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600U - 일회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00U
KR20180001600U KR2020160006774U KR20160006774U KR20180001600U KR 20180001600 U KR20180001600 U KR 20180001600U KR 2020160006774 U KR2020160006774 U KR 2020160006774U KR 20160006774 U KR20160006774 U KR 20160006774U KR 20180001600 U KR20180001600 U KR 201800016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food
main body
fused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215Y1 (ko
Inventor
조현숙
Original Assignee
조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숙 filed Critical 조현숙
Priority to KR2020160006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1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the cover having an unsealed portion for initiating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방 외주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수직 돌출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덮는 필름이 부착되는 융착부; 및 내측으로 퉁기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융착부의 단부에서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는 통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수증기를 적절하게 배출시켜 뜨거운 음식물을 밀봉하여 보관할 때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장보관을 해야하는 음식의 경우에는 통기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냉장고의 냉기가 고르게 전달되어질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의 신선도가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으며 통기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어 과일이나 채소 등 보관시에 통기가 필요한 음식물을 보관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포장용기{Disposable packing box}
본 고안은 일회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에 의해 상부가 밀봉되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통기성을 부여하여 내부로 저장되는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식 산업의 발전에 따라 소비자들이 음식점 등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고, 가정에서 음식을 직접 조리하지 않고 음식점이나 백화점 등에서 나물이나 조림 등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구매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음식점이나 백화점 등에서는 소비자가 구매한 음식물을 일회용 포장용기에 담은 후, 그 상단을 보호용 필름 등의 실링부재로 밀봉한 후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다.
또한, 음식점 등에서 식사를 하다가 많은 양이 남을 경우에도 남은 음식물을 진공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기도 하며, 떡볶이나 어묵과 같은 분식이나 닭발이나 족발 등의 안주류 역시 일회용 포장용기에 담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일회용 포장용기는 보통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한 용기 본체와 그 상단의 테두리로 이루어지며, 용기 본체의 측벽에는 강도 향상을 위하여 보강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물론,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도 보강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일회용 포장용기에는 조리가 완료된 식품뿐만 아니라 과일이나 채소등 보관시에 통풍이 필요하게 되는 음식물들이 보관될 수 있는데 상기한 일회용 포장용기는 음식물이 담겨진 후 그 상부를 필름 등으로 밀봉하기 때문에 외부로 통하는 통기구를 형성할 수 없어 보관시에 통기가 필요한 음식물을 보관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일회용 포장용기에 뜨거운 음식을 곧바로 담아 필름으로 밀봉하거나 뚜껑을 덮어 사용할 경우 음식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포장용기 내에서 배출되지 못하여 포장용기를 덮는 뚜껑이나 밀봉시킨 필름의 하면에 물방울로 맺히게 되고 그 맺힌 물방울이 담겨진 음식물에 떨어져 음식물의 맛이 변하거나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튀김과 같은 밀가루를 기름에 튀겨 조리한 음식물은 그 열기가 다 빠지기 전에 밀봉하여 포장하게 될 경우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음식물의 표면이 눅눅해질 수 있어 미감을 떨어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외부로 통하는 통기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밀봉된 필름의 상면을 이쑤시개 등으로 직접 뚫어서 제공할 수 있지만 그 과정이 번거롭고 뚫린 구멍을 통해 필름이 완전히 찢어질 수 있어 보관되는 음식물이 일회용 포장용기 내부에서 흘러 넘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904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음식물을 포장용기에 담아 밀봉하여 보관할 때 뜨거운 음식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음식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어 과일이나 채소 등 보관시에 통기가 필요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냉장보관을 해야하는 음식을 보관할 때 냉장고의 냉기가 내부로 고르게 전달되어질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의 신선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방 외주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수직 돌출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덮는 필름이 부착되는 융착부; 및 상기 융착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통하도록 통기구를 형성하는 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각변을 구성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단부가 접해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에 상기 절곡편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절곡편은, 상기 융착부에서 수직으로 하향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부; 상기 융착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절곡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에서 수직으로 상향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융착부의 면적이 상기 제2절곡부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제2절곡부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통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수증기를 적절하게 배출시켜 뜨거운 음식물을 밀봉하여 보관할 때 수증기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에 의해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냉장보관을 해야하는 음식의 경우에는 통기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냉장고의 냉기가 고르게 전달되어질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의 신선도가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통기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어 과일이나 채소 등 보관시에 통기가 필요한 음식물을 보관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테두리부에 필름을 열융착 시킬 때 절곡편이 찌그러져 절곡편과 필름이 서로 융착되더라도 제2절곡부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통해 필름이 쉽게 절곡편에 부착될 수 없게 하고 설령 필름과 절곡편이 부착되어 통기구가 막힌다 하더라도 절곡편에서 필름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통기구가 완전히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용기 씰링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의 예시적인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편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는 크게 본체(100) 및 테두리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는 상측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측으로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방 외주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수직 돌출형성 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겼을 경우 내측의 열기가 전달되어 뜨거워진 본체(100)를 효율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상면은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부분읖 덮기 위하여 필름(F)이 접하는 부위로 충분한 면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는 필름(F)은 PVC 및 LLDPE 등과 같은 재질의 필름(F)이 사용되며 상기 필름(F)은 수증기차단성이 우수하여 음식물을 보관할 때 매우 유용한 포장재이다.
또, 상기 테두리부(200)는 융착부(211) 및 절곡편(213)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융착부(211)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를 덮는 필름(F)이 부착되는 부위이고 상기 절곡편(213)은 상기 융착부(211)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통하도록 통기구(21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곡편(21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으로 통기구(215)가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의 구성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상기 절곡편(213)은 제1절곡부(213-1), 제2절곡부(213-2) 및 제3절곡부(2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절곡부(213-1)는 상기 융착부(211)에서 수직으로 하향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2절곡부(213-2)는 상기 융착부(211)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절곡부(213-1)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2절곡부(213-2)의 상면이 상기 융착부(211)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부(213-3)는 상기 제1절곡부(213-1)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213-2)에서 수직으로 상향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절곡편(213)은 상기 제1절곡부(213-1) 및 제3절곡부(213-3)가 상기 융착부(211)의 단부에 접촉되어 하방을 향해 '∪'자 형태로 절곡되는 형상이고 상기 절곡편(213)의 내측으로 상기 통기구(215)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는 필름(F)은 상기 융착부(211)에만 접하게 되고 상기 융착부(211)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절곡편(213)의 내측으로는 통기구(215)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215)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일회용 포장용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포장용기 씰링장치(1)에 의해 필름(F)이 용기의 상부면에 융착되면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없고 이 수증기가 필름(F)의 하면에 물방울로 맺혀 맺혀진 물방울이 용기의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로 떨어져 음식물이 변질 될 우려가 있다.
즉, 상기 통기구(215)를 형성함으로써 수증기를 적절하게 배출시켜 뜨거운 음식물을 밀봉하여 보관할 때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냉장보관을 해야하는 음식의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냉장고의 냉기가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의 신선도가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기구(215)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어 과일이나 채소 등 보관시에 통기가 필요한 음식물을 보관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200)는 크게 변부(210) 및 모서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변부(210)는 상기 테두리부(200)의 각변을 구성하고 상기 모서리부(220)는 상기 변부(210)의 단부가 서로 접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200)의 모서리부(220)와 변부(210)에 상기 절곡편(213)이 형성될 수 있지만 변부(210)에만 상기 절곡편(2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필름(F)이 상기 테두리부(200)의 가장자리에서 부터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F)이 상기 테두리부(200)의 상면으로 부착될 때 상기 모서리부(220)의 상면에는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부(220)에 상기 절곡편(213)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필름(F)이 상기 테두리부(200)의 모서리 부분에서부터 견고하게 부착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융착부(211)의 면적은 상기 제2절곡부(213-2)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절곡부(213-2)의 면적이 상기 융착부(211)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어질 경우 상기 테두리부(200)에 필름(F)을 융착시켜 상기 본체(100)의 상면을 밀폐시킬때 상기 테두리부(200)에 필름(F)이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없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없게되어 필름(F)이 쉽게 벗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213-1), 제2절곡부(213-2) 및 제3절곡부(213-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통기구(21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기구(215)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저장되는 음식물의 종류나 크기등을 구분하여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통기구(215)의 크기보다 상기 본체(1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크기가 작을경우 음식물을 보관중에 상기 통기구(215)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215')는 상기 테두리부(200)에서 일정간격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상기 통기구(215')가 형성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상기 테두리부(200)에는 상기 절곡편(213)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200)의 상면 전체의 면적이 융착부(211)로 작용하게 되고 필름(F)이 상기 테두리부(200)의 상면에 융착되어 붙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용기 씰링장치(1)는 내측으로 본체(100)가 삽입되고 테두리부(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거치프레임(12)이 구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는 커버(20)로 구성된다.
또한, 커버(20)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히팅부(미도시)를 구비한 융착프레임(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장용기 씰링장치(1)에 음식물을 담은 본체(100)를 삽입하면 테두리부(200)의 하면이 거치프레임(12)에 안착된다.
이때, 거치프레임(12)의 외면은 테두리부(200)에 형성된 절곡편(213)의 형상과 맞대응 되도록 형성하여 테두리부(200)가 안정감 있게 거치프레임(12)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거치프레임(12)에 안착된 본체(100)의 상단에 필름(F)을 올려 놓고, 히팅부를 가열하면 융착프레임(22)이 고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20)를 몸체부(10)를 향해 눌러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2)에 안착된 테두리부(200)의 상면이 필름(F)과 함께 열에 의해 서로 융착된다.
이때, 절곡편(213)을 제외한 모서리부(220) 및 융착부(211)의 상면에 필름(F)이 부착되고 일측으로 통기구(215)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0)가 종래의 포장용기 씰링장치(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테두리부(200)가 거치프레임(12)에 안착되어지면서 커버(20)를 하부로 내려 테두리부(200)를 누르게 될 때 절곡편(213)의 형태가 찌그러지게 되고 형태가 찌그러진 상기 절곡편(213)이 필름(F)과 융착되면 통기구(215)가 막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절곡부(213-2)의 상면에 요철부(213-4)를 형성하여 커버(20)를 내려 테두리부(200)에 압축력이 작용하여 절곡편(213)의 형태가 찌그러지고 절곡편(213)과 필름(F)이 서로 융착되더라도 상기 제2절곡부(213-2)에 형성된 요철부(213-4)에 의해 필름(F)이 쉽게 절곡편(213)에 부착될 수 없게 하고 설령 필름(F)과 절곡편(213)이 부착되어 통기구(215)가 막힌다 하더라도 상기 절곡편(213)에서 필름(F)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통기구(215)가 완전히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본체
200: 테두리부
210: 부착부
220: 모서리부
211: 융착부
213: 절곡편
215: 통기구
F: 필름

Claims (4)

  1.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방 외주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수직 돌출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덮는 필름이 부착되는 융착부; 및
    상기 융착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통하도록 통기구를 형성하는 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각변을 구성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단부가 접해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에 상기 절곡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편은,
    상기 융착부에서 수직으로 하향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부;
    상기 융착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절곡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에서 수직으로 상향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용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의 면적이 상기 제2절곡부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용기.
KR2020160006774U 2016-11-21 2016-11-21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88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74U KR200488215Y1 (ko) 2016-11-21 2016-11-21 일회용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74U KR200488215Y1 (ko) 2016-11-21 2016-11-21 일회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00U true KR20180001600U (ko) 2018-05-30
KR200488215Y1 KR200488215Y1 (ko) 2018-12-27

Family

ID=6229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74U KR200488215Y1 (ko) 2016-11-21 2016-11-21 일회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275A1 (ja) * 2020-05-29 2021-12-0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容器、および容器キッ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329U (ko) * 1989-07-27 1991-03-19
KR20040069040A (ko) 2003-01-28 2004-08-04 안준규 제설작업이 가능한 로드스터드 및 그 시공방법
JP2007106441A (ja) * 2005-10-13 2007-04-26 Athena Kogyo Co Ltd 食品容器
JP2010149921A (ja) * 2008-12-26 2010-07-08 Zen Yoki Kk 納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66851A (ja) * 2012-04-12 2012-09-06 Sun A Kaken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および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の潰れ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329U (ko) * 1989-07-27 1991-03-19
KR20040069040A (ko) 2003-01-28 2004-08-04 안준규 제설작업이 가능한 로드스터드 및 그 시공방법
JP2007106441A (ja) * 2005-10-13 2007-04-26 Athena Kogyo Co Ltd 食品容器
JP2010149921A (ja) * 2008-12-26 2010-07-08 Zen Yoki Kk 納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66851A (ja) * 2012-04-12 2012-09-06 Sun A Kaken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および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の潰れ防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275A1 (ja) * 2020-05-29 2021-12-0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容器、および容器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15Y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262B2 (en)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US6607764B1 (en) Ventable, microwave-safe food package
US9801488B2 (en) Steamer container system
US20190283952A1 (en)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JP6108646B1 (ja) 包装用容器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CA2505723C (en) Package and method for heating a plurality of products
JP7081854B2 (ja) 包装用容器
JP4523824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KR200488215Y1 (ko) 일회용 포장용기
US20210002036A1 (en) Packaged food product for heating in oven
JP3133066U (ja) 食品容器
KR200387420Y1 (ko) 압력 가마솥
RU2750766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ее применения
JP2008007195A (ja) 電子レンジ用加熱調理具および電子レンジ炊飯用米飯食品セット
EP2484604B1 (en) Package for the preservation and cooking of food products and method of its use
KR101971896B1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KR101162945B1 (ko) 전자레인지에서의 소비성 물품을 보관 및 가열하기 위한 패키지
JPH072280A (ja) インスタント食品の調理用容器
JPH0133505Y2 (ko)
JP3158187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JP2021040515A (ja) 加工食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調理方法
WO2019202566A1 (en) Package for food products and uses thereof
JP2012034769A (ja) 調理容器
JP2004268928A (ja) 電子レンジ加熱に対応した固形物含有流動性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