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948Y1 -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948Y1
KR200373948Y1 KR20-2004-0031047U KR20040031047U KR200373948Y1 KR 200373948 Y1 KR200373948 Y1 KR 200373948Y1 KR 20040031047 U KR20040031047 U KR 20040031047U KR 200373948 Y1 KR200373948 Y1 KR 200373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ood
present
container body
utens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현
Original Assignee
서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문현 filed Critical 서문현
Priority to KR20-2004-0031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에 관한 것으로, 각종 옥수수, 보리등과 같은 차류나 또는 멸치, 다시마 등과 같은 조미재료를 내장하여 냄비등과 같은 음식용구의 뚜껑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하므로써, 조리시 걸름통안의 조미재료가 증기에 의해 엑기스가 흘러나와 음식용구안의 육수안에 혼합되어 깔끔한 맛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덮혀지는 뚜껑부로 이루어진 음식용구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저면에는 조미재료가 삽입되는 걸름통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걸름통은 뚜껑의 저면에 결합된 체결부재와 관통결합되는 마개부와, 이 마개부와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망통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음식용구의 뚜껑부의 안쪽에 걸름통을 구비하여 내용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므로써, 항상 육수 고유의 맛을 배가시키고, 조리후 이물질이 함유되지않으므로 깔끔한 맛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A Food Tool with Filtering Box capable seperation and combination}
본 고안은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옥수수, 보리등과 같은 차류나 또는 멸치, 다시마 등과 같은 조미재료를 내장하여 냄비등과 같은 음식용구의 뚜껑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하므로써, 조리시 걸름통안의 조미재료가 증기에 의해 엑기스가 흘러나와 음식용구안의 육수안에 혼합되어 깔끔한 맛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때에는 음식의 맛을 배가시키기 위해서 멸치, 다시마 등과 같은 조미재료들을 끓는 물에 넣어서 우려내어 만든 육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미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용구의 일례로서 냄비(1)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냄비(1)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뚜껑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이 뚜껑부(20)에는 뚜껑부(20)의 취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1)가 갖추어져 있고, 이 손잡이(21)는 체결부재(22)를 통해 뚜껑부(20)의 중앙 저면을 통해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체결부재(22)로서는 통상적으로 나사 등과같은 관용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음식용구 가령 냄비(1)안에 담겨진 물(W)을 소정시간 끓여서 육수를 만든 다음, 조미재료인 건데기(A)를 건져내도록 하였다. 따라서, 건져내는 작업을 별도로 해야하고 제대로 건져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육수를 먹을때 조미재료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어서 이물감을 느끼고 맛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별도의 걸름통을 마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즉,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2개의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하나의 망통을 구성한 것으로서, 이 걸름통안에 멸치 또는 다시마등을 넣어서 냄비안의 물안에 담궈서 조미재료를 우려내어 육수를 만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걸름통은 물에 그대로 담궈서 끓이게되므로 걸름통안에 있는 조미재료의 일부가 빠져나와 끓는 물에 함유되어서 역시 육수를 먹을때 이물감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음식용구의 뚜껑 안쪽면에 걸름통을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서 끓이는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하므로써 끓는 물로부터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걸름통안의 각종 조미재료의 엑기스 성분이 흘러나와서 끓는 물에 포함되어 우려내므로써 육수의 맛을 배가시킬 수 있고, 조미재료가 직접 포함되지 않으므로 이물감을 전혀 느끼지않고 깔끔한 맛을 낼 수 있도록 한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용구의 일례인 냄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용기본체
20 : 뚜껑부
21 : 손잡이
22 : 체결부재
30 : 걸름통
31 : 마개부
31a : 걸림돌기
32 : 망통
32a : 구멍
32b : 걸림공
32c : 수직부
32d : 수평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덮혀지는 뚜껑부로 이루어진 음식용구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저면에는 조미재료가 삽입되는 걸름통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걸름통은 뚜껑부의 저면에 결합된 체결부재와 관통결합되는 마개부와, 이 마개부와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망통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망통은 전체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마개부의 내측면 둘레방향으로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망통의 외주면에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나뉘어진 "ㄴ"자형을 이루는 걸림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용구로서 "냄비"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와 마찬가지로 냄비(1)는 용기본체(10)와 뚜껑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물을 담아서 가열기구(도시되지 않음)에의해 물을 끓이도록 한다.
상기 뚜껑부(20)에는 통상적으로 손잡이(21)와, 이 손잡이(21)가 뚜껑부(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22)를 뚜껑부(2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고정시킨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뚜껑부(20)의 저면에 걸름통(30)을 착탈가능하게 구비한 구조로서, 걸름통(30)은 뚜껑부(20)의 저면에 바로 결합고정되는 마개부(31)와, 이 마개부(31)에 끼워지는 망통(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마개부(31)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재(22)가 관통되어 뚜껑부(2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망통(32)의 전체 둘레면에는 다수의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31)의 내측면 둘레방향으로는 걸림돌기(31a)가 돌출,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망통(32)의 외주면에는 "ㄴ"자형을 이루는 걸림공(3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공(32b)은 수직부(32c)와 수평부(32d)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개부(31)의 안쪽면으로 망통(32)을 삽입하면, 마개부(31)안의 걸림돌기(31a)가 걸림공(32b)에 1차 걸리고, 이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약간 돌리면 걸림공(32b)의 수평방향의 걸림공안으로 이동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게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조미재료의 맛을 더하기위해서, 멸치 또는 다시마 등과 같은 조미재료(B)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미재료를 첨가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상기 걸름통(30)안에 멸치 또는 다시마와 같은 조미재료를 넣은 다음, 예컨대 냄비등과 같은 음식용구의 용기본체(10)에 뚜껑부(20)를닫고 조리를 하면된다.
그러면, 용기본체(10)안에 들어있는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증기가 상승하여 걸름통(30)을 이루는 망통(32)의 구멍(32a)을 통해 유입된다. 그에따라 망통(32)안에 잔존하고 있는 조미재료의 엑기스가 다시 구멍(32a)을 통해 흘러나와 끓는 물에 떨어져서 혼합된다.
따라서, 조미재료의 엑기스 성분만 함유되고 조미재료의 일부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육수로서의 맛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다른 조미재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름통(30)을 이루는 망통(32)을 음식용구의 뚜껑부(20)에 고정된 마개부(31)로부터 분리한 다음, 새로운 조미료를 넣고 다시 마개부(31)에 결합시키면 된다.
분리시에는 상기 결합시와 반대동작으로 수행하면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편의상 멸치 또는 다시마와 같은 조미재료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고추,양파등 각종 양념류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고, 더욱이 바이오세라믹소재, 게르마늄, 숯(대나무 숯)과 같은 재료를 걸름통(30)안에 넣어서 밥을 하는 경우에는 밥맛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름통(30)을 이루는 망통(32)을 고정된 마개부(31)에 끼움식으로 결합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마개부(31)의 안쪽 둘레면과 망통(32)의 상부 외주면에 각각 나사선을 형성하여서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식용구로서, 냄비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솥, 기타, 뚜껑부를 가지고 있는 모든 조리용 용구에 사용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용구의 뚜껑부의 안쪽에 걸름통을 구비하여 내용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므로써, 항상 육수 고유의 맛을 배가시키고, 조리후 이물질이 함유되지않으므로 깔끔한 맛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3)

  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덮혀지는 뚜껑부(20)로 이루어진 음식용구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20)의 저면에는 조미재료가 삽입되는 걸름통(30)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구조로서 ,
    상기 걸름통(30)은 뚜껑부(20)의 저면에 결합된 체결부재(22)와 관통결합되는 마개부(31)와;
    이 마개부(31)와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망통(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이 구비된 음식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통(32)은 전체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구멍(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이 구비된 음식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31)의 내측면 둘레방향으로는 걸림돌기(31a)가 돌출,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망통(32)의 외주면에는 수직부(32c)와 수평부(32d)로 나뉘어진 "ㄴ"자형을 이루는 걸림공(3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이 구비된 음식용구.
KR20-2004-0031047U 2004-11-03 2004-11-03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KR200373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047U KR200373948Y1 (ko) 2004-11-03 2004-11-03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047U KR200373948Y1 (ko) 2004-11-03 2004-11-03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948Y1 true KR200373948Y1 (ko) 2005-01-21

Family

ID=4935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047U KR200373948Y1 (ko) 2004-11-03 2004-11-03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9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66B1 (ko) 2010-04-09 2012-08-06 문인술 생선조림 솥
CN107087972A (zh) * 2017-05-20 2017-08-25 太仓市夏米粒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放置腔的煲汤砂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66B1 (ko) 2010-04-09 2012-08-06 문인술 생선조림 솥
CN107087972A (zh) * 2017-05-20 2017-08-25 太仓市夏米粒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放置腔的煲汤砂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942B2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US20060124536A1 (en) Filter with a multiplicity of shims to create an internal press fit around the area of the mixing blade to be used with a multiplicity of different blenders
US20110179954A1 (en) Multi-purpose basket
EP2832273A1 (en) Device for food preparation including steaming and steaming vessel
US1648725A (en) Cooking utensil
KR200373948Y1 (ko)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US1066788A (en) Culinary utensil.
JP2005058100A (ja) 麺類容器
JP2010259454A (ja) マグカップ
KR200352172Y1 (ko) 조리용 걸름통
CN106490960A (zh) 双层升降火锅
CN211459761U (zh) 一种能够隔开调味渣的炖锅
US158532A (en) Improvement in coffee-filters
TWI695798B (zh) 水瓶
CN209973228U (zh) 一种方便面盒
KR200346292Y1 (ko) 다기능 주전자
US176524A (en) Improvement in steam-cookers
KR20180005567A (ko) 거름망 기능이 추가된 냄비뚜껑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TWM555836U (zh) 水瓶
KR100614111B1 (ko) 삼계탕을 위한 찜닭 장치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200094042A (ko) 다용도 용기 뚜껑
CN110916476A (zh) 一种能够隔开调味渣的炖锅
US261465A (en)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