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645A - 양념통 - Google Patents

양념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645A
KR20200106645A KR1020190025117A KR20190025117A KR20200106645A KR 20200106645 A KR20200106645 A KR 20200106645A KR 1020190025117 A KR1020190025117 A KR 1020190025117A KR 20190025117 A KR20190025117 A KR 20190025117A KR 20200106645 A KR20200106645 A KR 20200106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moving plate
seasoning container
hand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422B1 (ko
Inventor
신윤진
김마리
이세진
홍인준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4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념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념통은, 내부에 양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양념을 외부로 배출하는 몸통공이 형성된 몸통; 상부면 내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면 상에 다수의 이동판공이 형성되는 이동판; 및 몸통의 상부면 및 몸통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돌출공을 통하여 몸통 외부로 돌출되는 이동판의 손잡이를 모두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이동판이 몸통에 삽입된 채로 이동됨에 따라,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양념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양념 배출공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조정된 양념 배출공의 크기를 혼동하여 의도했던 것보다 많은 량의 양념을 요리에 투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양념통 사용 중 양념통이 손에서 미끄러져 이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과 같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념통{CRUET}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 시에 양념을 첨가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양념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념통의 양념 배출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양념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통은 가루 형태의 양념을 저장하기 위한 것과 액상 형태의 양념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 각각 존재하며, 가루 또는 액상 형태의 양념을 저장하기 위한 각 양념통의 배출구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된다. 가루 형태로 존재하는 고추가루, 소금, 설탕, 후추가루 등의 양념을 저장하기 위한 양념통은 음식을 조리할 때 저장하고 있던 양념을 투입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양념의 투입 시 투입량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양념통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 특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1087호를 예로 들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1087호는 가루 형태 양념통에 사용하기 위한 양념통의 뚜껑 부분에 대한 것으로서, 복수의 작은 통공(4)과 하나의 큰 통공(5)이 형성된 토출캡을 덮는 제 1, 2 뚜껑(1, 2)으로 양념통 용기를 구성하고, 소량의 양념 투입 시에는 제 1 뚜껑(2)을 개방하여 작은 구멍을 사용하고, 다량의 양념 투입 시에는 제 2 뚜껑(2)을 별개로 개방하여 큰 구멍을 사용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필요에 따라 별개의 뚜껑을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번거로워 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소량 투입을 요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순간적으로 착각하여서 제 2 뚜껑(2)을 개방하여 양념을 대량으로 투입하는 것과 같은 실수가 생길 수 있다는 문제도 생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는 종래 기술을 보완하기 위하여, 양념통의 양념 배출구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배출구 크기 조절 조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조절되는 배출구의 크기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있는 상태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양념통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양념통의 사용 중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 않은 다른 한 가지 사유로, 양념통 몸통의 형태가 ‘직선 원통’이라는 데 있다. 양념통 사용 시 필요한 만큼 양념의 량을 계량하여 양념을 배출할 수 있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등록?v허 제10-1490768호(발명의 명칭: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역시 양념통의 몸통이라 할 수 있는 구성품이 ‘직선 원통’ 형상을 갖는다.
‘직선 원통’형상의 몸통이 적용된 양념통 사용에 있어서, 양념의 배출을 위하여 양념통을 손에 쥘 때, 통상 양념 배출구가 상방으로 향해있는 상태의 양념통을 집어든 채로 양념통을 거꾸로 세워 흔들거나 터는 동작을 행하여 양념이 양념통 외부로 배출되게끔 한다. 양념통을 이용하게 되는 상황은 조리 중이므로, 손에 기름기나 물기가 묻어 있는 경우가 많고, 그에 따라 ‘직선 원통’형상을 가진 양념통을 상술한 것과 같이 이용하는 경우 양념통이 손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양념통이 손에서 미끄러졌을 때, 양념통이 손에서 이탈되기 전에 다시 움켜쥔다면 별다른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 것이지만 미끄러뜨린 양념통이 손에서 이탈되는 경우에는 양념이 너무 많이 배출되거나 양념통이 국물 속에 통째로 빠지게 되는 등의 난감한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양념통의 몸통 측면에 굴곡 또는 요철을 포한하는 양념통을 제공하여 양념통 이용 중 양념통이 손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을 낮춘 양념통을 제공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1087호(명칭: 가루 양념통, 등록일: 2008년 2월 29일) 대한민국 등록?v허 제10-1490768호(발명의 명칭: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등록일: 2015년 2월 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념 배출공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양념 배출공의 크기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있는 상태로 배출공 크기 조절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양념 배출량을 쉽게 예상할 수 있게 하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양념통 몸통의 측면에 굴곡을 포함시켜 양념통 사용 중 미끄러뜨려 양념통이 손에서 이탈될 가능성을 낮춘 양념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은, 내부에 양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양념을 외부로 배출하는 몸통공이 형성된 몸통; 상부면 내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면 상에 다수의 이동판공이 형성되는 이동판; 및 몸통의 상부면 및 몸통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돌출공을 통하여 몸통 외부로 돌출되는 이동판의 손잡이를 모두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이동판이 몸통에 삽입된 채로 이동됨에 따라,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양념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념통의 배출공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념통의 몸통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 몸통부; 제1 몸통부 상단에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몸통부; 및 제2 몸통부 상단에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 몸통부;를 포함하고, 제1 몸통부의 측면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마주하는 제3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제1 면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한 제2 면 및 제2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증가하며, 제2 몸통부의 측면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마주하는 제3'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증가하고, 제1' 면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한 제2' 면 및 제2'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감소하며, 제3 몸통부의 측면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마주하는 제3''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제1'' 면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한 제2'' 면 및 제2''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념통의 이동판에 형성되는 이동판공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동판은, 일측면의 중심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손잡이의 양쪽 바깥쪽으로 외턱이 형성되며, 외턱의 바깥쪽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념통의 이동판 이동판의 일부가 몸통에 삽입되어 이동됨에 있어서, 이동판이 몸통에 가장 깊숙하게 삽입되었을 때는 손잡이만 몸통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판이 몸통에 가장 얕게 삽입되었을 때는 손잡이와 외턱이 함께 몸통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념통의 뚜껑은, 손잡이를 덮는 부분에서 몸통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손잡이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념통은, 뚜껑, 이동판, 몸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종이를 소재로 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념통의 제작에 이용되는 종이는 수분 침투 방지 코팅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에 따르면, 양념 배출공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에 따르면, 양념 배출공의 크기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있는 상태로 배출공 크기 조절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조정된 양념 배출공의 크기를 혼동하여 의도했던 것보다 많은 량의 양념을 요리에 투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양념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에 따르면, 양념통 몸통의 측면에 굴곡이 포함됨으로써, 양념통 사용 중 양념통이 손에서 미끄러져 이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의 상면도로서, 양념 배출공의 크기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100)은 뚜껑(10), 이동판(20) 및 몸통(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서 뚜겅(10)은 몸통(3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양념 배출공(40)를 덮어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판(20) 중 몸통(3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동판(20)의 손잡이(21)를 수용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뚜껑(10)이 덮고 있거나 수용하고 있는 부분들을 더 잘 보여주기 위하여 도1에서는 뚜껑(10)을 1점 쇄선으로 표현하고 있다.
뚜껑(10)이 이동판(20)의 손잡이(21)를 수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또한, 이동판(20)의 형태와 작동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몸통(30)은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몸통(30)을 이루고 있는 제1 몸통부(70), 제2 몸통부(80) 및 제3 몸통부(90)가 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몸통(30)의 굴곡진 형상 및 그 기능과 효과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몸통(30)의 상단부에 이동판(20)이 일부 삽입되고 이동판(20)의 손잡이(21) 부분은 몸통(30)의 외부로 돌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몸통(30)의 내측면에 ‘ㄱ’자 모양으로 절곡된 몸통내턱(38)이 부착되어 이동판(20)의 하측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난 몸통(30)의 일 측면에 대향하는 몸통(30)의 타 측면에도 몸통내턱(38)이 부착되어 이동판(20)의 하측 가장자리를 지지함으로써, 이동판(20)이 몸통상면(31)의 하측에 접한 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동판(20)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판공(23)과 몸통상면(31)에 형성되어 있는 몸통공(33)이 겹쳐져 양념 배출공(40)가 형성되고, 이동판(20)이 이동됨에 따라 배출공(40)의 크기가 조정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몸통(30)의 상단부에 뚜껑(10)이 덮이고, 뚜껑(10)의 일측이 몸통상면(31)보다 더 연장되어 이동판(20) 일측의 손잡이(21)까지 덮고 있으며,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서 몸통(30)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5)을 형성함으로써, 몸통(30)과 뚜껑(10) 사이에 생기는 공간에 손잡이(21)가 수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b)에 포함된 부분확대도를 참조하여 볼 때, 몸통상면(31)의 하방을 향하여 몸통상면(31)으로부터 연장되는 몸통상면절곡부(37)가 몸통(30)의 손잡이(21) 방향 내측면에 부착되어 몸통상면(3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의 상면도로서, 양념 배출공의 크기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몸통(30)을 상방에서 바라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판(20)이 몸통(30)에 가장 깊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몸통공(33)과 겹쳐져 외부에서 보이는 이동판공(23)의 크기가 가장 작아지므로, 양념의 소량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3(b)는 몸통(30)을 상방에서 바라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판(20)이 몸통(30)에 가장 얕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몸통공(33)와 이동판공(23)이 겹쳐져 형성되는 양념 배출공(40)의 크기가 가장 커지므로, 도 3(a)과 같은 경우에 비하여 양념의 대량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도 3(c)는 이동판(20) 만을 상방에서 바라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판의 일측 중심에 손잡이(21)가 형성되고, 손잡이(21)의 양쪽 바깥쪽으로 외턱(27)이 형성되며, 외턱(27)의 바깥쪽으로는 걸림턱(29)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손잡이(21)와 외턱(27)은 몸통(30)에 대한 이동판(20)의 상대위치에 따라 몸통(30)의 외부로 돌출되기도 하나, 걸림턱(29)가 몸통상면절곡부(37)에 닿을 때 걸림턱(29)은 리미터로 기능하여 이동판(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걸림턱(29)은 항상 몸통(30)의 내부에서 움직이게 된다.
여기에서, 외턱(27)은 배출공(40)의 크기 및 이동판(20)의 위치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외턱(27)이 보이지 않을 때는 이동판(20)이 몸통(30)에 가장 깊숙이 삽입되어 있어 배출공(40)의 크기가 작은 경우이고, 외턱(27)이 몸통(30) 외부로 돌출되어 있을 때는 돌출 정도에 따라 배출공(40)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하다 잠시 곁에 내려놓고 다른 일을 처리하는 중 다시 양념통(100)을 사용하고자 할 때, 수회 정도라도 양념통(100) 사용경험이 있는 사용자라면 몸통상면(31)을 들여다보지 않고, 양념통(100)을 언뜻 쳐다보기만 하여도 배출공(40)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실시 목적 또는 환경에 따라서 외턱(27)을 생략하는 형태의 실시예도 가능하겠지만 그런 경우라도 이동판(20)의 몸통(30) 몸통 삽입 깊이 조정에 따라 배출공(40)의 크기가 조절되는 형태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따르는 형태로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4(a)는 이동판(20)이 제거된 몸통(30)의 정면도로서, 몸통(30)의 상단에 위치한 몸통상면(31) 아래로 손잡이돌출공(36)이 개구되고 손잡이돌출공(36)의 양측단에 인접하도록 몸통상면절곡부(37)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동판(20)이 몸통(30)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걸림턱(29)이 몸통상면절곡부(37)의 내측에 걸려 이동판(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도 4(a)를 참조하여 몸통(30)의 형상을 살펴보면, 몸통(30)은 바닥에서 상방을 향하는 순서로 제1 몸통부(70), 제2 몸통부(80) 및 제3 몸통부(90)를 포함하고, 제3 몸통부(90)의 상단 폭이 몸통상면(31)의 폭과 같아지는 부분에서 상방을 향해 같은 폭으로 연장되어 뚜껑(10)과 거의 같거나 조금 더 높은 높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제1,제2,제3 몸통부(70,80,90) 각각의 단면은 사각형이 된다.
또한, 제1 몸통부(70)를 4방 측면 중 손잡이돌출공(36)이 보이는 정면방향에서 볼 때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제1 몸통부(7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몸통부(80)의 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제2 몸통부(8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3 몸통부(90)의 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여기에서, 제1 몸통부(70)의 정면은 제1 면(101), 제2 몸통부(80)의 정면은 제1' 면(105), 제3 몸통부(90)의 정면은 제1'' 면(109)이다.
또한, 제1 몸통부(70)를 4방 측면 중 후면방향에 본 경우는 도 4(c)에 도시하였는데, 이 경우에도 제1 몸통부(7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몸통부(80)의 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제2 몸통부(8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3 몸통부(90)의 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으로서, 도 4(a)의 형상과 도 4(c)의 형상 사이의 차이는 손잡이돌출공(36) 및 몸통상면절곡부(37)의 유무 뿐임을 알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몸통부(70)의 후면은 제3 면(103), 제2 몸통부(80)의 후면은 제3' 면(107), 제3 몸통부(90)의 후면은 제3'' 면(111)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b)는 몸통(30)을 4방 측면 중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서 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우측면에 대한 도면부호는 괄호 안에 기입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몸통부(70)의 좌측면은 제2 면(102), 제2 몸통부(80)의 좌측면은 제2' 면(106), 제3 몸통부(90)의 좌측면은 제2'' 면(110)이고,
제1 몸통부(70)의 우측면은 제4 면(104), 제2 몸통부(80)의 우측면은 제4' 면(108), 제3 몸통부(90)의 우측면은 제4'' 면(112)이다.
이상과 같이, 도 4(a),4(b),4(c)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100)에 포함되는 몸통(30)의 형상을 살펴 본 바에 의하면, 몸통(30)의 4방 측면 중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면들은 서로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1 몸통부(70)의 측면을 이루는 면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면(101) 및 제3 면(103)의 폭이 상측을 향하여 감소할 때 제1 면(101)의 좌우측에 인접한 제2 면(102) 및 제2 면(102)과 마주하는 제4 면(104)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증가하고,
제2 몸통부(80)의 측면을 이루는 면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면(105) 및 제3' 면(107)의 폭이 상측을 향하여 증가할 때 제1' 면(105)의 좌우측에 인접한 제2' 면(106) 및 제2' 면(106)과 마주하는 제4' 면(108)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감소하며,
제3 몸통부(90)의 측면을 이루는 면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면(109) 및 제3'' 면(111)의 폭이 상측을 향하여 감소할 때 제1'' 면(109)의 좌우측에 인접한 제2'' 면(110) 및 제2'' 면(110)과 마주하는 제4'' 면(112)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제2,제3 몸통부(70,80,90)의 폭이 높이 방향에 따라 감소하거나 증가되게 함으로써, 몸통(30)에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포함되는 굴곡이 형성됨에 따라 양념통(100) 사용 시 양념통(10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몸통(30)의 형상에 대한 설명을 제1,제2,제3 몸통부(70,80,90) 각각이 인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선분의 길이 변화를 통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한다.
도 4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Wn (n=1, 2, 3, 4 중 어느 하나)의 의미는 각 선분이 가진 어떤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몸통의 폭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입한 문자이며, 다른 부분을 가리키더라도 n 부분의 숫자가 같은 경우 같은 길이임을 의미하고, 도 4(a) 및 4(c)에 포함된 W1, W2, W3과 도 4(b)에 포함된 W1, W2, W3는 각각 서로 같은 크기를 갖는다.
도 4(a)를 참조하여 몸통(30) 정면의 형상을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살펴보면, 몸통상면(31)의 상단으로부터 W1 선분 위치의 높이까지는 몸통상면(31) 일변의 폭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W1 선분 위치의 높이에서 몸통상면(31) 까지의 높이는 뚜껑(10)의 높이와 거의 같거나 조금 더 큰 값을 갖는다), W1 선분 위치의 높이부터 W2 선분 위치의 높이까지는 몸통(30)의 폭이 확장되며, W2 선분 위치의 높이부터 W3 선분 위치의 높이까지는 몸통(30)의 폭이 감소되고, W3 선분 위치의 높이부터 하단까지는 몸통(30)의 폭이 다시 확장되어 W1 선분과 같은 크기가 된다.
도 4(b)는 도 4(a)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몸통(30)을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바라보았을 경우의 몸통(30) 측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여 몸통(30)의 좌측 또는 우측의 형상을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살펴보면, 몸통상면(31)의 상단으로부터 W1 선분 위치의 높이까지는 몸통상면(31) 일변의 폭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 W1 선분 위치의 높이부터 W3 선분 위치의 높이까지는 몸통(30)의 폭이 감소되며, W3 선분 위치의 높이부터 W2 선분 위치의 높이까지는 몸통(30)의 폭이 확장되고, W2 선분 위치의 높이부터 하단까지는 몸통(30)의 폭이 다시 감소되며, 이때 하단의 폭은 W4가 된다.
또한, 몸통(30)의 4방 측면 중 마주하는 1쌍의 면들은 각각 같은 높이에 확장폭 부분 및 감소폭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전후방 면의 확장폭 부분과 같은 높이의 좌우측 면 부분은 감소폭 부분이 되며, 전후방 면의 감소폭 부분과 같은 높이의 좌우측 면은 확장폭 부분이 되게 된다.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Wn (n=1, 2, 3, 4 중 어느 하나)의 의미는 각 선분이 가진 어떤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몸통의 폭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입한 문자이며, 도 4(a) 및 4(c)에 포함된 W1, W2, W3과 도 4(b)에 포함된 W1, W2, W3는 각각 서로 같은 크기를 갖는다.
각 문자에 대응하는 길이의 크기(Wn (n=1, 2, 3, 4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W1은 몸통상면(31)의 1변 크기(값)와 같은 크기이고,
W2는 몸통상면(31)의 1변 크기(값)의 1.0배 내지 1.5배 이하의 크기이며,
W3은 몸통상면(31)의 1변 크기(값)의 1.0배 내지 0.5배의 크기이고,
W4는 몸통상면(31)의 1변 크기(값)의 1.0배 내지 1.5배의 크기가 되며,
서로 평행한 Wn (n=1, 2, 3, 4 중 어느 하나) 선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평행하게 인접해 있는 다른 Wn (n=1, 2, 3, 4 중 어느 하나) 선분까지의 거리 변화에 따라서, 각 Wn (n=2, 3, 4 중 어느 하나) 선분의 크기는 상기와 같은 범위 이내에서 유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통(30)의 4방 측면에 각각 확장폭 부분과 감소폭 부분을 교번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몸통(30)에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몸통(30)이 굴곡지고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태가 교대로 나타나는 외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양념통(100) 사용을 위하여 손으로 양념통(100)을 파지한 상태로 몸통상면(31)이 하방을 향하게 하고, 양념통(100)을 흔들어줌으로써 양념이 음식물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동작을 실시하는 중 양념통(100)이 손에서 미끄러져 손으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양념통이 음식물 조리중에 사용되고, 음식물 조리중에는 손에 기름, 물 등이 묻어 손이 미끄러운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생각할 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양념통(100)과 같이 굴곡진 외형을 가진 양념통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념통(100)에 포함된 뚜껑(10), 이동판(20), 몸통(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또는 모든 구성을 종이 소재로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종이를 소재로 하여 양념통(100)을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수분 침투 방지 코팅이 구비된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양념통(100)을 종이 소재로 제작한 경우에는, 수분 침투 방지 코팅이 구비되었다 하더라도, 식사 테이블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종이 소재로 만들어진 양념통(100)을 요리 시에 사용하게 되면 물 묻은 손으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크고, 양념통(100)에 수분 침투 방지 위한 코팅이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반복되는 수분 침투를 완전히 차단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양념통이 흔히 사용되는 주방과 같은 사용 환경에서는 양념통(100)에 기름, 물방울 또는 식재료 찌꺼기 등의 오물이 쉬이 묻게 됨에 따라, 양념통(100)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양념통(100) 내부로 습기 또는 기름기 등이 침투하여 양념통(100) 내부에 담겨 있는 가루 형태의 양념이 뭉쳐 사용이 어렵게 되거나 상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양념통(100)을 제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와 같이 종이로 양념통(100)을 제작하게 되면,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종이가 자연분해 가능한 친환경적인 소재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양념통 제작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재가 플라스틱이고,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플라스틱 소재를 종이로 대체함으로써, 환경 오염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
종이로 양념통(100)을 제작하는 경우, 제작비용 및 무게가 감소되어 양념통(100) 사용성이 향상되게 된다. 사용성 향상에 더하여, 사용자가 직접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념통(100)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개인이 적당한 투습방지 코팅 용지를 구매하고 직접 종이를 재단하여 양념통(100)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공작의 즐거움도 느낄 수 있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뚜껑 15 : 경사면
20 : 이동판 21 : 손잡이
23 : 이동판공 27 : 외턱
29 : 걸림턱 30 : 몸통
31 : 몸통상면 33 : 몸통공
36 : 손잡이돌출공 37 : 몸통상면절곡부
38 : 몸통내턱 40 : 배출공
100 : 양념통

Claims (7)

  1. 내부에 양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양념을 외부로 배출하는 몸통공이 형성된 몸통;
    상기 상부면 내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면 상에 다수의 이동판공이 형성되는 이동판; 및
    상기 몸통의 상기 상부면 및 상기 몸통의 상기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돌출공을 통하여 상기 몸통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이동판의 손잡이를 모두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이 상기 몸통에 삽입된 채로 이동됨에 따라,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양념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 몸통부;
    상기 제1 몸통부 상단에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몸통부; 및
    상기 제2 몸통부 상단에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통부의 측면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마주하는 제3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상기 제1 면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한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증가하며,
    상기 제2 몸통부의 측면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마주하는 제3'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증가하고,
    상기 제1' 면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한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감소하며,
    상기 제3 몸통부의 측면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마주하는 제3''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상기 제1'' 면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한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의 폭은 상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공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판은,
    일측면의 중심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양쪽 바깥쪽으로 외턱이 형성되며, 상기 외턱의 바깥쪽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일부가 상기 몸통에 삽입되어 이동됨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이 상기 몸통에 가장 깊숙하게 삽입되었을 때는 상기 손잡이만 상기 몸통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판이 상기 몸통에 가장 얕게 삽입되었을 때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외턱이 함께 상기 몸통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손잡이를 덮는 부분에서 상기 몸통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상기 이동판, 상기 몸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종이를 소재로 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수분 침투 방지 코팅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KR1020190025117A 2019-03-05 2019-03-05 양념통 KR102205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17A KR102205422B1 (ko) 2019-03-05 2019-03-05 양념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17A KR102205422B1 (ko) 2019-03-05 2019-03-05 양념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45A true KR20200106645A (ko) 2020-09-15
KR102205422B1 KR102205422B1 (ko) 2021-01-20

Family

ID=7245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17A KR102205422B1 (ko) 2019-03-05 2019-03-05 양념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969A (ko) 2021-04-12 2022-10-19 김세진 날을 포함하는 양념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87B1 (ko) 2007-06-21 2008-03-06 양형택 가루 양념통
KR20100007287U (ko) * 2009-01-08 2010-07-16 최영만 맷돌식 깨 보관용기
KR101490768B1 (ko) 2014-01-02 2015-02-09 김용운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87B1 (ko) 2007-06-21 2008-03-06 양형택 가루 양념통
KR20100007287U (ko) * 2009-01-08 2010-07-16 최영만 맷돌식 깨 보관용기
KR101490768B1 (ko) 2014-01-02 2015-02-09 김용운 계량 기능을 갖는 양념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422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6757B1 (en) Inserts for an assortment box
USD835507S1 (en) Leaf-themed container lid
USD858887S1 (en) Cosmetic compact
US4467524A (en) Corrugated carton cutter
USD859155S1 (en) Lid
USD802423S1 (en) Container
WO2004106186A1 (en) Container with hinged cover
US6672471B2 (en) Tablet box construction
USD802422S1 (en) Container
USD867056S1 (en) Lid for a storage container
KR102205422B1 (ko) 양념통
USD949689S1 (en) Lid for a container
USD949698S1 (en) Container
USD833871S1 (en) Sunflower-style container lid
USD805839S1 (en) Lid for a drinking vessel
USD875174S1 (en) Card holder
US7290661B1 (en) Cutlery tray with roll-top closure
US4396119A (en) Storage box
MXPA06007713A (es) Dispositivo de extraccion mejorado y metodo para uso con contenedores con reborde.
USD908014S1 (en) Container
US10575666B2 (en) Salsa container assembly
US4773530A (en) Package containing a booklet or folder insert
USD909126S1 (en) Container lid
US2288674A (en) Packaging of tablets
USD876910S1 (en) Perforated spoon with f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