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20637A1 -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20637A1
WO2021020637A1 PCT/KR2019/010415 KR2019010415W WO2021020637A1 WO 2021020637 A1 WO2021020637 A1 WO 2021020637A1 KR 2019010415 W KR2019010415 W KR 2019010415W WO 2021020637 A1 WO2021020637 A1 WO 20210206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uch
hole
microwave oven
width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4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희국
Original Assignee
(주)태방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방파텍 filed Critical (주)태방파텍
Publication of WO20210206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206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for a microwave oven equipped with a vapor discharging means, and in particular, when the vapor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pouch exceeds a set pressure during use of the microwave oven, the corner of the sealing portion is opened to guide the vapor discharg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for a microwave oven provided with a vapor discharging means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steam is discharged toward a through hole through a passage and a passage.
  • a vapor discharging standing pouch having a gadget wherein the steam discharging standing pouch has a width direction and a height direction, and the pouch body portion is an 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ide seal part having a sealing process, and a side seal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It is an upper end and has a sealing scheduled part which is not subjected to sealing, and the floor gadget has an 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lower en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gadget seal part subjected to sealing processing, and the side seal part is an upper side A portion, a vapor passage portion, and an intermediate side portion, and the upper side portion, the vapor passage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side portion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bag body portion, and the vapor passage portion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g body portion.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83970 Food packaging container equipped with an automatic control and discharge function for microwave oven internal pressure (published date: 2017.07.19).
  •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for receiving food, and a sealed lid covered with the container body to seal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the sealed lid, the inner A dome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 upward to further expand the volume of the remaining free space (headspace) after filling the food to the upper side of the spac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ome portion to allow external discharge of the heating steam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A distribution unit; And, a label attached to the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dome unit so as to cover the entire distribution unit so that the sealed st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is completely maintained, and the heating steam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may be deformed or damaged if a vacuum negative pressure occurs inside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fter the vap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253862 “Cooking Container” (Registration Date: 2013.04.05)
  • Patent Document 2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83970 "Food packaging container equipped with automatic control and discharge function of internal pressure for microwave oven (Publication date: 2017.07.19)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discharge vapor toward the through hole while the corner of the sealing part is opened when the vapor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pouch exceeds the set pressure during use of the microwave ove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ouch for a microwave oven having a vapor discharge means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guide a vapor discharge path to achieve this.
  • the floor surface is provided so that it can stand on the floor,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re extended upwards before and after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upper part is joined, and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therein.
  • a pouch body having a portion; A through hole perforated to communicate before and after an upper portion of the pouch body; And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re join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to seal the through hole and the space part, and when the steam generated in the space part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microwave oven is above a certain pressure, the sp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d a sealing portion; a corner portion located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space portion toward the lower one side toward the through hol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corner portion is thinn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width of the corner portion i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 the vapor discharge passage is formed with an expansion port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sealing por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ssage portion so that passage portions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corner portion toward the through hole.
  • the extended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becomes thinner toward the through hole.
  • the width of the sealing part is 1.0 to 3.0 mm, and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is 0.7 to 2.19 mm.
  • the sealing part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and the width of the other part.
  • the edge portion is formed to be thinner in width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aling portion, and as it is located in a diagonal direction toward the through hole, the steam pressure acts most when steam is generated, thereby performing a gate function for steam discharge.
  • the contents in the pouch using a microwave oven can be safely heated by adjusting the width by heating the contents in the space for an appropriate time, and then allowing the vapor in the spac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pace to the through hole after the appropriate time has elapsed. Has an advantage.
  •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o be guided to the through-hole side through the passag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xpansion portions in which the sealing state is maintained because the vapor in the space portion introduced into the vapor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open edge portion is relatively wide,
  •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excessive opening of the sealing part during the steam discharge process when heating in a microwave ove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uch equipped with a vapor discharg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hole and sealing portion.
  •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ling unit.
  •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ling unit.
  • FIG. 6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ling unit.
  •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al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 corner 310 steam discharge flow path
  • extension part 325 passage part
  •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guide a vapor discharge path of a pouch containing food to a designated path side during a food cooking process in a pouch using a microwave oven.
  • a pouch for a microwave oven equipped with a vapor discharging mea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includes a pouch body 100 having a space portion 105 therein; Through holes 150 perforated in the pouch body 100; And a sealing part 200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50 to block the through hole 150 from the space part 105.
  • the pouch body 100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so that it can stand on the bottom, and the front portion 110 and the rear portion 120 are extended to the top and front portions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joined, and the contents are A space portion 105 to be accommodated is formed.
  • a zipper lock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 the through hole 15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erforation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before and after an upper portion of the pouch body 100.
  • the through hole 150 is formed under the zipper lock portion.
  • the sealing part 200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50 and the front part 110 and the rear part 120 are joined by a fusion method to form the space part 105 and the through hole 150 It blocks the surroundings.
  • the sealing part 200 is provid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pouch body 100, and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dge of the pouch body 100 for easy processing.
  • the sealing part 200 has a lower one end connected to the side rim of the sealed pouch, and the upper part connected to the door lock or the upper rim of the sealed pouch.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aling part 20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to block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50 from the space part 105 side, as shown in FIG. 3, and toward the through hole 150
  • the lower one side (right side in FIG. 3)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rner part 210) is formed in a form having a width thinner than that of the other part.
  • the corner portion 210 is formed to have a width of the through hole 150 to be thinner than the width of other portions by processing the diagonal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50 in a chamfered shape.
  • a steam discharge passage 310 for guiding steam toward the through hole 15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rner part 210 of the sealing part 200 and the through hole 150.
  • the steam discharge passage 310 is formed between the corner part 210 and the through hole 150, and when the sealing part 200 is opened when the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microwave oven is above a certain pressure, It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o the through hole 150 side.
  • the steam discharge passage 310 is provided with the sealing part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ssage part 325 so that the passage part 325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corner part 210 toward the through hole 150.
  • An extended portion 320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200 is formed.
  • the passage part 325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communicates with the vapor discharge passage 310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150.
  • the sealing part 200 is a corner part when the pressure of the steam generated in the space part 105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n the process of cooking the contents (food) contained in the space part 105 using a microwave oven.
  • the air in the space portion 10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0 and the open edge portion 210 toward the through hole 150.
  • the corner part 210 of the sealing part 200 becomes a part where the expansion pressure (load) of the pouch body 100 acts the most when steam is generated in the space part 105, and the sealing part 200 Since the width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other parts, it becomes a part that is opened so that the sealing state is first released by the vapor pressure generated in the space part 105.
  • sealing part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the contents (for example, the retort contents containing moisture) in the space part 105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surfaces.
  • the microwave oven When the microwave oven is turned on in this state, the moisture in the space 105 is vaporized by heating the microwave,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vaporized vapor is higher than a certain pressure, the corner part 210 of the sealing part 200 is First, the sealing state is released and opens.
  • the steam in the space part 105 is discharged to the through hole 150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assage 310 and the passage part 325 through the open corner part 210.
  • the opening timing of the corner portion 210 is preferably opened after the contents of the retort are sufficiently heated to complete cooking.
  • the opening timing of the corner portion 210 may vary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the moisture content contained in the contents, the heating condition of the microwave oven, the material of the pouch body 100, and the width of the corner portion 210. have.
  • the pouch main body 100 is a stand pouch, W180, L150, BG42, and a PET-based fabric was used, and 100g of water was used as a sampl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space part 105, and the microwave heating condition was Heated to 700w for 2 minutes.
  • Example 1 The width of the sealing part is 0.5mm
  • Example 1 the width of the sealing part is 1.0mm
  • Example 2 the width of the sealing part is 3.0mm
  • Comparative Example 2 (Seal width 5.0 mm) 1. Corner width (mm) 0.35 0.71 1.07 2.19 3.66 2. Opening time (sec) 51 72 80 100 112 3. Opening temperature (°C) 92 94 98 98 99
  • the width of the sealing part 200 is 5.0 mm
  •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210 is 3.66 mm
  • the opening time is 112 seconds
  •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non-contact thermometer at the time of opening corresponds to 99°C.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pen because the width is too thick, 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vapor can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corner portion 210 and is opened at another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body 100.
  • the width of the sealing portion 200 excluding the corner portion 210 is 1.0 to 3.0 mm.
  • the width of the sealing part 200 excluding the corner part 210 is less than 1.0 mm, it is difficult to process, and the sealing width is thin so that it is quickly opened by steam pressure, so that the contents filled in the space part 105 are sufficient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heated.
  • the width of the sealing part 200 exceeds 3.0 mm, it is difficult to open it when the microwave oven is heated, and other sealing parts of the pouch body 100 (the side rim or the upper part) than the sealing part 200 The rim) is open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space portion 105 flow out and scatter into the microwave oven, thereby contaminating the microwave oven.
  •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210 is 0.7 to 2.19mm, and if it is less than 0.7m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tort contents contained in the pouch may not be sufficiently heated as it is opened to the through hole 150 side by vapor pressure. When it exceeds 2.19mm, the vapor pressure in the space portion 105 containing the contents (food) expands and the other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body 100 is opened, not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150, so that the contents of the retort inside the pouch are microwaved. Or the pouch may be damaged or deformed.
  • the opening time for steam discharge and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opening are appropriate, but accommodated in the space part 105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s and moisture content.
  • the edge part 210 is formed to be thinner in width than other parts, and as it is located in a diagonal direction toward the through hole 150, the steam pressure is the most when steam is generated. Since it acts a lot and performs a gate function for discharging steam, the contents in the space part 105 are heated for a suitable time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210, and then the through hole 150 side By allowing the vapor in the space part 105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pace part 105,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ents of the pouch can be safely heated using a microwave oven.
  •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o be guided to the through-hole side through the passage por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expansion portions in which the sealing state is maintained because the vapor in the space portion introduced into the vapor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open corner portion 210 is relatively wid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other sealing parts of the pouch body from being opened, and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excessive opening of the sealing parts during steam discharge during heating in a microwave ove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aling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ortion 200 has a structure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width of the corner portion 210 i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 corner part 210 is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that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other part of the sealing part 200, vapor pressure of more than a certain pressure generated in the space part 105 is transmitted to the corner part 210 side. If so, the space part 105 and the vapor discharge passage 310 may be opened in communication.
  • the left and upper portions extending from the corner portion 210 have a structure that is gradually thicker than the width of the corner portion 210.
  • edge portion 210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aling portion 200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aling portion 200 described above.
  • FIG. 6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ealing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aling part 200 has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210 and other parts.
  • FIG.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ortion 200 is dispos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side edge of the pouch body.
  • the sealing part 200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side edge of the pouch body 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사용중에 파우치 내부에 발생되는 증기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씰링부의 모서리부가 개방되면서 증기 배출을 가이드하는 증기배출유로와 통로부를 통해 통공측으로 증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에 기립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면의 전,후 상측으로 전면부와 후면부가 연장되어 상부가 접합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는 파우치 본체와; 상기 파우치 본체의 상부 일측 부위에 전,후로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통공; 및 상기 통공의 테두리 둘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접합되어 상기 통공과 상기 공간부를 씰링 차단하며, 전자레인지의 조리과정에서 상기 공간부 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일 때 상기 공간부 내의 증기가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통공을 향해 하부 일측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모서리부가 개방되는 씰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대표도] 도 1

Description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본 발명은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레인지의 사용중에 파우치 내부에 발생되는 증기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씰링부의 모서리부가 개방되면서 증기 배출을 가이드하는 증기배출유로와 통로부를 통해 통공측으로 증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토르트식품, 냉동식품 등을 충전 밀봉한 조리용 파우치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가열에 따라 내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용기의 커버필름부위가 파열되면서 내용물이 비산되는 동시에, 비산물로 인해 전자레인지 내부가 오염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화상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가열하기 전에 용기의 커버필름 일부분을 미리 개봉하거나 커버필름에 구멍을 뚫어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 파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커버필름을 미리 개봉하게 되면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발생즉시 용기 외부로 배출되어지기 때문에 고온상태의 수증기에 의한 내용물의 가열효과가 저감되고,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7885호 "증기 배출 스탠딩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스탠딩 파우치"(등록일자 : 2016.12.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부와 바닥 가젯을 갖는 증기 배출 스탠딩 파우치로서, 상기 증기 배출 스탠딩 파우치는 폭 방향과 높이 방향을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의 단부이며 시일 가공이 실시된 사이드 시일부와, 상기 높이 방향에서의 상단부이며 시일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시일 예정부를 갖고, 상기 바닥 가젯은, 상기 폭 방향에서의 단부 및 상기 높이 방향에서의 하단부이며 시일 가공이 실시된 가젯 시일부를 갖고, 상기 사이드 시일부는, 상방 사이드부, 증기 통과부 및 중간 사이드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부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상기 상방 사이드부, 상기 증기 통과부 및 상기 중간 사이드부의 순서대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증기 통과부는 상기 주머니 본체부의 폭 방향에서 주머니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오목해지는 오목 부분을 갖고, 상기 증기 통과부의 상기 오목 부분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주머니 본체부의 최대 팽창 예정 부분의 중심인 최대 팽창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방 사이드부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최대 팽창 중심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중간 사이드부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최대 팽창 중심 사이의 거리 중 어느 것보다도 짧은 증기 배출 스탠딩 파우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기술에서는 내부의 팽창압력이 통공 형성부위로 유도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또한 조리 완료 후 커버필름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83970호 "전자레인지용 내부압력 자동 조절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공개일자 : 2017.07.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식품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덮어씌워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 상단부를 밀봉하게 된 밀폐뚜껑을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뚜껑은, 상기 내부공간 상측으로 식품을 채우고 남은 여유공간(헤드스페이스)의 체적이 더 확장되도록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돔부; 상기 돔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생성된 가열증기의 외부배출이 가능토록 하는 유통부; 및, 상기 유통부 전체를 덮도록 상기 돔부 중앙 상면에 부착시켜, 포장용기의 밀봉상태가 완벽히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유통부를 통한 가열증기의 외부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라벨;로 구성된 것이다.
위 경우에는 유통부를 통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 후에 식품 포장용기 내부에 진공 부압이 발생하게 될 경우 식품 포장용기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53862호 "조리용 용기"(등록일자 : 2013.04.05)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83970호 "전자레인지용 내부압력 자동 조절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공개일자 : 2017.07.1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레인지의 사용중에 파우치 내부에 발생되는 증기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씰링부의 모서리부가 개방되면서 통공을 향해 증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증기 배출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기립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면의 전,후 상측으로 전면부와 후면부가 연장되어 상부가 접합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는 파우치 본체와; 상기 파우치 본체의 상부 일측 부위에 전,후로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통공; 및 상기 통공의 테두리 둘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접합되어 상기 통공과 상기 공간부를 씰링 차단하며, 전자레인지의 조리과정에서 상기 공간부 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일 때 상기 공간부 내의 증기가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통공을 향해 하부 일측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모서리부가 개방되는 씰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링부는 상기 모서리부의 폭이 다른 부위보다 얇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는 상기 모서리부의 폭이 다른 부위보다 얇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부와 통공 사이에 형성되며, 전자레인지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일 때 개방되도록 하고, 개방될 경우 상기 증기를 상기 통공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증기배출유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증기배출유로는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통공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통로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좌,우 양측에 상기 씰링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확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통공을 향해 갈수록 좌,우 양측의 폭이 얇아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씰링부의 폭 넓이는 1.0~3.0mm이며, 상기 모서리부의 폭 넓이는 0.7~2.19mm인 것이다.
상기 씰링부는 상기 모서리부의 폭 넓이와 다른 부위의 폭 넓이가 동일한 폭 넓이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모서리부가 씰링부의 다른 부위보다 폭 넓이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을 향해 대각선 방향에 위치함에 따라 증기 발생시 증기 압력이 가장 많이 작용하게 되어 증기 배출을 위한 게이트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모서리부의 폭 넓이 조절로 공간부 내의 내용물을 적정 시간동안 가열한 후에 적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통공측으로 공간부 내의 증기가 공간부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파우치 내의 내용물 가열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된 모서리부를 통해 증기배출유로 내에 유입된 공간부 내의 증기가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서 씰링상태가 유지된 좌,우측 확장부 사이의 통로부를 통해 통공측으로 가이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파우치 본체의 다른 씰링 부위가 개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레인지 가열시 증기 배출과정에서 씰링부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파우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통공과 씰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씰링부의 제1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씰링부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씰링부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씰링부의 배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부호의 설명]
100 : 파우치 본체 105 : 공간부
110 : 전면부 120 : 후면부
150 : 통공 200 : 씰링부
210 : 모서리부 310 : 증기배출유로
320 : 확장부 325 : 통로부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파우치 내의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담겨진 파우치의 증기 배출 통로를 지정된 경로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에 공간부(105)가 마련된 파우치 본체(100)와; 상기 파우치 본체(100)에 천공된 통공(150); 및 상기 통공(150)의 둘레 외측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통공(150)을 공간부(105)와 차단시키는 씰링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우치 본체(100)는 바닥에 기립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면의 전,후 상측으로 전면부(110)와 후면부(120)가 연장되어 상부가 접합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는 좌,우측 테두리 및 상부가 접합되고, 상부에 지퍼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공(150)은 상기 파우치 본체(100)의 상부 일측 부위에 전,후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통공(150)은 상기 파우치 본체(100)에 상기 지퍼락이 마련될 경우, 지퍼락 부위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통공(150)의 테두리 둘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를 융착방식으로 접합시켜 상기 공간부(105)와 통공(150) 주변을 차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씰링부(200)는 파우치 본체(100)의 상부 위치에 마련되며,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파우치 본체(100)의 상부 일측 테두리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씰링부(200)는 하부 일측단이 씰링 처리된 파우치의 측면 테두리와 연결되고, 상부가 도어락 또는 씰링 처리된 파우치의 상부 테두리와 연결된다.
상기 씰링부(200)의 제1실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50)의 둘레를 공간부(105) 측으로부터 차단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통공(150)을 향해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하부 일측(도 3에서의 우측) 모서리 부위(이하 모서리부(210)라 칭함)가 다른 부위보다 폭 넓이가 얇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부(210)는 상기 통공(150)의 대각선 테두리 부위가 모따기 형태로 가공되어 폭 넓이를 다른 부위의 폭 넓이보다 더 얇게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200)의 모서리부(210)와 상기 통공(150)의 사이에는 증기를 상기 통공(150)측으로 유도하는 증기배출유로(3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증기배출유로(310)는 상기 모서리부(210)와 통공(150) 사이에 형성되어 전자레인지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일 때 상기 씰링부(200)가 개방될 경우 상기 증기를 상기 통공(150)측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증기배출유로(310)는 상기 모서리부(210)로부터 상기 통공(150)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통로부(325)가 형성되도록 상기 통로부(325)의 좌,우 양측에 상기 씰링부(200)의 폭보다 더 두꺼운 폭을 갖는 확장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부(325)는 일측이 상기 증기배출유로(310)와 연통되고, 타측이 통공(150)과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씰링부(200)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공간부(105) 내에 담겨진 내용물(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공간부(105) 내에서 발생된 증기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 도달하게 될 경우 모서리부(210)가 개방되고, 개방된 모서리부(210)를 통해 통공(150)측으로 공간부(105) 내의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씰링부(200)의 모서리부(210)는 공간부(105) 내에 증기가 발생할 경우 파우치 본체(100)의 팽창압력(부하)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 부위가 됨과 아울러, 씰링부(200)의 다른 부위보다 폭 넓이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간부(105) 내에서 발생된 증기 압력에 의해 가장 먼저 씰링상태가 해제되도록 개방되는 부위가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씰링부(200)의 제1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부(105) 내에 내용물(예를 들어 수분이 함유된 레토르트 내용물)이 담겨진 상태로 전자레인지를 온동작시키면, 전자레인지 가열에 따라 공간부(105) 내의 수분이 증기화되고 증기화된 증기의 압력이 일정 압력이상일 때 씰링부(200) 중에서 모서리부(210)가 가장 먼저 씰링상태가 해제되면서 개방된다.
이에 따라 공간부(105) 내의 증기는 개방된 모서리부(210)를 통해 증기배출유로(310) 및 통로부(325)를 거쳐 통공(150)측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모서리부(210)의 개방시기는 레토르트 내용물이 충분히 가열되어 조리가 완성된 후에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서리부(210)의 개방시기는 내용물에 함유된 수분 함유율, 전자레인지의 가열 조건, 파우치 본체(100)의 소재, 및 모서리부(210)의 폭 넓이 등의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조건에 대한 본 발명 파우치의 증기 배출을 위한 개방 실험 조건 및 결과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먼저 파우치 본체(100)는 스탠드 파우치로서, W180, L150, BG42이며, 원단은 PET계열의 것을 채용하였고, 공간부(105) 내에 담겨지는 내용물 시료로는 물 100g을 채용하였으며, 전자레인지 가열 조건은 700w로 2분 동안 가열하였다.
파우치의 증기 배출 실험 테스트
비교예1(씰링부의 폭 0.5mm) 실시예1(씰링부의 폭1.0mm) 실시예2(씰링부의 폭 1.5mm) 실시예3(씰링부의 폭 3.0mm) 비교예2(씰링부의 폭 5.0mm)
1. 모서리부 폭(mm) 0.35 0.71 1.07 2.19 3.66
2. 개방 시간(sec) 51 72 80 100 112
3. 개방 온도(℃) 92 94 98 98 99
상기 표 1에 표현한 바와 같이, 비교예1은 씰링부(200)의 폭 0.5mm이고, 모서리부(210)의 폭이 0.35mm인 경우에는 개방시간이 51초이고 개방시 비접촉식 온도계에 감지된 온도가 92℃에 불과하므로, 증기 배출을 위한 개방시간이 너무 짧고 공간부(105)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충분히 가열되지 못한 결과가 나왔다.
한편, 비교예2는 씰링부(200)의 폭 5.0mm이고, 모서리부(210)의 폭이 3.66mm에 해당되며, 개방시간이 112초이고 개방시 비접촉식 온도계에 감지된 온도가 99℃에 해당하므로, 폭이 너무 두꺼워 개방이 어렵고, 모서리부(210)를 통해 증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파우치 본체(100)의 다른 씰링 부위에서 개방된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모서리부(210)를 제외한 씰링부(200)의 폭 넓이는 1.0~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서리부(210)를 제외한 씰링부(200)의 폭 넓이가 1.0mm 미만일 경우에는 가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씰링 폭 넓이가 얇아서 증기 압력에 의해 빨리 개방되어 공간부(105) 내에 채워진 내용물이 충분히 가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200)의 폭 넓이가 3.0mm 초과시에는 전자레인지의 가열시 개방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씰링부(200)가 아닌 파우치 본체(100)의 다른 씰링 부위(측면 테두리 또는 상부 테두리)가 개방되어 공간부(105) 내의 내용물이 전자레인지 내로 흘러나와 비산되어 전자레인지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모서리부(210)의 폭 넓이는 0.7~2.19mm인 것이 바람직하며, 0.7mm 미만일 경우에는 증기 압력에 의해 통공(150)측으로 조기 개방됨에 따라 파우치 내부에 담겨진 레토르트 내용물이 충분히 가열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2.19mm 초과시에는 내용물(음식물)이 담겨진 공간부(105) 내의 증기 압력이 팽창되어 통공(150)측이 아니라 파우치 본체(100)의 다른 씰링 부위가 개방되면서 파우치 내부의 레토르트 내용물이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비산되거나 파우치가 손상 및 변형될 우려가 있다.
가장 바람직한 씰링부(200)의 폭 넓이는 1.5mm이고, 모서리부(210)의 폭 넓이가 1.07mm일 경우, 증기 배출을 위한 개방시간과 개방시 온도가 적정하지만, 공간부(105)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와 수분 함유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씰링부(200)의 제1실시 예는 모서리부(210)가 다른 부위보다 폭 넓이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150)을 향해 대각선 방향에 위치함에 따라 증기 발생시 증기 압력이 가장 많이 작용하게 되어 증기 배출을 위한 게이트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모서리부(210)의 폭 넓이 조절로 공간부(105) 내의 내용물을 적정 시간동안 가열한 후에 적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통공(150)측으로 공간부(105) 내의 증기가 공간부(105)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파우치 내의 내용물 가열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된 모서리부(210)를 통해 증기배출유로 내에 유입된 공간부 내의 증기가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서 씰링상태가 유지된 좌,우측 확장부 사이의 통로부를 통해 통공측으로 가이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파우치 본체의 다른 씰링 부위가 개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레인지 가열시 증기 배출과정에서 씰링 부위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씰링부(200)의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하되, 앞서 설명한 제1실시 예의 구성인 증기배출유로(310), 통로부(325) 및 확장부(320)가 공통적으로 구비되며,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씰링부(200)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모서리부(210)의 폭이 다른 부위보다 얇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모서리부(210)는 씰링부(200)의 다른 부위로부터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공간부(105) 내에서 발생된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압력이 모서리부(210)측에 전달될 경우 상기 공간부(105)와 증기배출유로(310)를 연통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제1실시 예와는 달리, 모서리부(210)로부터 연장된 좌측과 상측 부위가 모서리부(210)의 폭 넓이보다 점차적으로 두꺼워진 구조를 갖는다.
위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씰링부(200)의 제1실시 예와는 다른 형태로 모서리부(210)가 씰링부(200)의 다른 부위보다 폭 넓이가 얇게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씰링부(200)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모서리부(210)의 폭과 다른 부위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 것이다.
위의 경우에는 공간부(105) 내에서 발생되는 증기 압력이 모서리부(210)에 가장 많이 전달되므로, 모서리부(210)의 폭이 씰링부(200)의 다른 부위와 동일하더라도 가장 먼저 개방되어 공간부(105) 내의 증기를 통공(15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씰링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씰링부(200)가 파우치 본체의 측면 테두리 씰링 부위에 근접된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위 경우에는 상기 씰링부(200)가 상기 파우치 본체(100)의 측면 테두리 씰링 부위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바닥에 기립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면의 전,후 상측으로 전면부(110)와 후면부(120)가 연장되어 상부가 접합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105)를 갖는 파우치 본체(100)와;
    상기 파우치 본체(100)의 상부 일측 부위에 전,후로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통공(150); 및
    상기 통공(150)의 테두리 둘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가 접합되어 상기 통공(150)과 상기 공간부(105)를 씰링 차단하며, 전자레인지의 조리과정에서 상기 공간부(105) 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일 때 상기 공간부(105) 내의 증기가 상기 통공(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간부(105)에서 상기 통공(150)을 향해 하부 일측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모서리부(210)가 개방되는 씰링부(2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모서리부(210)의 폭이 다른 부위보다 얇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모서리부(210)의 폭이 다른 부위보다 얇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210)와 통공(150) 사이에 형성되며, 전자레인지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일 때 개방되도록 하고, 개방될 경우 상기 증기를 상기 통공(150)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증기배출유로(3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유로(310)는 상기 모서리부(210)로부터 상기 통공(150)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통로부(325)가 형성되도록 상기 통로부(325)의 좌,우 양측에 상기 씰링부(200)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확장부(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200)의 폭 넓이는 1.0~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210)의 폭 넓이는 0.7~2.1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모서리부(210)의 폭 넓이와 다른 부위의 폭 넓이가 동일한 폭 넓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PCT/KR2019/010415 2019-07-26 2019-08-16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WO202102063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67 2019-07-26
KR1020190091167A KR102152457B1 (ko) 2019-07-26 2019-07-26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637A1 true WO2021020637A1 (ko) 2021-02-04

Family

ID=7247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415 WO2021020637A1 (ko) 2019-07-26 2019-08-16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2457B1 (ko)
WO (1) WO202102063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478A (ja) * 2005-11-18 2007-06-0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7191199A (ja) * 2006-01-20 2007-08-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KR20080007647A (ko) * 2005-05-02 2008-01-22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레인지용 포장봉투
KR101391841B1 (ko) *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1892377B1 (ko) * 2011-12-28 2018-08-27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포장봉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862B1 (ko) 2010-12-21 2013-04-12 씨제이제일제당 (주) 조리용 용기
KR102077312B1 (ko) 2017-01-09 2020-02-13 박준명 전자레인지용 내부압력 자동 조절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647A (ko) * 2005-05-02 2008-01-22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레인지용 포장봉투
JP2007137478A (ja) * 2005-11-18 2007-06-0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7191199A (ja) * 2006-01-20 2007-08-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KR101892377B1 (ko) * 2011-12-28 2018-08-27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포장봉지
KR101391841B1 (ko) *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457B1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7784A1 (ko)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US4939332A (en) Sealed food package for microwave heating
US3372832A (en) Removable cover for containers
US3637132A (en) Pressure release package or container
WO2015076490A1 (ko)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WO2016013891A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WO2015088250A1 (ko) 병 진공밀폐장치
BR9906005A (pt) Recipiente com respiradouros para produtos, e, recipiente para armazenar produto
UY23754A1 (es) Sello de ventilacion
WO2021020637A1 (ko)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WO2011118886A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WO2016021842A1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WO2019045502A1 (ko) 라면자판기의 라면급속조리장치
WO2017039230A1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WO2020262785A1 (ko) 조리용 파우치
WO2021194160A1 (ko) 내용물 용기
WO2020153806A1 (ko)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US20050232807A1 (en) Sterile closure apparatus
CN209877519U (zh) 一种新型电热鼓风干燥箱
WO2019117530A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WO2020189934A1 (ko)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WO2015156646A1 (ko) 보냉용 아이스크림 용기
WO2018230756A1 (ko) 수증기 밀폐용기 및 음식물조리용 발열용기
WO2014069679A1 (ko) 순간가열 포장용기
WO2020262760A1 (ko) 수증기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91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91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