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080Y1 - 정량조절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정량조절 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080Y1
KR200315080Y1 KR20-2003-0001614U KR20030001614U KR200315080Y1 KR 200315080 Y1 KR200315080 Y1 KR 200315080Y1 KR 20030001614 U KR20030001614 U KR 20030001614U KR 200315080 Y1 KR200315080 Y1 KR 200315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Original Assignee
김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주 filed Critical 김용주
Priority to KR20-2003-0001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0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0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량 조절 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측으로 내장된 각종 식품의 분말가루 내용물을 정확하게 정량배출 할 수 있음은 물론, 배출량을 누구나 손쉽고도 간편하게 선택 조절할 수 있어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배출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마지막 남은 내용물까지 완전배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용기내부 바닥 경사면에 하단 일측으로 유입구가 형성된 배출관을 밀착되게 삽설하여 유출부가 형성된 뚜껑으로 결합하여서 된 공지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내부 바닥경사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배출관을 삽설하되, 상기 배출관의 일측으로 돌기봉과 그 하측에 긴 유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긴 유입구와 돌기봉 위치에 일측 종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의 일측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공을 형성하여 그 일측에 각각 용량표시부를 형성하여서 된 이동조절구를 삽설하여서 결합된 정량조절 배출용기로서, 용기 내측에 커피, 프림, 설탕이나 소금, 고추가루 등의 식품이나 조미료의 주로 작은알갱이나 분말가루 내용물을 담아 사용할 때 정확하게 정량배출 및 누구나 손쉽게 필요한 양을 조절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인데, 배출관에 삽설된 이동조절구의 용량표시부를 확인하여 돌기봉에 이동공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걸림공에 안착시킨뒤, 내용물을 용기에 내장시키면 정량조절된 이동조절구가 배출관 하단의 유입구를 설정조절된 용량에 맞게 막아주므로 유입구에 정확한 양의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가 되는데, 사용시 정량조절 배출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유출부를 올린 상태에서 거꾸로 세워주면 유입구에 정량으로 담긴 내용물만 배출관과 유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재차 배출코자하면 정량조절 배출용기를 똑바로 세웠다가 재차 거꾸로 세워주면 유입구로 내용물이 저절로 유입되어 담기므로 정량조절되어 유입부에 담긴 내용물만 배출시킬 수 있는 편리함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내용물 배출을 위해 이동조절구를 용량표시부를 보고 간편하게 베출량을 선택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간편하게 조절시켜 배출사용할 수 있도록 되며, 마지막 남은 내용물까지 용기내부 바닥경사면으로 형성된 홈에 삽설된 배출관의 긴 유입구로 완전 배출되도록 된 정량조절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량조절 배출용기{A Fixed quantity releasable container}
본 고안은 정량조절 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측에 커피, 프림, 설탕 등의 식품이나 소금, 고추가루등의 조림료와 같은 주로 작은알갱이나 분말가루 내용물을 담아 사용시 용기내부 바닥경사면에 형성된 홈에 하단 일측으로 긴 유입구와 상단에 돌기봉이 형성된 배출관을 삽입후 분말가루 내용물을 내장시킨뒤 유출부가 형성된 뚜껑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상기 긴 유입구와 돌기봉에 이동조절구를 삽설하여 상기 이동조절구의 이동공으로 돌기봉을 따라 이동시켜 용량표시부가 형성된 걸림공위치에 선택적으로 안착시켜 필요한 배출량을 조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시 분말가루 내용물을 정확하게 정량배출 할 수 있음은 물론, 누구나 손쉽고도 간편하게 배출량을 선택조절할 수 있어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배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지막 남은 내용물까지 완전 배출 할 수 있도록 된 정량조절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각종 커피, 프림, 설탕, 소금, 고추가루 등의 식품이나 조미료등 작은알갱이나 분말가루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는 식품용기는 용기내에 내용물을 담아 뚜껑을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 사용시 뚜껑을 열고 스푼등을 사용하여 필요한 양만큼 눈대중으로 퍼서 사용하였으나, 퍼서 옮길때마다 용기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바닥에 쏟아져 지저분 해지는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음은 물론, 정확한 량을 연속적으로 퍼서 사용하기에는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정량배출 용기가 있었지만, 정량배출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구조가 복잡하고 까다로워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97 - 11746 호의 정량배출 용기가 있었는데, 선출원의 문제점은 용기내측으로 하단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배출관을 삽설하여 배출관 하단유입구의 크기에 따라 내용물을 배출토록하고, 배출용량 표시를 뚜껑에 하여 동일한 배출량만 배출되도록 한 것이라 하지만 사용자가 배출량 조절을 할 수 없음은 물론, 각각 여러개의 정량배출 용기를 구입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문제점등이 있었으며, 용기의 바닥이 경사면이라 하지만 배출관의 바닥면이 형성된점 등으로 내용물이 완전 배출되지 못하고 남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내측으로 내장된 각종 식품의 분말가루 내용물을 정확하게 정량배출 할 수 있음은 물론, 배출량을 누구나 손쉽고도 간편하게 선택 조절할 수있어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배출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마지막 남은 내용물까지 완전배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용기내부 바닥 경사면에 하단 일측으로 유입구가 형성된 배출관을 밀착되게 삽설하여 유출부가 형성된 뚜껑으로 결합하여서 된 공지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내부 바닥경사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배출관을 삽설하되, 상기 배출관의 일측으로 돌기봉과 그 하측에 긴 유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긴 유입구와 돌기봉 위치에 일측 종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의 일측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공을 형성하여 그 일측에 각각 용량표시부를 형성하여서 된 이동조절구를 삽설하여서 결합된 정량조절 배출용기로서, 용기 내측에 커피, 프림, 설탕이나 소금, 고추가루 등의 식품이나 조미료의 주로 작은알갱이나 분말가루 내용물을 담아 사용할 때 정확하게 정량배출 및 누구나 손쉽게 필요한 양을 조절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인데, 배출관에 삽설된 이동조절구의 용량표시부를 확인하여 돌기봉에 이동공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걸림공에 안착시킨뒤, 내용물을 용기에 내장시키면 정량조절된 이동조절구가 배출관 하단의 유입구를 설정조절된 용량에 맞게 막아주므로 유입구에 정확한 양의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가 되는데, 사용시 정량조절 배출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유출부를 올린 상태에서 거꾸로 세워주면 유입구에 정량으로 담긴 내용물만 배출관과 유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재차 배출코자하면 정량조절 배출용기를 똑바로 세웠다가 재차 거꾸로 세워주면 유입구로 내용물이 저절로 유입되어 담기므로 정량조절되어 유입부에 담긴 내용물만 배출시킬 수 있는 편리함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내용물 배출을 위해 이동조절구를 용량표시부를 보고 간편하게 베출량을 선택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간편하게 조절시켜 배출사용할 수 있도록 되며, 마지막 남은 내용물까지 용기내부 바닥경사면으로 형성된 홈에 삽설된 배출관의 긴 유입구로 완전 배출되도록 된 정량조절 배출용기에 관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 절취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기전 상태의 단면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요부인 배출관의 정량조절중 적은량의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요부인 배출관의 정량 조절중 많은량의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 는 도 8 의 일부절취 상태를 보인 결합시시도
도 10 은 도 8 의 단면도
도 11 은 도 8 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기전 상태의 단면예시도
도 12 는 도 8 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13 은 도 8 의 배출관의 정량조절중 적은량의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4 는 도 8 의 배출관의 정량조절중 많은량의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정량조절 배출용기 10 : 용기 11 : 경사면 12 : 홈
20, 20' : 배출관 21 : 돌기봉 22, 22' : 긴 유입구
23' : 나사선부 24' : 용량표시부 50, 50' : 이동조절구
51 : 이동공 52 : 걸림공 53 : 용량표시부 54' : 나사선부
용기(10) 내부바닥 경사면(11)에 하단 일측으로 유입구가 형성된 배출관(20)을 밀착되게 삽설하여 유출부(30)가 형성된 뚜껑(40)으로 결합하여서 된 공지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10) 내부바닥 경사면(11)에 홈(12)을 형성하고, 상기 홈(12)에 배출관(20)을 삽설하되, 상기 배출관(20)의 일측으로 돌기봉(21)과 그 하측에 긴 유입구(22)를 형성하여, 상기 긴 유입구(22)와 돌기봉(21) 위치에 일측 종방향으로 이동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51)의 일측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공(52)을 형성하여 그 일측에 각각 용량표시부(53)를 형성하여서 된 이동조절구(50)를 삽설하여서 결합된 정량조절 배출용기(1)의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 100 " 은 각종식품의 분말가루 내용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 정량조절 배출용기(1)는 배출관(20) 일측으로 형성된 돌기봉(21)과 그 하측의 긴 유입구(22) 위치에 이동조절구(50)를 삽설하되, 상기 이동조절구(50)의 일측 종방향으로 형성된 이동공(51)을 이용하여 상기 돌기봉(21)을 기점으로 이동조절구(50)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사용자가 필요한 배출량을 선택하는데, 이때 이동조절구(50)의 이동에 따라 긴 유입구(22)가 막혔다가 노출되는 것이며, 상기 이동공(51) 일측 횡방향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공(52) 일측의 용량표시부(53)에 표시된 눈금이나 숫자를 보고 선택하여 이동공(51)을 통해 이동시키다가 선택된 일측 횡방향의 걸림공(52) 위치로 회전 안착시켜주면 긴 유입구(22)가 이동조절구(50) 하측단에 의해 일정길이만 남고 막아지게 되면서 사용할 정량조절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고, 그 다음 상기 이동조절구(50)가 삽설된 배출관(20)을 용기(10) 내부 바닥경사면(11)에 형성된 홈(12)에 삽입후, 상기 용기(10) 내부에 사용할 각종 식품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내장 함과 동시에 열린 긴 유입구(22)에 정량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이 저절로 유입되는 것이고, 그 다음 뚜껑(40)을 결합시키면 상기 배출관(20)의 상단 끝단부는 뚜껑(40)에 삽설된 유출부(30)의 하단끝단부에 위치되며 이때 상기 유출부(30)를 닫아주면 배출관(20)의 출구는 막히게 되어 용기(10)가 쓰러져도 쏟아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정량조절 배출용기(1)를 사용시 먼저 뚜껑(40)에 설치된 유출부(30)를 작동시켜 도립시킨뒤 도 5와 같이 용기(10)를 잡고 거꾸로 세워주면 긴 유입구(22)에 담겨 있던 정량의 분말가루 내용물(100)만 배출관(20)과 유출부(30)를 통해 외부로 정량 배출되는 것이고 나머지 용기(10)내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은 배출관(20) 외부와 용기(10)내에 잔류하여 긴 유입구(22)로는 더 이상 유입되어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량조절 배출용기(1)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도립시키는 것에 의해 정량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이 배출되므로 사용자는 조절된 동일량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연속해서 배출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 중앙으로 형성된 홈(12)에 배출관(20)의긴 유입구(22)가 삽입 위치되므로 분말가루 내용물(100)이 긴 유입구(22)에 용이하게 집결됨과 동시에 마지막까지 남은 분말가루 내용물(100)이 완전히 긴 유입구(22)로 모여 깨끗이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배출량을 늘이거나 줄이고자 할때에는 도 6, 7 과 같이 간편하게 용량표시부(53)를 보고 선택하여 배출관(20)의 이동조절구(50)를 조절시켜 배출량을 조절하여 상기와 같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8 은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에 하단 일측으로 유입구가 형성된 배출관을 밀착되게 삽설하여 유출부(30)가 형성된 뚜껑(40)으로 결합하여서 된 공지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으로 형성된 홈(12)에 하단일측으로 긴 유입구(22')가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나사선부 (23')와 용량표시부(24')가 형성된 배출관(20')을 삽설하되, 상기 긴 유입구(22')와 용량표시부(24') 사이의 나사선부(23')에 나삽되도록 내부에 나사선부(54')가 형성된 이동조절구(50')를 나선조립하여서 결합된 정량조절 배출용기(1')로서, 배출관(20')에 형성된 나사선부(23')에 내부에 나사선부(54')가 형성된 이동조절구 (50')를 나선조립하되, 배출관(20')에 형성된 용량표시부(24')의 눈금이나 숫자를 보고 배출량을 선택하여 이동조절구(50')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긴 유입구(22')가 막혀지거나 넓혀져 노출되어 조절되는 것이므로, 상기 배출관(20')을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으로 형성된 홈(12)에 삽입후 용기(10)내에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내장하면 긴 유입구(22')로 정량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이 저절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용기(10)내에 내장되므로 이후 뚜껑(40)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사용시에는 뚜껑(40)의 유출부(30)를 작동시켜 도립시킨뒤 도 12 와 같이 용기(10)를 잡고 거꾸로 세우면 긴 유입구(22')에 담긴 분말가루만 배출관(20')과 유출부(30)를 통해 외부로 정량배출 되는 것이고 나머지 용기(10)내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은 배출관(20') 외부와 용기(10)내에 잔류하여 긴 유입구(22')로는 더 이상 유입되어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량조절 배출용기(1)를 직립시킨 상태 에서 도립시키는 것에 의해 정량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이 배출되므로 사용자는 조절된 동일량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연속해서 배출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 중앙으로 형성된 홈(12)에 배출관(20')의 긴 유입구(22')가 삽입 위치되므로 분말가루 내용물(100)이 긴 유입구(22')에 용이하게 집결됨과 동시에 마지막까지 남은 분말가루 내용물(100)이 완전히 긴 유입구 (22')로 모여 깨끗히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배출량을 늘이거나 줄이고자 할때에는 도 13, 14 와 같이 간편하게 용량표시부(24')를 보고 선택하여 배출관(20')에 나삽된 이동조절구(50')를 회전조절시켜 배출량을 조절하여 상기와 같이 사용하면 더욱 간단하고도 편리하게 조절되므로 배출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 정량조절 배출용기(1)는 용기(10) 내측에 배출관 (20)을 삽입후 커피, 프림, 설탕이나 소금, 고추가루 등의 조미료나 각종식품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담아 뚜껑(40)을 결합하여 형성하되, 상기 배출관(20)에 삽설된 이동조절구(50)를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도 6 이나 도 7 과 같이 용량표시부(53)를 보고 간편하게 선택 조절 및 회전 안착시켜 긴 유입구(22)에 내장되는 배출량을 조절하므로서 필요에 따라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간편하게 용기(10)를 도립시켜서 배출 사용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정량을 매우 정확하게 정량조절 배출용기(1)만 직립, 도립만 반복하면 연속적으로도 배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음은 물론, 종래의 문제점인 내용물 배출량을 일정하게 고정화시킨 것이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이동조절구(50)로 배출량을 조절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각종 식품특성과 성분에 맞게 배출량을 사용자가 선택 조절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도 간편한 효과가 있는 것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쉬우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가능한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임은 물론, 마지막 남은 소량의 분말가루 내용물(100)까지 배출관(20) 하단의 긴 유입구(22) 부위가 용기(10) 내부 바닥경사면(11)의 홈(12)에 삽입되어 있어 마지막 남은 분말가루 내용물(100)까지 집결시켜 완벽하게 유입시킨후 배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고, 용기(10)속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교체시켜 사용할 경우에도 간편하게 배출량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조절후 정량조절 배출용기(1)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용기구입에 따른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8 은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에 하단일측으로 유입구가 형성된 배출관을 밀착되게 삽설하여 유출부(30)가 형성된 뚜껑(40)으로 결합하여서 된 공지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으로 형성된 홈(12)에 하단 일측으로 긴 유입구(22)가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나사선부 (23')와 용량표시부(24')가 형성된 배출관(20')을 삽설하되, 상기 긴 유입구(22')와 용량표시부(24')사이의 나사선부(23')에 나삽되도록 내부에 나사선부(54')가 형성된 이동조절구(50')를 나선조립 하여서 결합된 정량조절 배출용기(1')로서, 상기 배출관(20')에 이동조절구(50')를 나선조립하면서 배출량을 용량표시부(24')를 보고 간편하게 이동조절구(50')를 회전 조절시킨후,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에 형성된 홈(12)에 삽입시킨뒤,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내장하여 뚜껑(40)을 닫아 사용하는 것인데, 정량조절 배출용기(1')를 사용시 내용물 배출량을 선택후 도 13, 14 와 같이 더욱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며, 사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량조절 배출용기(1')를 직립, 도립만 반복하면 연속적으로도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정량배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고, 마지막 남은 분말가루 내용물(100)까지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의 홈(12)에 삽입된 배출관 (20')의 긴유입구(22')의 공간으로 손쉽게 집결되어 완벽하게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용기(10)속의 분말가루 내용물(100)을 교체사용할시 견편하게 사용자가 배출량을 선택하되 이동조절구(50')를 나삽 조절시켜 주면 되므로 정량조절 배출용기(1')를 재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용기(10) 내부바닥 경사면(11)에 하단 일측으로 유입구가 형성된 배출관(20)을 밀착되게 삽설하여 유출부(30)가 형성된 뚜껑(40)으로 결합하여서 된 공지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10) 내부바닥 경사면(11)에 홈(12)을 형성하고, 상기 홈(12)에 배출관(20)을 삽설하되, 상기 배출관(20)의 일측으로 돌기봉(21)과 그 하측에 긴 유입구(22)를 형성하여, 상기 긴 유입구(22)와 돌기봉(21) 위치에 일측 종방향으로 이동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51)의 일측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공(52)을 형성하여 그 일측에 각각 용량표시부(53)를 형성하여서 된 이동조절구(50)를 삽설하여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조절 배출용기(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내부 바닥경사면(11)으로 형성된 홈(12)에 하단일측으로 긴 유입구(22')가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나사선부(23')와 용량표시부(24')가 형성된 배출관(20')을 삽설하되, 상기 긴 유입구(22')와 용량표시부(24') 사이의 나사선부 (23')에 나삽되도록 내부에 나사선부(54')가 형성된 이동조절구(50')를 나선조립하여서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정량조절 배출용기(1').
KR20-2003-0001614U 2003-01-18 2003-01-18 정량조절 배출용기 KR200315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614U KR200315080Y1 (ko) 2003-01-18 2003-01-18 정량조절 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614U KR200315080Y1 (ko) 2003-01-18 2003-01-18 정량조절 배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080Y1 true KR200315080Y1 (ko) 2003-06-02

Family

ID=4940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614U KR200315080Y1 (ko) 2003-01-18 2003-01-18 정량조절 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0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60B1 (ko) * 2003-12-27 2007-12-26 정관선 액체정량배출용기
KR101855440B1 (ko) 2017-06-08 2018-05-04 전연태 액체 저장용기의 뚜껑
KR20180068500A (ko) * 2016-12-14 2018-06-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분탐상검사용 자분 스프레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60B1 (ko) * 2003-12-27 2007-12-26 정관선 액체정량배출용기
KR20180068500A (ko) * 2016-12-14 2018-06-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분탐상검사용 자분 스프레이
KR101889537B1 (ko) * 2016-12-14 2018-08-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분탐상검사용 자분 스프레이
KR101855440B1 (ko) 2017-06-08 2018-05-04 전연태 액체 저장용기의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507B2 (en) Granule dispensers
US9591943B2 (en) Automated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US9469463B2 (en) Automated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US8028865B2 (en)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JP2011056254A (ja) インフューザー付きピッチャー
US20060137533A1 (en) System for simultaneously brewing and dispensing multiple beverages from a single unitary structure
AU2014311187B2 (en) Automated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US20100276527A1 (en) Spice mills and shakers
KR200315080Y1 (ko) 정량조절 배출용기
EP3652506B1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KR101490768B1 (ko)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KR101151356B1 (ko) 정량 캡
KR100620953B1 (ko) 분체 정량 배출용기
US6419130B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small amount of the contents
KR101041351B1 (ko)
WO2019166312A1 (en) Device for dosing and pouring an amount of ground coffee powder into a coffee filter of a coffee-making apparatus
JP2002264975A (ja) 粉末定量振出容器
KR102294396B1 (ko) 펜슬형 정량토출 용기
KR200462567Y1 (ko) 양념 용기
KR100845879B1 (ko) 조미료 용기
CA2973161C (en) Automated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KR102442365B1 (ko) 사용이 간편한 밥물 조절기구
KR950007078Y1 (ko) 조미류 및 기호식품류의 정량 인출형 분배구
KR20190131187A (ko) 정량 토출이 가능한 캡 구조
JP3568903B2 (ja) 粉末定量振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