d)에 맞추었을 때 상기 배럴(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상기 회동 덮개(50a)와 고정 덮개(50b)는 상기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이 상기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의 위치에 맞추었을 때와 상기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이 막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회동 덮개(50a)의 회동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상기 회동 덮개(50a)와 계량 부재(40)는 외주면이 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 따르면, 크기가 커지거나 복잡한 장치 구성이 배제되므로, 일반적인 병으로 형태의 양념통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양념통 본래의 사용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여 싱크대와 같은 조리대, 식탁 등에 병의 형태로 놓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양념의 계량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계량 부재(40)에 다양한 크기의 계량홈(41)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계량 수푼과 같이 세밀한 양념의 계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덮개 부재(50)를 열지 않고도 다양한 양의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조리시 사용자의 수고로움을 덜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덮개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계량 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배럴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계량 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덮개부의 조립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덮개부에서 회전 덮개와 고정 덮개의 고정 요소의 다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덮개부에서 회전 덮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8의 덮개부에서 고정 덮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덮개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계량 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은 배럴(20), 계량 부재(40) 및 덮개 부재(50)를 구비하여, 크기가 커지거나 복잡한 장치 구성이 배제되므로 일반적인 병으로 형태의 양념통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양념통 본래의 사용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여 싱크대와 같은 조리대, 식탁 등에 병의 형태로 놓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양념의 계량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때, 배럴(20)은 양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21)을 형성하는 미들 바디(22)를 갖고, 미들 바디(22)내에서 내부공간(21)과 차단되는 유출로(31)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출관(30)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배럴(20)은 바람직하게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미들 바디(22)와 유출관(3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배럴(20)은 미들 바디(22)와 유출관(30)을 유리 등과 같은 소재로 별개로 제작하여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배럴(20)은 중심축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예를 보였으나, 배럴(20)의 단면 형상은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계량 부재(40)는 배럴(2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텀 바디(42)를 갖고, 정해진 양의 양념이 수용되어 바텀 바디(42)의 회전을 통해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지는 계량홈(41)을 갖는다. 이 계량 부재(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텀 바디(42)의 회동에 의해 배럴(20)의 유출로(31)와 맞추어져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위치{도 3의 (a)}를 갖거나, 유출로(31)와 어긋나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위치{도 3의 (b)}를 갖게 된다. 계량 부재(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바닥면(44)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계량홈(41)을 형성하여 바텀 바디(42)를 돌림으로써, 필요한 양의 양념이 담기는 개량홈(41)을 유출로(31)에 맞추어 세밀한 계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계량 부재(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링{70, 도 4 및 도 11 참조}을 적용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배럴(20)에 결합되는 형태를 보였으나, 계량 부재(40)를 회동가능하도록 배럴(20)에 결합시키는 기술은 덮개 부재(50)와 유사한 형태뿐만아니라 이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는 형태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덮개 부재(50)는 배럴(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톱 바디(52)를 갖고, 톱 바디(52)의 회전을 통해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지는 유출홀(51)을 갖는다. 이 덮개 부재(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톱 바디(52)의 회동에 의해 배럴(20)의 유출로(31)와 맞추어져 계량 부재(40)에 의해 계량되어 유출로(31)로 이동되는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위치{도 2의 (a)}를 갖거나, 유출로(31)와 어긋나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위치{도 2의 (b)}를 갖게 된다. 덮개 부재(50)는 단일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회동 덮개(50a)와 고정 덮개(50b)로 이루어지는 2중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계량된 양의 양념의 사용뿐만아니라 일반적인 양념통과 같이 많은 양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적은 양의 양념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은 바닥면(44)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계량홈(41)을 형성하여 바텀 바디(42)를 돌림으로써, 필요한 양의 양념이 담기는 개량홈(41)을 유출로(31)에 맞추어 세밀한 계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종래 동 분야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양념통의 제조를 위한 사출성형 기술, 두 구성의 회전결합을 위한 기술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배럴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계량 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에서 덮개부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덮개부에서 회전 덮개와 고정 덮개의 고정 요소의 다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덮개부에서 회전 덮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덮개부에서 고정 덮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은 배럴(20), 계량 부재(40), 덮개 부재(50) 및 고정링(70)을 구비하여, 계량 수푼과 같이 세밀한 양념의 계량이 가능하도록 하고, 덮개 부재(50)를 열지 않고도 다양한 양의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조리시 사용자의 수고로움을 덜어 주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 부재(50)는 회동 덮개(50a)와 고정 덮개(50b)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계량된 양념양 외에도 일반적인 양념통과 같이 많은 양 또는 적은 양의 양념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럴(20)에 걸치도록 결합되는 고정링(70)을 사용하여 계량 부재(40)가 배럴(2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분리 및 세척의 편의성을 높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에서 배럴(2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21)을 형성하는 미들 바디(22)를 갖고, 미들 바디(22)내에서 내부공간(21)과 차단되는 유출로(31)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출관(30)을 갖는다.
이때, 배럴(20)은 상단(21a)과 하단(21b)이 관통되고, 상측의 외주면에는 나사(24)가 형성되어 덮개 부재(50)가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럴(20)은 하측의 외주면에 걸림 플랜지(26)가 형성되어 계량 부재(40)가 배럴(20)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링(70)이 걸리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럴(20)에서 유출로(31)를 형성하는 유출관(30)은 상단(31a)과 하단(31b)이 관통되고, 하측은 상측보다 넓은 유출로(31)를 형성하는 확대부(32)가 형성되도록 하여 계량된 양념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에서 계량 부재(40)는 배럴(2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텀 바디(42)를 갖고, 정해진 양의 양념이 수용되어 바텀 바디(42)의 회전을 통해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지는 계량홈(41)을 바닥면(44)에 갖는다. 이 계량 부재(40)는 고정링(7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배럴(20)에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링(70)은 관통공(71)이 형성되는 몸체(72), 이 몸체(72)의 상단에 배럴(20)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플랜지(26)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테(72), 몸체(72)의 내측면에 계량 부재(40)가 나사결합되는 내부 나사(7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링(70)에 의해 계량 부재(40)는 배럴(20)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링(70)이 걸리어 결합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량 부재(40)는 몸체(42)의 상측 외주면상에 고정링(70)의 내부 나사(76)에 결합되는 외부 나사(46)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계량 부재(40)를 편리하게 돌릴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4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48)는 외주면이 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되어 벽면 등에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을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도시 않음)를 구성하는 경우, 거치대에 양념통(10)을 놓은 상태에서 계량 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계량 부재(40)의 계량홈(41)은 원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양의 양념이 수용되도록 다수개의 서브 계량홈(41a, 41b, 41c, 41d)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서브 계량홈(41a, 41b, 41c, 41d)은 7.5cc(1/2 큰술; 41a), 5cc(1 중간술; 41b), 3.75cc(1/4 큰술; 41c), 1.25cc(1/2 작은 술; 41d)로 이루어져 세밀하게 양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서브 계량홈(41a, 41b, 41c, 41d)의 개수 및 용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에서 덮개 부재(50)는 배럴(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톱 바디(52)를 갖고, 톱 바디(52)의 회전을 통해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지는 유출홀(51)을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덮개 부재(50)는 회동 덮개(50a)와 고정 덮개(50b)로 이루어지는 2중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다른 계량된 양의 양념의 사용뿐만아니라 일반적인 양념통과 같이 많은 양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적은 양의 양념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덮개 부재(50)에서 회동 덮개(50a)와 고정 덮개(50b)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판(62), 볼트(64) 및 와셔(66)로 이루어지는 고정구(60)에 의해 고정 덮개(50b)에 회동 덮개(50a)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양념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고정 덮개(50b)에 회동 덮개(50a)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고정구(6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9의 (a)는 고정판(62')에 볼트(62a)를 형성하고, 이 볼트(62a)에 결합되는 너트(64')를 사용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덮개(50b)에 회동 덮개(50a)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고정구(60)를 구성한 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9의 (b)는 고정판(62")의 연장부를 압착시켜 고정 덮개(50b)와 회동 덮개(50a)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테(64")를 형성시키는 예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 부재(50)의 회동 덮개(50a)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덮개(50b)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시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과 맞추어지는 외부 유출홀(51a)을 갖는다. 이 회동 덮개(50a)는 고정 덮개(50b)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구(60)의 결합을 위해 상면에 고정판 수용홈(53a) 및 관통홀(56b)이 중심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회동 덮개(50a)는 외부 유출홀(51a)이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의 위치에 맞추었을 때{도 12의 (a)와 같은 상태}와, 외부 유출홀(51a)이 막히는 상태가 되었을 때{도 12의 (d)와 같은 상태} 회동 덮개(50a)의 회동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 스톱퍼는 회동 덮개(50a)에 형성되는 상부 스톱퍼(26)와 고정 덮개(50b)에 형성되는 하부 스톱퍼(58)로 이루어지는데, 상부 스톱퍼(26)는 회동 덮개(50a)의 몸체(52a)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스톱퍼(58) 사이에 배치되어 그 회전이 제한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은 회동 덮개(50a)의 몸체(52a)의 외주면이 모서리를 갖도록 하여 벽면 등에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도시 않음)를 구성하는 경우, 거치대에 양념통(10)을 건 상태에서 계량 부재(40) 또는 회동 덮개(50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 부재(50)의 고정 덮개(50b)는 배럴(20)에 고정결합되었을 때 유출관(30)과 맞추어지는 위치로 배치되는 덮개 유출관(51')을 갖고, 덮개 유출관(51')의 상측에 개구로 형성되는 내부 유출홀(51b)을 갖는다. 이 고정 덮개(50b)는 전술한 회동 덮개(50a)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구(60)의 결합을 위해 상면에 고정판 수용홈(55a) 및 관통홀(55b)이 중심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52b)의 하측 내면에는 내부 나사(54)가 형성되어 배럴(20)의 미들 바디(22)의 상측에 형성된 나사(24)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덮개(50b)는 내부 유출홀(51b)과 이격되되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서브 유출홀(51c, 51d)를 구비함으로써,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을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의 위치에 맞추었을 때 계량 부재(40)의 계량홈(41)에 의해 계량된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을 고정 덮개(50b)의 서브 유출홀(51c, 51d)에 맞추었을 때 배럴(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서브 유출홀(51c, 51d)은 개방홀 형태의 제 1 서브 유출홀(51c)과 일부 막히는 형태의 제 2 서브 유출홀(51d)로 구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서브 유출홀(51c, 51d)의 개수 및 형태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에서 고정 덮개(50b)는 전술한 회동 덮개(50a)와 연계되어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이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의 위치에 맞추었을 때와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이 막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회동 덮개(50a)의 회동을 멈추게 하기 위해 회동 덮개(50a)의 상부 스톱퍼(26)와 대응되는 하부 스톱퍼(58)를 갖는다. 이때, 하부 스톱퍼(58)는 두 위치의 멈춤이 필요하므로, 하부 제 1 스톱퍼(58a)와 제 2 하부 스톱퍼(58b)를 갖고, 회동 덮개(50a)의 상부 스톱퍼(26)는 하부 제 1 스톱퍼(58a)와 제 2 하부 스톱퍼(58b) 사이에 배치되도록 회동 덮개(50a)와 고정 덮개(50b)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각 위치에서 회동 덮개(50a)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은 4가지의 사용형태를 통해 계량된 양의 양념의 사용뿐만아니라 일반적인 양념통과 같이 많은 양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적은 양의 양념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2의 (a) 내지 (d)는 정량 배출, 많은 양 연속 배출, 적은 양 연속 배출, 배출 막음의 사용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보면, 먼저, 도 12의 (a)는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가 배럴(20)의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진 상태로서 이 경우 바텀 바디(42)의 회전에 의해 유출로(31)로 위치된 계량홈(41)의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12의 (b)는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 고정 덮개(50b)의 개방홀 형태의 제 1 서브 유출홀(51c)이 맞추어진 상태로서 이 경우 유출로(31)는 막히게 되고, 배럴(20)의 내부 공간(21)에 수용된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다량의 양념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의 (c)는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 고정 덮개(50b)의 일부 막히는 형태의 제 2 서브 유출홀(51d)이 맞추어진 상태로서 이 경우 유출로(31)는 막히게 되고, 배럴(20)의 내부 공간(21)에 수용된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다량의 양념을 도 12의 (b)의 상태보다 적게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의 (d)는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이 막힌 상태로서 양념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통상 양념통의 보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10)은 계량된 양의 양념의 사용뿐만아니라 일반적인 양념통과 같이 많은 양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적은 양의 양념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21 : 내부공간 22 : 미들 바디
31 : 유출로 20 : 배럴
30 : 유출관 42 : 바텀 바디
41 : 계량홈 40 : 계량 부재
52 : 톱 바디 51 : 유출홀
50 : 덮개 부재 41a, 41b, 41c, 41d : 서브 계량홈
51' : 덮개 유출관 51b : 내부 유출홀
50b : 고정 덮개 51a : 외부 유출홀
50a : 회동 덮개 51c, 51d : 서브 유출홀

Claims (5)

  1. 양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21)을 형성하는 미들 바디(22)를 갖고, 상기 미들 바디(22)내에서 상기 내부공간(21)과 차단되는 유출로(31)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출관(30)을 갖는 배럴(20)과;
    상기 배럴(2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텀 바디(42)를 갖고, 정해진 양의 양념이 수용되어 상기 바텀 바디(42)의 회전을 통해 상기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지는 계량홈(41)을 갖는 계량 부재(40) 및;
    상기 배럴(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톱 바디(52)를 갖고, 상기 톱 바디(52)의 회전을 통해 상기 유출로(31)의 위치에 맞추어지는 유출홀(51)을 갖는 덮개 부재(50)를 포함하여;
    상기 계량 부재(40)의 계량홈(41)에 의해 계량된 양념이 상기 배럴(20)의 유출로(31)를 통해 상기 덮개 부재(50)의 유출홀(51)로 나오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부재(40)의 계량홈(41)은 원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양의 양념이 수용되도록 다수개의 서브 계량홈(41a, 41b, 41c, 41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50)는 상기 배럴(20)에 고정결합되었을 때 상기 유출관(30)과 맞추어지는 위치로 배치되는 덮개 유출관(51')을 갖고, 상기 덮개 유출관(51')의 상측에 개구로 형성되는 내부 유출홀(51b)을 갖는 고정 덮개(50b) 및,
    상기 고정 덮개(50b)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시 상기 내부 유출홀(51b)과 맞추어지는 외부 유출홀(51a)을 갖는 회동 덮개(50a)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 덮개(50b)는 상기 내부 유출홀(51b)과 이격되되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서브 유출홀(51c, 51d)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을 상기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의 위치에 맞추었을 때 상기 계량 부재(40)의 계량홈(41)에 의해 계량된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을 상기 고정 덮개(50b)의 서브 유출홀(51c, 51d)에 맞추었을 때 상기 배럴(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양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덮개(50a)와 고정 덮개(50b)는 상기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이 상기 고정 덮개(50b)의 내부 유출홀(51b)의 위치에 맞추었을 때와 상기 회동 덮개(50a)의 외부 유출홀(51a)이 막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회동 덮개(50a)의 회동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덮개(50a)와 계량 부재(40)는 외주면이 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KR20140000153A 2013-11-30 2014-01-02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KR10149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153A KR101490768B1 (ko) 2014-01-02 2014-01-02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CN201480065281.7A CN105792709B (zh) 2013-11-30 2014-06-18 易于打开和关闭并具备计量功能的厨房容器
PCT/KR2014/005328 WO2015080359A1 (ko) 2013-11-30 2014-06-18 개폐가 용이하고 계량기능을 구비한 주방용기
JP2016535137A JP2017506086A (ja) 2013-11-30 2014-06-18 開閉が容易で計量機能を備えた容器
US15/161,296 US20160262559A1 (en) 2013-11-30 2016-05-23 Vessel which is easy to open and close and has meter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153A KR101490768B1 (ko) 2014-01-02 2014-01-02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768B1 true KR101490768B1 (ko) 2015-02-09

Family

ID=5259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0153A KR101490768B1 (ko) 2013-11-30 2014-01-02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73A (ko) 2018-05-09 2019-11-19 임채명 양념통
KR20200106645A (ko) 2019-03-05 2020-09-1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양념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273U (ko) * 1989-07-31 1991-03-25
KR910016343U (ko) * 1990-03-28 1991-10-26 고홍석 조립식 양념용기
EP0970644A2 (en) * 1998-07-06 2000-01-12 Dart Industries Inc. Condiment sh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273U (ko) * 1989-07-31 1991-03-25
KR910016343U (ko) * 1990-03-28 1991-10-26 고홍석 조립식 양념용기
EP0970644A2 (en) * 1998-07-06 2000-01-12 Dart Industries Inc. Condiment sha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73A (ko) 2018-05-09 2019-11-19 임채명 양념통
KR20200106645A (ko) 2019-03-05 2020-09-1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양념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031B2 (en) Method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ice
US5601213A (en) Container lid with quantity measures
US9297683B2 (en) Portion distribution device
RU2678879C1 (ru) М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028865B2 (en)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US5934573A (en) Measuring dispenser-spreader and method
US20070262097A1 (en) Control tilt dispenser
US3237816A (en) Measuring dispenser
KR101490768B1 (ko)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US11105671B2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US8074915B2 (en) Container with a grinder
KR101646187B1 (ko) 계량기능을 갖는 용기
US20150346011A1 (en) Measu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Top
US11035711B2 (en) Dispensers and related methods
CA3026672C (en) Fluid metering and dispensing device
JP2017506086A (ja) 開閉が容易で計量機能を備えた容器
US3204826A (en) Condiment holders and support therefor
US20150014349A1 (en) Dispensing Contents from Selected Chambers
KR100620953B1 (ko) 분체 정량 배출용기
US2706585A (en) Teaspoonful sugar dispenser
CA2910472A1 (en) Measu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top
US3989166A (en) Apparatu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KR200315080Y1 (ko) 정량조절 배출용기
RU22825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зирования сыпучи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210035404A (ko) 펜슬형 정량토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