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407U -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 Google Patents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407U
KR20180003407U KR2020170002610U KR20170002610U KR20180003407U KR 20180003407 U KR20180003407 U KR 20180003407U KR 2020170002610 U KR2020170002610 U KR 2020170002610U KR 20170002610 U KR20170002610 U KR 20170002610U KR 20180003407 U KR20180003407 U KR 201800034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charge port
lead film
steam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표
박동휘
이병국
김용환
박광수
조경식
차규환
윤태경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70002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407U/ko
Priority to PCT/KR2018/006017 priority patent/WO2018221905A1/ko
Priority to US16/618,210 priority patent/US20200115120A1/en
Priority to CN201880036094.4A priority patent/CN110719878B/zh
Priority to JP2019566069A priority patent/JP6943982B2/ja
Publication of KR20180003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3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n element bursting upo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container being exceed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2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봉 포장된 식품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하는 경우 용기에 부착된 리드필름을 개봉하지 않아도 되며, 가열 조리 시 균일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해당 내용물의 조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Vessel for cooking}
본 고안은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 포장된 식품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하는 경우 용기에 부착된 리드필름(lid film)을 개봉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조리할 수 있는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즉석식품은 짧은 시간에 간단히 조리할 수 있고 저장·운반·휴대 등이 편리하도록 만든 가공식품을 말한다.
즉석식품은 조리가 된 상태의 식품을 조리용 용기 내에 수납한 후 용기의 개구부에 리드필름을 열 접착하여 밀봉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즉석식품은 전자레인지나 뜨거운 물 등에 넣어 데우기만 하면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즉석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조리용 용기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4773호(공고일: 2006.04.24)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즉석식품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데우는 경우 용기에 부착된 리드필름을 일정부분 개봉한 후 일정시간 가열하여 한다. 즉 즉석식품의 리드필름을 개봉하지 않고 전자레인지 내에서 가열하는 경우 내용물이 데워지면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높은 압력에 의해 용기와 리드필름의 접착부위가 터지면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즉석식품의 조리 시 리드필름을 개봉하더라도 사람에 따라 더 뜯고 덜 뜯는 차이로 인해 즉석식품의 조리 품질이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리드필름을 필요 이상으로 많이 뜯어 조리하는 경우 해당 식품의 표면 마름 현상이 일어날 수 있어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밀봉 포장된 식품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하는 경우 용기에 부착된 리드필름을 개봉하지 않아도 되며, 가열 조리 시 균일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해당 내용물의 조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는, 상측이 개구된 수납공간(111)이 마련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테두리에 리드필름(200)이 밀봉 접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120); 및 상기 플랜지부(120)에 형성되되, 평면에서 보았을 때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배출구(131)가 구비되는 증기배출부(130);를 포함하여, 가열 조리 시 발생한 증기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111) 내부가 소정 압력에 이르는 경우 상기 증기배출부(130)에 접착된 리드필름(200)의 접착면이 터지면서 상기 증기가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조리용 용기 일측에 소정 압력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터지게 되는 증기배출부를 구비해줌으로써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 조리 시 조리용 용기에 부착된 리드필름을 개봉하지 않아도 되며, 조리 시 균일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조리 품질이 일정하며 내부 압력이 가해져 음식물을 보다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 상세도,
도 4는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용기(100)는, 본체부(110), 플랜지부(120), 증기배출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10)는 조리용 용기(100)의 주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조리되는 내용물이 담길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납공간(111)이 마련된다. 본체부(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모서리는 3개 내지 5개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네 모서리가 형성되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10)의 내부 측면과 바닥면의 연결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라운드는 5R 이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본체부(110) 내의 수납공간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가열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압이 증기배출부(130) 이외의 구석진 부위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0)의 바닥면에는 직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3)는 본체부(110) 내에 수납된 내용물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돌출부(113)를 통해 내용물이 골고루 익혀지도록 조리할 수 있다.
플랜지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 넓이의 폭을 갖는다. 플랜지부(120)에는 리드필름(200)(도 5a 참조)이 접착되어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내용물을 밀봉 포장해준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20)의 상면에는 리드필름(200)이 용이하게 밀봉 접착될 수 있도록 단일폐곡선 형태의 리드필름 접착용 돌부(121)가 돌출 형성된다. 돌부(121)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며, 돌부(121) 상면에는 리드필름(200)이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제1접착면(121a)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용 돌부(121)가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을 용기 내부에 투입한 후 리드필름(200)의 실링 시, 내용물이 플랜지부 상부의 접착용 돌부(121)에서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리드필름(200)의 실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부(121)의 돌출 두께는 적어도 1㎜ 이상이며, 금형을 이용한 열성형이 용이하도록 직상부로 1° 이상의 빼기 구배가 적용된다. 아울러 제1접착면(121a)은 적어도 1㎜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증기배출부(130)는 플랜지부(120)의 상면에 구비된 돌부(121)에 배출구(131)가 연이어지도록 형성되어, 가열 조리 시 수납공간 내에서 발생한 증기가 소정 압력에 이르는 경우 리드필름(200)의 접착면이 터짐 개봉되면서 증기를 배출해준다.
구체적으로, 증기배출부(1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배출구(131)를 포함하며, 배출구(131)는 연속하여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기배출부(130)는 한 개의 배출구(131)가 'V' 자형 또는 'U' 자형으로 형성되거나, 두 개의 배출구(131)를 연속하여 'W'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구(131)는 돌부(121)의 일부 구간을 형성하되, 상기 돌부(121)에 비해 플랜지부(120)의 외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수납공간(111) 내의 증기가 배출구(131) 측으로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출구(131)의 상면에는 리드필름(200)의 밀봉 접착이 가능하도록 돌부(121)의 제1접착면(121a)과 연이어지는 제2접착면(131a)이 형성된다.
이 경우 배출구(131)에는 본체부(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31b)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31b)에 의해 배출구(131)에 형성된 제2접착면(131a)이 돌부(121)의 제1접착면(121a)에 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납공간(111) 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경사면(131b)에 의해 배출구(131)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제1접착면(121a)에 비해 좁은폭으로 형성된 제2접착면(131a)이 증기 압력에 의해 우선적으로 터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접착면(121a)에 비해 접착력이 약한 제2접착면(131a) 만 터지게 되고, 제1접착면(121a)은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의 증기배출부(130)는 돌부(121)를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체적으로 1개 이상 4개 이하로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의 네 모서리 중 한 곳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증기배출부(130)는 수납공간(111) 내에 발생한 증기가 집중하게 되는 본체부(110)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아울러 본체부(110) 일측변의 중심부에는 보조배출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배출구(133)는 배출구(13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다만 그 설치위치가 배출구(131)와 서로 상이하다. 즉 증기배출부(130)의 메인 역할을 하는 배출구(131)는 본체부(110)의 모서리에 배치됨에 따라 먼저 터짐 작동되고, 보조배출구(133)는 배출구(131)에 비해 증기압이 덜 집중되는 본체부(110)의 일측변 중심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수납공간(111)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이 높아 배출구(131) 만으로 수납공간(111) 내의 증기 배출이 어려운 경우 보조배출구(133)가 추가로 터짐 작동되도록 설정함에 따라, 수납공간(111) 내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증기배출부(130)는 본체부(110)의 일측변 양측 모서리부에 한 쌍의 배출구(131)를 배치하고, 본체부(110)의 타측변 중심부에 하나의 보조배출구(133)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필름 접착용 돌부(121)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 일례로 'V'자 형의 용기 개봉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용기 개봉부(140)는 제1접착면(121a)의 폭을 유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용기 개봉부(140)는 배출구(131)에 비해 증기압이 덜 집중되는 본체부(110)의 일측변 중심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변 중심부에 형성된 용기 개봉부(140)는 가열 조리 시 리드필름(200)과 본체부(110)의 일측변 간 접착되는 면적을 증가시켜줌으로써, 용기 내부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증기압 상승에 따라 배출구(131)가 쉽게 뜯길 수 있다. 아울러 뾰족한 부위가 돌부(121)의 외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에 따라, 가열 조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는 용기 개봉부(140)에 부착된 리드필름(200)을 잡아 당겨줌으로써 손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개봉부(140)의 상부에 부착된 리드필름(200)에는 사용자가 리드필름(200)을 손쉽게 잡아 뜯을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반원 형상의 연장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100)의 작용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수납공간(111)에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 용기(100)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 조리한다. 이때, 리드필름(200)은 개봉하지 않은 상태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온도가 상승한다. 온도의 상승은 내용물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증기는 본체부(11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본체부(110) 내의 증기압이 올라가면 리드필름(200)이 부풀어 오르기 시작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체부(110) 내에서 증기압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먼저 본체부(110)의 모서리에 배치된 배출구(131)의 리드필름(200) 접착면이 터지면서 개봉된다. 즉 리드필름(200)은 돌부(121)의 제1접착면(121a)에 비해 폭이 좁은 배출구(131)의 제2배출구(131a)가 먼저 터짐 작동하면서 수납공간(111)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게 되다.
이 경우 상기 수납공간(111)의 증기압이 높아 배출구(131) 만으로 증기의 원활한 배출이 어려운 경우, 본체부(110)의 타측변 중심부에 구비된 보조배출구(133)가 추가적으로 터짐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의 증기가 일정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배출구(131)가 개방된 후에도 증기압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으므로, 내용물을 원활하게 조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조리용 용기 110 : 본체부
111 : 수납공간 113 : 돌출부
120 : 플랜지부 121 : 돌부
121a : 제1접착면 130 : 증기배출부
131 : 배출구 131a : 제2접착면
131b : 경사면 133 : 보조배출구
140 : 용기 개봉부 200 : 리드필름

Claims (10)

  1. 상측이 개구된 수납공간(111)이 마련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테두리에 리드필름(200)이 밀봉 접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120); 및
    상기 플랜지부(120)에 형성되되, 평면에서 보았을 때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배출구(131)가 구비되는 증기배출부(130);를 포함하여,
    가열 조리 시 발생한 증기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111) 내부가 소정 압력에 이르는 경우 상기 증기배출부(130)에 접착된 리드필름(200)의 접착면이 터지면서 상기 증기가 배출되는 것인 조리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조리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수납공간(111)의 내부 측면과 바닥면의 연결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인 조리용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복수의 모서리 중 한 곳 이상 형성되는 것인 조리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130)는,
    상기 플랜지부(120) 상면에 돌출된 단일폐곡선 형태의 리드필름 접착용 돌부(121);에 형성되는 것인 조리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31b);을 더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121)의 상면에는,
    상기 리드필름(200)이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제1접착면(121a);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131)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접착면(121a)와 연이어지되, 상기 경사면(131b)에 의해 제1접착면(121a)에 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2접착면(131a);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변 중심부에 형성되는 보조배출구(133);를 더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필름 접착용 돌부(121)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의 용기 개봉부(140);를 더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31)는,
    연속하여 복수로 형성되는 것인 조리용 용기.
KR2020170002610U 2017-05-29 2017-05-29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KR20180003407U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10U KR20180003407U (ko) 2017-05-29 2017-05-29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PCT/KR2018/006017 WO2018221905A1 (ko) 2017-05-29 2018-05-28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US16/618,210 US20200115120A1 (en) 2017-05-29 2018-05-28 Cooking container having steam discharge portion
CN201880036094.4A CN110719878B (zh) 2017-05-29 2018-05-28 具有蒸汽排出部的烹饪容器
JP2019566069A JP6943982B2 (ja) 2017-05-29 2018-05-28 蒸気排出部が具備された調理用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10U KR20180003407U (ko) 2017-05-29 2017-05-29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638U Division KR200490548Y1 (ko) 2019-04-19 2019-04-19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07U true KR20180003407U (ko) 2018-12-07

Family

ID=6445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610U KR20180003407U (ko) 2017-05-29 2017-05-29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15120A1 (ko)
JP (1) JP6943982B2 (ko)
KR (1) KR20180003407U (ko)
CN (1) CN110719878B (ko)
WO (1) WO20182219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12B1 (ko) * 2019-04-11 2019-10-02 강경계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KR200491706Y1 (ko) * 2018-12-12 2020-05-22 윤석환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3749S1 (en) * 2018-10-04 2020-05-12 Spectrum Diversified Designs, Llc Tray
USD900602S1 (en) * 2019-02-05 2020-11-03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Container base
USD965382S1 (en) * 2020-12-22 2022-10-04 Rl Rnd And Ip Holdings Limited Baking pan
CN114763209A (zh) * 2021-01-14 2022-07-19 东莞市莞良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熟食冷冻食品预包装容器及熟食冷冻食品加热方法
TWI776511B (zh) * 2021-05-17 2022-09-01 南部化成股份有限公司 微波用洩壓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550B2 (ja) * 1997-02-24 2002-02-0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食品包装体
JP2000153876A (ja) * 1998-11-19 2000-06-06 House Foods Corp 密封成形容器
CN1630603A (zh) * 2002-04-02 2005-06-22 小泽茂男 食品烹饪容器
US6847022B2 (en) * 2003-01-18 2005-01-25 Steamway Franchise Sales, Inc. Microwav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venting configuration
JP2005313914A (ja) * 2004-04-27 2005-11-10 Dainippon Printing Co Ltd 密封容器
CN103359398B (zh) * 2012-03-27 2016-04-20 日清食品控股株式会社 容器装方便食品、该食品的烹饪方法及方便食品用容器
KR101391841B1 (ko) *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CN110329666B (zh) * 2014-03-28 2021-06-04 京洛株式会社 微波炉用容器以及微波炉用包装体
JP6500269B2 (ja) * 2014-03-31 2019-04-1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6326911B2 (ja) * 2014-03-28 2018-05-2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6613476B2 (ja) * 2015-01-30 2019-12-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SG10202003070WA (en) * 2014-09-30 2020-05-28 Kyoraku Co Ltd Microwave oven container
JP6421522B2 (ja) * 2014-09-30 2018-11-1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KR101536268B1 (ko) * 2015-01-22 2015-07-13 정희국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JP6777842B2 (ja) * 2015-04-06 2020-10-2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06Y1 (ko) * 2018-12-12 2020-05-22 윤석환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KR102027812B1 (ko) * 2019-04-11 2019-10-02 강경계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1683A (ja) 2020-07-27
JP6943982B2 (ja) 2021-10-06
CN110719878B (zh) 2022-03-29
CN110719878A (zh) 2020-01-21
US20200115120A1 (en) 2020-04-16
WO2018221905A1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407U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KR101391841B1 (ko)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US6648163B2 (en) Package having cup with beveled sealing flange
KR200490548Y1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JP2017510520A (ja) 飲食物調理用容器の陥没防止構造
KR200491706Y1 (ko)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JP4860673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TWI674997B (zh) 微波爐用器具
US20150298871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20190106247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CA2925502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JP5027174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JP2005263319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US20210002036A1 (en) Packaged food product for heating in oven
JP6631236B2 (ja) 包装容器
WO2008122069A1 (en) Food packaging with automatic steam safety release vent
KR20180120013A (ko) 즉석식품 포장 용기
WO2016163428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101857847B1 (ko) 전자레인지용 포장용기
KR101253862B1 (ko) 조리용 용기
JPH1095472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774182B2 (ja) 即席食品用容器の容器本体
KR101912342B1 (ko) 수증기 배출구조를 가진 음식물 조리 용기
JP2017114492A (ja) 包装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本体
KR100783565B1 (ko) 내압 배출구조를 갖는 가열조리용 밀봉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