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511U -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 Google Patents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11U
KR20180001511U KR2020160006618U KR20160006618U KR20180001511U KR 20180001511 U KR20180001511 U KR 20180001511U KR 2020160006618 U KR2020160006618 U KR 2020160006618U KR 20160006618 U KR20160006618 U KR 20160006618U KR 20180001511 U KR20180001511 U KR 201800015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id
pin
nutrient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분팜 나트보디
Original Assignee
분팜 나트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분팜 나트보디 filed Critical 분팜 나트보디
Priority to KR2020160006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511U/ko
Publication of KR20180001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은 일반적인 액체 용기 뚜껑과 동일한 방식으로 충진부의 상부측에 외측 날개를 연결하는 폐쇄된 상부단을 포함하며, 충진부 내부는 식품 또는 영양 물질로 채우기 위하여 중공 또는 빈 공간이고, 하부는 개방된다. 폐쇄된 상부단은 상부측으로 상승되고 무게 또는 압력에 따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눌러지거나 이동되는 가압부며, 가압부는 충진부의 속이 빈 공간 상에 직접적으로 위치된다. 폐쇄된 상부단 내부에는 개방된 하부단을 폐쇄하는 분리재 측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영양 물질 또는 뚜껑 내부에 유지될 수 있는 분말 및 액체 종류의 이익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NUTRITION CONTAINING LID}
본 고안은 공학 분야로 특히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공학 및 설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또는 영양 음료는 다양한 영양 식품 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병 내로 혼합물을 채우기 전에 혼합 챔버 또는 기계에서 물과 함께 조화롭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가열은 식품 재료를 혼합하기 위해 필요로 하며 그러한 생산 과정은 고온 충진 방법(hot filling method)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식품에 포함된 어떤 유익한 함량 또는 영양소는 생산 과정 동안 사용되는 열에 의해 손실 또는 파괴되며, 그 결과로 소비자는 그들이 희망하는 적절한 양의 영양소 및 생산물의 포장지에 청구된 적절한 양의 영양소를 실제로 제공받을 수 없다.
추가적으로, 고온 충진 방법은 기능성 음료의 영양가(nutritional value)를 더 감소시키는 멸균 과정을 거쳐야 한다. 더욱이, 기능성 음료 제품이 잠시 저장된 후, 음료 내부에 포함된 액체 또는 물은 영양가를 희석한다. 또한, 대부분의 음료는 보존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약간의 방부제 종류와 함께 채워진다.
소비자에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영양을 포함하는 뚜껑은 내부에 포함된 분말 및 액체 종류에 있는 식료품의 영양가 및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기능성 음료의 생산은 더 이상 고온 충진 과정, 멸균/저온살균, 방부제 또는 어떤 다른 일반적인 음료 생산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은 액체 용기를 폐쇄하는 뚜껑과 같은 방법으로 외측 날개부를 충진부의 상부에 결합하는 폐쇄된 상부단을 포함한다. 영양을 포함하는 뚜껑은 내부에 중공 또는 빈 공간 및 개방된 하부를 포함하는 충진부를 더 포함한다. 폐쇄된 상부단은 상승되어 있고, 가해진 압력에 따라 아래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가압부는 충진부의 중공 또는 빈 공간의 상부에 위치되며, 폐쇄된 상부단의 내부는 가압부에서 아래로 누를 때 충진부의 개방된 하부와 결합 가능한 분리재 측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원래 영양소와 동일한 효과를 유지하고 제공할 수 있는 뚜껑 속에 분말 및 액체 종류의 이익 및 식품 영양을 포함하며 존재하도록 한 영양을 포함하는 뚜껑을 개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최대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가 뚜껑의 상부로부터 가압되면, 충진부 내부에 결합된 로드 및 핀이 분리재를 뚫음으로써, 충진부 내부에 저장된 영양 또는 식품 물질이 용기로 낙하되어 액체와 섞이게 됨으로써, 뚜껑 속에 분말 및 액체의 효과 및 식품 영양을 갖는 음료를 소비자가 마실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D-D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D-D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평면, 배면 및 측면도를 도시하며, 본 고안은 뚜껑의 상부에 위치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뚜껑의 내부는 충진부(5) 내부에 만곡부(3)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D-D에서 본 도면이며, 충진부(5)의 외부가 어떠한 형상 또는 종류일 수 있고, 내부가 중공 또는 빈 공간 및 개방된 하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다. 충진부(5)의 상부단은 충진부(5)의 내부에 중공 또는 빈 공간으로부터 상승된 부분에 의하여 특징지워지는 가압부(1)인 폐쇄단이며, 바람직하게는 압력에 따라 아래로 눌러지거나 이동될 수 있는 가압부(1)는 가압이 용이하도록 위쪽으로 곡선을 이룬다. 상부 폐쇄단에 충진부(5)의 내부는 충진부(5)의 빈 공간의 개방단을 폐쇄 또는 덮는 분리재를 누르거나 뚫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2)를 포함한다. 분리재는 어떠한 종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일(foil)과 같은 종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2)는 어떤 수단 또는 결합 구조에 의해 결합 가능하거나, 또는 가압부(1)의 하부에 가고정될 수 있으며, 로드(2)는 가압부(1)에 압력이 가해지면, 분리재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로드(2)는 서로 자유롭게 위치되거나 결정된 배치의 고정된 패턴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가압부(1)의 하부에 충진부(5)의 빈 공간 내부에 이들 배치는 식품, 영양 또는 어떤 종류의 물질로 채우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예에서와 같이, 로드(2)는 기하학적인 배치를 가지며 곡선 또는 어떤 원형부인 만곡부(3)와 같은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개방단을 갖는다.
평평하거나 기하학적인 형상인 로드(2)의 배치는 양측으로 개방되며, 로드의 일단 또는 각 로드(2)측 전체는 나란히 배치한 작은 뾰족부(sharp portion)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핀(4)은 하나의 로드(2)와 다른 로드(2) 사이에 위치되며, 도 4 또는 도 6에 따르면, 로드(2)는 적어도 일 부분이 개방되도록 만곡부(3)안으로 또는 원형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핀들(4)은 로드(2)의 배치 전체에 걸쳐서 결합 또는 연결되며, 이러한 로드들(2)의 배치 및 핀들(4)은 각각의 핀(4) 사이에 틈을 형성함으로써 분리재는 충진부(5) 내부의 식품 또는 영양을 낙하시키지 않고 틈으로 감겨진다. 핀들(4)은 로드(2)와 동일 면 또는 분리재를 포함하는 측의 로드(2)에 대하여 타면(즉,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로드(2), 핀들(4) 또는 그들 모두(2, 4)가 분리재를 누르거나 뚫기 위하여 중요하며, 이에 따라 충진부(5)의 빈 공간 내부의 식품, 영양 또는 어떤 종류의 물질이 선택된 어떤 용기 내부로 낙하되도록 한다.
어떤 영양 또는 물질은 어떤 밀봉 수단인 분리재로 폐쇄 또는 밀봉되는 충진부(5)의 개방단의 하부를 통하여 뚜껑 내부에 위치한 빈 공간 내부를 채우며, 바람직하게 밀봉 수단은 영양을 포함하는 뚜껑으로부터 영양 또는 물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일과 같은 재료로 밀봉된다.
충진부(5)의 외부는 볼록하거나 돌출된 단부 및 개방된 하부단과 폐쇄된 상부단을 갖는 속이 빈 튜브에 의하여 특징지워지는 외측 날개(6)를 포함하며, 폐쇄된 상부단(7)은 외측 날개(6)가 충진부(5)의 상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폐쇄된 상부단(7) 및 외측 날개(6)는 일반적인 액체 물질용 용기 뚜껑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되며, 내부는 선택된 용기 또는 병과 결합하거나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단 또는 스크류(screw), 볼트(bolt) 및 스터드(stud)와 같은 어떤 다른 형태에 의하여 특징지워지는 폐쇄부(8)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가압부(1)가 뚜껑의 상부로부터 가압되면, 뚜껑에 가압부(1)의 일부이거나 결합된 로드(2), 핀(4) 또는 그들 모두(2, 4)는 영양 또는 식품 물질이 선택된 병 또는 용기로 낙하될 수 있도록 분리재를 뚫을 수 있다. 이러한 영양은 병 또는 용기 내부에 드링크와 혼합될 때, 기능성 음료는 마실 준비가 된다.
고안이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개시되지만, 본 고안은 기타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 예를 넘어 확장되며 및/또는 이의 명백한 변형 및 등가물의 사용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1 : 가압부 2 : 로드
3 : 만곡부 4 : 핀
5 : 충진부 6 : 외측 날개
7 : 상부단 8 : 폐쇄부

Claims (10)

  1. 외측 날개(6)를 충진부(5)의 상부와 연결하는 폐쇄된 상부단(7)을 포함하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으로서,
    상기 충진부(5)는
    중공 또는 빈 공간;
    개방된 하부단; 및
    상측으로 상승되어 있고, 가해진 압력에 따라 눌러지거나 이동가능한 가압부(1)로서 작동하는 폐쇄된 상부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1)는 충진부(5)의 중공 또는 빈 공간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폐쇄된 상부단은 적어도 하나의 로드(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2)는 상기 가압부(1)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로드(2)가 상기 충진부(5)의 개방된 하부단에 부착된 분리재 측으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는 만곡 형상인,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3. 제 1 항에 있어서,
    한 세트의 로드(2)는 서로 자유롭게 배치되거나, 고정된 패턴이거나, 하나의 개방부를 갖는 기하학적 방식으로 배치되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는 곡선 또는 원형부의 일부로 만곡부(3)안으로 배치되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는 하나의 로드(2)를 다른 로드(2)와 연결하는 작은 뾰족부의 한 배열 세트에 의하여 특징지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핀(4)을 포함하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6.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는 상기 전체 로드 배치에서 하나의 로드(2)를 다른 로드(2)와 연결하는 작은 뾰족부(sharp portion)의 한 배열 세트에 의하여 특징지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핀(4)을 포함하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7. 제 1 항, 제 5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 단부 또는 로드(2)의 일 측 전체는 하나의 로드(2)를 다른 로드(2)와 연결하는 작은 뾰족부의 한 배열 세트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4)을 포함하며,
    상기 핀(4)은 상기 로드(2)와 동일 면에 위치되거나 상기 분리재를 포함하는 측의 로드(2)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게 위치되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는 상기 로드(2) 또는 핀(4) 또는 그들 모두가 상기 분리재를 뚫을 수 있도록 눌러지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재는 포일(foil) 같은,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상부단(7) 및 상기 외측 날개(6)는 상부측으로 볼록하거나 돌출되며 또는 스크류, 볼트 또는 스터드를 이용한 구조를 활용하는 폐쇄부(8)를 제공하는,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KR2020160006618U 2016-11-14 2016-11-14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KR201800015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18U KR20180001511U (ko) 2016-11-14 2016-11-14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18U KR20180001511U (ko) 2016-11-14 2016-11-14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11U true KR20180001511U (ko) 2018-05-24

Family

ID=6229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18U KR20180001511U (ko) 2016-11-14 2016-11-14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5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7020A (zh) * 2019-04-12 2019-06-11 珠海添健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即配饮料瓶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7020A (zh) * 2019-04-12 2019-06-11 珠海添健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即配饮料瓶盖
CN109867020B (zh) * 2019-04-12 2023-12-29 珠海添健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即配饮料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35518A1 (en) Card for containing food or beverage ingredients
US20180297742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commercializing individual frozen food por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K3186169T3 (en) PACKING AND PROCEDURE FOR BEVERAGE DRINKING
CN107554941A (zh) 一种箱体与箱盖连接牢固的泡沫保温箱
CN101466619A (zh) 包装食品
US4482047A (en) Container
CA2839837A1 (en) Feed tank and method for the simultaneous high-pressure and temperature treatment of a food item in a high-pressure tank
KR20180001511U (ko) 영양 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JP2023535215A (ja) 供給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206704867U (zh) 营养物容纳盖
CN110891427A (zh) 用于分销和分配巧克力的系统和方法
JP6026181B2 (ja) 容器入り食品及びその生産方法
CN211337209U (zh) 一种可制热或制冷流食包装物的装置
KR102027414B1 (ko)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TWM535696U (zh) 營養物容納蓋
KR100860257B1 (ko) 삶은 계란 통조림 제조방법
CN213893726U (zh) 新型分包结构饮料杯
EP3177159B1 (en) Kit of parts containing a cheese food product and a natural food preparation
CN103385590B (zh) 即食自热餐盒
CN214567488U (zh) 即冲液态瓶装结构及包装结构
US20050238769A1 (en) Method of producing a packaged product
KR102640517B1 (ko) 기능성식품이 충진된 용기의 뚜껑
EP4215457A1 (en) Capsule for juices or beverages
RU210544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напитка
US334966A (en) Fouetijs to edgae m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