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773A - 양념통 - Google Patents

양념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773A
KR20190128773A KR1020180052869A KR20180052869A KR20190128773A KR 20190128773 A KR20190128773 A KR 20190128773A KR 1020180052869 A KR1020180052869 A KR 1020180052869A KR 20180052869 A KR20180052869 A KR 20180052869A KR 20190128773 A KR20190128773 A KR 2019012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ain body
seasoning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명
정한샘
Original Assignee
임채명
정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명, 정한샘 filed Critical 임채명
Priority to KR102018005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8773A/ko
Publication of KR2019012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7/003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 B65D81/265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the absorbent being placed beneath a fals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내부에는 양념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하부 커버를 포함한 교체 가능한 복수의 하부 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겹합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에 형성되는 유닛 연결부; 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개폐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계량컵 내부에는 위치 가변이 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본체에 보관된 양념을 계량하는 계량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Description

양념통{Cruet}
이 출원은 양념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용기 본체에 보관된 양념의 양을 간편하게 계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용기 본체에 저장된 양념의 성질이나 상태 등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도록 한 양념통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조리 과정에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음식의 풍미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양념이 첨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양념들은 위생 및 장기 보관 등의 편의를 위해서 별도의 전용 양념통에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음식 조리 시에 사용되는 양념은 식물로부터 얻는 천연 물질도 있고 인공 조리료와 같이 일부의 물질들을 합성하여 얻는 경우도 있다. 또한, 천연물질로부터 얻는 양념은 작은 입자로 분쇄하거나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크기로 분쇄되거나 분말화가 된 양념은 습기로 인하여 분말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외부공기와 차단될 수 있는 형태의 양념통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양념통에 보관된 양념을 조리 중의 음식에 첨가하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양념의 양을 적절히 계량할 수 있도록 계량 기능이 있는 양념통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예의 양념통들은 양념의 양을 계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불편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양을 손쉽게 계량하는 과정이 불편하게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양념통에 보관된 양념을 작은 크기로 갈아야 한다거나, 또한 여러 종류의 양념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양념의 혼합이 골고루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이 부재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양념통은 양념을 보관하는 기능, 양념의 양을 계량하는 기능 정도만을 갖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6-0034063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8-001547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490768호
이 출원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보관용기 본체에 보관된 양념의 양을 간편하게 계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보관용기 본체에 저장된 양념 성질이나 상태 등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도록 한 양념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내부에는 양념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하부 커버를 포함한 교체 가능한 복수의 하부 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겹합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에 형성되는 유닛 연결부; 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개폐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계량컵 내부에는 위치 가변이 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본체에 보관된 양념을 계량하는 계량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이 발명에 따른 양념통에서 계량수단은 피스톤의 일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일정 피치 간격으로 스크류가 형성된 조절 로드와, 조절 로드의 외부 끝단에 접속되어 계량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양념통에서 계량컵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손잡이가 결합되는 측의 개방단에는 조절 로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스크류 가이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양념통에서 개폐수단은 본체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상의 본체 결합구; 본체 결합구에 나사결합되며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구획막 상에는 통공이 형성된 하부 개폐구; 하부 개폐구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구획막 상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 개폐구; 하부 개폐구에 대하여 상부 개폐구의 회전 동작이 허용되게 하부 개폐구와 상기 상부 개폐구를 상호 결합하는 힌지; 상부 개폐구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상부로는 계량컵이 결합되는 계량컵 결합구;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개폐구와 상부 개폐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부 개폐구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결정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개폐조절구;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양념통에서 하부 개폐구와 상부 개폐구 사이에는 설치되며 도중에는 통공이 형성된 개폐막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양념통에서 하부 유닛은 본체 내에 수용된 양념의 교반을 위한 교반수단이 설치된 교반 유닛, 본체 내부의 제습을 위한 제습수단이 설치된 제습 유닛, 일측에 시간 표시수단이 설치된 타이머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양념통에서 교반 유닛은 하부 커버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교반 스크류, 교반 스크류의 축에 회전력을 가하는 회전수단, 회전수단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은 보관용기 본체 상부에 양념의 양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컵이 조립되어 있어 사용자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양념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은 보관용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커버 유닛을 양념의 성질이나 상태에 따라서 교반 유닛, 제습 유닛, 타이머 유닛 중 하나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의 사시도.
도2는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의 계량컵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 본체의 단면도.
도4는 도3에 표시된 A-A선의 단면도.
도5는 이 출원에 따른 계량컵의 단면도.
도6은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의 단면도.
도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념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의 하부 커버 유닛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 내지 11는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의 구성 및 사용상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의 사시도이고, 도2는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의 계량컵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양념통(100)의 본체(110) 상부에는 양념의 양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수단(160)이 조립 장착된다. 한편, 양념통(100)의 사용 과정에서는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체(110)로부터 계량수단(160)은 분해될 수 있게 구성된다.
양념통(100)의 본체(110)는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는 상부의 단면적에 비하여 하부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원통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개방된 하부에는 도면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130)가 설치되어 본체(110)의 하부는 막히게 된다. 하부 커버(130)는 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유닛 연결부(120)에 결합이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유닛 연결구(122)를 매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10)의 상부에는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40)이 설치된다. 개폐수단(140)은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단 외측에 위치되는 개폐조절구(15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게 되면 그 내측에 위치된 부품들이 상호 작동하여 구획막에 형성된 통공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140)은 본체(1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본체 결합구(142), 본체 결합구(142)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구획막 상에 통공(144a)이 형성된 하부 개폐구(144), 하부 개폐구(144)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구획막 상에 통공(146a)이 형성된 상부 개폐구(146), 하부 개폐구(144)와 상부 개폐구(146)가 상호 조립된 상태가 되게 하며 하부 개폐구(144)에 대하여 상부 개폐구(146)의 회전 동작을 허용하는 힌지(152), 상부 개폐구(146)의 상부에 설치되어 계량수단(160)이 상호 결합되게 하는 계량컵 결합구(148) 및 하부 개폐구(144)와 상부 개폐구(146)의 외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부 개폐부(144)에 대하여 상부 개폐구(146)가 회전 동작되도록 하는 개폐조절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체 결합구(142)와 하부 개폐구(144)의 상호 결합을 위해서 본체 결합구(142)의 내주면과 하부 개폐구(144)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 개폐구(146)와 계량컵 결합구(148)의 상호 결합을 위해 상부 개폐구(146)의 외주면과 계량컵 결합구(148)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단에는 본체 결합구(142)가 고정 장착되고, 본체 결합구(142)에는 하부 개폐구(144)가 나사 결합을 통해서 고정 장착된다.
한편, 개폐조절구(150)의 내주연 중간부분에는 환상의 내향돌기(150a)가 형성되는데, 이 내향돌기(150a)를 기준으로 내향돌기(150a)의 하부측에는 본체 결합구(142) 및 하부 개폐구(144)가 위치되고, 내향돌기(150a)의 상부측에는 상부 개폐구(146)와 계량컵 결합구(148)가 위치된다. 상부 개폐구(146)와 계량컵 결합구(148)는 상호 나사 결합이 된다.
그리고 하부 개폐구(142)와 상부 개폐구(144)의 중앙 부분에는 힌지(152)가 장착되어 하부 개폐구(144)와 상부 개폐구(146)가 상호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하부 개폐구(144)에 대하여 상부 개폐구(146)의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하부 개폐구(144)와 상부 개폐구(146) 상에는 각각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이 형성되며, 각 구획판에는 통공(144a, 146a)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개폐조절구(15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개폐조절구(150)의 회전력이 상부 개폐구(146)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개폐조절구(15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150b)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개폐구(146)의 외주연에는 걸림돌기(150b)에 대응하는 걸림홈(146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 개폐구(144)와 상부 개폐구(146) 사이에는 통공(154a)이 형성된 개폐막(15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5는 계량수단(16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계량수단(160)은 원통형의 계량컵(162), 계량컵(162)의 내부에 위치 가변이 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164), 피스톤(164)의 위치 조절을 위해 일단이 피스톤(164)에 접속되고 다른 일단은 계량컵(162)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절 로드(166), 조절 로드(166)가 직선 운동이 될 수 있도록 조절 로드(166)의 도중이 결합되며 계량컵(162)의 일측 단에 결합되는 스크류 가이드(168), 조절 로드(166)의 외부 끝단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회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계량조절기(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계량조절기(170)를 회전동작시킬 때,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조절 로드(166)의 외주와 스크류 가이드(168)의 내주에는 각각 일정 피치 간격의 스크류가 형성된다. 계량조절기(170)에의 한쪽 단에는 마감판(172)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계량컵(162)의 외주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계량조절기(170)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된 스크류 가이드(168)에 형성된 스크류의 안내를 통해 조절 로드(166)가 작동이 되고 결국 피스톤(164)이 직선이동이 되어 계량컵(162) 내에 담길 수 있는 양념의 용량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6은 본체(110)의 상부에 계량수단(160)이 조립된 양념통(100)의 단면도이다.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개폐수단(140)의 조작을 통해서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는 폐쇄될 수 있고, 계량수단(160)의 일측에 장착된 계량조절기(170)의 조작을 통해서 계량컵(162)에 양념이 담길 수 있는 용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양념통(100)의 본체(110)와 계량컵(162)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념의 상태 등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7은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양념통(100)의 본체(110) 하부에는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유닛 연결구(122)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8은 전술한 유닛 연결구(122)에 장착될 수 있는 여러 유닛을 보인 도면이다. 즉, 본체(110)의 개방된 하부에는 도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여러 유닛 중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유닛으로는 커버 유닛(132), 교반 유닛(134, 136), 제습 유닛(138), 타이머 유닛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커버 유닛(132)은 본체의 하부를 막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교반 유닛(134, 136)은 본체(110) 내에 수용된 양념의 교반을 위한 교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제습 유닛(138)은 본체(110)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수단(138a)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타이머 유닛(미도시)에는 본체(110) 내에 양념이 담긴 시간, 양념의 유통기간 등이 표시되는 기능이 포함된다.
한편, 전술한 교반 유닛(134, 136)에 탑재되는 교반 기능, 제습 유닛(138)에 탑재되는 제습 기능, 타이머 유닛에 탑재되는 시간표시기능 등은 통합된 하나의 유닛에 적용될 수도 있다.
특히 전술한 교반 유닛(134, 136)은 하부 커버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교반 스크류(134a, 136a), 교반 스크류(134a, 136a)의 축에 회전력을 가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수단은 사용자가 손잡이 고리(134b)를 잡아당기게 되면, 그 힘이 로프와 같은 매개체를 통해서 전달되어 교반 스크류(134a)가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수단은 전원의 공급 시에 구동모터(136b)가 구동되어 교반 스크류(136a)가 회전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9 내지 도11은 이 출원에 따른 양념통(100)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계량수단(160)의 계량조절기(170)를 일정 방향으로 돌려 계량컵(162)에 양념이 담길 용적을 조절하고, 개폐수단(140)의 조작을 통해서 본체(110) 내에 보관 중이 양념이 계량컵(162) 쪽으로 향할 수 있는 조건이 되게 한다.
이후, 사용자는 도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양념통(100)을 뒤집어 본체(110)가 계량컵(16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본체(110) 내에 보관된 양념이 계량컵(162)을 향해 이동되고 원하는 양이 계량컵에 채워지면, 사용자는 다시 개폐수단(140)이 닫힌 상태가 되도록 조작하다.
개량컵(162)에 원하는 양의 양념이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체(110)로부터 개량컵(162)을 분리시켜 양념을 음식물 등에 넣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본체(110)에 담기는 양념의 성질이나 상태 등에 따라서 본체(110) 하부에 장착되는 유닛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 내에 담기는 양념이 쉽게 뭉치는 성질의 것이라면, 본체(110) 하부에 양념을 교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교반 유닛(134, 136)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념이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제습 기능이 있는 제습 유닛(138)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양념통(100)의 구성 및 사용 상태에 대하여 몇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발명의 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양념통 110 : 본체
120 : 하부유닛 연결부 122 : 하부유닛 연결구
130 : 하부 커버 132 : 커버 유닛
134, 136 : 교반 유닛 138 : 제습 유닛
140 : 개폐수단 142 : 본체 결합구
144 : 하부 개폐구 146 : 상부 개폐구
148 : 계량컵 결합구 150 : 개폐조절구
152 : 힌지 154 : 개폐막
160 : 계량수단 162 : 계량컵
164 : 피스톤 170 : 계량조절기

Claims (7)

  1.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내부에는 양념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하부 커버를 포함한 교체 가능한 복수의 하부 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겹합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에 형성되는 유닛 연결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계량컵 내부에는 위치 가변이 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보관된 양념을 계량하는 계량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일정 피치 간격으로 스크류가 형성된 조절 로드와, 상기 조절 로드의 외부 끝단에 접속되어 상기 계량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컵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손잡이가 결합되는 측의 개방단에는 상기 조절 로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스크류 가이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본체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상의 본체 결합구;
    상기 본체 결합구에 나사결합되며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구획막 상에는 통공이 형성된 하부 개폐구;
    상기 하부 개폐구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구획막 상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 개폐구;
    상기 하부 개폐구에 대하여 상기 상부 개폐구의 회전 동작이 허용되게 상기 하부 개폐구와 상기 상부 개폐구를 상호 결합하는 힌지;
    상기 상부 개폐구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상부로는 상기 계량컵이 결합되는 계량컵 결합구;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개폐구와 상기 상부 개폐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상부 개폐구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결정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개폐조절구;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폐구와 상기 상부 개폐구 사이에는 설치되며 도중에는 통공이 형성된 개폐막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은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양념의 교반을 위한 교반수단이 설치된 교반 유닛, 상기 본체 내부의 제습을 위한 제습수단이 설치된 제습 유닛, 일측에 시간 표시수단이 설치된 타이머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유닛은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교반 스크류, 상기 교반 스크류의 축에 회전력을 가하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KR1020180052869A 2018-05-09 2018-05-09 양념통 KR20190128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869A KR20190128773A (ko) 2018-05-09 2018-05-09 양념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869A KR20190128773A (ko) 2018-05-09 2018-05-09 양념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773A true KR20190128773A (ko) 2019-11-19

Family

ID=6877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869A KR20190128773A (ko) 2018-05-09 2018-05-09 양념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87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310B1 (ko) * 2021-12-17 2023-01-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싱크대의 상부장에 구비되는 조미료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68B1 (ko) 2014-01-02 2015-02-09 김용운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KR20160034063A (ko) 2014-09-19 2016-03-29 김용운 계량기능을 갖는 용기
KR20180015473A (ko) 2016-08-03 2018-02-13 임효정 양 조절이 가능한 양념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68B1 (ko) 2014-01-02 2015-02-09 김용운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KR20160034063A (ko) 2014-09-19 2016-03-29 김용운 계량기능을 갖는 용기
KR20180015473A (ko) 2016-08-03 2018-02-13 임효정 양 조절이 가능한 양념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310B1 (ko) * 2021-12-17 2023-01-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싱크대의 상부장에 구비되는 조미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526B1 (ko) 적하 방지 캡을 구비한 용기
US7780029B2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s
US10661945B2 (en) Sports and/or mixing bottle
US5927558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granular material
US4346823A (en) Multiple function closure
JP5097005B2 (ja) 香料破砕グラインダー及びその自動開閉制御装置
US4961521A (en) Adjustable metered dispenser
US9066628B2 (en) Grinder facilitating adjustment of grinding fineness
US3130874A (en) Measuring dispenser
US5954241A (en) Container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of particulates
KR200473241Y1 (ko) 파우더 케이스를 구비하는 물통
KR870009691A (ko) 조절 사용식 용기
US3085281A (en) Nail polish container, mixer and removable applicator
US4071171A (en) Material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KR20190128773A (ko) 양념통
US4815671A (en) Container having a built-in mill
US11105671B2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KR20020076781A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US20100163658A1 (en) Container with a Grinder
US960650A (en) Salt-shaker.
KR102056632B1 (ko) 양념 자동 공급장치
CN208941834U (zh) 烹饪物料的混合装置
US3940033A (en) Coffee measure
KR101715183B1 (ko) 가축용 사료탱크의 사료배출장치
CN107625456A (zh) 一种智能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