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609A -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609A
KR20190120609A KR1020180044004A KR20180044004A KR20190120609A KR 20190120609 A KR20190120609 A KR 20190120609A KR 1020180044004 A KR1020180044004 A KR 1020180044004A KR 20180044004 A KR20180044004 A KR 20180044004A KR 20190120609 A KR20190120609 A KR 20190120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ening
container
partition
cov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837B1 (ko
Inventor
정희국
Original Assignee
(주)태방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방파텍 filed Critical (주)태방파텍
Priority to KR102018004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83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상향 개구된 저장공간(111)이 형성된 용기부(110);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필름(120); 및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직립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111)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격벽(130);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110)에는 테두리(112)를 따라 상향 돌출되어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용기부(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력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착면(113)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30)에는 상단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격벽(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력을 제공하는 격벽부착면(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발효식품용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FOR FERMENTED FOOD}
본 발명은 발효식품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해 밀폐된 상태로 발효식품을 포장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내부의 발효식품에서 발생한 발효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밀폐된 포장상태가 터지지 않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식품용 포장용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식품용 포장용기는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부(11)와 상기 용기부(11)를 커버하는 커버필름(12)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용기부(11)의 내부에는 식품을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저장공간의 상측에는 식품을 꺼낼수 있게 개방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1a) 외측으로는 플렌지부(11b)가 형성되고 커버필름(12)의 테두리는 플렌지부(11b)의 상면에 고정되어 개방부(11a)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필름(12)의 테두리는 용기포장장치를 통해 용기부(11)의 플렌지부(11b)에 열에 의한 압착방식으로 접합되어 부착되고 이에 의해 상기 용기부(11)가 밀폐될 수 있었으며, 사용자가 상기 커버필름(12)의 테두리 일측을 잡고 용기부(11)의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커버필름(12)의 테두리가 용기부(11)에서 분리되고 개방부(11a)를 통해 내부의 식품을 꺼낼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김치, 된장 및 요커트 등의 발효식품의 경우 발효되면서 발효가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로 인해 포장용기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는데 반하여 포장용기는 가스압에 의해 늘어날 수 있는 체적이 한정되어 있어 심한 경우 용기부(11)와 커버필름(12) 사이의 접착부위가 터지면서 내부의 식품이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이 오염되고 상품가치가 저하되며 유통기한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효을 일으키는 유산균은 혐기성 세균으로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사멸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접착부위가 터지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유산균에 의한 발효작용이 정지되거나 미비하게 되어 발효식품의 맛이 저하되고 쉽게 산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70335호(2017.08.16), 식품포장용기 및 이의 포장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부와 커버필름 사이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발효가스의 가스압에 강인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스압이 과도해지는 경우 내부의 발효가스만을 선별적으로 배출하여 커버필름의 터짐현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발효식품의 맛을 유지하고 산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식품용 포장용기는, 내부에 상향 개구된 저장공간(111)이 형성된 용기부(110);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필름(120); 및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직립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111)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격벽(130);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110)에는 테두리(112)를 따라 상향 돌출되어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용기부(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력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착면(113)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30)에는 상단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격벽(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력을 제공하는 격벽부착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착면(131)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저장공간(111) 내부의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착면(131)의 일측에는 양측방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격되어 벌어진 내측에 공간부(133)를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부착면(134)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32)은 공간부(133) 내에 상하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할부착면(134)에 부착된 커버필름(120)이 분리되면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30) 상에서 상기 통기공(132)과 상하로 대향하는 외측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발효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되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하는 가스배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상기 통기공(132)의 외측둘레에 장착되며 저장된 식품 내용물의 유출은 차단하고 발효가스만 선택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소수화처리된 멤브레인시트(141) 및,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멤브레인시트(141)의 저면에 장착되며 상기 통기공(132)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조절되는 개폐막(143)이 형성된 개폐필름(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지며 상기 개폐필름(142) 상에서 개폐막(143)이 접철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막(14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개폐압력 조절필름(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점착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격벽(13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용기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필름(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은 상호 동일한 높이로 상향 돌출되고,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 사이에는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제1이격공간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착면(131)의 측방향 폭(D1)은 상기 테두리부착면(113)의 측방향 폭(D2)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착면(131)에는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2이격공간부(147)가 일정간격 이격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부(110)의 바닥면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오목홈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오목홈부(114)의 둘레 사이에는 발효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오목홈부(114)가 하향 돌출되도록 탄성절곡되는 탄성절곡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에 의하면,
첫째, 발효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111)이 형성된 용기부(110)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되어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용기부(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력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착면(113)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직립배치되는 격벽(130)에는 상단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격벽(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력을 제공하는 격벽부착면(131)이 형성된 것과 같이, 용기부와 커버필름 사이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발효가스의 가스압에 강인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상기 격벽부착면(131)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저장공간(111) 내부의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공(132)이 형성됨으로써, 발효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용기부(110)에 부착된 커버필름(120)이 터지기 이전에 발효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터짐현상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고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격벽부착면(131)의 일측에는 양측방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격되어 벌어진 내측에 공간부(133)를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부착면(134)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32)은 공간부(133) 내에 상하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서 분할부착면(134)에 부착된 커버필름(120)이 분리되는 경우에만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격벽(130) 상에서 상기 통기공(132)과 상하로 대향하는 외측 위치에는 가스배출부(140)가 장착되어 내부의 발효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되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하여 유산균의 사멸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발효식품의 맛을 유지하고 산패되는 현상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상기 통기공(132)의 외측둘레에 장착되며 저장된 식품 내용물의 유출은 차단하고 발효가스만 선택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소수화처리된 멤브레인시트(141) 및,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멤브레인시트(141)의 저면에 장착되며 상기 통기공(132)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조절되는 개폐막(143)이 형성된 개폐필름(142)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내부의 발효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면서도 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지며 상기 개폐필름(142) 상에서 개폐막(143)이 접철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막(14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개폐압력 조절필름(144)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개폐필름(142)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면서도 개폐막(143)에 의해 개폐조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점착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격벽(13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용기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필름(145)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일일이 용기부(110)에 부착할 필요없이 고정필름(145)을 부착하는 것으로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동시에 부착할 수 있어 가스배출부(140)의 장착공정이 용이해지며 외부 수분으로부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보호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은 상호 동일한 높이로 상향 돌출되고,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 사이에는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제1이격공간부(151)가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격벽부착면(131)이 커버필름(120)으로부터 분리되는 힘에 의해 격벽부착면(131)과 근접한 테두리부착면(113)이 함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홉째, 상기 격벽부착면(131)의 측방향 폭(D1)은 상기 테두리부착면(113)의 측방향 폭(D2)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용기부(110)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테두리부착면(113)이 격벽부착면(131)보다 먼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열번째, 상기 격벽부착면(131)에는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2이격공간부(147)가 일정간격 이격배치됨으로써 각 부착면의 두께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테두리부착면(113)이 격벽부착면(131)보다 먼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열한번째, 상기 용기부(110)의 바닥면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오목홈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오목홈부(114)의 둘레 사이에는 발효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오목홈부(114)가 하향 돌출되도록 탄성절곡되는 탄성절곡부(152)가 형성됨으로써, 가스압에 의해 용기부(110)의 내부체적을 대폭 증가시켜 가스압에 의한 터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품용 포장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이격공간부, 제2이격공간부 및 탄성절곡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부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용 포장용기(100)는 용기부(110)와 커버필름(120) 사이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발효가스의 가스압에 강인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스압이 과도해지는 경우 내부의 발효가스만을 선별적으로 배출하여 커버필름(120)의 터짐현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발효식품의 맛을 유지하고 산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기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10), 커버필름(120) 및 격벽(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110)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재로서 내부에 상향 개구된 저장공간(111)이 형성되며, 통상의 용기부와 같이 제품의 중량을 경량화하면서 동시에 가공이 용이하도록 플라스틱 사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110)에는 테두리(112)를 따라 상향 돌출되어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용기부(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력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착면(113)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필름(120)은 용기부(110)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면서 저장공간(111)을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커버부재로서 용기포장장치를 통해 용기부(110)의 테두리(112)이 형성된 테두리부착면(113)에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압착방식으로 접합되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격벽(130)은 용기부(110)에 커버필름(1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직립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111)을 복수 개로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130)은 용기부(110)를 사출성형시 함께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30)에는 상단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격벽(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력을 제공하는 격벽부착면(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10)에 저장된 발효식품에서 발효가스가 발생되면서 가스압이 증가하게 되면 격벽(130)에 의해 구획된 각 저장공간(111)별로 커버필름(120)이 부풀게 되면서 1차적으로 가스압에 의한 터짐현상이 지연되고, 이 상태에서 가스압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30)의 상단에 마련된 격벽부착면(131)이 커버필름(12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2차적으로 가스압에 의한 터짐현상이 지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효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111)이 형성된 용기부(110)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되어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용기부(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력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착면(113)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직립배치되는 격벽(130)에는 상단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격벽(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력을 제공하는 격벽부착면(131)이 형성된 것과 같이, 용기부와 커버필름 사이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발효가스의 가스압에 강인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부착면(131)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저장공간(111) 내부의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공(132)이 형성됨으로써, 발효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용기부(110)에 부착된 커버필름(120)이 터지기 이전에 발효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터짐현상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고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격벽부착면(131)의 일측에는 양측방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격되어 벌어진 내측에 공간부(133)를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부착면(134)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32)은 공간부(133) 내에 상하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서 분할부착면(134)에 부착된 커버필름(120)이 분리되는 경우에만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격벽(130) 상에서 통기공(132)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측방 위치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형성된 기둥 형상의 보강리브(115)가 형성됨으로써 용기부(110)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상기 분할부착면(134)가 형성될 공간 및 후술되는 가스배출부(140)가 장착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30) 상에서 상기 통기공(132)과 상하로 대향하는 외측 위치에는 가스배출부(140)가 장착되어 내부의 발효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되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하여 유산균의 사멸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발효식품의 맛을 유지하고 산패되는 현상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상기 통기공(132)의 외측둘레에 장착되며 저장된 식품 내용물의 유출은 차단하고 발효가스만 선택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소수화처리된 멤브레인시트(141) 및,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멤브레인시트(141)의 저면에 장착되며 상기 통기공(132)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조절되는 개폐막(143)이 형성된 개폐필름(142)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내부의 발효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면서도 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시트(141)는 소수성을 가진 박막필름으로서 AC(Acrylic Copolymer), PES(Poly Ether Sulfone), PTFE(Poly Tetra Flouro Ethylene) 계열의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를 이용한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멤브레인시트는 유리섬유층의 일면에 테프론코팅층이 코팅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내부의 식품과의 직접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시트(141)는 통기성 재질의 특성상 용기부(110) 상에 직접 부착이 제한되거나 부착되더라도 부착력이 약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둘레단에는 용기부(110)에 견고한 부착이 가능한 재질의 접착가이드링(146)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접착가이드링(146)을 용기부(110)에 부착하는 것으로 멤브레인시트(141)가 통기공(132)의 외측둘레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지며 상기 개폐필름(142) 상에서 개폐막(143)이 접철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막(14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개폐압력 조절필름(144)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개폐필름(142)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면서도 개폐막(143)에 의해 개폐조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압력 조절필름(144)은 요구되는 개폐압력에 따라 두께 또는 강성이 달라짐으로써 통기공(132)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개폐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개폐막(143)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부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개폐막(143)의 전체와 상하로 중첩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점착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격벽(13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용기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필름(145)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일일이 용기부(110)에 부착할 필요없이 고정필름(145)을 부착하는 것으로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동시에 부착할 수 있어 가스배출부(140)의 장착공정이 용이해지며 외부 수분으로부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은 상호 동일한 높이로 상향 돌출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 사이에는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제1이격공간부(151)가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격벽부착면(131)이 커버필름(120)으로부터 분리되는 힘에 의해 격벽부착면(131)과 근접한 테두리부착면(113)이 함께 분리되면서 커버필름(120)이 터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착면(131)의 측방향 폭(D1)은 상기 테두리부착면(113)의 측방향 폭(D2)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용기부(110)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테두리부착면(113)이 격벽부착면(131)보다 먼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격벽부착면(131)에는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2이격공간부(147)가 일정간격 이격배치됨으로써 각 부착면의 두께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테두리부착면(113)이 격벽부착면(131)보다 먼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우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10)의 바닥면에는 상향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오목홈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오목홈부(114)의 둘레 사이에는 발효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오목홈부(114)가 하향 돌출되도록 탄성절곡되는 탄성절곡부(152)가 형성됨으로써, 가스압에 의해 용기부(110)의 내부체적을 대폭 증가시켜 가스압에 의한 터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10)의 통기공(132) 및 이에 장착되는 가스배출부(140)에 의해, 격벽(130)의 격벽부착면(131)에서 커버필름(120)이 분리된 이후 가스압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테두리부착면(113)에 부착된 커버필름(120)이 분리되기 이전에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배출부(140)를 통해 내부의 발효가스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가스압에 의한 커버필름(120)의 터짐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발효식품용 포장용기 110...용기부
111...저장공간 112...테두리
113...테두리부착면 120...커버필름
130...격벽 131...격벽부착면
132...통기공 133...공간부
134...분할부착면 140...가스배출부
141...멤브레인시트 142...개폐필름
143...개폐막 144....개폐압력 조절필름
145...고정필름 147...제2이격공간부
151...제1이격공간부 152...탄성절곡부

Claims (10)

  1. 내부에 상향 개구된 저장공간(111)이 형성된 용기부(110);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필름(120); 및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직립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111)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격벽(130);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110)에는 테두리(112)를 따라 상향 돌출되어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용기부(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력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착면(113)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30)에는 상단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커버필름(120)을 격벽(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력을 제공하는 격벽부착면(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착면(131)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저장공간(111) 내부의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공(1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착면(131)의 일측에는 양측방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격되어 벌어진 내측에 공간부(133)를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부착면(134)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32)은 공간부(133) 내에 상하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할부착면(134)에 부착된 커버필름(120)이 분리되면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벽(130) 상에서 상기 통기공(132)과 상하로 대향하는 외측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발효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되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하는 가스배출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상기 통기공(132)의 외측둘레에 장착되며 저장된 식품 내용물의 유출은 차단하고 발효가스만 선택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소수화처리된 멤브레인시트(141) 및,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멤브레인시트(141)의 저면에 장착되며 상기 통기공(132)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조절되는 개폐막(143)이 형성된 개폐필름(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지며 상기 개폐필름(142) 상에서 개폐막(143)이 접철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막(14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개폐압력 조절필름(1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140)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점착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격벽(13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필름(142) 및 멤브레인시트(141)를 용기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필름(1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은 상호 동일한 높이로 상향 돌출되고,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 사이에는 상기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착면(113)과 격벽부착면(131)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제1이격공간부(1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착면(131)의 측방향 폭(D1)은 상기 테두리부착면(113)의 측방향 폭(D2)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착면(131)에는 커버필름(12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2이격공간부(147)가 일정간격 이격배치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1020180044004A 2018-04-16 2018-04-16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10211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04A KR102112837B1 (ko) 2018-04-16 2018-04-16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04A KR102112837B1 (ko) 2018-04-16 2018-04-16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09A true KR20190120609A (ko) 2019-10-24
KR102112837B1 KR102112837B1 (ko) 2020-05-19

Family

ID=6842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04A KR102112837B1 (ko) 2018-04-16 2018-04-16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24B1 (ko) * 2023-05-22 2023-12-01 씨제이제일제당(주) 식품 용기 및 식품 용기 제조용 몰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234U (ko) * 1989-10-16 1991-06-17
KR20050051490A (ko) * 2003-11-27 2005-06-01 주식회사 두산 통기구조가 개선된 발효식품 포장용기
US20060006176A1 (en) * 2002-10-29 2006-01-12 Herbert Stotkiewitz Overpressure valve for the content of a package
KR20090081378A (ko) * 2006-11-02 2009-07-28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및 용기
KR20130002058U (ko) * 2011-09-23 2013-04-02 대상 주식회사 발효 식품 포장 용기의 가스 방출 밸브
KR101391841B1 (ko) *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1399411B1 (ko) * 2012-11-20 2014-05-27 이병주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518717B1 (ko) * 2013-11-04 2015-05-08 (주)아이디플라텍 공기배출수단이 형성되어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150051586A (ko) * 2013-11-04 2015-05-13 (주)아이디플라텍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170024711A (ko) * 2015-08-26 2017-03-08 이병주 가스배출 조절장치
KR101770335B1 (ko) 2016-06-28 2017-08-22 김형훈 식품포장용기 및 이의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234U (ko) * 1989-10-16 1991-06-17
US20060006176A1 (en) * 2002-10-29 2006-01-12 Herbert Stotkiewitz Overpressure valve for the content of a package
KR20050051490A (ko) * 2003-11-27 2005-06-01 주식회사 두산 통기구조가 개선된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090081378A (ko) * 2006-11-02 2009-07-28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및 용기
KR20130002058U (ko) * 2011-09-23 2013-04-02 대상 주식회사 발효 식품 포장 용기의 가스 방출 밸브
KR101399411B1 (ko) * 2012-11-20 2014-05-27 이병주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518717B1 (ko) * 2013-11-04 2015-05-08 (주)아이디플라텍 공기배출수단이 형성되어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150051586A (ko) * 2013-11-04 2015-05-13 (주)아이디플라텍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101391841B1 (ko) *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20170024711A (ko) * 2015-08-26 2017-03-08 이병주 가스배출 조절장치
KR101770335B1 (ko) 2016-06-28 2017-08-22 김형훈 식품포장용기 및 이의 포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24B1 (ko) * 2023-05-22 2023-12-01 씨제이제일제당(주) 식품 용기 및 식품 용기 제조용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837B1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2309B2 (en) Vented, grooved back, heat induction foil
CA3034514C (en)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with predetermined humidity and related method
US6883678B2 (en) Food container sealing structure
JPS6333255A (ja) 過圧弁を備えた包装容器
US7117654B2 (en) Packaging process employing a closure orifice seal vent
JPH01308747A (ja) 食物容器
CA2452584A1 (en) Self-absorbing gas-barrier receptacle for food packaging and food package obtained therefrom
KR20090081378A (ko) 포장체 및 용기
CN103946122A (zh) 容器盖
EP2404842A1 (en) Dispensing cap with automatic valve for containers for transporting and dispensing liquid or creamy substances
RU2731935C1 (ru) Односторонний клапан для пищевых упаковок
JP2011509893A (ja) 注ぎ出しパッケージおよび注ぎ出し部材
RU2266031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ра
KR20190120609A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JP2010247850A (ja) 包装容器
WO2018046932A1 (en) Vacuum dome
JP2007537931A (ja) 折り畳み可能な容器のための蓋
KR200477513Y1 (ko) 발효 식품 밀폐 용기
GB2081229A (en) Sealed container
KR20180009641A (ko) 발효식품 포장용기 밀폐용 뚜껑
JP7407958B2 (ja) カップ蓋
KR101375609B1 (ko) 통기성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0485989Y1 (ko)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JP2009029441A (ja) 包装用容器
KR101518717B1 (ko) 공기배출수단이 형성되어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