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953B1 - 분체 정량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분체 정량 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953B1
KR100620953B1 KR1020040069877A KR20040069877A KR100620953B1 KR 100620953 B1 KR100620953 B1 KR 100620953B1 KR 1020040069877 A KR1020040069877 A KR 1020040069877A KR 20040069877 A KR20040069877 A KR 20040069877A KR 100620953 B1 KR100620953 B1 KR 10062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ntainer
center
lower cover
accommod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062A (ko
Inventor
구재림
Original Assignee
구재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재림 filed Critical 구재림
Priority to KR1020040069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9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측에 커피, 프림, 설탕, 녹차 등의 식품이나 소금, 고추가루등의 조미료와 같은 주로 작은알갱이나 분말가루 내용물을 담아 사용시 용기내부 바닥경사면에 형성된 분체수용홈의 개폐에 따라 분체가 일정량 수용되도록 한 뒤 용기를 전도시켜 담겨진 분체만이 배출되도록 한 분체 정량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정량 배출용기는 중심부를 향하여 꼭지점을 이루도록 대략 삼각형의 분체수용홈(122)을 바닥측에 적어도 3개이상 형성하고 상부는 개구부(112)를 이루되 그 연부를 따라 턱부(114)를 형성한 원통형의 통체(100); 및 상기 원통형의 통체(10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단 개구부(112)를 회전가능하게 차단하도록 턱부(114)에 재치되는 원판형의 상부덮개(210)와, 상기 분체수용홈(122)에 대응하도록 통공(222)을 형성한 판형의 하부덮개(220)와, 이 상,하부 덮개(210)(220)를 중심에서 수직/연결함과 아울러 하단에서 상단으로 소정의 분체가 통과하는 통로(232)를 형성한 수직관체(230)로 이루어진 회전체(200)를 포함한다.
분체,정량배출,용기

Description

분체 정량 배출용기{Receptacle for use of discharge powder to fixed quantity}
도 1은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분체수용홈을 개폐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분체수용홈(122)과 통공(222)이 연통되거나 차단됨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5a,도 5b는 본 고안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통체,112:개구부,114:턱부, 120:받침체,122:분체수용홈,124:경사면,
200:회전체,210:상부덮개,211:탄성부, 212:턱부, 213:미세돌기, 214:장공,
220:하부덮개,222:통공, 230: 수직관체,232:통로,234:연장부,236:손잡이,
본 발명은 분체 정량 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측에 커피, 프 림, 설탕, 녹차 등의 식품이나 소금, 고추가루등의 조미료와 같은 주로 작은알갱이나 분말가루 내용물을 담아 사용시 용기내부 바닥경사면에 형성된 분체수용홈의 개폐에 따라 분체가 일정량 수용되도록 한 뒤 용기를 전도시켜 담겨진 분체만이 배출되도록 한 분체 정량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각종 커피, 프림, 설탕, 소금, 고추가루 등의 식품이나 조미료등 작 은 알갱이나 분말가루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는 식품용기는 용기내에 내용물을 담아 뚜껑을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 사용시 뚜껑을 열고 스푼등을 사용하여 필요한 양만큼 퍼서 사용하였으나, 옮길때마다 용기 외부로 쏟아져 지저분 해지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음은 물론, 정확한 량을 계량하여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정량배출 용기가 있었지만, 정량배출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구조가복잡하고 까다로워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즉,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97 - 11746 호의 정량배출 용기는 용기내측의 하단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배출관을 삽설하여 배출관 하단유입구의 크기에 따라 내용물을 배출토록하고, 배출용량표시가 이루어진 뚜껑을 통하여 동일한 배출량만 배출되도록 한 것이지만 사용자가 배출량 조절을 할 수 없음은 물론, 사용이 번거롭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점등이 있었으며, 내용물이 완전 배출되지 못하고 남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측으로 내장된 각종 식품의 분말가루 내용물을 정확하게 정량배출 할 수 있음은 물론, 배출량을 누구나 손쉽고도 간편하게 선택 조절할 수 있어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배출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마지막 남은 내용물까지 완전배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체 정량 배출용기는,
중심부를 향하여 꼭지점을 이루도록 대략 삼각형의 분체수용홈을 바닥측에 적어도 3개이상 형성하고 상부는 개구부를 이루되 그 연부를 따라 턱부를 형성한 원통형의 통체;및 상기 원통형의 통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단 개구부를 회전가능하게 차단하도록 받침턱부에 대응하도록 통공을 형서안 판형의 하부덮개와, 이상, 하부덮개를 중심으로 수직/연결함과 아울러 하단에는 상단으로 소정의 분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한 수직관체로 이루어진 회전체를 포함하여서 된다.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상기 통체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체와, 중심부를 향하여 꼭지점을 이루도록 대략 삼각형의 분체수용홈을 바닥측에 적어도 3개이상 형성하고, 그 주위에는 원통형의 주벽을 형성한 받침체로 분리되어 상기 통체에 조립되는 받침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상기 수직관체는,
그 하부 덮개가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하향 경사진 원판형을 이루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체의 분체수용홈을 구성하는 벽은 그 중앙점을 향하여 상향 RUTD사면을 이루어 하부덮개와 면접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상기 수직관체는,
그 상부덮개 외측으로 수직관체를 연장함과 아울러 그 연장부에 회전손잡이를 형성하여 본 용기를 이용한 제품이 출하과정에서 흔들림으로 인해 통공을 통해 분체수용홈으로 내용물이 들어가능 것을 방지하였고, 사용시 손잡이를 회전시켜 통공과 분체수용홈을 일치시키면 내용물이 정량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상기 수직관체의 상부덮개는 그 연부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호형 장공을 형성하고, 그 연부와의 사이에 탄력을 받는 탄성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통체의 받침턱부에 접촉하도록 미세돌기를 형성하며, 통체의 받침턱부 위에는 이 미세돌기에 대응하는 미세홈을 형성하여 미세돌기와 미세홈에 의하여 상부덮개가 착/탈되는 특징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원통체(100)는 통체(110)와 받침체(120)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통체(110)내부로 부터 조립된 상부덮개(210)가 노출되어 있으며, 배출기능을 갖는 부분이다. 이 상부덮개(210)는 상기 통체(110)내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회전체(200)의 일부구조이며, 이 부분에는 통체(110)내에 형성된 수직관체(230)의 연장부(234)가 노출되어 있으며, 회전손잡이(236)와, 분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통체(110)의 상연부 외측으로는 나선(115)이 형성되어 있으며,이 나선(115)에 대응되는 나선(302)을 형성한 뚜껑(300)이 나사로 마추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는 통체(110)와, 받침체(120)와, 회전체(200) 및 뚜껑(30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원통체(110)의 하방에 결합되는 받침체(120)는 조립후 일체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립구조는 원통체(1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각도표시홈(111)에 받침체(120)의 돌편(121)이 삽착되는 구조로 하여 조립하게 되면 내부 분체수용홈(122)의 각도가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후 이를 일체로 결합하므로서 하나의 통체(100)가 된다.
이러한 통체(110)는 중심부를 향하여 꼭지점을 이루도록 대략 삼각형의 분체수용홈(122)을 바닥측에 적어도 3개이상 형성하고 상부는 개구부(112)를 이루되 그 연부를 따라 턱부(114)를 형성하여서된다.
회전체(200)는 다시 상기 원통형의 통체(10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단 개구부(112)를 회전가능하게 차단하도록 받침턱부(114)에 대응하는 걸림턱부(212)를 주연부를 따라 형성한 원판형의 상부덮개(210)와, 상기 분체수용홈(122)에 대응하도록 통공(222)을 형성한 판형의 하부덮개(220)와, 이 상,하부 덮개(210)(220)를 중심에서 수직/연결함과 아울러 하단에서 상단으로 소정의 분체가 통과하는 통로(232)를 형성한 수직관체(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200)는 그 하부덮개(220)가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하향 경사진 원판형을 이루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분체수용홈(122)을 구성하는 벽은 그 중앙점을 향하여 상향 경사면(124)을 이루어 하부덮개(220)의 저부와 면접하도록 이루어지며, 상부덮개(210)외측으로 수직관체(230)을 연장하여 연장부(234)를 형성하고, 이연장부(234)에 회전손잡이(236)를 형성하여 회전손잡이(236)의 회전으로서 상부덮개(210), 하부덮개(220) 및 수직관체(230)이 동시에 소정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체(200)의 상부덮개(210)는 그 연부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호형장공(214)을 형성하고, 그 연부와의 사이에 탄력을 받는 탄성부(211)를 형성함과 아울러 통체(100)의 상연부에 형성된 받침턱부(114)에 접촉하도록 미세돌기(213)를 형성하며, 통체(100)의 받침턱부(114)위에는 이 미세돌기(213)에 대응하는 미세홈(113)을 형성하여 미세돌기(213)와 미세홈(113)에 의하여 상부덮개(210)가 분리/결합되도록 한다.
첨부 도면중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분체수용홈을 개폐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분체수용홈(122)과 통공(222)이 연통되거나 차단됨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는 예를들면,초기(도 3b)에 10g의 내용물을 배출코자 하면 미사용중에 분체수용홈(122)을 차단하고 있던 하부덮개(220)가 해당 분체수용홈(122)과 하부덮개(220)의 통공(222)이 연통되도록 회전손잡이(236)를 회전시켜준다(도 3a).
도 4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분체수용홈(122)과 통공(222)이 연통된 상태로서 원통체(110)의 공간(a)에 위치한 내용물이 분체수용홈(122)에 수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분체를 배출하고자 하면 도 3a와 도 4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손잡이(236)를 통체(110)에 표시된 10g의 위치(대략 120°마다 형성된 제 1미세홈(113)의 위치)에서 다음 각도의 미세홈(113)으로 회전시켜 놓으면 하부덮개(220)의 통공(222)이 경사면(124)에 위치하여 공간(a)의 분체가 공급되지 않게 차단된다.
동시에 삼각형상의 분체수용홈(122)이 위치하는 중점부분(꼭지점)은 수직관체(230)의 통로(232)상에 놓여 있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5a,도 5b는 본 고안 분체 정량 배출용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분체가 채워진 공간(a)의 하방측에 위치한 분체수용홈(122)에는 하부덮개(220)의 통공(222)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분체가 충분히 채워지고, 이후 하부덮개(220)의 회전으로 분체수용홈(122)이 차단되면 분체가 배출될 길은 그 중심에 위치한 통로(232)뿐이며, 이 통로(232)에는 분체수용홈(122)이 위치하는 꼭지점 부분에서 통로(232)와 연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b와같이 원통체(100) 전체를 전도시켜 분체를 배출하게 되면 배출구(231)를 통하여 하부덮개(220)에 의하여 갇혀진 분체수용홈(122)의 면적만큼의 분체(상기 예에서는 10g)만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분체의 정량은 이 분체수용홈(122)의 면적에 비례하므로 필요한 1회 분체 정량을 결정한 뒤 분체수용홈(122)의 면적과 갯수를 설계하여 받침체(120)를 형성하므로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분체수용홈(122)의 크기를 달리하여 예를들면, 10g,20g,30g의 면적으로 3개를 형성하고 있으나, 1회 배출량을 계정하여 그 면적과 갯수를 사전에 조절/설계하므로서 그 배출량의 계량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분체 정량 배출용기는 그동안 녹차분말등의 내용물 분체의 정량배출이 어려웠던 각종 정량배출용기들이 갖는 단점을 극복하여 구조적으로도 간단하면서도 정량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새로운 원리의 분체 정량 배출용기를 제공하게 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분체 정량 배출용기에 있어서,
    중심부를 향하여 꼭지점을 이루도록 대략 삼각형의 분체수용홈(122)을 바닥측에 적어도 3개이상 형성하고 상부는 개구부(112)를 이루되 그 연부를 따라 턱부(114)를 형성한 원통형의 통체(100);및
    상기 원통형의 통체(10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단 개구부(112)를 회전가능하게 차단하도록 받침턱부(114)에 대응하는 걸림턱부(212)를 주연부를 따라 형성한 원판형의 상부덮개(210)와, 상기 분체수용홈(122)에 대응하도록 통공(222)을 형성한 판형의 하부덮개(220)와, 이 상,하부 덮개(210)(220)를 중심에서 수직/연결함과 아울러 하단에서 상단으로 소정의 분체가 통과하는 통로(232)를 형성한 수직관체(230)로 이루어진 회전체(200)를 포함하는 분체 정량배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100)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체(110)와, 중심부를 향하여 꼭지점을 이루도록 대략 삼각형의 분체수용홈(122)을 바닥측에 적어도 3개이상 형성하고, 그 주위에는 원통형의 주벽을 형성한 받침체(120)로 분리/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정량 배출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는,
    그 하부덮개(220)가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하향 경사진 원판형을 이루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분체수용홈(122)을 구성하는 벽은 그 중앙점을 향하여 상향 경사면(124)을 이루어 하부덮개(220)의저부와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체 정량배출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는,
    그 상부덮개(210) 외측으로 수직관체(230)를 연장하여 연장부(234)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234)에 회전손잡이(23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정량 배출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의 상부덮개(210)는 그 연부를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호형장공(214)을 형성하고, 그 연부와의 사이에 탄력을 받는 탄성부(211)를 형성함과 아울러 통체(100)의 상연부에 형성된 턱부(114)에 접촉하도록 미세돌기(213)를 형성하며, 통체(100)의 턱부(114)위에는 이 미세돌기(213)에 대응하는 미세홈(1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정량 배출용기.
KR1020040069877A 2004-09-02 2004-09-02 분체 정량 배출용기 KR10062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877A KR100620953B1 (ko) 2004-09-02 2004-09-02 분체 정량 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877A KR100620953B1 (ko) 2004-09-02 2004-09-02 분체 정량 배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062A KR20060021062A (ko) 2006-03-07
KR100620953B1 true KR100620953B1 (ko) 2006-09-19

Family

ID=3712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877A KR100620953B1 (ko) 2004-09-02 2004-09-02 분체 정량 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06B1 (ko) * 2010-07-07 2012-05-17 박헌호 정량 배출용기
KR101456114B1 (ko) * 2013-10-28 2014-11-03 박헌호 용이한 토출구조를 갖는 정량 배출용기
KR102245727B1 (ko) * 2018-05-08 2021-04-29 광둥 이방 파마슈티컬스 씨오.,엘티디 한약 과립의 이중홀 정량배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040B2 (ja) 1992-08-06 1998-10-22 シロウマサイエンス株式会社 定量容器
KR200342752Y1 (ko) 2003-11-14 2004-02-18 김상근 분말 제품의 정량 배출장치
JP3523604B2 (ja) 2001-02-27 2004-04-26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粉体定量取り出し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040B2 (ja) 1992-08-06 1998-10-22 シロウマサイエンス株式会社 定量容器
JP3523604B2 (ja) 2001-02-27 2004-04-26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粉体定量取り出し容器
KR200342752Y1 (ko) 2003-11-14 2004-02-18 김상근 분말 제품의 정량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062A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1772A (en) Particulate storage container
US4346823A (en) Multiple function closure
US8534507B2 (en) Granule dispensers
US9635971B2 (en) System of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and a machine for dosing the product
US4957219A (en) Measuring and dispensing cap
AU2008299002B2 (en) Adjustable metered material dispenser
US5934573A (en) Measuring dispenser-spreader and method
EP3652506B1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KR100620953B1 (ko) 분체 정량 배출용기
US4066186A (en) Instant coffee dispenser
US8191737B2 (en) Apparatus for storing, dispensing, and measuring dry granular or powdered materials
KR200315080Y1 (ko) 정량조절 배출용기
US20150014349A1 (en) Dispensing Contents from Selected Chambers
JP3644098B2 (ja) 粉粒体用定量栓体
JP3671471B2 (ja) 計量可変機能付定量キャップ
US3989166A (en) Apparatu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JPH076153Y2 (ja) 粉粒体容器の定量振出し蓋
KR20190131187A (ko) 정량 토출이 가능한 캡 구조
JP2720335B2 (ja) 回動型の定量排出装置付き容器
JP3671472B2 (ja) 計量可変機能付定量キャップ
RU105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дозирования сыпучего продукта
RU2575439C2 (ru) Система из контейнер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дозирования продукта и аппарата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продукта
KR100375695B1 (ko) 정량 공급장치
KR20020082575A (ko) 정량 배출식 분말케이스
JP2006021779A (ja) 計量振り出し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