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961B1 - 음식물 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961B1
KR101169961B1 KR1020090118342A KR20090118342A KR101169961B1 KR 101169961 B1 KR101169961 B1 KR 101169961B1 KR 1020090118342 A KR1020090118342 A KR 1020090118342A KR 20090118342 A KR20090118342 A KR 20090118342A KR 101169961 B1 KR101169961 B1 KR 10116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ntainer body
food
ra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829A (ko
Inventor
원경희
이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상
Priority to KR102009011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9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인스턴트 라면과 같은 (즉석 조리용) 음식물이 수용되는 컵 라면 용기와 같은 음식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음식물 용기는 그 구성 일예로서, 즉석 조리되는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실링되는 성형물의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인쇄지가 부착되거나 일체로 인쇄되는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은 용기본체의 상단턱이 삽입되면서 접착 실링되는 용기본체 실링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제조 단가나 공정을 축소 가능하게 하는 한편, 용기본체에서 분리된 성형물의 뚜껑은 라면 등의 음식물을 편하게 받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보관용기로의 재활용도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용기 실용성을 높이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음식물 용기, 일회용 용기, 컵 라면 용기

Description

음식물 용기{Food Receptacle}
본 발명은 인스턴트 라면과 같은 (즉석 조리용) 음식물이 수용되는 컵 라면 용기와 같은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제조 단가나 공정을 축소 가능하게 하는 한편, 용기본체에서 분리된 성형물의 뚜껑은 라면 등의 음식물을 편하게 받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보관용기로의 재활용도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용기 실용성을 높인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컵 라면 등의 일회용 간이 음식물은, 통상 용기에 수용하고, 이를 실링하고 유통되고, 사용자가 실링을 제거하고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즉석에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일회용 즉석 조리용 음식물이 저장되는 음식물 용기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 에서는 종래 알려진 즉석 조리용의 음식물 용기 즉, 일회용 라면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알려진 종래의 용기(100)는,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즉석에서 먹을 수 있도록 제조된 인스턴트 라면(즉, 음식물)(102)과 스프(104) 등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에 실 링(부착)되고, 제품과 회사 및 기타 광고 문구 등이 인쇄된 리드지(120) 및, 상기 리드지 위로 용기본체에 덮여지는 얇은 플라스틱 커버(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용기(100)는 최종적으로 비닐포장지(140)가 용기 전체를 감싸도록 포장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용기는 일예로 컵 라면 용기로서, 일명 시중에서 '왕 뚜껑'이라 불리는 컵 형태의 라면 용기 보다는 크기가 큰 대용량 용기이다.
따라서, 종래 음식물 용기(100)는,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에 리드지(120)를 실링 처리하고, 그 위로 다시 뚜껑(130)을 덮고, 비닐 포장체(수축 필름)(140)로 포장하는 전체적으로 4개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적어도 4개의 구성부품으로 된 종래 라면용기의 구성부품을 줄여서 제품 단가를 낮추고, 제조 공정수도 줄여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특히, 종래 용기(100)의 구성부품을 줄이면서, 용기본체(110)에 부착되는 리드지(120) 대신에, 리드지 역할을 하면서 실제 라면을 먹을때, 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는 뚜껑을 사용하도록 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기존 용기 본체에 실링되는 리드지와 얇은 플라스틱 커버 대신에, 성형물의 뚜껑을 용기본체에 바로 실링하여 용기의 제조 단가나 공정을 축소 가능하게 하는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측면은, 용기본체에서 분리된 성형물의 뚜껑은 라면 등의 음식물을 편하게 받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용기본체에 다른 음식물을 저장하고 뚜껑을 덮으면 보관용기로의 재활용도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용기 실용성을 높인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즉석 조리되는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실링되는 성형물의 뚜껑;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뚜껑에는 인쇄지가 부착되거나 일체로 인쇄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은, 용기본체의 상단턱이 삽입되면서 접착 실링되는 용기본체 실링부를 포함한다.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에는 인쇄지 부착시 통기를 위한 통기홈 및, 상기 뚜껑의 외연에 구비된 손잡이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에 음식물 수용공간을 형성토록 저면에 제공되는 돌출부; 및, 상기 뚜껑에 음식물 수용공간을 형성토록 적어도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돌출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에 제공되어 뚜껑의 용기본체 분리를 용이토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는, 용기본체 상단턱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가 밀착되는 용기본체 상단턱에 형성되는 접착제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에 제공되는 인쇄지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에 의하면, 기존 용기 본체에 실링되는 리드지와 얇은 플라스틱 커버 대신에, 성형물의 뚜껑을 용기본체에 바로 실링하여 용기의 제조 단가나 공정을 축소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생산성울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용기본체에서 분리된 성형물의 뚜껑은 라면 등의 음식물을 편하게 받쳐서 먹은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용기본체에 다른 음식물을 저장하고 뚜껑을 덮으면 보관용기로의 재활용도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용기 실용성을 높인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1) 즉, 컵 라면 용기와 같은 일회용 음식물 용기를 구성도 및 분해 사시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는, 뜨거운 물을 부어서 먹을 수 있도록 제조된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실링되는 성형물의 뚜껑(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는, 도 1의 종래 용기본체(110)에 실링되는 리드지(120)와 그 위에 덮여지는 얇은 플라스틱 커버(13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기존의 리드지와 플라스틱 커버를 합쳐서 하나의 성형물로 된 뚜껑(20)을 포함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음식물 용기의 구성 부품수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용기 제조 단가나 제조 공정 수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에서 상기 뚜껑(20)은, 기존 리드지 대신에 도 2와 같이, 어느정도 강도를 갖고 형태를 유지하는 PP(polypropylene) 또는 PS(polystyrene)와 같은 합성수지 성형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기존 리드지 보다 용기 전체적인 강도를 강화하면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실제 컵 라면을 먹는 경우, 라면이나 국물을 받쳐서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이점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에서,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상단턱(12)이 삽입되면서 접착 실링되는 용기본체 실링부(3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형태에 대응하여, 용기본체가 도면과 같이 원형체인 경우 원형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뚜껑(20)은 평탄한 중앙의 본체(20a)의 외연에 일체로 형성되는 용기본체 실링부(30)를 포함한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용기본체가 사각형태인 경우, 상기 뚜껑도 사각 형태임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30)는, 상기 평판한 원형의 용기본체(20a)의 외연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용기본체 상단턱(12)이 삽입되어 상단턱의 상부표면이 열 용융 접착제(예를 들어 EVA)(열 경화 접착제)를 매개로 밀착 실링되는 상면(32)과 상기 상면의 일측으로 뚜껑 본체와 일체로 된 내측면(34) 및, 상기 상면의 외측으로 용기본체 상단턱을 감싸면서 수직하게 소정의 길이로 일체로 된 외측면(36)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30)는, 뚜껑 본체에서 일체로 된 단면상 사각 형태로 돌출되면서 내측에 상기 용기본체 상단턱 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이 제공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의 외측면(36)은 내측면(34) 보다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가능한 뚜껑 상단턱을 완전하게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의 저면 전체 또는 적어도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30)의 상면(32)의 저부에는 EVA와 같은, 열 용융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라면(2)과 스프(4)를 넣은후, 상기 뚜껑(20)을 덮고,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면,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30)의 상면 저부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하여, 적어도 용기본체 실링부의 상면 저부와 용기본체 상단턱(12)이 접착 실링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의 내측면(34)도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기 때문에, 내측면(34)도 용기본체(10)의 상부 내면에 접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뚜껑(20)은 라면을 먹을때, 용기본체에서 뚜껑이 분리 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 실링부(30)의 상면(32) 저부와 용기본체 상단턱(12) 부분만 접착 실링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경우 뚜껑의 용기본체 분리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에서 상기 뚜껑(20) 즉, 뚜껑 본체(20a)에는 일회용 라면 용기의 제품 명이나 회사 광고 등이 인쇄된 인쇄지(4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의 본체(20a)에 통기홈(22)을 형성시키는 것인데, 이와 같은 통기홈(22)은, 인쇄지(40)를 뚜껑 본체(20a)에 부착할 때,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통로로 형성되어, 인쇄지(4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20)의 외연에는 손잡이(24) 예를 들어, 용기본체 실링부(30)의 외측면(36)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4)는, 실제 라면을 먹을 때 뚜껑(20)을 용기본체에서 쉽게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24)는 뚜껑(2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도 2a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는 용기본체(10)에 뚜껑(20)이 실링되고, 비닐 포장체(수축 필름)(50)으로 포장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24)는 너무 크지 않게 뚜껑 외측에 길이를 갖고 잡기 편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3a 및 도 3b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한 본 발명 음식물 용기(1)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의 인쇄지(40) 대신에, 뚜껑(20)의 본체(20a) 부분에, 인쇄(40')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3의 경우에는 뚜껑에 인쇄(40')를 일체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뚜껑의 인쇄공정이 필요하지만, 별도의 인쇄지(40) 사용은 줄일 수 있다.
다음, 도 4a 및 도 4b에서는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에 음식물 수용공간(P)을 형성토록, 뚜껑 저면에 제공되는 돌출부(60)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돌출부(60)는 뚜껑의 본체(20a)의 저면에 도 4b와 같이, 환형의 돌출부로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음식물 용기 사용시 상기 뚜껑(20)을 용기본체(10)에서 분리시키고, 라면을 먹을 경우, 본 발명의 뚜껑(20)을 뒤집으면, 상기 돌출부(60)의 내측에는 라면을 수용하는 공간(P)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돌출부(60)는 라면과 국물을 저장하는 댐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즉,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1)는 일회용 컵 라면인 경우, 뚜껑을 이용하여 라면을 매우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에서 상기 뚜껑(20)의 본체(20a)부분 즉, 적어도 중앙부분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뚜껑 내측에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면(20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면(20a')도 뚜껑(20)을 용기본체에서 분리시키어 뒤집으 면, 도 4의 돌출부(60)와 마찬가지로 라면을 받쳐서 먹을 수 있게 하는 수용공간(P)을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도 5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뚜껑 저면의 돌출부(60) 내측에 상기 돌출면(20a')을 형성시키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라면 용기는 일회용 컵 라면 용기인 경우, 쉽고 편하게 라면을 먹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뚜껑 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면(20a')은, 그 위에 인쇄지(40)를 부착하는 경우 위로 돌출되게 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더 인식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1)의 뚜껑(20)에 형성된 용기본체 실링부(30)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용기본체(10)의 뚜껑(20)의 용기본체 실링부(30)의 내측면(34)을 따라 함몰부(34)를 형성시키면, 상기 함몰부(34)는 내측으로 함몰되기 때문에, 도 6과 같이 용기본체 실링부(30)에 용기본체 상단턱(12)을 삽입시키면, 상기 용기본체 내측면과 용기본체 실링부 내측면의 접촉면적이 함몰부 밀착면으로 제한되고, 용기본체 실링부(30)의 내측면(34)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압착되면서 용기본체 상단턱(12)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함몰부(70)는 그 접착 면적을 줄여서, 용기본체에서 뚜껑을 분리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즉, 용기본체 실링부(30)를 용기본체 상단턱(12)을 덮어서 열 접착하는 경우, 용기본체 실링부(30)의 내측면(34)과 용기본체(10)의 상단부 내면과 접착되는 때에, 상기 함몰부만이 용기본체 상부 내측면에 밀착되므로, 함몰부를 제외한 실링부 내측면(34)은 용기본체에서 이격되고, 따라서 제조시 뚜껑(20)의 저면에 공정상 열 용융 접착제가 모두 도포되어도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의 경우 용기본체에서 뚜껑(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링부(30)와 용기본체(10)의 상단턱(12)의 실링은 견고하게 유지될 것이다.
다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1)에서 상기 뚜껑(20)에 구비된 용기본체 실링부(30)의 상면(32)이 밀착되는 용기본체 상단턱(12)에는 접착제 수용홈(80)을 더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접착제 수용홈(80)은, 뚜껑(20)의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뚜껑(20)이 용기본체(10)에 덮여지고, 특히 뚜껑(20)의 용기본체 실링부(30)의 상면(32)이 용기본체 상단턱(12)에 눌리면서 압착되면서 열이 가해지면, 도포된 열 용융 접착제는 열에 의하여 용융되면서 접착제 수용홈(80)에 미세하게나마 수용되고, 따라서 상기 접착제 수용홈(80)은, 실제로는 뚜껑과 용기본체의 접착선이 된다.
따라서, 뚜껑(20)은 용기본체(10)에서 분리시킬 때에, 수용홈이 없는 경우 용기본체 상단턱과 뚜껑 용기본체 실링부(30)는, 면 접착되지만, 상기 본 발명의 접착제 수용홈은 접착면 대신에 접착선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뚜껑의 용기본체 분리시 상기 접착선에서만 이탈되면 되므로, 뚜껑의 용기본체 분리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용기에서 상기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30)는, 용기본체 상단턱(12)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본체(10)의 상단턱(12)이 내측에 삽입되는 단면상 사각형태로 돌출된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30)의 폭이 용기본체 상단턱(12)의 폭 보다 작게하여 양측으로 'D'만큼 차이가 지게 하여, 뚜껑 용기본체 실링부(30)에 용기본체 상단턱(12)이 삽입되면,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의 내측면(34)과 외측면(36)이 강제로 벌어지면서, 상기 용기본체 실링부와 용기본체 상단턱간의 밀착력이 더 강화된다.
따라서, 접착제로 접착되지만, 도 8의 경우 용기본체 실링부와 용기본체 상단턱 간의 밀착이 긴밀하게 되어, 혹 접착 불량이 발생되어도 이물질 유입 등이 차단될 것이다.
다음,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에서 바람직하게는상기 뚜껑(20)에 제공되는 인쇄지 삽입부(9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의 본체(20a)와 용기본체 실링부(30)의 경계부분을 절곡시키어 인쇄지(40)가 삽입되는 삽입부(90a)를 형성시키고, 도 9와 같이 인쇄지(40)의 길이를 뚜껑의 본체(20a) 보다 'T'만큼 길게하면, 도 2b와 같이 인쇄지(40)를 뚜껑(20)의 본체(20a)에 부착하지 않고, 인쇄지를 뚜껑 본체 상에서 눌러서 삽입부(90a)에 끼워지도록 하면 될 것이다.
이때,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지 삽입부(90a)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뚜껑(20)의 용기본체 실링부(30)의 측면과 뚜껑 본체(20a)의 경계부위를 절곡시키면 이때 돌출된 부분(90a)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뚜껑의 용기본체 밀착을 긴밀하게 하여, 용기의 실링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일회용 라면용기를 도시한 구성도 및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를 도시한 구성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에 구비된 뚜껑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에 구비된 뚜껑의 또 다른 변형에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용기본체 상단턱에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을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뚜껑에 구비된 인쇄지 삽입부를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음식물 용기 10.... 용기본체
12.... 용기본체 상단턱 20.... 뚜껑
20a.... 뚜껑 본체 22.... 통기홈
24.... 손잡이 30.... 용기본체 실링부
32.... 실링부 상면 34.... 실링부 내측면
36.... 실링부 외측면 40.... 인쇄지
40'.... 뚜껑 일체형 인쇄부분 50.... 포장비닐
60.... 돌출부 70.... 함몰부
80.... 접착제 삽입홈 90a.... 인쇄지 삽입부

Claims (7)

  1. 즉석 조리되는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실링되는 성형물의 뚜껑(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뚜껑(20)에는 인쇄지(40)가 부착되거나 일체로 인쇄(40')된 음식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상단턱(12)이 삽입되면서 접착 실링되는 용기본체 실링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용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에는 인쇄지 부착시 통기를 위한 통기홈(22); 및,
    상기 뚜껑(20)의 외연에 구비된 손잡이(24);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에 음식물 수용공간(P)을 형성토록, 뚜껑 저면에 제공되는 돌출부(60)와 뚜껑의 적어도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돌출면(20a')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30)에 제공되어 뚜껑의 용기본체 분리를 용이토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30)는, 용기본체 상단턱 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뚜껑의 용기본체 실링부(30)가 밀착되는 용기본체 상단턱(12)에 형성되는 접착제 수용홈(80)과 상기 뚜껑(20)에 제공되는 인쇄지 삽입부(9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용기.
KR1020090118342A 2009-12-02 2009-12-02 음식물 용기 KR10116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342A KR101169961B1 (ko) 2009-12-02 2009-12-02 음식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342A KR101169961B1 (ko) 2009-12-02 2009-12-02 음식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829A KR20110061829A (ko) 2011-06-10
KR101169961B1 true KR101169961B1 (ko) 2012-08-06

Family

ID=4439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342A KR101169961B1 (ko) 2009-12-02 2009-12-02 음식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508B1 (ko) * 2017-12-13 2019-11-05 박미경 이중구조 뚜껑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829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2160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包装容器
CA2578918C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ES2966604T3 (es) Recipiente de embalaje con reborde y tapa
US20200255190A1 (en) Injection molded lid
KR101685884B1 (ko) 재밀봉형 리필형 티슈 분배기
CN110719878B (zh) 具有蒸汽排出部的烹饪容器
CA2012259C (en) Airtight lid with flip top feature
KR101169961B1 (ko) 음식물 용기
KR20170000149A (ko) 1회 용기 밀폐구조
US20160009429A1 (en) Method of Creating a Labeled Packaged Product
JP7407958B2 (ja) カップ蓋
KR20160003682U (ko)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EP1264676B1 (en) Method for producing a food package
JP2599936Y2 (ja) 包装容器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JP4447225B2 (ja) 合成樹脂製蓋体
KR101431675B1 (ko) 점착제가 구비된 일회용 용기
JP2002284215A (ja) 納豆容器
JPH0732448Y2 (ja) フランジのない密封容器
JP2005231699A (ja) 鶏卵の包装容器
KR20060133281A (ko) 식품 포장 용기
JP2002179174A (ja) 納豆容器
KR960010077Y1 (ko) 샌드위치 포장용기
JPH0138059Y2 (ko)
KR960010229Y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