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557B1 - 한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한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557B1
KR101852557B1 KR1020170123559A KR20170123559A KR101852557B1 KR 101852557 B1 KR101852557 B1 KR 101852557B1 KR 1020170123559 A KR1020170123559 A KR 1020170123559A KR 20170123559 A KR20170123559 A KR 20170123559A KR 101852557 B1 KR101852557 B1 KR 10185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water
discharge
powder
puff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산지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산지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산지엔
Priority to KR102017012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94Moulding or shaping of cellular or expand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215Mixing, knead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3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2Aerated, foamed, cellular or porous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01F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20/0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 A23G2220/02Foamed, gas-expanded or cellular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성형된 반죽물을 팽화시킨 후 그 팽화물과 조청, 꿀, 물엿 등의 당액과 일종 이상의 1차고물을 혼합하고,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에 2차고물이 입혀지도록 혼합하면서 건조부를 통해 건조되도록 이송시키는 한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반죽물을 반죽하는 반죽부와, 상기 반죽물을 팽화시켜 팽화물을 제조하는 팽화부와, 상기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고물을 입히고 그 당액과 고물을 입힌 팽화물이 건조부에서 건조되도록 배출시키는 입힘부로 구성된 한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힘부는 상기 팽화부로부터 팽화물을 공급받는 팽화물저장호퍼와 그 팽화물저장호퍼의 하부에 마련되어 팽화물저장호퍼에 담겨진 팽화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정량배출수단이 형성된 팽화물공급수단과, 상기 팽화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팽화물과 당액공급수단 및 1차고물공급수단으로부터 각각 공급된 당액과 1차고물을 혼합용기로 공급받아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1차고물이 입히도록 교반수단으로 교반시키는 1차고물입힘수단과, 상기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과 2차고물공급수단으로부터 2차고물을 공급받아 상기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의 표면에 2차고물을 입히고 이를 건조부로 배출시키는 2차고물입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과 제조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KOREAN TRADITIONAL SWEETS AND COOKIES}
본 발명은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성형된 반죽물을 팽화시킨 후 그 팽화물과 조청, 꿀, 물엿 등의 당액과 일종 이상의 1차고물을 혼합하고,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에 2차고물이 입혀지도록 혼합하면서 건조부를 통해 건조되도록 이송시키는 한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과는 전통적인 또는 이에 준하는 제조 가공기술에 의하여 생산된 것으로 유밀과, 유과, 다식, 정과, 엿강정, 과편, 숙실과 등이 속한다.
이 중에서도 유과는 찹쌀을 물에 담가 삭혀 가루로 빻은 다음, 술, 더운 물 콩물 등으로 반죽하고 익히고, 이를 여러 번 쳐대 적당한 모양으로 썰어 말린 다음 기름에 튀겨 팽화시킨 후, 꿀, 조청, 물엿 등을 묻히고 고물을 입혀 제조된 것으로 겉모양에 따라 강정, 산자, 빙사과 등으로 불리운다.
이와 같은 유과는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이나 제사 또는 전통행사에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일상적으로도 쉽게 즐겨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한과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매우 떨어질 뿐 아니라 한과의 비싼 가격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일정 크기와 형태로 성형된 반죽물을 기름에 튀겨낸 유탕처리물에 조청, 꿀, 물엿 등의 당액을 공급하는 과정은 물론 혼합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과 제조장치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034470호에는 강쟁재료와 물엿을 적당량 만큼씩 순차적으로 밀어내 교반솥 내에 공급하고, 교반솥에 내에 강정재료와 물엿이 담겨지면 교반솥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게 설치된 교반수단에 의해 교반되며, 교반이 완료되어 교반수단이 상승하고 난 후에는 교반솥회동수단을 이용해 교반솥을 회동시켜 교반솥 내에서 교반이 완료된 내용물이 추출되도록 이루어진 강정재료 혼합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나 상기의 강정재료 혼합장치는 교반솥에 담겨진 강정재료와 물엿을 혼합할 때나 교반이 완료된 내용물을 추출하는 동작 때마다 교반수단이 승하강을 반복해야 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거나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키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536081호에는 튀김과정을 거쳐 팽화된 반데기가 반데기이송부재를 통해 이송되는 동안 엿물분사부재를 이용해 반데기의 상·하면에 엿물을 분사시키고, 이송부재에 의해 반데기가 이송되는 동안 이송부재를 진동시키는 진동부재에 의해 엿물이 묻은 반데기의 표면에 고물이 고르게 입히도록 함으로써, 반데기의 표면에 엿물을 묻히는 동작과 고물을 입히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함과 동시에 반데기의 표면에 항상 일정한 양의 엿물을 묻혀 유과의 당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루어진 유과제조용 고물입힘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유과제조용 고물입힘장치는 엿물을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반데기의 표면에 엿물을 고르게 묻히기 어렵고, 반데기 주변으로 버려지는 엿물에 의해 원재료의 낭비가 심해 제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으며, 엿물이 묻은 반데기를 이송부재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고물입힘판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진동부재의 떨림에 의해 반데기의 표면에 고물이 고루 입혀지도록 하였으나 이 역시도 반데기의 표면에 입혀지지 못하고 버려지는 고물에 의해 제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021194호(1998.07.15.공개, 강정재료 혼합장치) 한국등록특허 제0536081호(2005.12.06.등록, 유과제조용 고물입힘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죽물을 팽화시킨 팽화물의 표면에 조청, 물엿, 꿀 등으로 이루어진 당액과 여러 종류의 기능성 고물이 신속하고 균일하게 입혀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향은 물론 식감과 풍미를 증대시키고, 소비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제조의 편의성 및 생산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반죽물을 반죽하는 반죽부와, 상기 반죽물을 팽화시켜 팽화물을 제조하는 팽화부와, 상기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고물을 입히고 그 당액과 고물을 입힌 팽화물이 건조부에서 건조되도록 배출시키는 입힘부로 구성된 한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힘부는 상기 팽화부로부터 팽화물을 공급받는 팽화물저장호퍼와 그 팽화물저장호퍼의 하부에 마련되어 팽화물저장호퍼에 담겨진 팽화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정량배출수단이 형성된 팽화물공급수단;
상기 팽화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팽화물과 당액공급수단 및 1차고물공급수단으로부터 각각 공급된 당액과 1차고물을 혼합용기로 공급받아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1차고물이 입히도록 교반수단으로 교반시키는 1차고물입힘수단;
상기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과 2차고물공급수단으로부터 2차고물을 공급받아 상기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의 표면에 2차고물을 입히고 이를 건조부로 배출시키는 2차고물입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량배출수단은 팽화물저장호퍼의 팽화물을 일정량 수용하는 일측이 개방된 통형의 정량공급용기와, 상기 정량공급용기의 양측으로 설치된 힌지축과, 그 힌지축에 정량배출동력원으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정량공급용기가 정역 회동되게 연결 설치된 정량배출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고물입힘수단은 교반동력원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교반축 상에 복수개의 교반날개를 설치하여 된 교반수단이 상기 혼합용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용기의 외면에는 혼합용기를 가열하는 용기가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혼합용기의 일측에는 상기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이 상기 2차고물입힘수단에 공급되도록 용기회전동력원의 동력을 받아 상기 혼합용기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교반용기회동수단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용기회동수단은 혼합용기의 일측에 상기 교반축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설치된 용기회전축과, 상기 용기회전축에 용기회전동력원의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혼합용기가 정역 회동되게 연결 설치된 용기회전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고물공급수단은 일종 이상의 고물이 각각 나뉘어 담기도록 복수개의 1차고물수용공간이 형성된 1차고물저장호퍼와, 상기 1차고물저장호퍼의 배출구 측에 회동되게 설치된 1차고물배출유도부재와, 상기 1차고물배출유도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와, 상기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고물저장호퍼에서 배출된 1차고물이 상기 혼합용기에 공급되도록 이송시키는 1차고물이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고물배출유도부재는 1차고물저장호퍼의 하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고물배출회동축과, 상기 1차고물배출회동축의 외면에 상기 1차고물수용공간 마다 설치되어 1차고물배출회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1차고물의 배출이 유도되도록 형성된 1차고물배출유도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는 1차고물배출유도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1차고물배출량조절판과, 상기 1차고물배출량조절판의 하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1차고물저장호퍼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상측개폐판 및 하측개폐판과, 상기 상측개폐판 및 하측개폐판에 각각 설치되어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판작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고물이송부재는 상기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고물저장호퍼에서 배출된 1차고물을 이송시키는 1차고물이송스크류와, 상기 1차고물이송스크류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이 상기 혼합용기에 공급되도록 이송시키는 1차고물운반승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고물입힘수단은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수용하는 일측에 출구가 형성된 2차고물입힘용기와, 상기 2차고물입힘용기의 내부에 2차고물입힘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회동 동작되는 2차고물이송축과, 상기 2차고물교반이송축의 외면에 설치되어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 및 2차고물을 교반하며 상기 출구로 이송시키는 2차고물교반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고물공급수단은 2차고물이 저장되는 2차고물저장호퍼와, 상기 2차고물저장호퍼의 출측에 2차고물저장호퍼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설치된 2차고물이송안내관과, 상기 2차고물이송안내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2차고물을 2차고물이송안내관의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2차고물이송스크류와, 상기 2차고물이송안내관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세공과, 상기 2차고물이송안내관의 출측에 2차고물이 배출되게 형성된 2차고물배출공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과 제조장치는 반죽물을 팽화시킨 팽화물의 표면에 조청, 물엿, 꿀 등으로 이루어진 당액과 여러 종류의 기능성 고물이 신속하고 균일하게 입혀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향은 물론 식감과 풍미를 증대시키고, 소비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제조의 편의성 및 생산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과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과 제조장치의 입힘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화물공급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고물입힘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1차고물공급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를 통해 1차고물의 배출량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차고물입힘수단 및 2차고물공급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과 제조장치는 반죽부(A), 팽화부(B), 입힘부(C), 건조부(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반죽부(A)는 일정 크기와 형태로 성형된 반죽물이 팽화부(B)에 공급되게 형성된 것이고, 팽화부(B)는 반죽물을 기름에 튀기거나 공기를 주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팽화시키도록 형성된 것이며, 입힘부(C)은 팽화부(B)를 거쳐 공급된 팽화물과 당액공급유닛(300)으로부터 공급된 조청, 물엿, 꿀 등의 당액과 1차고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1차고물을 서로 혼합하여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후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의 표면에 2차고물을 입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건조부(D)는 입힘부(C)를 통해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의 표면에 2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동안 열풍을 공급하여 2차고물이 부착된 상태로 당액이 건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힘부(C)은 팽화물공급수단(100), 1차고물입힘수단(200), 당액공급수단(300), 1차고물공급수단(400), 2차고물입힘수단(500), 2차고물공급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팽화물공급수단(100)은 상기 팽화부(B)로부터 팽화물을 공급받는 팽화물저장호퍼(110)와 그 팽화물저장호퍼(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팽화물저장호퍼(110)에 담겨진 팽화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정량배출수단(120)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정량배출수단(120)은 팽화물저장호퍼(110)의 팽화물을 일정량 수용하는 일측이 개방된 통형의 정량공급용기(121)와, 상기 정량공급용기(121)의 양측으로 설치된 힌지축(122)과, 그 힌지축에 정량배출동력원(124)으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이 전달되어 정량공급용기(121)가 정역 회동되게 연결 설치된 정량배출동력전달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1차고물입힘수단(200)은 혼합용기(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팽화물, 당액 및 1차고물이 혼합되도록 교반시키는 교반수단(220)과, 혼합용기(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혼합용기(210)를 가열하는 용기가열부재(230)와, 혼합용기(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이 혼합용기(210)에서 2차고물입힘수단(500)으로 인출되도록 혼합용기(210)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혼합용기회동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교반수단(220)은 혼합용기(2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교반축(221)과, 교반축(221)의 외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팽화물, 당액 및 1차고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222)와, 교반날개(222)가 회동하며 팽화물, 당액 및 1차고물을 교반하도록 교반축(221)에 교반동력원(미도시)의 동력이 전달되게 설치된 교반동력전달부재(223)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용기회동수단(240)은 혼합용기(210)의 일측에 교반축(221)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설치된 용기회전축(241)과, 이 용기회전축(241)에 용기회전동력원(미도시)의 동력이 전달되어 혼합용기(210)가 정역 회동되게 연결 설치된 용기회전동력전달부재(242)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당액공급수단(300)은 조청, 물엿, 꿀과 같이 액상 상태의 당액이 저장되어 혼합용기(210)에 공급되는 팽화물의 양에 따라 정해진 양의 당액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당액공급수단(300)은 당액이 저장되는 당액저장호퍼와, 그 당액저장호퍼와 혼합용기(210)에 인접되게 설치된 당액배출노즐을 통해 일정량의 당액이 배출되도록 연결 설치된 당액배출관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1차고물공급수단(400)은 일종 이상의 고물이 각각 나뉘어 담기도록 복수개의 1차고물수용공간(411)이 형성된 1차고물저장호퍼(410)와,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배출구 측에 회동되게 설치된 1차고물배출유도부재(420)와, 1차고물배출유도부재(420)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와,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저장호퍼에서 배출된 1차고물이 혼합용기(210)에 공급되도록 이송시키는 1차고물이송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1차고물배출유도부재(420)는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하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고물배출회동축(421)과, 1차고물배출회동축(421)의 외면에 1차고물수용공간(421) 마다 설치되어 1차고물배출회동축(421)이 회전함에 따라 1차고물의 배출이 유도되도록 형성된 1차고물배출유도구(4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차고물저장호퍼(410)에 저장된 1차고물의 입자 크기에 상관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는 1차고물배출유도부재(420)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1차고물배출량조절판(431)과, 1차고물배출량조절판의 하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상측개폐판(432) 및 하측개폐판(433)과, 상측개폐판(432) 및 하측개폐판(433)에 각각 설치되어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배출구가 개폐되도록 동작시키는 개폐판작동실린더(4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더불어 1차고물이송부재(440)는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저장호퍼(410)에서 배출된 1차고물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1차고물이송스크류(441)와, 1차고물이송스크류(441)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이 혼합용기(210)에 공급되도록 이송시키는 1차고물운반승강기(44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차고물저장호퍼(410)에서 정해진 양만큼 배출된 1차고물을 혼합용기(210)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이때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도 7a와 같이 하측개폐판(433)이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측개폐판(432)이 개방되면 하측개폐판(433)의 상측에는 1차고물배출량조절판(431)에 의해 1차고물의 배출량이 조절된 상태로 배출되어 쌓이게 된다.
이후 도 7b와 같이 상측개폐판(432)이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배출구를 폐쇄시키면 상측개폐판(432)과 하측개폐판(433) 사이에 마련된 1차고물배출량조절공간(435)에는 정해진 양의 1차고물이 수용된 상태가 되며, 이어서 도 7c와 같이 상측개폐판(432)이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배출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하측개폐판(433)이 개방되면 1차고물배출량조절공간(435)에 수용되어 있던 1차고물이 1차고물이송부재(440)에 공급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2차고물입힘수단(500)은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수용하는 일측에 출구(511)가 형성된 2차고물입힘용기(510)와, 2차고물입힘용기(510)의 내부에 2차고물입힘용기(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회동 동작되는 2차고물이송축(520)과, 2차고물교반이송축(5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 및 2차고물을 교반하며 출구(511)로 이송시키는 2차고물교반날개(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의 2차고물공급수단(600)은 2차고물이 저장되는 2차고물저장호퍼(610)와, 2차고물저장호퍼(610)의 출측에 2차고물저장호퍼(610)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설치되어 내부에는 2차고물이 이송되는 공간이 확보된 2차고물이송안내관(620)과,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내부에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2차고물을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2차고물이송스크류(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하부에는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정된 간격으로 관통된 세공(621)과,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일측(배출측)으로 이송된 2차고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2차고물배출공(6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과 제조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팽화물과 당액 및 1차고물이 혼합용기(210)에 공급되면, 교반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교반축(221)과 교반날개(222)가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함에 따라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1차고물이 혼합된 상태로 입혀진다.
이와 같이 교반수단(220)에 의해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지면, 혼합용기회동수단(240)이 작동하여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혼합용기(210)에서 2차고물입힘수단(500) 즉, 2차고물입힘용기(510)로 공급된다.
이러한 혼합용기회동수단(240)이 작동되는 동안에는 교반수단(220)을 함께 동작시켜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혼합용기(210) 내에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2차고물입힘수단(5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혼합용기회동수단(240)이 동작되는 동안에는 교반수단(220)이 동작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혼합용기회동수단(240)에 의해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이 2차고물입힘수단(500)에 공급되면 2차고물입힘용기(510)의 내부에 설치된 2차고물이송축(520)과 2차고물교반날개(530)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의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서로 달라붙지 않게 교반하면서 건조부(D) 측에 형성된 출구(511)로 이송시킨다.
이때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이 2차고물교반날개(530)에 의해 교반 및 이송되는 동안 2차고물입힘용기(510)에는 2차고물공급수단(600)으로부터 공급된 2차고물이 공급되는데, 이러한 2차고물은 2차고물교반날개(530)에 의해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과 함께 혼합되어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의 표면에 2차고물이 골고루 입혀진 상태로 출구(511)로 이송되어 건조부(D)에 의해 건조되도록 배출된다.
여기서 2차고물공급수단(600)에 의해 2차고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차고물저장호퍼(610)에 저장된 2차고물은 2차고물저장호퍼(610)의 하부에 설치된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으로 공급되고,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으로 공급된 2차고물은 2차고물이송스크류(630)에 의해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일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2차고물이송스크류(630)에 의해 이송되는 2차고물은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세공(621)을 통해 낙하되어 2차고물입힘용기(510)에 공급되며, 상기의 세공(621)을 통해 미처 낙하되지 못한 2차고물은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일측(배출측) 끝단부 즉, 2차고물이송스크류(630)에 의해 이송되는 끝단부에 형성된 2차고물배출공(622)을 통해 일괄적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세공(621)은 소량의 2차고물을 연속해서 낙하시켜 2차고물입힘용기(510) 내에 2차고물을 고르게 뿌려주는 기능을 함으로써 당액과 1차고물을 입힌 팽화물의 표면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2차고물을 입히기 위함이며, 2차고물배출공(622)은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일측(배출측) 끝단부에 2차고물이 쌓여 2차고물공급수단(600)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한과 제조장치는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1차고물을 균일하게 입힐 수 있고,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혼합용기(210) 내에서 2차고물입힘용기(510)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2차고물입힘부(500)에서는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서로 달라붙지 않게 교반하며 출구(511)로 이송시키는 것은 물론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의 표면에 2차고물을 균일하게 입힌 상태로 건조부(D)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의 편의성과 생산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팽화물과 당액공급수단(300)을 통해 공급된 당액과 1차고물공급수단(400)을 통해 공급된 1차고물을 함께 혼합하여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1차고물을 균일하게 입히고, 이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의 표면에 다시 한번 2차고물을 입혀줌으로써, 다양한 맛과 향은 물론 식감과 풍미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혼합용기(210)에 공급되는 팽화물과 당액 및 1차고물이 항상 정해진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되어 혼합되고,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의 표면에는 2차고물이 골고루 균일하게 입혀짐에 따라 항상 동일한 맛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의 표면에 2차고물을 고루 입힌 상태로 당액을 건조시켜 2차고물이 고루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소비자가 섭취할 때 당액에 의해 끈적거리거나 2차고물이 손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 반죽부 B : 팽화부
C : 입힘부 D : 건조부
100 : 팽화물공급수단 110 : 팽화물저장호퍼
120 : 정량배출수단 121 : 정량공급용기
122 : 힌지축 123 : 정량배출동력전달부재
200 : 1차고물입힘수단 210 : 혼합용기
220 : 교반수단 221 : 교반축
222 : 교반날개 223 : 교반동력전달부재
230 : 용기가열부재 240 : 혼합용기회동수단
241 : 용기회전축 242 : 용기회전동력전달부재
300 : 당액공급수단
400 : 1차고물공급수단 410 : 1차고물저장호퍼
411 : 1차고물수용공간 420 : 1차고물배출유도부재
421 : 1차고물배출회동축 422 : 1차고물배출유도구
430 :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 431 : 1차고물배출량조절판
432 : 상측개폐판 433 : 하측개폐판
434 : 개폐판작동실린더 435 : 1차고물배출량조절공간
440 : 1차고물이송부재 441 : 1차고물이송스크류
442 : 1차고물운반승강기
500 : 2차고물입힘수단 510 : 2차고물입힘용기
511 : 출구 520 : 2차고물이송축
530 : 2차고물교반날개
600 : 2차고물공급수단 610 : 2차고물저장호퍼
620 : 2차고물이송안내관 621 : 세공
622 : 2차고물배출공 630 : 2차고물이송스크류

Claims (10)

  1. 반죽물을 반죽하는 반죽부(A)와, 상기 반죽물을 팽화시켜 팽화물을 제조하는 팽화부(B)와, 상기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고물을 입히고 그 당액과 고물을 입힌 팽화물이 건조부(D)에서 건조되도록 배출시키는 입힘부(C)로 구성된 한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힘부(C)는 상기 팽화부로부터 팽화물을 공급받는 팽화물저장호퍼(110)와 그 팽화물저장호퍼(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팽화물저장호퍼(110)에 담겨진 팽화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정량배출수단(120)이 형성된 팽화물공급수단(100);
    상기 팽화물공급수단(100)으로부터 공급된 팽화물과 당액공급수단(300) 및 1차고물공급수단(400)으로부터 각각 공급된 당액과 1차고물을 혼합용기(210)로 공급받아 팽화물의 표면에 당액과 1차고물이 입히도록 교반수단(220)으로 교반시키는 1차고물입힘수단(200);
    상기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과 2차고물공급수단(600)으로부터 2차고물을 공급받아 상기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의 표면에 2차고물을 입히고 이를 건조부(D)로 배출시키는 2차고물입힘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고물공급수단(400)은 일종 이상의 고물이 각각 나뉘어 담기도록 복수개의 1차고물수용공간(411)이 형성된 1차고물저장호퍼(410)와, 상기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배출구 측에 회동되게 설치된 1차고물배출유도부재(420)와, 상기 1차고물배출유도부재(420)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와, 상기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고물저장호퍼(410)에서 배출된 1차고물이 상기 혼합용기(210)에 공급되도록 이송시키는 1차고물이송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배출수단(120)은 팽화물저장호퍼(110)의 팽화물을 일정량 수용하는 일측이 개방된 통형의 정량공급용기(121)와, 상기 정량공급용기(121)의 양측으로 설치된 힌지축(122)과, 그 힌지축(122)에 정량배출동력원(124)으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정량공급용기(121)가 정역 회동되게 연결 설치된 정량배출동력전달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고물입힘수단(200)은 교반동력원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교반축(221) 상에 복수개의 교반날개(222)를 설치하여 된 교반수단(220)이 상기 혼합용기(2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용기(210)의 외면에는 혼합용기(210)를 가열하는 용기가열부재(230)가 설치되며, 상기 혼합용기(210)의 일측에는 상기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이 상기 2차고물입힘수단(500)에 공급되도록 용기회전동력원의 동력을 받아 상기 혼합용기(210)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혼합용기회동수단(2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회동수단(240)은 혼합용기(210)의 일측에 상기 교반축(221)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설치된 용기회전축(241)과, 상기 용기회전축(241)에 용기회전동력원의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혼합용기(210)가 정역 회동되게 연결 설치된 용기회전동력전달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고물배출유도부재(420)는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하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고물배출회동축(421)과, 상기 1차고물배출회동축(421)의 외면에 상기 1차고물수용공간(411) 마다 설치되어 1차고물배출회동축(421)이 회전함에 따라 1차고물의 배출이 유도되도록 형성된 1차고물배출유도구(4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는 1차고물배출유도부재(420)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1차고물배출량조절판(431)과, 상기 1차고물배출량조절판(431)의 하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1차고물저장호퍼(410)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상측개폐판(432) 및 하측개폐판(433)과, 상기 상측개폐판(432) 및 하측개폐판(433)에 각각 설치되어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판작동실린더(4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고물이송부재(440)는 상기 1차고물배출량조절부재(4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고물저장호퍼(410)에서 배출된 1차고물을 이송시키는 1차고물이송스크류(441)와, 상기 1차고물이송스크류(441)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1차고물이 상기 혼합용기(210)에 공급되도록 이송시키는 1차고물운반승강기(44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고물입힘수단(500)은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을 수용하는 일측에 출구(511)가 형성된 2차고물입힘용기(510)와, 상기 2차고물입힘용기(510)의 내부에 2차고물입힘용기(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회동 동작되는 2차고물이송축(520)과, 상기 2차고물이송축(520)의 외면에 설치되어 당액과 1차고물이 입혀진 팽화물 및 2차고물을 교반하며 상기 출구(511)로 이송시키는 2차고물교반날개(5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고물공급수단(600)은 2차고물이 저장되는 2차고물저장호퍼(610)와, 상기 2차고물저장호퍼(610)의 출측에 2차고물저장호퍼(610)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설치된 2차고물이송안내관(620)과, 상기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2차고물을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2차고물이송스크류(630)와, 상기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세공(621)과, 상기 2차고물이송안내관(620)의 출측에 2차고물이 배출되게 형성된 2차고물배출공(6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 제조장치.
KR1020170123559A 2017-09-25 2017-09-25 한과 제조장치 KR10185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559A KR101852557B1 (ko) 2017-09-25 2017-09-25 한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559A KR101852557B1 (ko) 2017-09-25 2017-09-25 한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557B1 true KR101852557B1 (ko) 2018-06-04

Family

ID=6262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559A KR101852557B1 (ko) 2017-09-25 2017-09-25 한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530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성산지엔 각종 곡물류, 견과류 및 과일칩 충진 성형장치
KR20230007623A (ko) * 2021-07-06 2023-01-13 이웅기 한과 제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194U (ko) 1996-10-19 1998-07-15 이재각 강정재료 혼합장치
KR20050040608A (ko) * 2003-10-29 2005-05-03 송재순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36081B1 (ko) 2003-05-16 2005-12-14 최돈필 유과제조용 고물입힘장치
KR20110006007U (ko) * 2009-12-08 2011-06-15 김용출 양념 용기
KR101131453B1 (ko) * 2009-04-10 2012-04-04 김현구 원통형 튀밥과자 제조장치
KR20160040397A (ko) * 2014-10-02 2016-04-14 김병문 김 스낵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194U (ko) 1996-10-19 1998-07-15 이재각 강정재료 혼합장치
KR100536081B1 (ko) 2003-05-16 2005-12-14 최돈필 유과제조용 고물입힘장치
KR20050040608A (ko) * 2003-10-29 2005-05-03 송재순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31453B1 (ko) * 2009-04-10 2012-04-04 김현구 원통형 튀밥과자 제조장치
KR20110006007U (ko) * 2009-12-08 2011-06-15 김용출 양념 용기
KR20160040397A (ko) * 2014-10-02 2016-04-14 김병문 김 스낵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530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성산지엔 각종 곡물류, 견과류 및 과일칩 충진 성형장치
KR102215015B1 (ko) 2018-11-28 2021-02-10 주식회사 성산지엔 각종 곡물류, 견과류 및 과일칩 충진 성형장치
KR20230007623A (ko) * 2021-07-06 2023-01-13 이웅기 한과 제조 장치
KR102654011B1 (ko) 2021-07-06 2024-04-03 이웅기 한과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4737B2 (en)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ensing
US5514399A (en) Method of applying particulates to baked goods and snacks
US200900419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expanded food
AU698668B2 (en) Process for cooking cereal grains
KR101852557B1 (ko) 한과 제조장치
CN111758985B (zh) 一种裹粉机
CN110679975A (zh) 一种可定量加料的薯片调料系统
CN110314604A (zh) 一种用于酱卤食品生产的即时调配、分拣系统
US5927186A (en) Food breading apparatus
JP2000507905A (ja) 自己移送及び急速移送又は掃除のための手段を有する乾燥固体の計量装置
RU25481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подачи ингредиентов шоколада,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шоколадной массы
CN210675035U (zh) 一种用于酱卤食品生产的即时调配、分拣系统
US10531667B2 (en) Apparatus for applying particulate matter to a substrate
CN103610147A (zh) 连续式核桃仁拌粉机
CN207692843U (zh) 制作白茶酥饼的油酥制作器
CN206008546U (zh) 多功能集约化拌和楼及其使用的物料搅拌缸
TW200303795A (en) Flowable solids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211246166U (zh) 一种大头菜自动搅拌机构
KR101426688B1 (ko) 호떡 성형기
CN107348361A (zh) 一种爆米花自动生产设备
CN114588802B (zh) 自动混料装置
CN214071584U (zh) 一种棉花糖的生产线
KR100536081B1 (ko) 유과제조용 고물입힘장치
CN220047777U (zh) 含石墨粉的预焙阳极制备用配料装置
KR101131453B1 (ko) 원통형 튀밥과자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