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414B1 -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414B1
KR102027414B1 KR1020180066699A KR20180066699A KR102027414B1 KR 102027414 B1 KR102027414 B1 KR 102027414B1 KR 1020180066699 A KR1020180066699 A KR 1020180066699A KR 20180066699 A KR20180066699 A KR 20180066699A KR 102027414 B1 KR102027414 B1 KR 102027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ood
sealing protrusion
lead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국
Original Assignee
(주)태방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방파텍 filed Critical (주)태방파텍
Priority to KR102018006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3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the seal having a stress concentrating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밀봉되어 있는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용기와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로 인한 내부 증기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의 고유한 맛을 유지하는 한편, 가열 시 팽창된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홀을 통해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전자레인지 조리 시 일부러 필름을 개봉할 필요가 없고, 음식물이 전자레인지에 튀는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음식물 조리 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홀을 필름측에 형성함과 더불어 필름 융착을 위한 실링 시에 수증기 배출홀을 함께 성형하는 새로운 용기 제조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용기 제작과 관련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수증기 배출과 관련한 기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COOKING FOOD TRAY FOR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용 음식물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밀봉되어 있는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용기와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의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우리의 사회 환경과 생활양식, 특히 식생활양식이 크게 변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복잡한 생활속에서 간편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점차 외식이 생활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식산업의 번창과 즉석 편의식품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주 5일제 근무가 확대됨으로 인한 캠핑 등 레저생활 증가에 따라 즉석 편의식품 시장은 매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즉석 편의식품은 주로 밀봉된 음식물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전자레인지로 조리하여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음식물 조리용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되어 있는 상부를 덮는 리드 필름으로 구성되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음식물을 넣은 후, 리드 필름으로 용기 본체의 상부를 실링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에 음식물이 들어 있는 음식물 조리용기를 넣은 다음, 소정의 시간 동안 전자레인지를 돌리면 음식물이 조리되기 때문에 조리의 간편함이 있으며,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물분자를 충돌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한 조리 방식이므로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레토르트식품, 냉동식품 등을 충전 밀봉한 조리용 용기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가열에 따라 내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용기의 리드 필름 부위가 파열되면서 내용물이 비산되고, 이와 동시에 비산물로 인해 전자레인지 내벽면이 오염됨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화상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가열하기 전에 용기의 리드 커버 일부분을 미리 개봉하거나 리드 필름에 구멍을 뚫어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리드 필름을 미리 개봉하게 되면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발생 즉시 용기 외부로 배출되어지기 때문에 고온상태의 수증기에 의한 내용물의 가열효과가 저감되고,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39184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로 인한 내부 증기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의 고유한 맛을 유지하는 한편, 가열 시 팽창된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홀을 통해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전자레인지 조리 시 일부러 필름을 개봉할 필요가 없고, 음식물이 전자레인지에 튀는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조리 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홀을 필름측에 형성함과 더불어 필름 융착을 위한 실링 시에 수증기 배출홀을 함께 성형하는 새로운 용기 제조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트레이 제작과 관련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수증기 배출과 관련한 기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식물 조리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음식물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수단으로서, 상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따라가면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실링돌부, 상기 플랜지 상에서 실링돌부의 내측으로 위치됨과 더불어 실링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양단부가 실링돌부와 연결되면서 실링돌부와 함께 일정 크기의 배출 공간부를 조성하는 보조실링돌부를 가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밀봉하는 수단으로서, 배출 공간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필름 두께를 관통하는 수증기 배출홀을 가지고 있으며, 트레이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플랜지에 있는 실링돌부 및 보조실링돌부를 따라 융착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보조실링돌부의 폭(W1)은 실링돌부의 폭(W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실링돌부에는 트레이 내부 압력 상승 시 리드 필름과의 접착력이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질 수 있도록 보조실링돌부 길이 중간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첨단부(尖端部)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실링돌부 및 배출 공간부는 트레이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보조실링돌부 및 배출 공간부가 형성되는 트레이 모서리 부위를 제외한 적어도 2곳의 모서리 부위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실링돌부 및 배출 공간부는 트레이에 형성되어 있는 분할 벽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식물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음식물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음식물을 담는 트레이의 상부에 리드 필름을 융착하여 음식물이 들어 있는 트레이를 밀봉 처리하는 실링 공정을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용기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실링 공정에서 열판을 이용하여 리드 필름을 트레이에 융착 시 열판에 열침을 구비하여 리드 필름의 융착과 동시에 리드 필름에는 열침에 의해 뚫리는 수증기 배출홀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열침은 열판의 저면에 일체 형성되는 형태 또는 열판의 저면에 나사식이나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는 상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따라가면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실링돌부와, 상기 플랜지 상에서 실링돌부의 내측으로 위치됨과 더불어 실링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양단부가 실링돌부와 연결되면서 실링돌부와 함께 일정 크기의 배출 공간부를 조성하는 보조실링돌부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리드 필름은 배출 공간부를 포함하는 트레이의 상부 전체를 덮은 상태에서 플랜지에 있는 실링돌부 및 보조실링돌부를 따라 융착되며, 상기 수증기 배출홀은 트레이에 있는 배출 공간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필름 두께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 시에 발생되는 수증기로 인한 내부 증기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풍미나 식감 등 음식물의 고유한 맛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 시에 팽창된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홀을 통해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전자레인지 조리 시 일부러 필름을 개봉할 필요가 없고, 음식물이 전자레인지에 튀는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음식물 조리 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홀을 필름측에 형성하고, 또 필름 융착을 위한 실링 공정에서 수증기 배출홀을 함께 성형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트레이에 수증기 배출홀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금형 구조 단순화, 제작비용 절감 등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경제적으로 용기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트레이 내부의 수증기 배출 시에 필름측에 형성한 수증기 배출홀을 통해 윗쪽으로 수증기를 빼내줌으로써, 공기보다 가벼운 특성을 갖는 수증기가 윗쪽의 수증기 배출홀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등 수증기 배출과 관련한 기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개봉이 용이한 이지필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여 소비자가 쉽게 필름을 벗겨낼 수 있고, 또 트레이의 양쪽 코너 부분에 손잡이를 만들어 뜨거워진 트레이를 쉽게 들고 다닐 수 있는 등 이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서 필름 실링 공정 시에 수증기 배출홀을 함께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수단으로 트레이(14)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14)는 전자레인지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조리용기로서, 일정량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대략 사각의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트레이(14)의 상단부 둘레에는 수평의 플랜지(10)가 연장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플랜지(10)의 상면에는 필름 접착을 위한 실링돌부(11)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의 실링돌부(11)는 플랜지 전체 둘레를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곳에 후술하는 리드 필름(16)이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되므로서, 트레이(14)가 리드 필름(16)에 의해 밀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트레이(14)는 일정 압력을 넘어서면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트레이(14)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0)의 상면에는 실링돌부(11)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보조실링돌부(13)가 형성된다.
이때의 보조실링돌부(13)는 실링돌부(11)의 내측으로 위치되고, 이러한 보조실링돌부(13)의 양단부는 실링돌부(11)와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보조실링돌부(13)의 양단부가 실링돌부(11)에 연결됨에 따라 보조실링돌부(13)와 실링돌부(11)의 내측으로는 보조실링돌부(13)와 실링돌부(11)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의 일정 크기의 배출 공간부(12)가 조성되며, 이때의 배출 공간부(12) 내로 유입된 수증기가 후술하는 리드 필름(16) 상의 수증기 배출홀(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14)의 플랜지(10)에 형성되는 보조실링돌부(13)의 폭(W1)은 실링돌부(11)의 폭(W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돌부(11)와 보조실링돌부(13)에 부착되어 있는 리드 필름(16)은 수증기에 의해 일정 압력이 가했을 때 실링돌부(11)측과 부착되어 있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어 있는 보조실링돌부(13)측과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먼저 떨어질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때의 떨어진 부분을 통해 트레이(14)의 내부 수증기가 배출 공간부(12)측으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실링돌부(13) 및 배출 공간부(12)는 트레이 전체 면적에 걸친 영역 중에서 소정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는데, 트레이(14)의 모서리 부위, 예를 들면 트레이(14)가 갖는 4곳의 모서리 부위 중에서 적어도 1곳 이상의 모서리 부위,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2곳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트레이(14)에는 뜨거워진 트레이를 쉽게 들고 다닐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는 손잡이(18)가 형성되며, 이때의 손잡이(18)는 트레이(14)가 갖는 4곳의 모서리 부위 중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2곳의 모서리 부위, 즉 보조실링돌부(13) 및 배출 공간부(12)가 있는 2곳의 모서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2곳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실링돌부(13)에는 트레이 내부 압력 상승 시 리드 필름(16)과 접착되어 있는 보조실링돌부(13)의 전체 길이 중에서 리드 필름(16)과의 접착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첨단부(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첨단부(17)는 트레이 내측을 향해 뾰족하게 돌출되는 첨단(尖端) 형태로서, 보조실링돌부(13)의 전체 길이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14)의 내부 압력 상승 시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첨단부(17)가 먼저 떨어지게 되므로서, 수증기를 배출 공간부(12)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실링돌부(11)측으로 가해지는 수증기 압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조리용기는 트레이(14)를 밀봉하는 수단으로 리드 필름(16)을 포함한다.
상기 리드 필름(16)은 트레이(14)의 상부 개방부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개방부위 대비 상대적으로 약간 넓은 면적을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소재 등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리드 필름(16)은 트레이(14)의 상부 개방부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열판(19)에 의해 열융착되어 트레이(14)의 플랜지(10)에 있는 실링돌부(11) 및 보조실링돌부(13)에 부착되면서 트레이(14)를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리드 필름(16)에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의 수증기 배출홀(15)이 구비되며, 이때의 수증기 배출홀(15)은 트레이(14)에 있는 배출 공간부(12)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필름 두께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증기 배출홀(15)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트레이(14)의 보조실링돌부(13)에 부착되어 있는 리드 필름(16)이 떨어지게 되면, 즉 첨단부(17)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떨어지게 되면, 이때의 수증기가 배출 공간부(12)로 유입됨과 동시에 수증기 배출홀(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드 필름(16)에 형성되는 수증기 배출홀(15)은 열판(19)을 이용하여 리드 필름(16)을 트레이(14)에 융착하는 실링 공정 시 후술하는 열침(20)에 의해 함께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서 필름 실링 공정 시에 수증기 배출홀을 함께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음식물을 담는 트레이(14)의 상부에 리드 필름(16)을 융착하여 음식물이 들어 있는 트레이(14)를 실링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에 음식물을 충전하고, 음식물이 채워진 트레이를 공지의 수동 또는 자동 실링기(미도시)에 투입한 후, 트레이 위에 리드 필름을 덮은 상태에서 열융착하는 기본적인 과정은 종전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14)에 리드 필름(16)을 융착시킬 때 리드 필름(16) 상에 수증기를 빼내기 위한 수증기 배출홀(15)을 동시에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드 필름(16)의 열융착을 위한 열판(19)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 예를 들면 트레이(14)에 있는 배출 공간부(12)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리드 필름(16) 상에 수증기 배출홀(15)을 뚫기 위한 열침(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열침(20)은 송곳 모양, 바늘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열판(19)의 저면에 일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열침(20)에 있는 숫나사부(22)를 열판(19)에 있는 암나사부(23)에 체결하는 나사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열침(20)에 있는 핀부(미도시)를 열판(19)에 있는 홈부(미도시)에 끼움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침(20)을 착탈가능한 구조로 조립하는 경우, 트레이 용량에 따른 수증기 배출량, 리드 필름의 소재 등에 맞게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열침(2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4)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 공간부(12)의 바닥에는 열침(20)에 의한 수증기 배출홀(15)의 천공 시 리드 필름(16)을 뚫고 아래쪽으로 내려오는 열침(2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열침 수용홈부(21)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침 수용홈부(21)의 경우 열침(20)의 길이 등에 따라 트레이 상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판(19)을 이용하여 리드 필름(16)을 트레이(14)에 실링할 때, 열판(19)으로 리드 필름(16)을 트레이(14)의 실링돌부(11) 및 보조실링돌부(13)에 융착하는 과정과 열판(19)에 있는 열침(20)으로 리드 필름(16) 상에 수증기 배출홀(15)을 함께 성형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리드 필름(16)의 융착 과정과 수증기 배출홀(15)의 형성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실링 공정에서는 상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를 따라가면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실링돌부(11)와, 상기 플랜지(10) 상에서 실링돌부(11)의 내측으로 위치됨과 더불어 실링돌부(1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양단부가 실링돌부(11)와 연결되면서 실링돌부(11)와 함께 일정 크기의 배출 공간부(12)를 조성하는 보조실링돌부(13)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트레이(14)가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리드 필름(16)의 융착 과정과 수증기 배출홀(15)의 형성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실링 공정에서 적용되는 리드 필름(16)은 배출 공간부(12)를 포함하는 트레이(14)의 상부 전체를 덮은 상태에서 플랜지(10)에 있는 실링돌부(11) 및 보조실링돌부(13)를 따라 융착되며, 상기 수증기 배출홀(15)은 트레이(14)에 있는 배출 공간부(12)에 상응하는 위치에 필름 두께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조리용기는 트레이(14)의 내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에 리드 필름(16)이 부착되어 밀봉 포장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리드 필름(16)은 트레이(14)의 플랜지(10) 상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실링돌부(11)와 실링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수증기 배출홀(15)이 형성된 모서리 부위에서는 보조실링돌부(13)와도 실링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2중의 실링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음식물이 들어 있는 밀봉된 상태의 트레이(14)를 전자레인지(미도시)에 넣고 전자레인지를 가동하게 되면, 트레이(14)의 내부에 들어 있는 음식물의 조리가 개시된다.
이렇게 음식물의 조리 개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음식물 조리와 더불어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트레이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보조실링돌부(13)의 실링력이 약화되어 보조실링돌부(13)와 리드 필름(16)이 분리되면서 고압의 수증기들이 배출 공간부(12)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리드 필름(16)에 형성되어 있는 수증기 배출홀(15)을 통해 배출된다.
특히, 상기 보조실링돌부(13) 중 첨단부(17) 부위에 내부압력이 집중되어짐으로서 첨단부(17) 부위부터 리드 필름(16)과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원활한 수증기 배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첨단부(17)가 형성된 보조실링돌부(13)의 중단 부위를 중심으로 리드 필름(16)과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리드 필름(16)의 분리작용이 실링돌부(11)측으로 전달되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고압의 수증기 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트레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실링돌부(11)는 계속적으로 리드 필름(16)과의 실링 상태가 유지되어 짐으로써, 수증기의 급격한 배출을 방지함과 함께 음식물이 전자레인지 내벽면으로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음식물의 조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증기 배출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에 내부의 증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조리(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음식물의 고유한 맛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수단으로 트레이(14)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14)는 전자레인지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조리용기로서, 일정량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대략 사각의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트레이(14)의 상단부 둘레에는 수평의 플랜지(10)가 연장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플랜지(10)의 상면에는 필름 접착을 위한 실링돌부(11)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의 실링돌부(11)는 플랜지 전체 둘레를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곳에 후술하는 리드 필름(16)이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되므로서, 트레이(14)가 리드 필름(16)에 의해 밀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14)에는 두 종류의 음식물을 격리시켜 수납할 수 있는 두 곳의 음식물 수용부(24a,24b)가 조성되며, 이때의 두 곳의 음식물 수용부(24a,24b)는 분할 벽체(25)에 의해 구획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트레이(14)는 일정 압력을 넘어서면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트레이(14)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0)의 상면과 분할 벽체(25)의 상면에는 실링돌부(11)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두 곳의 보조실링돌부(13)가 형성된다.
이때의 보조실링돌부(13)는 각 음식물 수용부(24a,24b)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이러한 각각의 보조실링돌부(13)의 양단부는 실링돌부(11)와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각 보조실링돌부(13)의 양단부가 실링돌부(11)에 연결됨에 따라 보조실링돌부(13)와 실링돌부(11)의 내측으로는 보조실링돌부(13)와 실링돌부(11)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의 일정 크기의 배출 공간부(12)가 조성되며, 이때의 배출 공간부(12) 내로 유입된 수증기가 후술하는 리드 필름(16) 상의 수증기 배출홀(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14)의 플랜지(10)에 형성되는 보조실링돌부(13)의 폭(W1)은 실링돌부(11)의 폭(W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돌부(11)와 보조실링돌부(13)에 부착되어 있는 리드 필름(16)은 수증기에 의해 일정 압력이 가했을 때 실링돌부(11)측과 부착되어 있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어 있는 보조실링돌부(13)측과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먼저 떨어질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때의 떨어진 부분을 통해 트레이(14)의 내부 수증기가 배출 공간부(12)측으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실링돌부(13) 및 배출 공간부(12)는 트레이 전체 면적에 걸친 영역 중에서 소정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두 곳의 음식물 수용부(24a,24b)를 구획짓고 있는 분할 벽체(25) 상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트레이(14)에는 뜨거워진 트레이를 쉽게 들고 다닐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는 손잡이(18)가 형성되며, 이때의 손잡이(18)는 트레이(14)가 갖는 4곳의 모서리 부위 중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2곳의 모서리 부위, 즉 보조실링돌부(13) 및 배출 공간부(12)가 있는 2곳의 모서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2곳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실링돌부(13)에는 트레이 내부 압력 상승 시 리드 필름(16)과 접착되어 있는 보조실링돌부(13)의 전체 길이 중에서 리드 필름(16)과의 접착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첨단부(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첨단부(17)는 트레이 내측을 향해 뾰족하게 돌출되는 첨단(尖端) 형태로서, 보조실링돌부(13)의 전체 길이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14)의 내부 압력 상승 시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첨단부(17)가 먼저 떨어지게 되므로서, 수증기를 배출 공간부(12)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실링돌부(11)측으로 가해지는 수증기 압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조리용기는 트레이(14)를 밀봉하는 수단으로 리드 필름(16)을 포함한다.
상기 리드 필름(16)은 트레이(14)의 상부 개방부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개방부위 대비 상대적으로 약간 넓은 면적을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소재 등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리드 필름(16)은 트레이(14)의 상부 개방부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열판(19)에 의해 열융착되어 트레이(14)의 플랜지(10)에 있는 실링돌부(11) 및 보조실링돌부(13)에 부착되면서 트레이(14)를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리드 필름(16)에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의 수증기 배출홀(15)이 구비되며, 이때의 수증기 배출홀(15)은 트레이(14)에 있는 배출 공간부(12)에 상응하는 위치, 예를 들면 분할 벽체(25) 상에 위치되어 있는 배출 공간부(12)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인 대략 리드 필름(16)의 중앙 위치에서 필름 두께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증기 배출홀(15)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트레이(14)의 보조실링돌부(13)에 부착되어 있는 리드 필름(16)이 떨어지게 되면, 즉 첨단부(17)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떨어지게 되면, 이때의 수증기가 배출 공간부(12)로 유입됨과 동시에 수증기 배출홀(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드 필름(16)에 형성되는 수증기 배출홀(15)은 위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마찬가지로 열판(19)을 이용하여 리드 필름(16)을 트레이(14)에 융착하는 실링 공정 시 열침(20)에 의해 함께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조리용기는 트레이(14)의 내부, 즉 양편의 음식물 수용부(24a,24b)에 음식물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에 리드 필름(16)이 부착되어 밀봉 포장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리드 필름(16)은 트레이(14)의 플랜지(10) 상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실링돌부(11)는 물론 분할 벽체(25)의 상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는 실링돌부(11)와 실링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수증기 배출홀(15)이 형성된 중앙 부위에서는 보조실링돌부(13)와도 실링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2중의 실링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음식물이 들어 있는 밀봉된 상태의 트레이(14)를 전자레인지(미도시)에 넣고 전자레인지를 가동하게 되면, 트레이(14)의 내부에 들어 있는 음식물의 조리가 개시된다.
이렇게 음식물의 조리 개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음식물 조리와 더불어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트레이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보조실링돌부(13)의 실링력이 약화되어 보조실링돌부(13)와 리드 필름(16)이 분리되면서 고압의 수증기들이 배출 공간부(12)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리드 필름(16)에 형성되어 있는 수증기 배출홀(15)을 통해 배출된다.
특히, 상기 보조실링돌부(13) 중 첨단부(17) 부위에 내부압력이 집중되어짐으로서 첨단부(17) 부위부터 리드 필름(16)과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원활한 수증기 배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첨단부(17)가 형성된 보조실링돌부(13)의 중단 부위를 중심으로 리드 필름(16)과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리드 필름(16)의 분리작용이 실링돌부(11)측으로 전달되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고압의 수증기 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분할 벽체(25)를 따라 형성된 실링돌부(11)는 계속적으로 리드 필름(16)과의 실링 상태가 유지되어 짐으로써, 수증기의 급격한 배출을 방지함과 함께 음식물이 전자레인지 내벽면으로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음식물의 조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증기 배출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에 내부의 증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조리(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음식물의 고유한 맛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 시 수증기로 인한 내부 증기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의 고유한 맛을 유지하는 한편, 가열 시 팽창된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홀을 통해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전자레인지 조리 시 일부러 필름을 개봉할 필요가 없고, 음식물이 전자레인지에 튀는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홀을 필름측에 형성함과 더불어 필름 융착을 위한 실링 시에 수증기 배출홀을 함께 성형하는 새로운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용기 제작과 관련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수증기 배출과 관련한 기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 : 플랜지
11 : 실링돌부
12 : 배출 공간부
13 : 보조실링돌부
14 : 트레이
15 : 수증기 배출홀
16 : 리드 필름
17 : 첨단부(尖端部)
18 : 손잡이
19 : 열판
20 : 열침
21 : 열침 수용홈부
22 : 숫나사부
23 : 암나사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음식물을 담는 트레이(14)의 상부에 리드 필름(16)을 융착하여 음식물이 들어 있는 트레이(14)를 밀봉 처리하는 실링 공정을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16)의 열융착을 위한 열판(19)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는 리드 필름(16) 상에 수증기 배출홀(15)을 뚫기 위한 열침(20)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14)에 형성되는 배출 공간부(12)의 바닥에는 열침(20)에 의한 수증기 배출홀(15)의 천공 시 리드 필름(16)을 뚫고 아래쪽으로 내려오는 열침(2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열침 수용홈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열판(19)을 이용하여 리드 필름(16)을 트레이(14)에 실링할 때, 열판(19)으로 리드 필름(16)을 트레이(14)의 실링돌부(11) 및 보조실링돌부(13)에 융착하는 과정과 열판(19)에 있는 열침(20)으로 리드 필름(16) 상에 수증기 배출홀(15)을 함께 성형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14)는 상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를 따라가면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실링돌부(11)와, 상기 플랜지(10) 상에서 실링돌부(11)의 내측으로 위치됨과 더불어 실링돌부(1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양단부가 실링돌부(11)와 연결되면서 실링돌부(11)와 함께 일정 크기의 배출 공간부(12)를 조성하는 보조실링돌부(13)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리드 필름(16)은 배출 공간부(12)를 포함하는 트레이(14)의 상부 전체를 덮은 상태에서 플랜지(10)에 있는 실링돌부(11) 및 보조실링돌부(13)를 따라 융착되며, 상기 수증기 배출홀(15)은 트레이(14)에 있는 배출 공간부(12)에 상응하는 위치에 필름 두께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기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침(20)은 열판(19)의 저면에 일체 형성되는 형태 또는 열판(19)의 저면에 나사식이나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기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80066699A 2018-06-11 2018-06-11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102027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699A KR102027414B1 (ko) 2018-06-11 2018-06-11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699A KR102027414B1 (ko) 2018-06-11 2018-06-11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414B1 true KR102027414B1 (ko) 2019-10-02

Family

ID=6842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699A KR102027414B1 (ko) 2018-06-11 2018-06-11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351A (ko) * 2020-09-22 2022-03-29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41B1 (ko)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20180025564A (ko) * 2016-09-01 2018-03-09 정희국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41B1 (ko)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20180025564A (ko) * 2016-09-01 2018-03-09 정희국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351A (ko) * 2020-09-22 2022-03-29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65562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0753B1 (ko) * 2020-09-22 2022-06-20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41B1 (ko)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JP6374022B2 (ja) 飲食物調理用容器の陥没防止構造
JP6943982B2 (ja) 蒸気排出部が具備された調理用容器
EP0412159A1 (en) Heater
JP6108646B1 (ja) 包装用容器
AU2012373740A1 (en) Self-heating container for pre-cooked food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KR20190054254A (ko)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200491706Y1 (ko)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KR102027414B1 (ko)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JP2009078865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KR200490548Y1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CN210019089U (zh) 食物烹饪容器
JP2005263319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JP2008271891A (ja) 容器入り冷凍食品及び冷凍食品用の容器
KR101281244B1 (ko)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KR101253862B1 (ko) 조리용 용기
KR102146553B1 (ko) 음식물 조리용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EP2484604B1 (en) Package for the preservation and cooking of food products and method of its use
JP6441868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容器
KR102410753B1 (ko) 음식물 조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85807Y1 (ko) 만두 포장용기
KR20180001511U (ko)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KR20180001600U (ko) 일회용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