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281A - 식품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281A
KR20060133281A KR1020050053051A KR20050053051A KR20060133281A KR 20060133281 A KR20060133281 A KR 20060133281A KR 1020050053051 A KR1020050053051 A KR 1020050053051A KR 20050053051 A KR20050053051 A KR 20050053051A KR 20060133281 A KR20060133281 A KR 20060133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ceptacle
inner container
food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장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텍
장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텍, 장재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텍
Priority to KR102005005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3281A/ko
Publication of KR2006013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8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formed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중의 용기로 구성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한편 용기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천연펄프를 이용하여 식품용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천연펄프로 제작된 외부용기의 내측에 내부용기를 끼워준 후 내부용기에 식품이 담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상측에 덮개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돌기가 외부용기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결합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펄프, 용기, 일회용, 식품

Description

식품 포장 용기{Food pack}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용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식품용기의 덮개를 씌운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식품용기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용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부용기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덮개를 씌운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품용기 20 : 내부용기
21 : 밀착돌기 30 : 외부용기
31 : 결합턱 40 : 덮개
본 발명은 펄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중의 용기로 구성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한편 용기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어 지고 있는 식품 포장용기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 것으로, 플라스틱과 스치로폼을 주 원료로 하는 제품과, 종이 표면에 폴리에틸렌(PE) 코팅한 제품과 천연 펄프 100%를 주원료로 한 제품이 있으나, 어느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용기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함은 물론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고추장, 된장과 같은 장류를 담는 용기의 경우 합성수지로 사출하여 제작한 용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합성수지가 재료인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의 누출은 완벽히 방지할 수 있으나,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쉽게 부패하는 원인이 되고 있고, 천연펄프를 사용하여 제작한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의 누출은 방지하기 어려우나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합성수지로 제작된 용기는 용기를 통한 가스통과가 되지 않으나 펄프로 제작된 용기는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어 내용물의 보존기간을 크게 늘릴 수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로 제작된 용기나 펄프로 제작된 용기를 사용하여 즉석라면을 포장한 경우 뜨거운 물을 붇게 되나, 상기 뜨거운 물에서 발생된 열이 용기의 표면에 그대로 전달되어 용기를 들고 있기가 불편할 정도로 용기가 뜨거워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천연펄프로 제작한 용기를 사용하여 식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하되 두 개의 용기를 겹쳐서 식품용기로 사용하므로서 장류의 같은 식품의 누출을 방지하는 한편 뜨거운 물을 담았을 때 열기가 용기의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천연펄프를 이용하여 식품용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천연펄프로 제작된 외부용기의 내측에 내부용기를 끼워준 후 내부용기에 식품이 담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상측에 덮개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돌기가 외부용기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결합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용기(10)는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를 내측으로 끼워주는 외부용기(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20)는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돌기(21)를 형성시켜 외부 용기(30)의 내측으로 밀착돌기(21)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내부용기(20)의 상측과 외부용기(30)의 상측에는 덮개(40)가 동시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는 천연펄프에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한 후 메쉬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으로, 외부용기(30)와 내부용기(20)는 그 형상을 사각형태, 타원형태, 접시형태, 원반형태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외부용기(30)의 내측에 내부용기(20)가 결합되어 잘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외부용기(30)와 내부용기(20)의 상측에서 동시에 덮개(4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는 그 형상이 다를 뿐 제조방법은 동일한 것으로, 천연펄프를 물에 해리시킨 후 수용성접착제를 첨가하여 죽처럼 만들고, 이를 메쉬금형으로 투입하여 하부에서 진공으로 물을 흡수하여 용기의 형상을 갖도록 하되 상부에서 성형금형을 씌워 300oC의 온도로 가열시키고, 다시 성형금형을 상부로 이동시킨 후 다시 성형금형을 씌워 가열시키는 과정을 3회에 걸쳐 수행하므로서 외부용기(30)와 내부용기(20)가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성형금형을 이용하여 가열시킴으로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 회에 걸쳐 실시하되 실히 횟수가 증가할수록 용기의 표면이 매끄러워지며, 용기의 성형이 완료된 후 최종적으로 멸균과정을 거치도록 하므로서 용기에 담기 식품의 위생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를 제작하되 내부용기(20)의 측면과 바닥에 밀착돌기(21)를 형성시키되 상기 밀착돌기(21)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내부용기(20)는 외부용기(30)에 끼워질 때 상기 밀착돌기(21)가 외부용기(30)의 내측과 바닥에 밀착하게 되므로서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30)에 끼워지면 잘 빠지지 않고 하나의 식품용기(1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외부용기(30)의 상측에는 결합턱(31)을 내측으로 형성시켜 내부용기(20)의 상측이 상기 결합턱(31)에 걸쳐지면서 끼워지게 하므로서, 식품용기(10)의 상측에는 외부용기(30)의 상측과 내부용기(20)의 상측이 동일한 높이를 갖고 노출되게 되며, 이 같이 외부용기(30)와 내부용기(20)의 상측에 식품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덮개(40)를 접착시킴으로서 덮개(40)가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의 상측에 모두 접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용기(30)의 내측에 끼워지는 내부용기(20)의 상측은 외부용기(30)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턱(31)에 끼워주고, 결합턱(31)의 깊이를 내부용기(20)의 두께와 같게 하여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의 상측 높이가 같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30)에 결합시켜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30)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가 되면 내부용기(20)의 내측에 식품을 담아주게 되는 것으로, 내부용기(20)에 담겨지는 식품의 종류 및 량에 따라 식품용기(10)의 형상이 변하게 된다.
내부용기(20)에 식품이 담겨지게 되면 상측에 덮개(40)를 씌워 핫멜트 접착시키게 되는 것으로,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의 상측에 식품용 점착제를 도포한 후 덮개(40)를 덮고 열을 가하여 덮개(40)가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의 상측에 접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30)에 끼워질 때 외부용기(30)에 형성된 결합턱(31)에 의해 내부용기(20)의 상측과 외부용기(30)의 상측이 동일 높이를 갖게 되므로, 덮개(40)를 씌울 때 내부용기(20)의 상측과 외부용기(30)의 상측이 동일하게 덮개(40)에 부착되게 된다.
이 같이 식품용기(10)에 식품이 담겨지게 되면 식품용기(10)는 내부용기(20) 와 외부용기(30)로 이루어져 있어, 내부용기(20)를 통하여 장류가 누출되더라도 내부용기(20)에서만 누출이 이루어지고 외부용기(30)를 통한 누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가 모두 천연펄프로 제작되어 내장된 식품이 식품용기(10)를 통하여 숨을 쉴 수 있어 식품을 장기간 보관 할 수 있으며, 즉석라면과 같은 식품이 담겨져 있어 뜨거운 물을 내부용기(20)에 부어주게 되더라도 뜨거운 열이 내부용기(20)에서 외부용기(30)로 잘 전달되지 않아 외부용기(30)를 들고 식품을 익히는 한편 먹을 수 있게 된다.
즉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30)는 밀착돌기(21)에 의해 일부가 밀착되어 결합되게 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공간은 공기가 채워져 있어 열전달을 차단하게 되므로, 내부용기(20)에 뜨거운 물이 담기더라도 열이 외부용기()로 잘 전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천연펄프로 식품용기를 제작하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구분하여 제작한 후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에 끼워 사용토록 하되 내부용기에 형성된 밀착돌기가 외부용기의 내측에 밀착되며 결합되게 하므로서, 내부용기가 외부용기에 끼워진 후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내부용기에서 외부용기로의 열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상측이 모드 덮개에 부착되게 되어 담겨진 식품을 보호하는 한편 밀봉성을 높이게 된다.

Claims (3)

  1. 천연펄프로 제작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는 외부용기의 내부에 끼워지는 내부용기로 제작하되 상기 내부용기의 측면과 하측으로 밀착돌기를 돌출시켜 내부용기의 외측과 외부용기의 내측이 밀착돌기로 밀착되게 하고, 상기 외부용기의 상측에 내측으로 결합턱을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턱에 내부용기의 상측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며,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상측에 덮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용기에 형성된 밀착돌기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고 측면과 바닥에 형성하고, 상기 밀착돌기는 내부용기가 외부용기에 끼워질 때 밀착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용기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턱에 걸쳐지는 내부용기의 상측은 외부용기의 상측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KR1020050053051A 2005-06-20 2005-06-20 식품 포장 용기 KR20060133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051A KR20060133281A (ko) 2005-06-20 2005-06-20 식품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051A KR20060133281A (ko) 2005-06-20 2005-06-20 식품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81A true KR20060133281A (ko) 2006-12-26

Family

ID=3781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051A KR20060133281A (ko) 2005-06-20 2005-06-20 식품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32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596B1 (ko) * 2007-06-29 2008-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의 하부하우징 구조
KR200469897Y1 (ko) * 2012-06-25 2013-11-12 강정환 원두 홀더용 원두 찌꺼기 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596B1 (ko) * 2007-06-29 2008-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의 하부하우징 구조
KR200469897Y1 (ko) * 2012-06-25 2013-11-12 강정환 원두 홀더용 원두 찌꺼기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8918C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NO324584B1 (no) Snuff-box lid
CN110719878B (zh) 具有蒸汽排出部的烹饪容器
JP6108646B1 (ja) 包装用容器
KR20090081378A (ko) 포장체 및 용기
WO2013146592A1 (ja) 容器入り即席食品、容器入り即席食品の調理方法、及び即席食品用容器
KR20060133281A (ko) 식품 포장 용기
JP2011046450A (ja) 即席食品容器
KR101712639B1 (ko) 1회 용기 밀폐구조
KR200483275Y1 (ko)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KR200417031Y1 (ko) 도시락
KR20120005606U (ko) 미트패드가 부착된 트레이형 포장용기
KR101169961B1 (ko) 음식물 용기
KR101576662B1 (ko)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JP3023405B2 (ja) 水蒸気加熱装置付き食品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KR101431675B1 (ko) 점착제가 구비된 일회용 용기
KR20140114685A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KR200351912Y1 (ko) 재배를 겸한 콩나물 용기
CN215603687U (zh) 一种新型环保餐盒
JP2000118548A (ja) 容 器
JPH11115970A (ja) 食品包装体
JP3154418U (ja) 惣菜等の閉鎖材付き包装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2005162289A (ja) 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345650Y1 (ko) 한과 포장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