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378A - 포장체 및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체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378A
KR20090081378A KR1020097009075A KR20097009075A KR20090081378A KR 20090081378 A KR20090081378 A KR 20090081378A KR 1020097009075 A KR1020097009075 A KR 1020097009075A KR 20097009075 A KR20097009075 A KR 20097009075A KR 20090081378 A KR20090081378 A KR 2009008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e
resin film
packa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412B1 (ko
Inventor
마사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3442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8137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94Thermoformed trays or the like with a plurality of recesses for different materials located in different recesses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킬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고, 가열 후의 용기의 함몰을 방지할 수도 있는 포장체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시킨다.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의 제1접착부(111)에 수지필름(120)을 접착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130)을 밀봉하는 포장체(100)에 있어서, 용기(1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120)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112)를 용기벽에 형성하고,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13)과, 관통구멍(113)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120)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하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114)와, 제2접착부(114)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115)를 제1돌출부(112)의 상면에 형성하였다.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높아진 때에는, 수지필름(120)이 상방으로 팽창되어 제2접착부(114)가 떨어져서, 용기(110)의 내부 가스가 관통구멍(113)을 거쳐 용기(110)의 외부로 방출된다.

Description

포장체 및 용기{PACKAGE BODY AND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內容物)에서 발생되는 가스(gas)를 용기(容器)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장체(包裝體)와, 상기 포장체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시락이나 반찬 등의 식품(食品)은, 이물질(異物質)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혹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지(樹脂)로 만든 용기 내부에 밀봉(密封)된 포장체의 상태로 판매되는 것이 많이 있다. 이러한 식품 중에는, 전자레인지(microwave range) 등에 의하여 포장체인 상태로 가열하여 조리(調理)할 수 있도록 한 것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식품을 용기 내부에 밀봉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열하면, 이때에 식품에서 발생되는 수증기(水蒸氣)에 의하여 용기가 외측으로 팽창(膨脹)되어 파열(破裂)될 우려가 있다. 또한 김치 등과 같은 발효식품(醱酵食品)은 발효의 진행에 따라 탄산가스(炭酸 gas)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용기를 가열하지 않더라도 용기가 파열될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실상(實狀)을 고려 하여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나 탄산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적어도 1곳에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가요성 용기(可撓性 容器)와,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하도록 접착(接着)되는 시트(sheet) 모양의 압력조정밸브(壓力調整 valve)를 구비하고, 가요성 용기의 내부압력이 일정 이상 되었을 때에 상기 시트 모양의 압력조정밸브가 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리용 패키지(自動調理用 package)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자동조리용 패키지에서는, 시트 모양의 압력조정밸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가요성 용기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가요성 시트(可撓性 sheet)를 가요성 용기에 점착(粘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1의 자동조리용 패키지는,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기 쉬워서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는, 뚜껑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 본체와 뚜껑에 종이띠가 감겨져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이 폐쇄(閉鎖)되어 있고, 전자레인지 등에 의하여 열을 가할 때에는, 내부압력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관통구멍 주변의 종이띠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包裝容器)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의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에 종이띠를 감아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종이띠를 벗겨야 하므로 개봉작업(開封作業)이 번거로워진다는 등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는, 내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용기와,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가공식품(調理加工食品)과, 용기 측벽(側壁)의 상단(上端)에 열용착(熱溶着)되는 수지필름(樹脂 film)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의 정상면(頂上面)의 표면(表面)과 이면(裏面)을 관통하여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필름에 의하여 상기 관통구멍이 피복(被覆)되는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4에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開口部) 상부 테두리에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킴으로써 밀봉되는 포장체로서, 용기 본체의 용기벽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 테두리에 고리 모양의 볼록부(凸部)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면과 상기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지 않고 밀접(密接)시켜서,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장체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3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나 특허문헌4의 포장체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인데도 불구하고,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기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서도 또한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즉 특허문헌3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나 특허문헌4의 포장체는,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이동이 국소적(局所的)인 것에 머물기 쉬워서, 전자레인지 등에 의하여 가열시켰을 때 등의 경우에서는, 장소에 따라 온도차이가 발생하기 쉬웠다. 이 러한 온도차이는, 내용물에 가열 얼룩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어, 가열하여 조리되는 식품의 맛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도 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3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나 특허문헌4의 포장체는,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에 용기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기 쉬워서, 가열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陷沒)될 우려가 있다. 이들과 같은 불량은, 특허문헌3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나 특허문헌4의 포장체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문헌1의 자동조리용 패키지나 특허문헌2의 포장용기 등 다른 포장체에 있어서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6-329179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0-344267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 3-60279호 공보
특허문헌4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3-221078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기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포장체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될 때에 용기 내부의 전체에 가스의 이동을 발생시켜서, 내용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키는 것도 가능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에도 내측으로 함몰되기 어려운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과제해결수단)
상기 과제는, 용기(容器)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第一接着部)에 수지필름(樹脂 film)의 하면(下面)을 접착(接着)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內容物)을 밀봉(密封)하는 포장체(包裝體)로서,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第一突出部)가 용기벽(容器壁)에 형성되고,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제1돌출부의 상면(上面)에 형성되고, 용기의 내부압력(內部壓力)이 높아졌을 때에, 수지필름이 상방으로 팽창(膨脹)되어 제2접착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이에 따라 용기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될 때에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이동을 제2돌출부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전체에 가스의 이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을 균일(均一)하게 가열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에서 가스를 효율적으로 방출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팽창된 수지필름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제2돌출부에서 수지필름을 일시적(一時的)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용기 외부의 가스를 용기 내부로 자연유입(自然流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지필름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제2접착부'에 있어서의 '약하게'라는 것은, 제2접착부에 있어서의 수지필름의 접착강도(接着强度)가 제1접착부에 있어서의 수지필름의 접착강도보다 낮은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수지필름을 제2접착부에 약하게 접착시킴으로써, 보통일 때에는, 용기 내부의 기밀성(氣密性)을 유지하면서도, 포장체를 가열하는 등으로 하여 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진 때에는, 제2접착부만이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접착부에 있어서 수지필름은, 보통의 경우에 사람의 손으로 고의(故意)로 벗기려고 하지 않으면 벗길 수 없을 정도의 접착강도로 접착된다.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5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포장체는 용기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 근방을 잡고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기 관통구멍이 용기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가열 후의 포장체를 운반할 때에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熱氣)가 사람의 손가락에 접촉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2돌출부를 형성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관통구멍에서 볼 때에 용기 중심 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의 중심에 존재하는 가스를 제2돌출부를 우회(迂回)시킨 후에 상기 관통구멍에 도달시킬 수 있게 되어, 용기 내부의 온도를 더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제2돌출부까지의 거리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관통구멍과 제2돌출부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으면, 상기 관통구멍에 도달하는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돌출부는, 보통의 경우에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반경(半徑) 3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2접착부의 선단(先端)으로부터 제2돌출부의 선단까지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낮으면, 제2접착부에서 가스의 이동을 우회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제2접착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의 선단까지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수지필름에 국소적(局所的)인 힘이 가해지기 쉬워져서, 수지필름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접착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의 선단까지의 높이는, 보통의 경우에 0.1∼3mm로 설정된다.
제2돌출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외부의 가스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용기 내부로 쉽게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열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벽을 얇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용기의 성형(成形)에 필요로 하는 재료의 양을 적게 하여, 용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용기 내부가 경계벽(境界壁)에 의하여 분리되고, 제1돌출부가 상기 경계벽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를 복수의 구획(區劃)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을 그 종류나 치수 등에 따라 나누어서 수용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부의 한정된 스페이스(space)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강도(强度)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용기 내부가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되는 포장체는, 가열 시에 각 구획 사이에서 온도차이가 발생하기 쉽게 되어,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하는 의의도 더 커진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락이나 반찬 등의 식품을 내용물로서 수용하는 경우에 채용하면 적합하다.
또한 상기 과제는,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기 위한 제1접착부가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용기로서,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용기의 상부 테두리와 동등한 높이에 도달하는 제1돌출부가 용기벽에 형성되고,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제1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함으로써도 해결된다. 이러한 용기는, 상기 포장체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기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포장체를 부품수가 적은 간단한 구조로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될 때에 용기 내부의 전체에 가스 이동을 발생시켜서, 내용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키는 것도 가능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에도 내측으로 함몰되기 어려운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포장체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용기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나 있는 용기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용기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5는, 도4에 나타나 있는 용기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의 주변을 Y-Y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가열시작 전 또는 가열시작 직후의 포장체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의 주변을, 도4에 있어서의 Y-Y면에 상당하는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가열시작으로부터 잠시 경과된 후의 포장체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의 주변을, 도4에 있어서의 Y-Y면에 상당하는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포장체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구획(a, b)의 물의 온도(Ta, Tb)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비교예의 포장체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구획(a, b)의 물의 온도(Ta, Tb)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포장체 110 : 용기
111 : 제1접착부 112 : 제1돌출부
113 : 관통구멍 114 : 제2접착부
115 : 제2돌출부 116 : 경계벽
117 : 연결홈 120 : 수지필름
130 : 내용물
이하, 본 발명의 포장체(包裝體)와 이에 사용되는 용기(容器)에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포장체(100)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용기(110)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나 있는 용기(110)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용기(110)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113)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5는, 도4에 나타나 있는 용기(110)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113)의 주변을 Y-Y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포장체(包裝體)의 전체 구성
본 실시예의 포장체(包裝體)(100)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容器)(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第一接着部)(111)에 수지필름(樹脂 film)(120)의 하면(下面)을 접착(接着)시킴으로써, 용기(110)에 수용되는 내용물(內容物)(130)을 밀봉(密封)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용기벽(容器壁)에는, 용기(1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120)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第一突出部)(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돌출부(112)의 상면(上面)에는,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13)과, 관통구멍(113)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120)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114)와, 제2접착부(114)의 선단(先端)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2. 내용물(內容物)
내용물(13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식품(食品)과 같이 품질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밀봉이 요구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중에서도, 수증기(水蒸氣)나 탄산가스(炭酸 gas) 등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식품을 수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식품으로서는 수분(水分)을 함유하는 식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된장국이나 스튜(stew) 등의 수프류(soup 類) 이외에, 쌀밥(白飯)이나 볶음밥 등의 밥류, 라면이나 우동 등의 국수류, 육류요리나 야채요리나 어류요리 등의 반찬류가 예시된다. 특히 전자레인지(microwave range)로 가열하여 조리(調理)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식품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고, 이들 식품을 냉동보존(冷凍保存)이나 냉장보존(冷藏保存)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냉동보존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식품은, 수증기의 이동을 제어하여 수증기가 응축(凝縮)될 때에 발생되는 잠열(潛熱)에 의한 가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의가 커서, 본 발명에서의 포장체(100)의 내용물(130)로서 적합하다. 냉동보존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식품은, 전자레인지로 가열할 때에 얼음 부분이 유전가열(誘電加熱)되기 어려워서 뜨거워지기 어려운 것에 비하여,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된 부분은 유전가열되기 쉬워서 뜨거워지기 쉽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 가열 얼룩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한편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식품으로서는, 김치나 된장 등의 발효식품(醱酵食品)이 예시된다. 본 실시예의 포장체(100)에 있어서는, 용기(110)에 상자 모양의 도시락 형태의 것을 채용하고 있고, 용기(110)의 구획(區劃)(a)(도3을 참조한다)에는 밥류를 수용하고 있고, 용기(110)의 구획(b∼d)에는 각각 다른 종류의 반찬류를 수용하고 있다.
3. 용기(容器)
용기(110)의 형상은, 내용물(130)의 종류 등에 의해서도 다르게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이 개방(開放)되는 대략 상자 모양의 것으로 되어 있다. 용기 내부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계벽(境界壁)(116)에 의하여 복수의 구획(a∼d)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130)을 그 종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구획(a∼d)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기(110)의 용적(容積)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는, 구획(a)이 270cc이고, 구획(b, d)이 50cc이고, 구획(c)이 130cc로 되어 있어, 합계 500cc로 되어 있다. 구획(a∼d)의 배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110)의 내부 형상이 좌우대칭(左右對稱)이 되도록 배치하는 등 가능한 한 대칭적인 위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의 가스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더 쉬워져서, 가열 시에 있어서의 각 구획(a∼d)의 온도차이가 작아지게 되도록 억제하는 것을 쉽 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도 구획(a∼d)을 좌우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경계벽(116)의 각 부분 중에, 구획(a)과 구획(b)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와, 구획(a)과 구획(c)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와, 구획(a)과 구획(d)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와, 구획(b)과 구획(c)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와, 구획(c)과 구획(d)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경계벽(116)에 각 구획(a∼d)을 통하는 연결홈(117)을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용기 내부의 가스는 각 구획을 왕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하였을 경우이더라도 각 구획(a∼d)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기 쉬워지도록 되어 있다.
용기(110)의 재료는, 내용물(130)을 수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强度)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산성(生産性)이나 밀봉성(密封性)이 우수한 플라스틱(plastic)이 보통의 경우에 채용된다. 용기(110)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e 樹脂)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수지(polyester 樹脂),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樹脂), 폴리스티렌계 수지(polystyrene系 樹脂),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樹脂),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polyacrylonitrile 樹脂) 등이 예시된다. 이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은, 성형성(成形性)과 강성(剛 性)과 히트 실성(heat seal性)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용기(110)에 내열성(耐熱性)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탤크(talc) 등의 무기 필러(無機 filler)를 배합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용물(130)에 레토르트 살균처리(retort 殺菌處理)를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무기 필러의 배합량은, 보통 10∼50중량%로 설정된다. 용기(110)의 성형방법(成形方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공성형(眞空成形)이나 사출성형(射出成形)이나 시트(sheet)의 열성형(熱成形) 등이 예시된다.
용기벽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용기(1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상승되었을 때에 용기(110)가 크게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용기벽의 두께는 보통 0.2mm 이상으로 설정된다. 용기벽의 두께는 0.3m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4m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벽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용기(110)의 재료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용기(110)의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이 때문에 용기벽의 두께는 보통 1.2mm 이하로 설정된다. 용기벽의 두께는 0.8mm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0.6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 용기벽의 두께는 0.4mm로 되어 있다.
4. 제1접착부(第一接着部)
제1접착부(111)는,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므로, 평탄(平坦)하게 형성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2에 나 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볼록부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수지필름(120)의 하면을 제1접착부(111)를 따라 균일한 접착강도(接着强度)로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접착부(111)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단면형상(斷面形狀)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대략 반원형(半圓形)으로 되어 있어, 제1접착부(111) 주변의 수지필름(120)에 주름이 형성되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접착부(111)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높이(H1)(도5를 참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약 1mm로 되어 있다.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은, 접착제(接着劑)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생산성이나 위생(衛生)의 측면에서 고려한다면, 열용착(熱溶着) 또는 진동용착(振動溶着)에 의하여 수지필름(120)과 용기(110)를 융착(融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강도는,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강도보다 높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한 직후에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을 정도의 접착강도로 접착시키지만, 포장체(100)가 상온(常溫)에 있을 때에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없을 정도의 접착강도로 접착시키면 바람직하다.
5. 제1돌출부(第一突出部)
제1돌출부(112)는, 1개의 용기(110)에 1곳에만 형성하여도 좋지만,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장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관통구멍(113)을 복수의 장소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가스를 용기 외부로 더 효율적으로 방출(放出)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돌출부(112)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획(a∼d)의 배치와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대칭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열 시에 있어서의 각 구획(a∼d)의 온도차이를 적게 억제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제1돌출부(112)를 용기 내부에 있어서의 양단부(兩端部)(도3에 있어서의 좌단부(左端部)와 우단부(右端部))에 각각 형성시켰다.
제1돌출부(112)의 상면 높이는, 제1접착부(111)와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낮아지게 되도록 설정된다. 제1돌출부(112)는, 용기(110)의 밑바닥벽(하방의 용기벽)을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형태의 것이어도 좋고, 용기(110)의 측벽(側壁)(측방(側方)의 용기벽)을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형태의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형태의 제1돌출부(112)는, 예를 들면 용기(110)를 진공성형할 때 등에 있어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밑바닥벽과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용기벽을 용기(110)의 내측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형태의 것으로 되어 있다. 제1돌출부(112)는, 경계벽(116)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 경계로서의 기능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내부의 스페이스(space)를 낭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6. 관통구멍(through-hole)
제1돌출부(112)의 상면을 형성하는 용기벽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11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13)을 형성하는 위치는, 제1돌출부(112)의 상면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5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포장체(100)는,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 근방을 잡고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관통구멍(113)이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가열 후의 포장체(100)를 운반할 때에 관통구멍(113)으로부터 방출되는 열기가 손가락에 접촉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관통구멍(113)은,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10mm 이상 떨어져 있으면 바람직하고, 15mm 이상 떨어져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20mm 떨어진 위치에 관통구멍(113)을 형성하였다.
7. 제2접착부(第二接着部)
제2접착부(114)는, 제1돌출부(112)의 상면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13) 주변에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므로,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접착부(114)에 볼록부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수지필름(120)의 하면을 제2접착부(114)를 따라 균일한 접착강도로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제2접착부(114)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단면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제1접착부(111)와 마찬가지로 대략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접착부(114)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높이(H2)(도5를 참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약 0.4mm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접착부(114)에서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반경(半徑)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약 6mm로 되어 있고, 관통구멍(113)과 제2돌출부(115) 사이를 볼록부가 지나도록 되어 있다.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제1접착부(111)와 마찬가지로 열용착 또는 진동용착에 의하여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강도는,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강도보다 낮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접착강도를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접착강도보다 낮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필름(120)을 열용착시킬 때에,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밀봉온도(密封溫度)나 밀봉압력(密封壓力)을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밀봉온도나 밀봉압력보다 낮게 하는 방법이나,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접착면적을 제1접 착부(111)에 있어서의 접착면적보다 작게 하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8. 제2돌출부(第二突出部)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에 도달하는 가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관통구멍(113)의 반경방향(半徑方向)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는 벽(壁) 모양이 것이라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의 가스 이동을 더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113)의 반경방향과 수직인 벽 모양의 제2돌출부(115)를 관통구멍(113)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반달 모양으로 형성하였다.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의 중심에서 볼 때에 용기(110)의 중심 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내부의 제2돌출부(115)를 우회(迂回)한 후에 관통구멍(113)에 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용기 내부의 가스가 용기 외부로 방출될 때에, 용기 내부에 큰 가스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통구멍(113)으로부터 제2돌출부(115)까지의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관통구멍(113)과 제2돌출부(115)가 너무 가까우면, 제2접착부(114)에서 수지필름(120)을 매끈하게 접착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돌출부(115)는, 보통의 경우에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5mm 이상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7mm 이상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관 통구멍(113)과 제2돌출부(115)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으면, 관통구멍(113)에 도달하는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어려워져서, 용기(110) 내부의 온도에 편차(偏差)가 발생되기 쉬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돌출부(115)는, 보통의 경우에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3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2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고, 반경 15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약 10mm 떨어진 장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접착부(114)의 선단(先端)으로부터 제2돌출부(115)의 선단까지의 높이(H3)(도5를 참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2돌출부(115)가 지나치게 낮으면, 제2접착부(114)로 가스의 이동을 우회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높이(H3)는, 보통의 경우에 0.1mm 이상으로 설정된다. 높이(H3)는 0.3m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5m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제2접착부(114)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115)의 선단까지의 높이(H3)가 지나치게 크면, 수지필름(120)에 국소적(局所的)인 힘이 가해지기 쉬워져서, 수지필름(120)이 파손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접착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 선단까지의 높이는, 보통의 경우에 3mm 이하로 설정된다. 높이(H3)는 2mm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1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 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 높이(H3)는 0.6mm로 되어 있다.
9. 슬릿(slit)
그런데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돌출부(115)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구멍(113)으로부터 가스가 방출(放出)되어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저하됨으로써 상방으로 팽창(膨脹)된 수지필름(120)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용기 외부의 가스를 용기 내부로 자연유입(自然流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4의 화살표(C)), 가열 후에 있어서의 용기(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릿은, 1개의 제2돌출부(115)에 대하여 1곳에만 형성하여도 좋고, 1개의 제2돌출부(115)에 복수의 장소에 형성하여도 좋다.
슬릿의 폭은, 관통구멍(113)으로부터 제2돌출부(115)까지의 거리나 용기(110)의 용적 등에 의해서도 다르게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슬릿의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수지필름(120)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용기(110)의 외부 가스를 용기(11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슬릿의 폭은, 보통의 경우에 0.5mm 이상으로 설정된다. 슬릿의 폭은 1m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5m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슬릿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용기(110)의 내부 가스 이동을 제2돌출부(115)에서 제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 에 슬릿의 폭은, 보통의 경우에 5mm 이하로 설정된다. 슬릿의 폭은 4mm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 슬릿의 폭은 약 2mm로 되어 있다.
10. 수지필름(樹脂 film)
수지필름(12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필름(120)은, 단층 필름(單層 film)이더라도 좋고, 다층 필름(多層 film)이더라도 좋다. 그중에서도, 2축(軸)으로 연장되는 수지층(樹脂層)에 히트 실층(heat seal層)을 포갠 다층 필름은 수지필름(120)으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종류의 다층 필름은, 열에 의한 변형이 작아서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에도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 실성에 있어서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지필름(120)은, 2축 연장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基材層)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산소배리어 수지층(酸素 barrier 樹脂層)과,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 실층을 포갠 다층 필름으로 되어 있다. 수지필름(120)의 하면(히트 실층)은,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111)에 열용착된다.
수지필름(12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수지필름(120)이 파손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수지필름(120)의 전체의 두께는, 보통의 경우에 30μm 이상으로 설정된다. 수지필름(120)의 전체의 두께는 55μ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60μ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 다. 한편 수지필름(120)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더라도 수지필름(120)이 외측으로 팽창되기 어려워져서, 제2접착부(114)가 떨어지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수지필름(120)의 전체 두께는, 보통의 경우에 80μm 이하로 설정된다. 수지필름(120)의 전체의 두께는 70μm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65μ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수지필름(120)의 전체 두께는 60μm로 되어 있다.
11. 동작(動作)
계속하여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6은, 가열시작 전 또는 가열시작 직후의 포장체(100)에 있어서 좌측의 관통구멍(113) 주변을 도4에 있어서의 Y-Y면에 상당하는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가열시작으로부터 잠시 경과된 후의 포장체(100)에 있어서 좌측의 관통구멍(113) 주변을 도4에 있어서의 Y-Y면에 상당하는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포장체(100)의 가열시작 전 또는 가열시작 직후에 있어서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필름(120)이 제2접착부(114)에 접착되어 있고, 관통구멍(113)은 수지필름(120)에 의하여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용기 내부의 가스는, 경계벽(116)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연결홈(117) 등을 통하여, 온도가 높은 구획과 온도가 낮은 구획 사이에서 자연히 흐르도록 되어 있어, 열매개체(熱媒介體)로서의 수증기의 유통을 각 구획 사이에서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구획에 수용된 내용물(130) 에 큰 온도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포장체(100)의 가열시작으로부터 잠시 경과되면, 내용물(130)로부터 수증기가 발생되어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수지필름(120)은 용기(110)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팽창되기 시작한다. 수지필름(120)의 팽창이 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약하게 접착되어 있는 제2접착부(114)에서 수지필름(120)이 떨어져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내부와 용기 외부가 관통구멍(113)에 의하여 통하는 상태가 된다. 강하게 접착되어 있는 제1접착부(111)에서는, 수지필름(120)은 아직 접착된 그대로의 상태로 되어 있다.
관통구멍(113)에 의하여 용기 내부와 용기 외부가 통하게 되면, 용기 내부의 가스는, 관통구멍(113)을 통하여 용기 외부로 방출된다(도7에서의 화살표(D)). 용기 외부로 방출되는 가스는, 도4에서의 화살표(A)와 화살표(B)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내부에 있어서는 제2돌출부(115)를 우회하여 관통구멍(113)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어, 관통구멍(113)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될 때에는, 용기 내부에 있어서의 전체에 큰 가스의 이동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구획에 수용된 내용물(130)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쉬워지게 된다.
그런데 관통구멍(113)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된 직후에 관통구멍(113)이 막히면, 용기 내부의 가스의 응축(凝縮)이나 수축(收縮)에 의하여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아져서, 가열 후의 용기(110)가 내측 으로 함몰(陷沒)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포장체(100)에서는, 관통구멍(113)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된 후에도, 제2돌출부(115)에 의하여 관통구멍(113) 주변의 수지필름(120)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외부의 가스가 다시 관통구멍(113)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자연유입되도록 되어 있어, 포장체(100)의 가열 후에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용기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관통구멍(113)의 주변뿐만 아니라, 제2돌출부(115)에 형성되는 슬릿을 통과함으로써 용기(110)의 중심부에도 신속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4에서의 화살표(C)). 이 때문에 가열 후의 용기(110)의 함몰(陷沒)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2.실험(實驗)
본 발명의 포장체(100)가 내용물(13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實證)하기 위하여, 내용물(130)로서 물이 들어 있는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로 6분간 가열하고, 구획(a)(도3을 참조)와 구획(b)(도3을 참조)에 미리 수용되어 있는 측온체(測溫體)에 의하여 구획(a)의 물의 온도(Ta라고 한다)와 구획(b)의 물의 온도(Tb라고 한다)를 각각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구획(a)에는 90cc의 물을 넣고, 구획(b, d)에는 30cc의 물를 넣고, 구획(c)에는 50cc의 물을 넣었다. 전자레인지의 출력은 500W로 설정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제2돌출부(1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용기(110)와 동일한 용기를 사용한 포장체에 관해서도 동일한 측정을 하였다.
도8은, 본 발명의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구획(a, b)의 물의 온도(Ta, Tb)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비교예의 포장체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구획(a, b)의 물의 온도(Ta, Tb)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과 도9에 있어서, 경과시간은 전자레인지로 가열을 시작한 때로부터의 경과시간이고, To는 용기 외부의 공기온도(空氣溫度)이다.
도8을 보면, 본 발명의 포장체(100)에서는,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시작으로부터 200초 정도에서, 구획(a)의 물의 온도(Ta)와 구획(b)의 물의 온도(Tb)가 100도 부근에서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에 대하여 도9를 보면, 비교예의 포장체에서는, 구획(a)의 물의 온도(Ta)와 구획(b)의 물의 온도(Tb)가 대략 동일하게 될 때까지 250초 정도 결린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체가 비교예의 포장체보다 온도(Ta)와 온도(Tb)의 차이가 전체적으로 작아져 있다는 것도 알았다. 이상의 측정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포장체(100)가 내용물(130)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았다.

Claims (8)

  1. 용기(容器)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第一接着部)에 수지필름(樹脂 film)의 하면(下面)을 접착(接着)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內容物)을 밀봉(密封)하는 포장체(包裝體)로서,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第一突出部)가 용기벽(容器壁)에 형성되고,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제1돌출부의 상면(上面)에 형성되고,
    용기의 내부압력(內部壓力)이 높아졌을 때에, 수지필름이 상방으로 팽창(膨脹)되어 제2접착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2돌출부가, 상기 관통구멍에서 볼 때에 용기 중심 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돌출부가,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반경(半徑) 3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접착부로부터 제2돌출부의 선단(先端)까지의 높이가 0.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이, 용기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5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용기 내부가 경계벽에 의하여 분리되고, 제1돌출부가 상기 경계벽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돌출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8.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기 위한 제1접착부가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용기로서,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용기의 상부 테두리와 동등한 높이에 도달하는 제1돌출부가 용기벽에 형성되고,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제1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97009075A 2006-11-02 2007-10-31 포장체 및 용기 KR101407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98358 2006-11-02
JP2006298358 2006-11-02
PCT/JP2007/071242 WO2008053927A1 (fr) 2006-11-02 2007-10-31 Corps d'emballage et récip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378A true KR20090081378A (ko) 2009-07-28
KR101407412B1 KR101407412B1 (ko) 2014-06-13

Family

ID=3934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075A KR101407412B1 (ko) 2006-11-02 2007-10-31 포장체 및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347407B2 (ko)
KR (1) KR101407412B1 (ko)
CN (1) CN101583546B (ko)
HK (1) HK1137715A1 (ko)
WO (1) WO200805392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12B1 (ko) 2019-01-25 2019-08-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KR20190120609A (ko) * 2018-04-16 2019-10-24 (주)태방파텍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20200092831A (ko) 2019-05-17 2020-08-04 씨제이제일제당 (주)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KR102511418B1 (ko) * 2021-11-02 2023-03-17 (주)스마트코퍼레이션 식음료 병뚜껑
KR102608924B1 (ko) * 2023-05-22 2023-12-01 씨제이제일제당(주) 식품 용기 및 식품 용기 제조용 몰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4085B1 (de) * 2009-08-11 2013-03-13 Sauerlandfrische Dornseifer GmbH & Co. KG Abgepacktes Fertiggerich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5679697B2 (ja) * 2010-05-17 2015-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収容体
EP2543609A1 (en) * 2011-07-07 2013-01-09 Coopbox Group S.P.A. A package and a method of using a package.
ITMO20110169A1 (it) * 2011-07-07 2013-01-08 Coopbox Group S P A Contenitore
JP6387638B2 (ja) * 2014-03-18 2018-09-12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ッケージ
KR101536268B1 (ko) * 2015-01-22 2015-07-13 정희국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KR101782381B1 (ko) * 2016-09-01 2017-09-27 주식회사 더우주 마스크팩 포장재
CN107892054A (zh) * 2018-01-01 2018-04-10 山东汇泰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丸子食品包装盒
CN108328047A (zh) * 2018-01-18 2018-07-27 宁波时代铝箔科技股份有限公司 铝箔盒、用于铝箔盒的热封头及热封方法
GB201803513D0 (en) * 2018-03-05 2018-04-18 Linpac Packaging Ltd Vacuum skin packaging
JPWO2021131164A1 (ko) * 2019-12-25 2021-07-01
KR102593188B1 (ko) * 2021-05-18 2023-10-23 곽금영 재활용 및 재사용 가능한 일회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97Y2 (ja) * 1989-10-11 1995-11-22 有限会社磯巻寿司の魚九 包装容器入り食品
FR2698082B1 (fr) * 1992-11-13 1994-12-23 Mat Metallique Elec Const Récipient étanche au gaz.
JP4124287B2 (ja) * 1997-12-12 2008-07-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
JP4139483B2 (ja) * 1998-06-12 2008-08-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体
JP3707977B2 (ja) * 2000-02-01 2005-10-19 株式会社ザック 包装食品および包装食品用容器
CN1278909C (zh) * 2001-11-20 2006-10-11 立花容器株式会社 包装体及包装容器
JP3914137B2 (ja) * 2001-11-20 2007-05-16 立花容器株式会社 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35563A (ja) * 2003-07-16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対応包装容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09A (ko) * 2018-04-16 2019-10-24 (주)태방파텍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101982212B1 (ko) 2019-01-25 2019-08-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WO2020153806A1 (ko) * 2019-01-25 2020-07-30 씨제이제일제당(주)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KR20200092831A (ko) 2019-05-17 2020-08-04 씨제이제일제당 (주)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KR102511418B1 (ko) * 2021-11-02 2023-03-17 (주)스마트코퍼레이션 식음료 병뚜껑
KR102608924B1 (ko) * 2023-05-22 2023-12-01 씨제이제일제당(주) 식품 용기 및 식품 용기 제조용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3546B (zh) 2011-06-22
HK1137715A1 (en) 2010-08-06
WO2008053927A1 (fr) 2008-05-08
JP4347407B2 (ja) 2009-10-21
KR101407412B1 (ko) 2014-06-13
CN101583546A (zh) 2009-11-18
JPWO2008053927A1 (ja)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1378A (ko) 포장체 및 용기
NL1016978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pakken en bereiden van voeds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CA2452584A1 (en) Self-absorbing gas-barrier receptacle for food packaging and food package obtained therefrom
EP1422163A1 (en) Food package for heating in an oven
JP3914137B2 (ja) 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05364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US20150298871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KR20180003407U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US20190106247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JPWO2014175339A1 (ja) 電子レンジ用樹脂製包装袋、その加熱方法、電子レンジ用樹脂製包装袋への充填方法および包装体
JPH11189278A (ja) 電子レンジ対応の食材包装容器
JP2010247850A (ja) 包装容器
EP1150901B1 (en) Packaging tray formed from absorbent material
KR100749719B1 (ko) 발효식품 포장용 합성수지재 봉지
AU2003217099A1 (en) Single-use one-way valve for food package that emits sound signal at sufficient heating
KR20030041820A (ko) 포장체 및 포장용기
JP4995485B2 (ja) マイクロ波処理用包装体
JP2017114493A (ja) 包装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本体
JP2003165581A (ja) 積み重ね可能な発泡食品包装体
ATE457938T1 (de) Verpackung für lebensmittel, die flüssigkeit abgeben, mittels vakuum oder schutzatmosphäre
KR200231429Y1 (ko)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JP2004315032A (ja) カップ型断熱容器
JP2017114492A (ja) 包装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本体
JP3154418U (ja) 惣菜等の閉鎖材付き包装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5838664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83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607

Effective date: 201910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8378;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11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113

Effective date: 202008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6248;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837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27

Effective date: 202008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300011370;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17

Effective date: 202101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3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209

Effective date: 20210223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