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499A -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499A
KR20230167499A KR1020220067368A KR20220067368A KR20230167499A KR 20230167499 A KR20230167499 A KR 20230167499A KR 1020220067368 A KR1020220067368 A KR 1020220067368A KR 20220067368 A KR20220067368 A KR 20220067368A KR 20230167499 A KR20230167499 A KR 20230167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otrusion
sealing
side wal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영
이세표
이윤호
임재민
최민규
방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워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워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워홈
Priority to KR102022006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499A/ko
Publication of KR2023016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충전한 후 리드필름을 실링하여 밀봉된 상태의 제품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는 동안 내용물의 수분이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해 리드필름이 팽창하면서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에 형성된 증기배출부 상부면의 실링이 선택적으로 먼저 분리된 후 증기가 배출되면서 증기 배출에 의해 용기 측벽이나 증기배출부의 구조적인 비가역적 열변형이 발생되어 변형된 용기 측벽과 리드필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지속적으로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증기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Container with a vapor discharge component in a side wall}
본 발명은 증기배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하고 식품 포장에 이용되는 증기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간편 조리 식품은 짧은 시간에 간단히 조리 가능하고 저장, 운반, 휴대 등이 편리하도록 만든 가공식품으로,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유연재질의 리드필름을 실링하는 밀봉 포장 용기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밀봉 포장 용기는 밀봉된 상태로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는 동안 또는 조리 직후, 내용물의 수분이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리드필름이 팽창하면서, 리드필름이 순간적인 파열되거나 실링이 약한 부분이 터져 내용물이 비산할 위험성이 있고, 이로 인해 전자레인지가 오염되거나 사용자의 화상 위험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용물을 가열하기 전에 포장 용기에 실링된 리드필름의 일부를 벗기거나 리드 필름 일부에 미리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가열 중에 증기가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 특히 식품에서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될 경우 맛, 식감, 풍미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국특허 제1391841호는 용기 플랜지면을 따라 형성된 실링돌부 외에 용기 모서리의 플랜지면에 보조실링돌부를 활용해 배출공간을 형성하고, 그 배출공간에 증기 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리드필름이 팽창하면서 보조실링돌부의 실링이 먼저 분리되어 배출공간의 증기 배출공으로 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가열에 의해 리드필름이 팽창되었을 때는 증기 배출공으로 증기가 배출되나 증기 배출공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 모서리 상부에 설치되어 증기 배출공으로 증기가 배출되어도 용기 측벽이나 증기 배출공 주변의 구조적인 열변형은 발생하지 않으며, 조리직후 가열을 멈추게 되면 리드필름이 수축하면서 리드필름이 증기 배출공은 물론 배출공간이나 보조실링돌부와 다시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면서 용기 내부에 음압이 걸리고 용기가 뒤틀려 변형되고, 또한 일부 빠져나가지 못하는 증기에 의해 여전히 화상 위험성이 잔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7-0150312호는 용기 플랜지면을 따라 외측 접착돌기와 내측 접착돌기를 이격 형성하고 그 사이에 증기 배출공을 형성하여, 내측 접착돌기 중 어느 부분이라도 리드필름의 팽창으로 분리되면 증기 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증기 배출공이 직사각형 용기의 길이가 긴 가로 방향 측벽에 설치되어 있으나, 플랜지면이 용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그 상부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증기가 배출되어도 용기 측벽이나 증기 배출공 주변의 구조적인 열변형은 발생하지 않으며, 증기 배출공에서 먼 위치의 내측 접착돌기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증기 배출 효율이 떨어지고, 내부 접착돌기와 외부 접착돌기의 이격된 폭은 플랜지부의 폭에 맞추어야 하므로 원하는 만큼 넓힐 수 없고, 그 폭이 좁을 경우 조리 직후 리드필름이 수축하면서 분리된 내측 접착돌기와 리드필름이 다시 밀착되어 증기 배출공을 차단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였다.
한국특허 제1391841호 한국공개특허 제2017-015031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된 상태로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는 동안 내용물의 수분이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리드필름이 팽창하면서 용기의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측벽의 상부에 형성된 증기배출부를 통해 증기가 배출되면서 증기 배출에 의해 용기 측벽이나 증기배출부의 구조적인 비가역적 열변형이 발생되어 변형된 용기 측벽과 리드필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 비산 위험성을 낮추고, 또한 증기 배출 후 리드필름이 수축하더라도 리드필름과 증기배출부가 다시 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음압이 걸리지 않아 용기의 뒤틀림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의 화상 위험성을 더욱 낮출 수 있는 증기배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직사각형이나 타원형과 같은 용기 본체의 형상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를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강한 용기 측벽의 강도를 실링보강부 또는 보강패턴을 통해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용기 측벽과 강한 용기 측벽의 상대적인 강도의 차이를 더욱 키우는 구조를 가진 증기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이 개구되고 용기 측벽(110)에 둘러싸여 수납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100);
상기 용기 측벽(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00);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 둘레로 일정 높이 및 일정 폭(D)으로 돌출된 실링돌부(300);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 둘레로 상기 실링돌부(300)에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돌부(300)와 동일 높이이며,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증기배출돌부(410)를 포함하는 증기배출부(400);
상기 용기 측벽(1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의 상부 가장자리의 플랜지부(200)에는 실링돌부(300)가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2)의 상부 가장자리의 플랜지부(200)에 상기 증기배출부(400)가 형성되는 증기배출 용기(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 본체(1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0)의 가로 대 세로 또는 장축 대 단축의 비율은 100 : 50 내지 8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2)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가로 방향 또는 장축 방향의 용기 측벽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용기 측벽(110)에는 실링보강부(500)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링보강부(500)는 상기 실링돌부(300)의 내측 둘레에서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보강돌부(510), 및 상기 실링보강돌부(510)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용기 본체의 측벽에 접하는 측벽 보강부(5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링보강돌부(5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링보강돌부(5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실링돌부(300)의 내측 둘레에서 용기 내측으로 2 내지 5 mm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기 측벽(110)에서 상기 실링보강돌부(510)와 실링보강돌부(510) 사이, 상기 실링보강돌부(510)과 용기 측벽 모서리(120) 사이, 용기 측벽 모서리(1103)와 용기 측벽 모서리(1103) 사이, 또는 용기 측벽과 타원의 장축의 교차점(1104)과 실링보강돌부(510) 사이의 거리(L)는 30 내지 100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에는 보강패턴(11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2) 중에서 수직 높이 방향으로 증기배출부(400)가 형성되지 않는 용기 측벽 및 상기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에는 보강패턴(11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11)은 용기 측벽(110)의 수직 높이 방향으로 길쭉한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이 반복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은 마름모형 패턴 또는 원기둥형 패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400)에는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을 바닥으로 하고,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측면을 일측으로 하며, 타측의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 및 상기 증기배출돌부(410)는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에서 소정 폭(d)까지 감소되는 폭감소돌부(411) 및 상기 폭감소돌부(411)의 실링돌부(300)의 타측 말단에서 연장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용기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첨단부(41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폭감소돌부(411) 및 첨단부(413) 사이에 소정 폭(d)으로 유지되는 폭유지돌부(412)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단부(41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45°내지 90°각도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은 4 내지 12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폭(d)은 1 내지 3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을 상기 증기배출돌부(410) 및 폭유지돌부(412)의 폭(d)으로 나눈 값(D/d)은 2 내지 1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기배출 용기는 내용물을 충전한 후 리드필름을 실링하여 밀봉된 상태의 제품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는 동안 내용물의 수분이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해 리드필름이 팽창하면서 용기의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측벽의 상부에 형성된 증기배출부를 통해 증기가 배출되면서 증기 배출에 의해 용기 측벽이나 증기배출부의 구조적인 비가역적 열변형이 발생되어 변형된 용기 측벽과 리드필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 비산 위험성을 낮추고, 또한 증기 배출 후 리드필름이 수축하더라도 리드필름과 증기배출부가 다시 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음압이 걸리지 않아 용기의 뒤틀림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의 화상 위험성을 더욱 낮출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배출 용기는 직사각형이나 타원형과 같은 용기 본체의 형상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를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강한 용기 측벽의 강도를 실링보강부 또는 보강패턴을 통해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용기 측벽과 강한 용기 측벽의 상대적인 강도의 차이를 더욱 키우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증기배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증기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증기배출 용기에서 용기 본체의 세로 방향 용기 측벽에 실링보강부가 1개씩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증기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증기배출 용기에서 용기 본체의 세로 방향 용기 측벽에 실링보강부가 2개씩 형성되고, 가로 방향 용기 측벽에도 증기배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용기 측벽에 실링보강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증기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링보강부가 형성된 도 4a의 증기배출 용기에서 세로 방향 용기 측벽 및 가로 방향 용기 측벽에도 증기배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용기 측벽에 마름모형 보강패턴이 형성되고, 가로 방향 용기 측벽에 첨단부를 구비한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증기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증기 배출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증기 배출부에서 제1 보조돌기 및 제2 보조돌기가 추가로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증기배출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증기배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리드필름을 실링하여 밀봉된 상태의 제품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했을 때 내용물의 수분이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리드필름이 팽창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b는 도 8a에서 전자레인지 가열이 일정 시간 지속되어 증기배출 용기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여 했을 때 증기배출부의 실링이 분리되면서 증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증기배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리드필름을 실링하여 밀봉된 상태의 제품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했을 때 증기배출부 및 리드필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7b의 A-A'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전자레인지 가열 전의 단면도이고, 도 9b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리드필름이 팽창하면서 제1 보조돌부의 실링만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c는 전자레인지 가열이 일정 시간 지속되어 증기배출 용기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여 증기배출부의 실링이 분리되면서 증기가 배출된 후 용기 본체의 증기배출부가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증기배출 용기 제품이 도 9c와 같이 증기배출부의 실링이 분리되면서 증기가 배출된 후 용기 본체의 증기배출부가 변형된 상태를 용기 정면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 용기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되고 용기 측벽(110)에 둘러싸여 수납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100);
상기 용기 측벽(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00);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 둘레로 일정 높이 및 일정 폭(D)으로 돌출된 실링돌부(300);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 둘레로 상기 실링돌부(300)에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돌부(300)와 동일 높이이며,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증기배출돌부(410)를 포함하는 증기배출부(400);
상기 용기 측벽(1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의 상부 가장자리의 플랜지부(200)에는 실링돌부(300)가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2)의 상부 가장자리의 플랜지부(200)에 상기 증기배출부(400)가 형성되는 증기배출 용기(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증기배출 용기(10)의 재료는 내용물(70) 수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생산성이나 밀봉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은, 성형성, 강도 및 히트실(heat seal)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배출 용기(10)에 내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탈크 등의 무기 필러를 배합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7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식품과 같이 품질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밀봉이 요구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중에서도, 일정 정도 수분을 함유하여 가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식품이 바람직하다.
가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식품은 밥이나 면과 같은 조리된 곡물가공식품, 또는 곡물가공식품과 함께 포함된 소스, 또는 이들과 함께 포함된 육류나 채소 요리를 포함하고, 특히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식품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고, 이들 식품을 냉동보존이나 냉장보존하는 식품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냉동보존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식품은, 수증기의 이동을 제어하여 수증기가 응축될 때에 발생되는 잠열에 의한 가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100), 플랜지부(200), 실링돌부(300) 및 증기배출부(400)를 포함하는 증기배출 용기(10)는 일체로 성형되고, 성형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진공성형이나 사출성형이나 시트의 열성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0), 플랜지부(200), 실링돌부(300) 및 증기배출부(400)를 포함하는 증기배출 용기(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지나치게 얇으면 용기(10)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용기(10)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었을 때에 용기(10)가 크게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두께는 보통 0.2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3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mm 이상이 바람직하다. 용기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용기(10)의 재료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용기(10)의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이 때문에 용기 두께는 보통 1.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8 mm 이하이다.
(용기 측벽의 강도 측정결과, 측정방법 등의 자료가 있다면 관련내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상기 실링돌부(300) 및 증기배출부(400)는 모두 플랜지부(200)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실링돌부(300) 및 상기 증기배출부(400)의 증기배출돌부(410)는 동일 높이로 연결되어 플랜지부(200) 둘레로 폐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돌부(300) 및 증기배출돌부(410)의 상부면과 리드필름(60)의 하부면이 실링되어 용기가 밀봉된다.
상기 리드필름(60)의 재료는 증기배출 용기(10)의 실링돌부(300) 및 증기배출돌부(410)에 접합될 수 있고, 일정 정도 팽창할 수 있는 유연한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고, 상기 증기배출 용기(10)의 재료와 동일할 수도 있고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리드필름(60)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플랜지부(200)를 모두 덮을 정도의 크기와 형태이면 그 크기와 형태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플랜지부(200)의 외측 둘레보다 적어도 1 내지 5 mm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리드필름(60)을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플랜지부(200)의 외측 둘레보다 더욱 더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드필름(60)와 실링돌부(300) 및 증기배출돌부(410)의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생산성이나 위생의 측면에서 고려한다면, 히트 실링(heat sealing, 열융착)에 의하여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필름의 실링 강도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한 직후에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을 정도의 실링 강도로 접합시키지만, 냉동 내지 실온에 있을 때에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없을 정도의 실링 강도로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1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인 것일 수 있다.
원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및 정팔각형 용기는 용기의 형상에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과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을 구별할 수 없으므로, 이때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실링보강부(500), 보강패턴(111) 또는 이 두가지를 조합함으로써 용기 측벽에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2)과 약한 측벽(1101)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용기의 형상만으로도, 타원형 용기는 장축과 접하는 용기 측벽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1)이 되고, 단축과 접하는 용기 측벽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2)이 된다. 또한 다각형의 변 중에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사각형(직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용기는 변의 길이가 긴 측벽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이고, 변의 길이가 짧은 측벽이 상대적으로 약한 용기 측벽(1102)이 된다.
또한 타원형 용기 및 다각형의 변 중에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사각형(직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용기에서도,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2)에 실링보강부(500), 보강패턴(111) 또는 이 두가지를 조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2) 및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1)의 강도 차이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0)가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다각형일 경우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곡률은 용기 본체(100)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용기 측벽의 모서리 상부 가장자리의 곡률은 0.01 내지 0.1 mm-1 ,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8 mm-1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6 mm-1 이다. 곡률이 클수록 용기 본체(100)의 측벽에 부여하는 강도가 높아지나, 상대적으로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내용물의 부피는 작아질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을 수용할 부피를 먼저 결정한 후 용기 측벽의 강도, 및 용기 측벽의 모서리와 용기 측벽 모서리 사이, 또는 용기 측벽 모서리와 실링보강돌부(510)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0)는 내용물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측의 개구된 개구면에 비해 바닥면(120)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용기 측벽의 모서리 상부 가장자리의 곡률에 비해 용기 측벽의 모서리 하부 가장자리의 곡률은 더 크게 한다.
상기 용기 본체(100)는 바람직하게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1, 도 2, 도 4a, 도 4b 및 도 6과 같은 직사각형 또는 도 3 및 도 5와 같은 타원형 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0)가 도 1, 도 2, 도 4a, 도 4b 및 도 6과 같은 직사각형일 경우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가로(a)와 세로(b)의 비율은 100 :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0 : 65 내지 75일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0)가 도 3 및 도 5와 같은 타원형일 경우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장축(a)와 단축(b)의 비율은 100 :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0 : 65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실링보강부(5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실링돌부(300)의 내측 둘레에서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보강돌부(510), 및 상기 실링보강돌부(510)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용기 본체의 측벽에 접하는 측벽 보강부(5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링보강부(500)는 실링보강돌부(510)에 의해 실링 강도를 높임으로써 실링보강돌부(510)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실링돌부(300)나 증기배출돌부(410)의 실링이 더욱 먼저 분리될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측벽 보강부(520)에 의해 실링보강부(500)이 설치된 용기 측벽(110)의 강도를 증진시켜 실링보강부(500)가 설치되지 않은 증기배출부(400)를 통해 증기가 배출되면서 증기 배출에 의해 용기 측벽(100)이나 증기배출부(400)의 구조적인 비가역적 열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실링보강돌부(510) 도 4a, 도 4b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이고, 실링돌부(300)의 내측 둘레에서 용기 내측으로 2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mm 돌출된다.
도 4a, 도 4b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용기 측벽(1101)에서 상기 실링보강돌부(510)와 실링보강돌부(510) 사이, 상기 실링보강돌부(510)과 용기 측벽 모서리(120) 사이, 용기 측벽 모서리(1103)와 용기 측벽 모서리(1103) 사이, 또는 용기 측벽과 타원의 장축의 교차점(1104)과 실링보강돌부(510) 사이의 거리(L)는 30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mm이다. 상기 거리(L)는 상기 실링보강돌부(510)의 용기 내측으로 가장 높이 돌출된 부분과 용기 측벽 모서리(120)가 원호일 경우 그 원호의 중심점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상기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에는 보강패턴(111)이 형성되어 용기 측벽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2) 중에서 수직 높이 방향으로 증기배출부(400)가 형성되지 않는 용기 측벽에도 보강패턴(111)이 형성되어 보강패턴(111)이 형성되지 않은 증기배출부(400)의 하부 측벽의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11)은 용기 측벽(110)의 수직 높이 방향으로 길쭉한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이 반복 형성된 것으로, 상기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은 마름모형 패턴 또는 원기둥형 패턴일 수 있다. 도 6에는 수직 높이 방향으로 길쭉한 양각의 마름모형 패턴이 형성된 증기배출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410)는 증기배출 용기(10)의 플랜지부(200) 상부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410)가 2개 설치되는 경우 증기배출 용기(10)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은 플랜지부(200) 둘레를 따라 일정하고, 상기 증기배출부(400)의 폭은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에 비해 좁게 형성함으로써 리드필름(60) 실링 후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했을 때 증기배출부(400) 부분의 실링이 먼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은 4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mm이고, 상기 증기배출돌부(410) 및 폭유지돌부(412)의 폭(d)은 0.5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mm이다. 또한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을 상기 증기배출돌부(410) 및 폭유지돌부(412)의 폭(d)으로 나눈 값(D/d)은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링돌부(300)의 폭(D)의 절대적인 차이를 늘리고, 증기배출돌부(410) 및 폭유지돌부(412)의 폭(d)에 대비한 실링돌부(300)의 폭(D)을 상대적인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대량생산에서 발생가능한 실링돌부(300)의 불완전한 실링 또는 부분적인 실링에 따라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 증기배출부(400)의 실링이 먼저 분리되지 않는 불량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을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출 경우 증기배출돌부(410) 및 폭유지돌부(412)의 폭(d)에 대비한 실링돌부(300)의 폭(D)을 상대적인 차이를 크게 하기 어렵다.
또한 증기배출돌부(410) 및 폭유지돌부(412)의 폭(d)을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출 경우 불완전한 실링 또는 불완전한 실링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실링돌부(300) 및 증기배출돌부(410)의 높이는 0.5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mm이다. 상기 높이가 너무 낮으면 증기배출돌부(410)와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의 높이 차이가 적어지므로, 실링 공정에서 증기배출돌부(410) 뿐만 아니라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의 일부, 특히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이 함께 실링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의도치하지 않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 실링에 의해 용기 내부 압력 상승시 증기배출부(400) 부근의 실링이 먼저 분리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부(300) 및 증기배출돌부(410)는 플랜지부(200)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형성하므로, 하나의 증기배출부(400)에 대해서 실링돌부(300), 폭감소돌부(411), 폭감소돌부(411) 및 실링돌부(30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폭감소돌부(411) 및 폭감소돌부(411) 사이에 소정 폭(d)으로 유지되는 폭유지돌부(4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에 폭유지돌부(412)를 더 구비한 경우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나의 증기배출부(400)에 대해서 실링돌부(300), 폭감소돌부(411), 폭유지돌부(412), 폭감소돌부(411) 및 실링돌부(300)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에 첨단부(413)를 더 구비한 경우 도 6과 같이 하나의 증기배출부(400)에 대해서 실링돌부(300), 폭감소돌부(411), 폭유지돌부(412), 첨단부(413), 폭유지돌부(412), 폭감소돌부(411) 및 실링돌부(300)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첨단부(413)는 상기 폭감소돌부(411)의 실링돌부(300)의 타측 말단 또는 폭유지돌부(412)에서 연장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용기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와 증기배출돌부(410)의 폭(d)의 절대적인 차이 및 상대적인 차이 외에도, 본 발명의 증기배출부(400)는 구조적으로 첨단부(413)가 형성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 증기배출부(400)의 실링이 먼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폭유지돌부(412)는 도 7a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인 것일 수 있고, 직선과 원호가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원호의 곡률은 플랜지부(200)의 폭, 첨단부(413)의 각도, 폭유지돌부(412)의 폭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첨단부(413)의 뾰족한 부분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6,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용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용기 외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리드필름(60)이 팽창되면서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 상부의 리드필름(60)도 팽창되고, 도 8a와 같이 용기 내측 방향으로 첨단부(413)가 형성될 경우 첨단부(413) 양쪽에 위치한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 상부의 리드필름(60)의 팽창에 의해 첨단부(413)의 실링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양쪽에서 압력이 작용하므로 용기 내측 방향으로 첨단부(413)의 뾰족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단부(413)가 용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도 6,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상기 폭감소돌부(41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외측면은 플랜지부(200)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내측면은 첨단부(413)로 가면서 외측면과 가까워지면서 폭이 감소되어, 첨단부(413)의 양쪽에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첨단부(413)가 용기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폭감소돌부(41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내측면은 플랜지부(200)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외측면은 첨단부(413)로 가면서 외측면과 가까워지면서 폭이 감소되어, 첨단부(413)의 용기 내측에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가 형성된다.
폭유지돌부(412) 없이 상기 폭감소돌부(411)의 외측면은 원호를 그리면서 첨단부(413)까지 연장되고, 상기 폭감소돌부(411)의 내측면은 상기 외측면의 원호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의 원호를 그리면서 첨단부(413)까지 연장되어 첨단부(413)가 용기 내측을 향하도록 증기배출돌부(4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폭감소돌부(411)의 외측면은 원호를 그리면서 첨단부(413)까지 연장되고, 상기 폭감소돌부(411)의 내측면은 상기 외측면의 원호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의 원호를 그리면서 첨단부(413)까지 연장되도록, 첨단부(413)가 용기 외측을 향하도록 증기배출돌부(4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첨단부(41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45°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5°내지 70°각도(θ)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도(θ)가 너무 크면 첨단부(413) 양쪽에 위치한 가열시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 상부의 리드필름(60)이 팽창하면서 첨단부(413) 쪽으로 작용하는 압력이 첨단부(413)의 실링을 분리시키는데 온전히 사용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각도(θ)가 너무 작으면 성형 과정에서 첨단부(413)이 뾰족하게 성형되지 못하고 오히려 폭이 두껍게 성형되어 첨단부(413)의 실링의 분리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첨단부(413)를 뾰족하게 성형하면서 첨단부(413)의 상부면의 실링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될 경우 첨단부(413)의 상부면의 실링되는 면적이 커질 경우, 도 7b와 같이 첨단부(413)의 실링되는 상부면의 뾰족한 말단을 용기 내측으로 경사지게 첨단말단경사부(4131)를 형성하여 첨단부(413)의 상부면의 실링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첨단부(41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플랜지부 상부면의 내측 둘레에 접하거나 또는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일 수 있고, 도 6, 도7a 및 도 7b와 같이 용기 내측으로 돌출될 경우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의 내측 둘레에서 용기 내측으로 0.5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mm 돌출될 수 있다(도 7a 및 도 7b의 h).
상기 첨단부(413)이 일정 길이(h) 돌출되어 있으면, 도 8a에서 보듯이 가열에 의해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 상부의 리드필름(60)이 팽창하면서 첨단부(413) 쪽으로 작용하는 압력이 첨단부(413)의 실링을 분리시키는데 더욱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돌출 길이(h)가 너무 길면 용기(10) 성형이 불편하고, 증기배출부(400)이 형성된 용기 본체(100)의 측면에 강성을 부여하여 증기 배출시 증기에 의한 증기배출부(400)의 변형을 억제하여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고, 리드필름(60)을 실링할 때 종래 사용하는 통상의 실링장치의 실링 폭을 초과하여 실링이 불완전하게 되거나, 실링장치를 변경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상기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의 용기 본체(10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에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와 동일 또는 그 이하의 높이로 제1 보조돌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400)의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에서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이 제1 보조돌부(421) 없이 일정 길이 이상을 초과할 경우, 실링장치에서 한 번에 실링 공정이 수행될 때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의 플랜지부(200) 상부면이 리드필름(60)에 함께 실링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의도치하지 않은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의 실링에 의해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실링돌부(200)보다 증기배출부(400) 부근의 실링이 먼저 분리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도 7b의 A-A'단면도로서 도 9a는 전자레인지 가열 전의 모습이, 도 9b에서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리드필름(60)이 팽창한 후, 도 6c에서 전자레인지 가열이 일정 시간 지속되어 증기배출 용기(1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여 증기배출부(400)의 실링이 분리되면서 증기가 배출된 후 용기 본체가 변형되면서 용기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리드필름(60)이 다시 수축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때 증기배출부(400)에 상기 제1 보조돌부(421)가 없을 경우 리드필름(60)이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에서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의 플랜지부(200)의 상부면에 접하게 되면서 용기를 다시 부분적으로 밀폐하게 되어 용기 내부에 음압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도 9c처럼 제1 보조돌부(421)가 형성된 경우 리드필름(60)이 수축되더라도 제1 보조돌부(421)가 리드필름(60)을 기둥처럼 받쳐주므로, 제1 보조돌부(421) 양 옆으로 용기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에 음압이 걸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돌부(421)의 높이는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와 동일 또는 그 이하의 높이일 수 있고,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높이를 100이라 할 때 제1 보조돌부(421)의 높이는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돌부(421)의 상부면의 실링 면적은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상부면의 실링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좁고, 상기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의 용기 본체(10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1 보조돌부(421)가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거나 상기 높이 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실링장치에서 한 번에 실링 공정이 수행될 때 상대적으로 제1 보조돌부(421)의 실링 강도가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실링 강도보다 더 높게 실링되는 경향이 있고, 이 경우 도 9b와 같이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리드필름(60)이 팽창할 경우 증기배출돌부(410)보다 먼저 제1 보조돌부(421)의 실링이 분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돌부(421)의 높이가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제1 보조돌부(421)는 리드필름(60)에 부분적으로 실링되거나 또는 실링되지 않더라도 리드필름(60)이 팽창 후 수축되었을 때 제1 보조돌부(421)가 리드필름(60)을 기둥처럼 받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는 지장이 없다.
그러나 상기 제1 보조돌부(421)의 높이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제1 보조돌부(421)가 리드필름(60)을 기둥처럼 받치더라도 플랜지부(200)의 상부면과의 높이 차이가 낮아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에서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의 플랜지부(200)의 상부면에 접하게 될 수 있고, 용기를 다시 부분적으로 밀폐하게 되어 용기 내부에 음압이 걸릴 수 있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돌부(42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에서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에서 기둥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1 내지 2개의 제1 보조돌부(421)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충분하도록 상기 플랜지부(200)와 나란한 방향을 길이 방향, 수직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경우,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돌부(421)의 길이는 5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mm, 폭은 1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m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에서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보조돌부(421)는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의 길이가 5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 mm가 되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어 도 7b의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에는 1개의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에 1개의 제1 보조돌부(421)로 충분하나,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의 길이가 긴 경우 2개의 제1 보조돌부(4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돌부(421)이 도 7b의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에 1개 설치되는 경우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이 첨단부(413) 쪽이 넓고, 폭감소돌부(411)의 시작점 부준은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보조돌부(421)는 첨단부(413)부터 폭감소돌부(411)의 시작점까지의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의 길이를 100이라 할 때, 첨단부(413) 쪽에 치우쳐서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증기배출부(400)는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을 바닥으로 하고,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측면을 일측으로 하며, 타측의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의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측면의 길이가 소정 길이, 예를 들어 15mm 이상인 경우 전자레인지 가열로 증기배출부(400)의 실링이 분리되어 증기가 배출된 후 리드필름(60)이 다시 수축되면서 리드필름(60)이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의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측면에 접하게 되면서 용기를 다시 부분적으로 밀폐하게 되어 용기 내부에 음압이 걸릴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의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측면에 제2 보조돌부(431)가 형성된 경우 제2 보조돌부(431)이 리드필픔(60)을 기둥처럼 받쳐주므로, 제2 보조돌부(431) 양 옆으로 용기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에 음압이 걸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도 6c 참조).
상기 제2 보조돌부(431)의 높이는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높이를 100이라 할 때 6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돌부(431)는 상기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의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측에 형성되므로, 실링장치에서 한 번에 실링 공정이 수행될 때 플랜지부(200)가 용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구조적으로 유연하게 높이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상대적으로 제2 보조돌부(421)의 실링 강도가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실링 강도보다 더 낮게 실링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2 보조돌부(431)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측면에서 리드필름(60)을 받치는 기둥 역할을 수행할 수 없고, 높이가 너무 높으면 한 번에 실링 공정이 수행될 때 제2 보조돌부(431)가 너무 튀어나와 실링이 너무 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돌부(43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에서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측면에서 기둥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200)와 나란한 방향을 길이 방향, 수직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경우,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돌부(421)의 길이는 2 내지 6 m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m이고, 폭은 0.5 내지 2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m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에서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보조돌부(431)는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측면의 길이가 5 내지 12 mm,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 mm가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2 보조돌부(431)이 도 7b와 같이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에 1개 설치되는 경우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430)의 외부와 연통되는 측면의 중앙에 설치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증기배출 용기
100: 용기 본체 110: 용기 측벽
1101: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
1102: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
1103: 용기 측벽 모서리
1104: 용기 측벽과 타원의 장축의 교차점
120: 용기 바닥면
111: 보강패턴
200: 플랜지부
300: 실링돌부
400: 증기배출부
410: 증기배출돌부 411: 폭감소돌부
412: 폭유지돌부 413: 첨단부
4131: 첨단말단경사부
420: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 421: 제1 보조돌부
430: 비접촉 플랜지 외측 공간부 431: 제2 보조돌부
500: 실링보강부 510: 실링보강돌부
520: 측벽보강부
60: 리드필름
70: 내용물

Claims (21)

  1. 상측이 개구되고 용기 측벽(110)에 둘러싸여 수납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100);
    상기 용기 측벽(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00);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 둘레로 일정 높이 및 일정 폭(D)으로 돌출된 실링돌부(300);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 둘레로 상기 실링돌부(300)에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돌부(300)와 동일 높이이며,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증기배출돌부(410)를 포함하는 증기배출부(400);
    상기 용기 측벽(1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의 상부 가장자리의 플랜지부(200)에는 실링돌부(300)가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2)의 상부 가장자리의 플랜지부(200)에 상기 증기배출부(400)가 형성되는 증기배출 용기(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0)의 가로 대 세로 또는 장축 대 단축의 비율은 100 : 5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2)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가로 방향 또는 장축 방향의 용기 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측벽(110)에는 실링보강부(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보강부(500)는 상기 실링돌부(300)의 내측 둘레에서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보강돌부(510), 및 상기 실링보강돌부(510)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용기 본체의 측벽에 접하는 측벽 보강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보강돌부(5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보강돌부(5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실링돌부(300)의 내측 둘레에서 용기 내측으로 2 내지 5 mm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측벽(110)에서 상기 실링보강돌부(510)와 실링보강돌부(510) 사이, 상기 실링보강돌부(510)과 용기 측벽 모서리(120) 사이, 용기 측벽 모서리(1103)와 용기 측벽 모서리(1103) 사이, 또는 용기 측벽과 타원의 장축의 교차점(1104)과 실링보강돌부(510) 사이의 거리(L)는 30 내지 1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에는 보강패턴(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턴(111)은 용기 측벽(110)의 수직 높이 방향으로 길쭉한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이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은 마름모형 패턴 또는 원기둥형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용기 측벽(1102) 중에서 수직 높이 방향으로 증기배출부(400)가 형성되지 않는 용기 측벽 및 상기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용기 측벽(1101)에는 보강패턴(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턴(111)은 용기 측벽(110)의 수직 높이 방향으로 길쭉한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이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은 마름모형 패턴 또는 원기둥형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400)에는 상기 플랜지부(200) 상부면을 바닥으로 하고,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측면을 일측으로 하며, 타측의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비접촉 플랜지 내측 공간부(420), 및
    상기 증기배출돌부(410)는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에서 소정 폭(d)까지 감소되는 폭감소돌부(411) 및 상기 폭감소돌부(411)의 실링돌부(300)의 타측 말단에서 연장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용기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첨단부(4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폭감소돌부(411) 및 첨단부(413) 사이에 소정 폭(d)으로 유지되는 폭유지돌부(4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41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45°내지 90°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은 4 내지 1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10).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돌부(410)의 폭(d)은 1 내지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돌부(300)의 폭(D)을 상기 증기배출돌부(410) 및 폭유지돌부(412)의 폭(d)으로 나눈 값(D/d)은 2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용기.
KR1020220067368A 2022-06-02 2022-06-02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KR20230167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68A KR20230167499A (ko) 2022-06-02 2022-06-02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68A KR20230167499A (ko) 2022-06-02 2022-06-02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499A true KR20230167499A (ko) 2023-12-11

Family

ID=8916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368A KR20230167499A (ko) 2022-06-02 2022-06-02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4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41B1 (ko)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41B1 (ko)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4736B2 (ja) 射出成形材料によって包み込まれるか又は該材料から形成されるリム或いは他の特徴部を有するコンテナ
US7034268B2 (en) Self-venting microwave cooking container for use with a vertical fill automated machine
US6847022B2 (en) Microwav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venting configuration
JP4347407B2 (ja) 包装体及び容器
WO2014144226A1 (en) Resealable leak-resistant containers having a molded pulp tray with a plastic lid
KR20180003407U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CN111788121B (zh) 用于包装容器的密封装置
US20020020702A1 (en) Food container to be treated by electronic oven and packaged food using this container
KR200491706Y1 (ko)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US20030068411A1 (en) Microvaveable pasta product
JP2009078865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KR20190001007U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KR20230167499A (ko) 용기 측벽에 증기배출부가 형성된 용기
JP2008174278A (ja) 加工食品用容器
KR20230167498A (ko) 첨단부가 형성된 증기배출 용기
US10961010B2 (en) Tray with enhanced rigidity and crush strength
KR200438848Y1 (ko) 발효가스 배출용 패킹
JP6814831B2 (ja) 食品包装用容器
JP6881822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容器
US20030003205A1 (en) Fresh meat package
JP2017178335A (ja) 包装容器
JPH1191836A (ja) 電子レンジ対応容器
JP3237629U (ja) 食品包装用容器
JP3324977B2 (ja) 密封成形容器
JP2017114492A (ja) 包装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