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89Y1 -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89Y1
KR200485989Y1 KR2020150008354U KR20150008354U KR200485989Y1 KR 200485989 Y1 KR200485989 Y1 KR 200485989Y1 KR 2020150008354 U KR2020150008354 U KR 2020150008354U KR 20150008354 U KR20150008354 U KR 20150008354U KR 200485989 Y1 KR200485989 Y1 KR 200485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discharge hole
diameter
do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300U (ko
Inventor
우인봉
이남산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세미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세미산업(주)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8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밑면과 밑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외벽과 외벽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캡에 의해 식품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고정캡의 상측면에 교접하고, 고정캡을 덮는 형태의 여닫이캡을 포함하고, 고정캡에서 적어도 여닫이캡과 교접하는 부분에는 필름이 형성되어 있고,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고정캡과 교접하는 부분에는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Food vessel being able to seal and control emission quantity}
본 고안은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캡 구조를 구비하고, 각각의 캡의 접촉면에 필름을 형성하여 지속적인 밀봉이 가능하고, 개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용기는 식품의 보호, 보존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식품이 보호, 보존되는 내부공간에 음압을 형성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뒤 필름 리드지를 덮고 가압 가열하여 밀폐된 채로 유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장방법에 의해 접착된 필름 리드지는 식품의 유통과정에서만 밀봉을 담당하고, 한 번 개봉된 후에는 버려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일회용 필름 리드지가 버려진 후에는 용기는 계속 개봉상태에 있거나 힌지구조를 가진 캡 또는 용기의 개구부와 끼임 또는 나사결합하는 캡에 의해서 개봉과 밀봉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힌지구조를 가진 캡이나 용기의 개구부와 끼임 또는 나사결합하는 캡의 경우, 밀봉이 완벽하지 못하여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수분 등이 침투하여 식품의 보호, 보존 기능을 담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갈린 후추, 이유식 같은 분말형태의 식품을 저장하는 용기의 경우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홀의 직경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거나 직경의 크기가 다른 배출홀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키고, 배출홀의 직경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캡을 설치하여 일방의 캡을 열고, 타방의 캡을 닫아 배출량을 조절하는 번거로운 구조를 가져 조리시 편리하게 배출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9-005453 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식품의 유통시 뿐만 아니라 개봉 후에도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밀봉이 가능하고, 나아가 간편하게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를 가진 식품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품용기는 밑면과 밑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외벽과 외벽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캡에 의해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아랫면이 고정캡의 윗면과 교접하고, 고정캡을 덮는 형태의 제 1 여닫이캡을 포함하고, 고정캡에서 적어도 윗면은 필름재질이고, 제 1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아랫면은 필름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아랫면이 제 1 여닫이캡의 윗면과 교접하고, 제 1 여닫이캡을 덮는 형태의 제 2 여닫이캡을 더 포함하고, 제 1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윗면과 아랫면은 필름재질이고, 제 1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배출홀의 직경의 크기는 제 1 배출홀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고, 제 2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아랫면은 필름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1 배출홀의 상부 직경은 하부 직경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배출홀의 상부 직경은 하부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통시 일회적인 밀봉이 아닌 개봉 후에도 지속적인 밀봉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진 식품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에서 캡이 열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의 캡부분의 수직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단부에 설치된 고정캡(120)과 아랫면이 고정캡(120)의 윗면에 교접하여 고정캡(120)을 덮는 제 1 여닫이캡(130)과 아랫면이 제 1 여닫이캡(130)의 윗면에 교접하여 제 1 여닫이캡(130)을 덮는 제 2 여닫이캡(14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원통형으로 밑면과 밑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외벽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부에는 개구부(미도시, 고정캡(120)에 의해 폐쇄)가 형성되고,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고정캡(120)은 본체(110)의 상측 단부에 설치된다. 본 고안은 지속적인 밀봉이 가능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고정캡(120)과 본체(110)는 어떠한 형태로든 결합할 수 있지만, 결합되는 부분은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고정캡(120)과 본체(110)는 나사결합할 수 있지만, 오링 같은 밀폐링이 결합부위에 개재돼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캡(120)은 원형의 박판형태로, 본체(110)의 상측 단부 즉, 외벽의 윗면과 교접하여 상기 개구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돼 고정되고, 고정캡(120)은 공지의 필름리드지로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또는 PS(polystyrene) 등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각각의 성분의 조성물로 이루어져 전부가 필름재질이다.
제품의 생산단계에서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식품을 넣고, 본체(11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필름리드지인 고정캡(120)으로 덮고 가압 가열하여 기밀성을 유지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견고한 밀봉을 위해 교접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고정캡(12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제 1 배출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배출홀(122)을 통해 내부의 식품을 배출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 1 여닫이캡(130)에 의해 일부분이 폐쇄되어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제 2 여닫이캡(140)에 의해 전부분이 폐쇄되어 내부공간이 밀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배출홀(122)의 상측 직경은 하측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만약 제 1 배출홀(122)의 직경이 일정하다면, 가루형태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내용물이 옆으로 확산되는바, 고정캡(120)의 윗표면에 묻기 때문에 필름의 접착력을 떨어트린다. 하지만, 제 1 배출홀(122)의 상측 직경이 하측 직경보다 큰 경우 가루형태의 내용물이 배출과정에서 옆으로 확산되더라도 직경의 차이 이상으로 확산되지 않는 한, 고정캡(120)의 윗표면에 묻지 않아 필름의 접착력을 유지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캡(120)은 필름리드지로 당연히 후술하는 제 1 여닫이캡(130)의 아랫면과 교접하는 윗면이 필름재질이다. 나아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윗면이 필름재질인 여러 가지 형태의 공지의 고정캡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즉,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고정캡에서 적어도 윗면은 필름지로 코팅돼 필름재질이다. 따라서 후술하지만 여닫이캡이 닫혀있을 때, 교접하는 제 1 여닫이캡(130)과 필름재질끼리의 접착이 일어나 기밀성이 유지된다.
제 1 여닫이캡(130)은 원형의 박판형태로, 아랫면이 고정캡(120)의 상면과 교접하여 고정캡(120)을 덮는 형태이다. 재질은 공지의 필름리드지로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또는 PS(polystyrene) 등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각각의 성분의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여닫이캡(130)은 필름리드지로 당연히 고정캡(120)의 윗면과 후술하는 제 2 여닫이캡(140)의 아랫면과 교접하는 아랫면과 윗면은 필름재질이다. 나아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윗면과 아랫면이 필름재질인 여러 가지 형태의 공지의 여닫이캡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즉,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 1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윗면과 아랫면은 필름지로 코팅돼 필름재질이다. 따라서 후술하지만 여닫이캡이 닫혀있을 때, 교접하는 고정캡(120)과 제 2 여닫이캡(140)과 필름재질끼리의 접착이 일어나 기밀성이 유지된다.
제 1 여닫이캡(130)은 열고 닫기가 가능한 구조로 평상시에는 아랫면이 고정캡(120)의 윗면과 교접하여 닫힌 상태이다. 하지만 교접부분의 제 1 여닫이캡(130)과 고정캡(120)은 필름재질이고, 따라서 필름간의 접착력에 의해서만 교접돼 있기 때문에 인력으로 박리가 가능하여 열릴 수 있다.
박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제 1 여닫이캡(130)의 외주연의 일측에 파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교접부분이 모두 박리가 되면 제 1 여닫이캡(130)이 고정캡(120)으로부터 완전히 탈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식품용기의 사용용도에 따라서는 고정캡(120)과 제 1 여닫이캡(130)의 교접부분 중 제 1 배출홀(1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캡(120)과 제 1 여닫이캡(130)의 일부분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부분은 인력으로 쉽게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여닫이캡(130)이 열리더라도 접착되지 않은 일부분만 박리하여 제 1 여닫이캡(130)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제 1 여닫이캡(130)의 내부에는 여닫이캡(130)이 닫혀있는 경우 제 1 배출홀(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 배출홀(13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배출홀(132)의 직경의 크기는 제 1 배출홀(122)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제 1 여닫이캡(130)이 닫혀있는 경우 제 2 배출홀(132)에 의해 제 1 배출홀(122)의 일부분이 폐쇄돼 적은 양의 내용물이 배출되고, 제 1 여닫이캡(130)이 열려있는 경우 제 1 배출홀(122)이 완전히 개방되어 많은 양의 내용물이 배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배출홀(132)의 상측 직경은 하측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만약 제 2 배출홀(132)의 직경이 일정하다면, 가루형태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내용물이 옆으로 확산되는바, 제 1 여닫이캡(130)의 윗표면에 묻기 때문에 필름의 접착력을 떨어트린다. 하지만, 제 2 배출홀(132)의 상측 직경이 하측 직경보다 큰 경우 가루형태의 내용물이 배출과정에서 옆으로 확산되더라도 직경의 차이 이상으로 확산되지 않는 한, 제 1 여닫이캡(130)의 윗표면에 묻지 않아 필름의 접착력을 유지시킨다.
제 2 여닫이캡(140)은 원형의 박판형태로, 아랫면이 제 1 여닫이캡(130)의 상면과 교접하여 제 1 여닫이캡(130)을 덮는 형태이다. 재질은 공지의 필름리드지로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또는 PS(polystyrene) 등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각각의 성분의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2 여닫이캡(140)은 필름리드지로 당연히 제 1 여닫이캡(130)의 윗면과 교접하는 아랫면은 필름재질이다. 나아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랫면이 필름재질인 여러 가지 형태의 공지의 여닫이캡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즉,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 2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아랫면은 필름지로 코팅돼 필름재질이다. 따라서 후술하지만 여닫이캡이 닫힌 경우 교접하는 제 1 여닫이캡(130)과 필름재질끼리의 접착이 일어나 기밀성이 유지된다.
제 2 여닫이캡(140)은 열고 닫기가 가능한 구조로 평상시에는 아랫면이 제 1 여닫이캡(130)의 윗면과 교접하여 닫힌 상태이다. 하지만 교접부분의 제 2 여닫이캡(140)과 제 1 여닫이캡(130)은 필름재질이고, 따라서 필름간의 접착력에 의해서만 교접돼 있기 때문에 인력으로 박리가 가능하여 열릴 수 있다.
박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제 2 여닫이캡(140)의 외주연의 일측에 파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교접부분이 모두 박리가 되면 제 2 여닫이캡(140)이 제 1 여닫이캡(130)으로부터 완전히 탈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식품용기의 사용용도에 따라서는 제 1 여닫이캡(130)과 제 2 여닫이캡(140)의 교접부분 중 제 2 배출홀(13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 1 여닫이캡(130)과 제 2 여닫이캡(140)의 일부분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부분은 인력으로 쉽게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여닫이캡(140)이 열리더라도 접착되지 않은 일부분만 박리하여 제 2 여닫이캡(140)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제 2 여닫이캡(140)이 닫혀있는 경우 제 2 배출홀(132)이 폐쇄돼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고, 제 2 여닫이캡(140)이 열려있는 경우 제 2 배출홀(132)이 개방돼 내용물이 배출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의 기능, 작동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에서 캡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통상적인 식품용기통과 비교하여 개봉 후에도 지속적으로 밀봉이 유지되는 것과 내용물의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지속적인 밀봉을 유지시키기 위해 제 1 여닫이캡(130)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캡(120)의 윗면과 제 1 여닫이캡(130)의 밑면은 서로 교접하고, 교접부분은 필름재질이다. 또, 제 2 여닫이캡(140)이 닫힌 상태에서 제 1 여닫이캡(130)의 윗면과 제 2 여닫이캡(140)의 아랫면은 서로 교접하고, 교접부분은 필름재질이다.
통상적인 식품용기는 여닫이캡이 닫힌 상태에서 교접하는 부분이 일반 플라스틱재질이어서 교접부분에서 접착이 일어나지 않는 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닫힌 상태에서 필름재질끼리 만나 필름재질의 특성상 서로 흡착하여 기밀성이 유지시킬 수 있는 접착을 이루기 때문에 밀봉이 유지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접착은 인력으로 쉽게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여닫이캡(130)과 제 2 여닫이캡(140)을 손쉽게 열 수 있다. 또, 실시형태의 사용필요성에 따라 제조과정에서 제 1 배출홀(122)과 제 2 배출홀(13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교접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 1 여닫이캡(130)과 제 2 여닫이캡(140)이 인력에 의해 완전히 박리돼 분리되지 않고, 일부만 박리되게 할 수 있다.
내용물의 배출량 조절과 관련하여, 제 2 여닫이캡(140)을 연 경우, 제 1 배출홀(122)과 제 2 배출홀(13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돼 있고, 제 2 배출홀(132)의 직경의 크기는 제 1 배출홀(122)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제 2 배출홀(132)은 완전히 개방되고, 제 1 배출홀(122)은 제 2 배출홀(132)에 의해 일부분이 페쇄돼 제 2 배출홀(132)의 개방 정도에 따른 내용물만이 배출된다.
제 1 여닫이캡(130)을 연 경우, 제 1 배출홀(122)만 개방되고, 제 1 배출홀(122)의 직경의 크기는 제 2 배출홀(132)의 직경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제 2 여닫이캡(140)만이 열린 경우보다 적은 양의 내용물이 배출된다. 따라서 여닫이캡(130, 140)의 열림여부를 선택하여 손쉽게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본체 120 : 고정캡
122 : 제 1 배출홀 130 : 제 1 여닫이캡
132 : 제 2 배출홀 140 : 제 2 여닫이캡

Claims (4)

  1. 밑면과 상기 밑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캡에 의해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아랫면이 상기 고정캡의 윗면과 교접하고, 상기 고정캡을 덮는 형태의 제 1 여닫이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캡에서 적어도 윗면은 필름재질이고, 상기 제 1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아랫면은 필름재질이고,
    아랫면이 상기 제 1 여닫이캡의 윗면과 교접하고, 상기 제 1 여닫이캡을 덮는 형태의 제 2 여닫이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윗면과 아랫면은 필름재질이고, 상기 제 1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배출홀의 직경의 크기는 상기 제 1 배출홀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 2 여닫이캡에서 적어도 아랫면은 필름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홀의 상부 직경은 하부 직경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출홀의 상부 직경은 하부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KR2020150008354U 2015-12-18 2015-12-18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KR200485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54U KR200485989Y1 (ko) 2015-12-18 2015-12-18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54U KR200485989Y1 (ko) 2015-12-18 2015-12-18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00U KR20170002300U (ko) 2017-06-28
KR200485989Y1 true KR200485989Y1 (ko) 2018-03-21

Family

ID=5924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354U KR200485989Y1 (ko) 2015-12-18 2015-12-18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1853A (zh) * 2020-04-09 2020-06-19 佛山市顺德区中瑞制罐有限公司 用于倒出颗粒物料的盖体、包装物和颗粒物料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734A (ja) * 2004-03-29 2005-10-13 Toppan Printing Co Ltd 振出用又は揮散用の蓋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152B2 (ja) 1998-02-18 2002-10-07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734A (ja) * 2004-03-29 2005-10-13 Toppan Printing Co Ltd 振出用又は揮散用の蓋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1853A (zh) * 2020-04-09 2020-06-19 佛山市顺德区中瑞制罐有限公司 用于倒出颗粒物料的盖体、包装物和颗粒物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00U (ko)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4226A3 (en)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CZ2014635A3 (cs) Dávkovací ventil
KR102040443B1 (ko)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US20030183636A1 (en) Resealable plastic sealing container
US20080190937A1 (en) Food and Drink Packing Vessel
CZ300542B6 (cs) Balení obsahující stlacitelnou kapsu
EP1651537A2 (fr) CONTENEUR DESSICATIF ETANCHE POUR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SENSIBLES A L’HUMIDITE AMBIANTE
RU2007140883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ар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EP1794065B1 (fr) Dispositif de fermeture etanche pour conteneur
JP2011509893A (ja) 注ぎ出しパッケージおよび注ぎ出し部材
KR200485989Y1 (ko)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US6325231B1 (en) Container for foodstuffs
WO2015097604A1 (en) A package for food products
US11767152B2 (en) Re-sealing vacuum package receptacle
JP7465568B2 (ja) ショルダー部一体型フリップトップキャップ付きブリスター包装容器
KR20180009641A (ko) 발효식품 포장용기 밀폐용 뚜껑
KR102112837B1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US9688448B2 (en) Closure cap with a multilayer seal disk for receptacles
KR200290775Y1 (ko) 식품보관용기
WO2009021156A3 (en)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KR200486133Y1 (ko) 원터치식 캔 뚜껑을 가지는 포장용기
KR200483975Y1 (ko) 발효식품 저장용기용 밀폐뚜껑
JP2006188265A (ja) 容器の気密蓋構造
JP2006188266A (ja) 除湿内袋を収納した気密容器
US20210261304A1 (en) Container lid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