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567Y1 - 양념 용기 - Google Patents

양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567Y1
KR200462567Y1 KR2020100007850U KR20100007850U KR200462567Y1 KR 200462567 Y1 KR200462567 Y1 KR 200462567Y1 KR 2020100007850 U KR2020100007850 U KR 2020100007850U KR 20100007850 U KR20100007850 U KR 20100007850U KR 200462567 Y1 KR200462567 Y1 KR 200462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container
screw
hol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007U (ko
Inventor
김용출
최영일
Original Assignee
김용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출 filed Critical 김용출
Priority to PCT/KR2010/0081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71251A2/ko
Publication of KR20110006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0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5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념을 사용하기 위하여 양념류를 보관하는 용기 자체를 옮기거나 용기의 뚜껑을 여닫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양념이 정량으로 공급되어 별도의 계량도구가 필요없는 양념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구된 양념 수납부를 갖는 양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양념 수납부는, 상기 양념 수납부의 어느 한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양념 수납부 내부의 저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스크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 수납부에 장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상기 양념 수납부의 외부로 노출된 쪽의 단부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된 양념 이동수단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념 용기{Spices Container}
본 고안은 양념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뚜껑을 여닫지 않고서도, 정량의 양념을 꺼낼 수 있는 양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양념류는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맛을 돋우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서, 이러한 양념류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세척과정을 거치지 않고 조리 중인 음식이나 조리가 끝난 음식에 첨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양념류에 있어서는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양념류는, 고추 가루, 통깨, 소금, 설탕, 다시다, 통후추, 허브 분말 등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같은 종류라 할지라도 그 크기나 형태가 다양하고, 종류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분리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양념류를 보관하기 위한 종래의 양념 용기는, 양념을 수납하는 양념 수납부의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부분에 뚜껑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양념 용기는, 조리 중에 양념 용기로부터 내용물인 양념을 꺼내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뚜껑을 여닫거나 양념을 계량하기 위해 스푼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들어가 양념이 오염되거나 상하기 쉬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종래의 양념 용기로는, 뚜껑의 상부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그 위에 덮개를 마련한 것이 있다. 이러한 양념 용기는 뚜껑 자체를 여닫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구멍 자체가 작고 양념의 계량이 곤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양념류가 미세한 분말로 된 것으로 제한될 뿐만 아니라, 양념 배출을 위하여 형성된 작은 구멍들이 쉽게 오염될 수 있고, 이 경우 작은 구멍들이 다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요리에는 여러 가지 양념이 사용되기 때문에, 각각의 양념마다 사용되는 양념 용기의 수가 많아지고, 좁은 수납 공간에 여러 개의 양념 용기를 겹쳐서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필요한 양념을 사용할 때마다 다른 양념 용기를 옮기고 필요한 양념이 들어 있는 양념 용기를 꺼내야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바쁜 시간에는 요리시간 내내 사용빈도가 높은 양념의 용기 뚜껑을 그대로 개방한 채로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에 의하여 양념이 오염될 가능성이 더욱 증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양념을 사용하기 위하여 양념류를 보관하는 양념 용기 자체를 옮기거나 용기의 뚜껑을 여닫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양념이 정량으로 공급되어 별도의 계량도구가 필요없는 양념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구된 양념 수납부를 갖는 양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양념 수납부는, 상기 양념 수납부의 어느 한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양념 수납부 내부의 저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스크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 수납부에 장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상기 양념 수납부의 외부로 노출된 쪽의 단부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된 양념 이동수단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기 관통구멍은 원형이고, 상기 스크류 수납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원주의 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양념 수납부 내부의 저면보다 아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양념 수납부의 외부쪽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원통형의 관형상으로서 상기 관통구멍과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양념 공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양념 이동 수단에는 상기 스크류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가 상기 양념 공급부 및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양념 공급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기 양념 공급부에는, 하측으로 양념 배출구가 개구되어 마련되고, 상기 양념 이동 수단에는,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상기 스크류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차단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부에 의하여 상기 양념 배출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기 양념 공급부의 내측(양념 수납부 측) 단부로부터 상기 양념 배출구의 개구된 면의 직전까지의 길이는 스크류의 1/2피치(P)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기 양념 공급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을 제어하는 위치결정수단을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기 양념 수납부 내부의 저면은, 수평면이거나 또는 상기 스크류 수납부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기 양념 수납부는, 상부의 전체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양념 수납부의 내부의 상측에, 둘레를 따라 계지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양념 수납부의 하단에는, 외부 둘레를 따라 계지돌기가 마련된 용기 하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기 손잡이부에 가장 가까운 스크류의 날의 단부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념 용기는, 상기 양념 수납부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내열유리, 적층 강화유리,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양념이동 수단은 스테인레스, 내열유리, 적층 강화유리,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올템, 아크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양념을 사용하기 위하여, 양념류를 보관하는 용기를 옮기거나 뚜껑을 여닫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정량으로 공급되어 별도의 계량도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양념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양념을 꺼내는 과정에서 양념이 이물질이나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에 있어서, 스크류가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배면에 스크류의 축심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배면에 스크류의 축심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에 이용되는 스크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에 이용되는 스크류의 사용예.
(제 1 실시예)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제 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양념 용기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양념 용기에 있어서, 스크류가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양념 용기의 배면에 스크류의 축심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양념 용기의 배면에 스크류의 축심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는, 도 1 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념류를 수납하는 공간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양념 수납부(10)와,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상부의 개구된 부분을 덮는 뚜껑(30)과, 하단에서 상기 양념 수납부(10)을 지지하는 용기 하단부(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상부가 전부 개구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일부만 개구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용기 하단부(40)는 상기 양념 수납부(1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양념 용기를 수직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할 때, 상기 용기 하단부(40)가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상부의 개구된 부분으로 삽입시켜 2개의 양념 용기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상부를 일부만 개구하는 것으로 할 때에는, 상기 용기 하단부(40)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양념 수납부(10) 한 면에는, 하단 쪽에 원형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이하에서는, 상기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면을 정면으로, 상기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을 배면으로 본다.),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부에는, 상기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정면으로부터 배면까지 가로지르는 스크류 수납부(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재질로서는, 스테인레스, 내열유리, 적층 강화유리,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수납부(1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부의 저면(L)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관통구멍(12)의 원주(圓周)의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반(半) 원통형의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부의 저면(L)은, 상기 스크류 수납부(11)의 양 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측면까지 연장된 면으로서, 상기 저면(L)을 수평면으로도 할 수 있지만, 상기 스크류 수납부(11)의 측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측면 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크류 수납부(11)를,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부의 저면(L)보다 낮게 배치하고, 상기 저면(L)을 상기 스크류 수납부(11)의 측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측면 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상기 양념 수납부(10)에 수납된 양념들이 상기 스크류 수납부(11)에 효율적으로 모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정면에는, 상기 관통구멍(12)으로부터 외부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 관형상의 양념 공급부(13)가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양념 공급부(13) 하측에는 사각 형상의 양념 배출구(1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양념 배출구(14)는 덮개(15)에 의해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상기 양념 공급부(13)는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불필요하게 외부 공간을 차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양념 배출구(14)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일부를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배면에는, 스크류 축심 구멍(16)이 상기 스크류 수납부(11)가 이루는 원의 중심점 위치에 상기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도 1 및 도 4 참조), 상기 스크류 축심 구멍(16)이 형성된 배면의 외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축심 계지부(17)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양념 이동수단(20)는 스크류(21)와 상기 스크류(21)의 한쪽 단부에 마련된 손잡이부(22)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21)의 다른쪽 단부에는 축심(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스크류(21)의 축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2)에는, 상기 스크류(21)가 연결된 쪽으로 단차를 갖고 마련된 결합부(23)가 있으며, 상기 결합부(23)의 외경은,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내경과 거의 일치한다.
상기 양념 이동수단(2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21)의 축심이 마련된 쪽을 삽입 방향으로 하여, 상기 양념 공급부(13)를 지나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로 삽입된다. 삽입된 상기 양념 이동수단(20)는, 상기 스크류(21)의 축심이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배면에 마련된 상기 스크류 축심 구멍(16)을 지나 상기 스크류 축심 계지부(17)에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고, 상기 스크류(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수납부(11)를 거쳐 상기 양념 공급부(13)까지 장착되어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22)에 마련된 결합부(23)가 상기 양념 공급부(1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3)는 상기 양념 공급부(13)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손잡이부(22)는 제자리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22)를 회동시킬 때, 상기 양념 이동수단(20)가 상기 양념 공급부(13)로부터 빠져나올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결합부(23)의 표면에 둘레를 따라 계지돌기(23a) 마련하고,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안쪽에도 둘레를 따라 계지돌기(13b)를 마련하여, 상기 결합부(23)의 계지돌기(23a)가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계지돌기(13b)를 지나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3)의 계지돌기(23a)와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계지돌기(13b)의 결합은, 상기 결합부(23)와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재질이 연성으로 압력에 의해 신축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2) 축방향으로 압력에 의해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결합부(23)의 계지돌기(23a)가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계지돌기(13b)를 지나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양념 용기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등 불의의 충격에 의해서 상기 결합부(23)가 상기 양념 공급부(13)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결합부(23)의 계지돌기(23a) 및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계지돌기(13b) 중 어느 한쪽의 계지돌기를 2열 이상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양념 수납부(10)에 상기 양념 이동수단(20)가 결합된 양념 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양념이동 수단은 스테인레스, 내열유리, 적층 강화유리,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올템, 아크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다음은, 상기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양념 수납부(10)에 수납하고자 하는 양념을 넣고 뚜껑(30)을 닫아 보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21)는 제자리에서 회전하지만, 상기 스크류(21)의 산과 산 사이(피치)에 들어 있는 양념은 상기 스크류(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양념 배출구(14)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념이 상기 스크류(2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상기 스크류(21)가 상기 스크류 수납부(11)와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스크류(21)와 스크류 수납부(11) 사이에 마찰에 의한 마모가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스크류 수납부(11)의 반지름을 상기 스크류(21)의 날을 포함하는 원의 반지름보다 약간 더 크게 하여 양자 사이에 미세한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념 배출구(14) 쪽으로 이동한 양념은, 상기 덮개(15)를 개방하면, 상기 양념 배출구(14)를 통해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양념 배출구(14)의 위치를 상기 스크류(21)의 최종 피치(상기 손잡이부(22) 쪽 피치)와 일치시키고, 상기 양념 배출구(14)의 크기, 즉 길이(a)는 상기 스크류(21)의 1 피치 간격(P)과 같거나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더 바람직하게는 거의 같게), 또한 폭(b)은 스크류의 날을 포함한 원의 지름(R)과 같거나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더 바람직하게는, R/4<b≤R).
또한 상기 양념 배출구(14)를 통해 양념을 배출할 때, 상기 양념 배출구(14)에 맞닿은 피치와 연장되는 상부 피치가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원통형 관에 의해 밀폐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으면, 개방된 공간으로 양념이 계속 유입되어 상기 양념 배출구(14)를 통해 양념을 배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내측(양념 수납부 측) 단부로부터 상기 양념 배출구(14)의 개구된 면의 직전까지의 길이는 스크류(21)의 1/2피치(P)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2)의 정면에 숫자나 눈금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두거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념 공급부(13)와 상기 결합부(23)가 접하는,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상측 단부 쪽에 위치결정수단(13a)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결정수단(13a)은, 상기 양념 공급부(13)의 내부로부터 상기 결합부(23)에 탄성적으로 맞닿도록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23)의 일정한 위치에 형성된 홈과 일시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결정수단(13a)이 상기 결합부(23)에 형성된 홈에 이르면 탄성적으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22)의 회전을 제어하지만, 계속 회전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적으로 수축되어 상기 손잡이부(2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양념을 사용하기 위하여 양념류를 보관하는 용기의 뚜껑을 여닫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양념이 정량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별도의 계량도구가 필요 없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를 2개 이상 적재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이미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의 사시도 이고, 도 7은 상기 양념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념 수납부(10)는, 상부의 전체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내부의 상측에는 둘레를 따라 계지돌기(15)가 마련되어 있으며, 용기 하단부(40)에도 외부 둘레를 따라 계지돌기(4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상기 양념 용기 2개를 수직방향으로 적재한 것으로, 아래쪽 양념 용기의 상기 양념 수납부(10)의 상부의 개구된 부위로, 위쪽 양념 용기의 용기 하단부(40)가 삽입되어, 위쪽 양념 용기의 용기 하단부(40)의 계지돌기(41)가 아래쪽 양념 용기의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부의 계지돌기(15)를 지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 하단부(40)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부의 상측 부분과 정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지돌기(41)와 계지돌기(15)의 결합은 양념 용기의 재질이 연성으로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위쪽 양념 용기에 압력을 가하면 위쪽 양념 용기의 용기 하단부(40)의 계지돌기(41)가 아래쪽 양념 용기의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부의 계지돌기(15)를 지나 결합 가능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양념 용기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등 불의의 충격에 의해서 상기 계지돌기(41)과 계지돌기(15)의 결합이 해체되어 위쪽 양념 용기와 아래쪽 양념 용기가 분리될 염려가 있으므로, 용기 하단부(40)의 계지돌기(41) 및 상기 양념 수납부(10) 내부의 계지돌기(15) 중 어느 한쪽의 계지돌기를 2열 이상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독립된 양념 용기를 적재하였을 때,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위에 놓인 양념 용기가 미끄러져서 떨어지는 등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제 3 실시예를 도 8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및 2 실시예에 의한 양념 용기에서 스크류를 포함하는 양념이동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8은 스크류를 포함하는 양념이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8에 의하면, 손잡이부(22) 쪽의 스크류(21)의 날의 단부에 홈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23)의 일부가 스크류(21)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차단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부(24)를 형성함으로서, 입자의 크기가 큰 곡물이나 양념류가 스크류(21)의 날과 스크류 수납부(11) 사이에 끼여서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서는 손잡이부에 가장 가까운 스크류(21)의 날의 단부에만 하나의 홈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손잡이부에 가장 가까운 스크류(21)의 날을 포함하여 복수의 스크류(21)의 날의 단부에 홈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스크류(21)의 날의 1회전 거리에 하나의 홈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홈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차단부(25) 크기 및 형상은, 양념공급부(13)에 마련된 양념 배출구(14)의 개구의 크기 및 형상에 정합적으로 형성되어, 양념 배출구(14)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양념 배출구(14)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상기 차단부(25)을 상기 양념 이동수단(20)에 직접 마련함으로써, 스크류(21)의 1회전 동안 배출되는 양념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이나 용도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은 양념 용기에 대해 기술하고 있지만, 본 고안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여 분말 또는 입자 형상의 세제나 커피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스크류의 축을 원기둥 형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의 축이 명확하게 구분될 필요가 없고, 일정한 방향으로 양념 등을 이동시킬 수 있다면 형상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양념 용기는, 특별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양념 수납부(10)의 어느 측면이나 상면에 자석이나 고리 등의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양념 용기를 벽체나 천정에 걸거나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양념 수납부 11: 스크류 수납부
12: 관통구멍 13: 양념 공급부
13a: 위치결정수단 13b: 계지돌기
14: 양념 배출구 15: 덮개
16: 스크류 축심 구멍 17: 스크류 축심 수납부
18: 계지돌기
20: 양념 이동수단 21: 스크류
22: 손잡이부 23: 결합부
24: 홈부 25: 차단부

Claims (9)

  1. 삭제
  2.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구된 양념 수납부를 갖는 양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양념 수납부는, 상기 양념 수납부의 어느 한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원형의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원주의 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양념 수납부 내부의 저면보다 아래를 가로질러 형성된 스크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양념 수납부의 외부쪽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원통형의 관형상으로서 상기 관통구멍과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양념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 수납부에 장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한쪽 단부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된 양념 이동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 이동 수단에는 상기 스크류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가 상기 양념 공급부 및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양념 수납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양념 공급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공급부에는, 하측으로 양념 배출구가 개구되어 마련되고,
    상기 양념 이동 수단에는,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상기 스크류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차단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부에 의하여 상기 양념 배출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공급부의 내측(양념 수납부 측) 단부로부터 상기 양념 배출구의 개구된 면의 직전까지의 길이는 스크류의 1/2피치(P)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공급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을 제어하는 위치결정수단을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수납부 내부의 저면은, 수평면이거나 또는 상기 스크류 수납부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7.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수납부는, 상부의 전체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양념 수납부의 내부의 상측에, 둘레를 따라 계지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양념 수납부의 하단에는, 외부 둘레를 따라 계지돌기가 마련된 용기 하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8.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가장 가까운 스크류(21)의 날의 단부에 홈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9.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수납부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내열유리, 적층 강화유리,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양념이동 수단은 스테인레스, 내열유리, 적층 강화유리,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올템, 아크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용기.
KR2020100007850U 2009-12-08 2010-07-27 양념 용기 KR200462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8176 WO2011071251A2 (ko) 2009-12-08 2010-11-19 양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5912 2009-12-08
KR2020090015912 2009-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07U KR20110006007U (ko) 2011-06-15
KR200462567Y1 true KR200462567Y1 (ko) 2012-09-17

Family

ID=4755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850U KR200462567Y1 (ko) 2009-12-08 2010-07-27 양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5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557B1 (ko) * 2017-09-25 2018-06-04 주식회사 성산지엔 한과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805A (ja) * 2004-11-22 2006-06-08 Kuo Yu Plastic Enterprise Co Ltd 定量取出式調味料入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805A (ja) * 2004-11-22 2006-06-08 Kuo Yu Plastic Enterprise Co Ltd 定量取出式調味料入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07U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891B2 (en) Container of liquid seasoning with a stirring mechanism
US5927558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granular material
US8485383B2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 and drinks
US6419107B1 (en) Cookware
US20050229793A1 (en) Food server
US20040108285A1 (en) Container assembly
KR200462567Y1 (ko) 양념 용기
US20190315550A1 (en) Insta-mix cup
US11918151B2 (en) Coffee storage container
KR102056632B1 (ko) 양념 자동 공급장치
WO2011071251A2 (ko) 양념 용기
US20160262559A1 (en) Vessel which is easy to open and close and has metering function
CN208799120U (zh) 组合式调味料瓶
KR101584591B1 (ko) 한손 열림기능을 갖는 양념통과 거치대를 갖는 조리 기구
KR20190121581A (ko)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KR100620953B1 (ko) 분체 정량 배출용기
JP4594903B2 (ja) 容器に収容されたペースト状の調味済の食肉または魚肉からなる調理材
KR200373948Y1 (ko)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KR102490310B1 (ko) 싱크대의 상부장에 구비되는 조미료용기
KR102294396B1 (ko) 펜슬형 정량토출 용기
KR200445486Y1 (ko) 자석을 이용한 분리 가능한 양념통
KR100845879B1 (ko) 조미료 용기
KR200221658Y1 (ko) 정량 공급장치
KR100375695B1 (ko) 정량 공급장치
CN211324577U (zh) 婴幼儿专用调味盐盐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