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841B1 -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 Google Patents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841B1
KR101391841B1 KR1020130140419A KR20130140419A KR101391841B1 KR 101391841 B1 KR101391841 B1 KR 101391841B1 KR 1020130140419 A KR1020130140419 A KR 1020130140419A KR 20130140419 A KR20130140419 A KR 20130140419A KR 101391841 B1 KR101391841 B1 KR 10139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rface
cover film
sealing
food
sea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국
Original Assignee
(주)태방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방파텍 filed Critical (주)태방파텍
Priority to KR102013014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841B1/ko
Priority to PCT/KR2014/008700 priority patent/WO20150764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 조리 과정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압 수증기로 인한 커버필름의 파열에 따른 전자렌지의 내벽면 오염 및 음식물 비산의 문제가 개선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렌지면(10)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면(10)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20)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20) 내측에는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20)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20)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V)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30)가 플렌지면(10)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V)이 형성된 플렌지면(10)에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증기 배출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FOOD COOKING CONTAINER STRUCTURE HAVING STEAM HOLE}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포장 상태로 담겨진 용기를 전자레인지 등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조리시 내부 압력 상승으로 인한 용기 파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조리용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토르트식품, 냉동식품 등을 충전 밀봉한 조리용 용기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가열에 따라 내용물로 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용기의 커버필름부위가 파열되면서 내용물이 비산되는 동시에, 비산물로 인해 전자레인지 내벽면이 오염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화상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가열하기 전에 용기의 커버필름 일부분을 미리 개봉하거나 커버필름에 구멍을 뚫어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 파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커버필름을 미리 개봉하게 되면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발생즉시 용기 외부로 배출되어지기 때문에 고온상태의 수증기에 의한 내용물의 가열효과가 저감되고,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263862호에서는 용기 플렌지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케이스의 내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조리용 용기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기술에서는 내부의 팽창압력이 통공 형성부위로 유도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또한 조리 완료 후 커버필름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내부의 팽창압력이 안정적으로 유도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커버필름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리용 용기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용기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렌지면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면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 내측에는 양단이 실링돌부와 연결되어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는 보조실링돌부가 플렌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이 형성된 플렌지면에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용기는, 용기 일측에 고압 수증기 발생시 수증기를 일시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을 형성시킴으로서 고온 조리 과정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압 수증기로 인한 커버필름의 파열에 따른 전자렌지의 내벽면 오염 및 음식물 비산의 문제가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용기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 평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B-B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리용 용기의 커버필름 부착상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조리용 용기의 내부 가열에 따른 내부 팽창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조리용 용기의 내부 수증기 배출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배출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배출공 평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 구조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렌지면(10)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플렌지면(10)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20)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실링돌부(20) 내측에는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20)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20)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V)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30)가 플렌지면(10)에 형성되며, 배출공간(V)이 형성된 플렌지면(10)에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증기 배출공(4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보조실링돌부(30)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1)과의 접착력이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첨부(31)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첨부(31)는 보조실링돌부(30)의 전체 길이 중 중단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내부 압력상승에 의한 커버필름(1)과의 분리시 실링돌부(20)측으로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보조실링돌부(30) 및 증기 배출공(40)은 용기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었는데, 용기의 모서리 부위 외측에는 커버필름(1)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50)가 돌출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실링돌부(30)의 폭(d)은 실링돌부(20)의 폭(D)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음식물 조리용 용기는 내부에 조리용 음식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상부에 커버필름(1)이 부착되어 밀봉 포장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커버필름(1)은 용기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실링돌부(20)와 실링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증기 배출공(40)이 형성된 모서리 부위에서는 보조실링돌부(30) 와도 실링결합이 이루어짐으로서 2중의 실링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음식물 조리용 용기를 전자렌지에 넣고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로 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압력 이상이 되게 되면 보조실링돌부(30)의 실링력이 약화되어 보조실링돌부(30)와 커버필름(1)가 분리되어지면서 고압의 수증기들이 배출공간(V)측으로 이동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증기 배출공(40)을 통해 배출되어지게 된다.
특히, 이때 보조실링돌부(30) 중 첨부(31) 부위에 내부압력이 집중되어짐으로서 첨부(31) 부위부터 커버필름(1)과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원활한 증기 배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31)가 형성된 보조실링돌부(30)의 중단 부위를 중심으로 커버필름(1)과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서, 커버필름(1)의 분리작용이 실링돌부(20)측으로 전달되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고압의 증기 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용기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실링돌부(20)는 계속적으로 커버필름(1)과의 실링 상태가 유지되어짐으로서 수증기의 급격한 배출을 방지함과 함께 음식물이 전자렌지 내벽면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가열 조리를 실시하게 되면 고압의 수증기가 별도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짐으로서 커버필름의 파열발생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일정량의 수증기는 용기 내부에 머무르게 됨으로서 음식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배출공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증기 배출공(40)에는 증기의 배출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막(41)이 구성되었으며, 상기 개폐막(41)은 일정 탄력성에 의해 개폐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42)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고압의 수증기가 증기 배출공(40)을 통해 배출시 개폐막(41)이 열려지면서 수증기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일정량의 수증기 배출이 이루어져서 내부 압력이 저하되면 개폐막(41)은 증기 배출공(40)을 막는 형태로 원위치 되어짐으로서 수증기의 손실을 최소화함과 함께 외부 이물질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용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증기 배출공(40)이 용기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용기의 다양한 부위에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커버필름 10 : 플렌지면
20 : 실링돌부 30 : 보조실링돌부
31 : 첨부 40 : 증기 배출공
50 : 손잡이

Claims (5)

  1.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렌지면(10)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면(10)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20)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20) 내측에는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20)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20)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V)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30)가 플렌지면(10)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V)이 형성된 플렌지면(10)에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증기 배출공(40)이 형성되고;
    상기 증기 배출공(40)에는 증기의 배출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막(41)이 구성되었으며, 상기 개폐막(41)은 일정 탄력성에 의해 개폐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2.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렌지면(10)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면(10)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20)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20) 내측에는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20)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20)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V)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30)가 플렌지면(10)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V)이 형성된 플렌지면(10)에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증기 배출공(40)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30)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1)과의 접착력이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첨부(31)가 형성되되, 상기 첨부(31)는 보조실링돌부(30)의 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실링돌부(30) 및 증기 배출공(40)은 용기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고, 용기의 모서리 부위 외측에는 커버필름(1)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30)의 폭(d)은 실링돌부(20)의 폭(D)보다 작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40419A 2013-11-19 2013-11-19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1391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419A KR101391841B1 (ko) 2013-11-19 2013-11-19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PCT/KR2014/008700 WO2015076490A1 (ko) 2013-11-19 2014-09-18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419A KR101391841B1 (ko) 2013-11-19 2013-11-19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841B1 true KR101391841B1 (ko) 2014-05-07

Family

ID=5089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419A KR101391841B1 (ko) 2013-11-19 2013-11-19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1841B1 (ko)
WO (1) WO2015076490A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68B1 (ko) * 2015-01-22 2015-07-13 정희국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KR20170010164A (ko) 2015-07-15 2017-01-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중탕가열을 위한 전자레인지용 외부 포장용기
KR101912342B1 (ko) 2018-04-18 2018-10-26 (주)지용패키징 수증기 배출구조를 가진 음식물 조리 용기
WO2018221905A1 (ko) * 2017-05-29 2018-12-06 씨제이제일제당(주)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KR20190054254A (ko) 2017-11-13 2019-05-22 (주)태방파텍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2020660B1 (ko) 2018-06-07 2019-09-10 정진화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2027812B1 (ko) 2019-04-11 2019-10-02 강경계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KR102027414B1 (ko) 2018-06-11 2019-10-02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102036285B1 (ko) 2019-01-17 2019-10-24 최상호 국물 누출 방지 및 증기 배출구멍이 형성된 식품보관용기
KR20190120609A (ko) * 2018-04-16 2019-10-24 (주)태방파텍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102040570B1 (ko) 2019-04-22 2019-11-06 주식회사 이레테크 일회용 용기 절단 장치 및 이를 통해 생산되는 일회용 용기
KR102072659B1 (ko) * 2019-12-03 2020-03-02 박상남 음식물 조리용기
KR102189918B1 (ko) 2020-06-29 2020-12-11 조인환 멸균 가능한 전자레인지용 음식물 조리 용기
WO2021020637A1 (ko) * 2019-07-26 2021-02-04 (주)태방파텍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KR20210026615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에스피씨삼립 접착제 조성물 및 상기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각각 갖는 포장 필름, 전자레인지용 식품 포장 봉투와 전자레인지용 식품 포장 용기
KR20210060211A (ko) 2019-11-18 2021-05-26 강경계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KR102293560B1 (ko) * 2020-02-28 2021-08-26 신효산업 주식회사 증기 배출이 용이한 조리용 용기
WO2022065562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0435B1 (ko) * 2021-09-09 2022-08-05 서태선 수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KR20230167498A (ko)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아워홈 첨단부가 형성된 증기배출 용기
KR20230167499A (ko)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아워홈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1548B2 (en) 2016-04-22 2020-04-07 Orora Packaging Solutions Ventilated container for produce
USD789195S1 (en) 2016-04-22 2017-06-13 Orora Packaging Solutions Packaging container for produce
USD801806S1 (en) 2016-04-22 2017-11-07 Orora Packaging Solutions Container
US10294005B2 (en) * 2016-04-22 2019-05-21 Orora Packaging Solutions Ventilated container for produce
JP6928230B2 (ja) * 2017-02-27 2021-09-0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JP7279419B2 (ja) * 2018-08-29 2023-05-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7279418B2 (ja) * 2018-09-19 2023-05-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WO2021117865A1 (ja) * 2019-12-11 2021-06-17 株式会社クラレ 殺菌処理用の包装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860A (ja) * 2003-08-18 2005-03-10 Dainippon Printing Co Ltd 米飯類の炊飯及び密封包装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無菌包装米飯類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550B2 (ja) * 1997-02-24 2002-02-0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食品包装体
KR200287895Y1 (ko) * 2002-06-08 2002-09-09 (주)대아상공 증기배출구조를 갖는 전자레인지용 식품용기
KR20090068957A (ko) * 2007-12-24 2009-06-2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KR200465209Y1 (ko) * 2008-11-24 2013-02-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증기 배출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860A (ja) * 2003-08-18 2005-03-10 Dainippon Printing Co Ltd 米飯類の炊飯及び密封包装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無菌包装米飯類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1550B2 (en) 2015-01-22 2020-04-07 Taebang Patec Co., Ltd. Dent prevention structure of food cooking container
WO2016117784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CN105992739A (zh) * 2015-01-22 2016-10-05 泰方波特株式会社 用于烹调食物的容器的凹陷防止构造
JP2017510520A (ja) * 2015-01-22 2017-04-13 テバンパ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Taebang Patec Co.,Ltd. 飲食物調理用容器の陥没防止構造
KR101536268B1 (ko) * 2015-01-22 2015-07-13 정희국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CN105992739B (zh) * 2015-01-22 2019-01-01 太邦波特株式会社 用于烹调食物的容器的凹陷防止构造
KR20170010164A (ko) 2015-07-15 2017-01-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중탕가열을 위한 전자레인지용 외부 포장용기
WO2018221905A1 (ko) * 2017-05-29 2018-12-06 씨제이제일제당(주)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KR20190054254A (ko) 2017-11-13 2019-05-22 (주)태방파텍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20190120609A (ko) * 2018-04-16 2019-10-24 (주)태방파텍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102112837B1 (ko) 2018-04-16 2020-05-19 (주)태방파텍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101912342B1 (ko) 2018-04-18 2018-10-26 (주)지용패키징 수증기 배출구조를 가진 음식물 조리 용기
KR102020660B1 (ko) 2018-06-07 2019-09-10 정진화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2027414B1 (ko) 2018-06-11 2019-10-02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102036285B1 (ko) 2019-01-17 2019-10-24 최상호 국물 누출 방지 및 증기 배출구멍이 형성된 식품보관용기
KR102027812B1 (ko) 2019-04-11 2019-10-02 강경계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KR102040570B1 (ko) 2019-04-22 2019-11-06 주식회사 이레테크 일회용 용기 절단 장치 및 이를 통해 생산되는 일회용 용기
WO2021020637A1 (ko) * 2019-07-26 2021-02-04 (주)태방파텍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KR20210026615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에스피씨삼립 접착제 조성물 및 상기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각각 갖는 포장 필름, 전자레인지용 식품 포장 봉투와 전자레인지용 식품 포장 용기
KR102387807B1 (ko) * 2019-08-30 2022-04-18 주식회사 에스피씨삼립 접착제 조성물 및 상기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각각 갖는 포장 필름, 전자레인지용 식품 포장 봉투와 전자레인지용 식품 포장 용기
KR20210060211A (ko) 2019-11-18 2021-05-26 강경계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KR102072659B1 (ko) * 2019-12-03 2020-03-02 박상남 음식물 조리용기
KR102293560B1 (ko) * 2020-02-28 2021-08-26 신효산업 주식회사 증기 배출이 용이한 조리용 용기
KR102189918B1 (ko) 2020-06-29 2020-12-11 조인환 멸균 가능한 전자레인지용 음식물 조리 용기
WO2022065562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0435B1 (ko) * 2021-09-09 2022-08-05 서태선 수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KR20230167498A (ko)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아워홈 첨단부가 형성된 증기배출 용기
KR20230167499A (ko)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아워홈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6490A1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41B1 (ko)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JP6374022B2 (ja) 飲食物調理用容器の陥没防止構造
JP6943982B2 (ja) 蒸気排出部が具備された調理用容器
JP2013147292A (ja) 包装体
KR102012769B1 (ko)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JP5320622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および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の潰れ防止方法
CN106043963B (zh) 微波炉用容器
US20190106247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JP4860673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KR200490548Y1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TWI614190B (zh) 包裝體
JP2010215259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KR102020660B1 (ko) 음식물 조리용 용기
JP6631236B2 (ja) 包装容器
JP6058375B2 (ja) 密封容器
KR20170066059A (ko) 전자레인지용 포장용기
JP3230251U (ja) 防爆型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WO2016163428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101857847B1 (ko) 전자레인지용 포장용기
KR101253862B1 (ko) 조리용 용기
JP6441868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容器
KR200436753Y1 (ko) 즉석면용 용기
JP2017114492A (ja) 包装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本体
JP7063715B2 (ja)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容器本体の製造用工具、並びに、容器
KR20170057734A (ko) 전자레인지용 포장봉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