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564A -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 Google Patents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564A
KR20180025564A KR1020160112390A KR20160112390A KR20180025564A KR 20180025564 A KR20180025564 A KR 20180025564A KR 1020160112390 A KR1020160112390 A KR 1020160112390A KR 20160112390 A KR20160112390 A KR 20160112390A KR 20180025564 A KR20180025564 A KR 20180025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film
protrusion
sealing protrusion
flan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국
Original Assignee
정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국 filed Critical 정희국
Priority to KR102016011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5564A/ko
Publication of KR2018002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공을 통해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공기가 커버필름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내부 공간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용기는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부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면이 형성되고, 플랜지면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실링돌부 내측에는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가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배출공간이 형성된 플랜지면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필름에는 수증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고, 보조실링돌부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손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뽀쪽하게 뽀쪽부가 형성되고,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와 이격된 내측 플랜지면에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중앙에 개구홈이 형성되게 양쪽에 돌출된 돌출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DISCHARGING STRUCTURE FOR STEAM OF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내부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공을 통해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공기가 커버필름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내부 공간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시락이나 반찬 등의 식품은,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혹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지로 만든 용기 내부에 밀봉된 포장체의 상태로 판매되는 것이 많이 있다. 이러한 식품 중에는, 전자레인지 등에 의하여 포장체인 상태로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식품을 용기 내부에 밀봉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열하면, 이때에 식품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용기가 외측으로 팽창되어 파열될 우려가 있다.
또한 김치 등과 같은 발효식품은 발효의 진행에 따라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용기를 가열하지 않더라도 용기가 파열될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실상을 고려하여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나 탄산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킬수 있도록 하는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음식물 조리용 용기는 본원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10-1391841호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는,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면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면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 내측에는 양단이 실링돌부와 연결되어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는 보조실링돌부가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이 형성된 플랜지면에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음식물 조리용 용기는, 용기 내부의 수증기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방출된 후에 용기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기 쉬워서, 가열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은 음식물 조리용 용기에서 수증기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방출된 후에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측 플랜지면에 돌출가이드와 개구홈를 형성하여 가열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음식물 조리용 용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0001) 등록특허 제10-1391841호(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0002) 등록특허 제10-1536268호(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가 아닌 커버필름에 배출공을 구비하여 용기 내부의 스팀을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한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는, 용기는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부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면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 내측에는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가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이 형성된 플랜지면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필름에는 수증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손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뽀쪽하게 뽀쪽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와 이격된 내측 플랜지면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중앙에 개구홈이 형성되게 양쪽에 돌출된 돌출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가이드의 상부에는 커버필름이 위치하며 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졌을 때에 커버필름이 상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수증기가 양쪽 돌출가이드 사이의 개구홈을 통하여 상기 배출공간의 배출공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의 공기가 커버필름의 배출공을 통하여 내부 배출공간을 통해 양쪽 돌출가이드 사이의 개구홈을 통하여 용기의 내부 공간부로 공급되어 포장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기는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부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면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 내측에는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가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이 형성된 플랜지면의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필름에는 수증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의 접착이 손쉽게 떨어질수 있도록 내측으로 뽀쪽하게 돌출된 뽀쪽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와 이격된 내측 플랜지면에 돌출된 돌출가이드와, 상기 돌출가이드의 양측 플랜지면에 개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가이드의 상부에는 커버필름이 위치하며 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졌을 때에 커버필름이 상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수증기가 돌출가이드의 양쪽 개구홈을 통하여 상기 배출공간의 배출공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의 공기가 커버필름의 배출공을 통하여 내부 배출공간을 통해 돌출가이드의 양쪽 개구홈을 통하여 용기의 내부 공간부로 공급되어 포장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은, 천공되지 않고 배출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태의 절취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가 아닌 커버필름에 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용기에 배출공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제작 공정을 간소화시킴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공을 하부가 아닌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스팀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배출공을 단순히 홀의 형태가 아닌 절취선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배출되는 스팀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스팀 배출시 절취선 사이로 배출되면서 청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용기 내부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용기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용기 내부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용기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배출공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맥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용기 내부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용기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용기 내부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용기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배출공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10)의 내부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공(16)을 통해 용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16)을 통하여 내부 공간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10)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음식물의 조리시 수증기의 증발을 최소화하여 맛있게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는, 용기(10)는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부(12)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면(11)이 형성되고, 플랜지면(11)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12)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실링돌부(12) 내측에는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12)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12)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15)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14)가 플랜지면(11)에 형성되며, 배출공간(15)의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커버필름(1)에는 수증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공(16)이 형성되고, 보조실링돌부(14)는 용기(10)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1)의 접착이 손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뽀쪽하게 돌출된 뽀쪽부가 형성되고, 보조실링돌부(14)의 뽀쪽부와 이격된 내측 플랜지면(11)에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16)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중앙에 개구홈(21)이 형성되게 양쪽에 돌출된 돌출가이드(20)가 형성된다.
돌출가이드(20)가 형성된 내부 하측의 공간부(12)에는 내측으로 볼록한 돌출부(17)가 형성된다.
돌출가이드(20)는 서로 대향되게 경사진 돌출벽 모양으로 개구홈(21)측이 높이가 높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돌출가이드(20)의 높이는 보조실링돌부(14)의 상부보다 0.5∼1mm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가이드(20)의 상부에는 커버필름(1)이 위치하며 용기(10)의 내부압력이 높아졌을 때 커버필름(1)이 상향으로 팽창되어 보조실링돌부(14)의 뽀쪽부가 떨어져서 용기(10) 내부의 수증기가 양쪽 돌출가이드(20) 사이의 개구홈(21)을 통해 배출공간(15)의 배출공(16)을 거쳐서 용기(10)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의 공기가 커버필름(1)의 배출공(16)을 통하여 내부 배출공간(15)을 통해 양쪽 돌출가이드(20) 사이의 개구홈(21)을 통해 용기(10)의 내부 공간부(12)로 공급되어 용기(10)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용기(10)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용기(10)는 내부에 조리용 음식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플랜지면(11)의 상부 실링돌출부(13)와 모서리 내측의 보조실링돌출부(14)에 커버필름(1)이 부착되어 2중의 실링 결합상태로 밀봉 포장상태를 이루게 된다.
플랜지면(11)의 상부에 돌출된 실링돌출부(13)와 내측의 보조실링돌출부(14)가 돌기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이나 물기가 실링돌출부(13)와 보조실링돌출부(14)의 상부에 달라붙지 않고 흘러내리게 되어 커버필름(1)을 실링돌출부(13)와 보조실링돌출부(14)의 상부에 실링시 일정압력으로 접착이 잘되어 포장 용기(10)의 내부 음식물을 밀봉되게 포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음식물 조리용 용기(10)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용기(10)에 일정 압력 이상이 되게 되면 용기(10) 내부의 수증기가 양쪽 돌출가이드(20) 사이의 개구홈(21)을 통하여 이동되며 보조실링돌출부(14)의 뽀쪽부 실링력을 약화시켜 보조실링돌출부(14)의 뽀쪽부에서 커버필름(1)이 떨어지면서 고압의 수증기들이 배출공간(15) 측으로 이동되어 배출공(16)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된다.
이때, 보조실링돌출부(14)의 뽀쪽부에 내부압력이 집중되어 뽀쪽부로부터 커버필름(1)이 떨어짐으로써 배출공(16)으로 보다 원활한 증기 배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고압의 증기 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용기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실링돌출부(13)는 계속적으로 커버필름(1)과 실링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수증기의 급격한 배출을 방지하여 커버필름(1)의 파열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내벽면 오염 및 음식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16)을 통과하여 내부 배출공간(15)을 통해 양쪽 돌출가이드(20) 사이의 개구홈(21)을 통해 용기(10)의 내부 공간부(12)로 공급되어 용기(10)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기(10)의 내부 수증기가 배출공(16)으로부터 배출될 때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이동을 돌출가이드(20)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10) 내부의 전체에 수증기의 이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에서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팽창된 커버필름(1)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돌출가이드(20)에서 커버필름(1)을 일시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용기 외부의 공기를 용기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용기(10) 내부의 수증기가 배출공(16)으로부터 배출된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는, 용기(10)는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부(12)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면(11)이 형성되고, 플랜지면(11)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12)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실링돌부(12) 내측에는 커버필름(1)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12)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12)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15)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14)가 플랜지면(11)에 형성되며, 배출공간(15)의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커버필름(1)에는 수증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공(16)이 형성되고, 보조실링돌부(14)는 용기(10)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1)의 접착이 손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뽀쪽하게 돌출된 뽀쪽부가 형성되고, 보조실링돌부(14)의 뽀쪽부와 이격된 내측 플랜지면(11)에 돌출된 돌출가이드(40)와, 돌출가이드(40)의 양측 플랜지면(11)에 개구홈(41)이 형성된다.
돌출가이드(40)가 형성된 내부 하측의 공간부(12)에는 내측으로 볼록한 돌출부(17)가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개구홈(41)은 플랜지면(11)이 하향으로 오목한 사각형홈으로 형성되거나, 미도시 하였으나, 플랜지면(11)이 하향으로 오목한 "U"자형홈으로 형성되거나, 플랜지면(11)이 내측공간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사각형홈이 형성거나, 플랜지면이 내측공간부측으로 하향 경사진 오목한 "U"자형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가이드(40)의 높이는 보조실링돌부(14)의 상부보다 0.5∼1mm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가이드(40)의 폭은 5mm∼10mm이며, 개구홈(41)의 폭은 3mm∼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가이드(40)의 상부에는 커버필름(1)이 위치하며 용기(10)의 내부압력이 높아졌을 때에 커버필름(1)이 상향으로 팽창되어 보조실링돌부(14)의 뽀쪽부가 떨어져서 용기(10) 내부의 수증기가 돌출가이드의 양쪽 개구홈(41)을 통하여 배출공간(15)의 배출공(16)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16)을 통하여 내부 배출공간(15)을 통해 돌출가이드(40)의 양쪽 개구홈(41)을 통하여 용기의 내부 공간부(12)로 공급되어 포장 용기(10)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용기(10)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용기(10)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용기(10)에 일정 압력 이상이 되게 되면 용기(10) 내부의 수증기가 돌출가이드(40)의 양측 개구홈(41)을 통과하여 이동하면서 보조실링돌출부(14)의 뽀쪽부 실링력을 약화시켜 보조실링돌출부(14)의 뽀쪽부에서 커버필름(1)이 떨어지면서 고압의 수증기들이 배출공간(15) 측으로 이동되어 배출공(16)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된다.
이때 보조실링돌출부(14)의 뽀쪽부에 내부압력이 집중되어짐으로서 뽀쪽부로부터 커버필름(1)이 떨어짐으로서 배출공(16)으로 보다 원활한 증기 배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고압의 증기 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용기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실링돌출부(13)는 계속적으로 커버필름(1)과 실링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수증기의 급격한 배출을 방지하여 커버필름(1)의 파열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내벽면 오염 및 음식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배출공(16)을 통과하여 내부 배출공간(15)을 통해 돌출가이드(40)의 영측 개구홈(31,41)을 통해 용기(10)의 내부 공간부(12)로 공급되어 용기(10)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기(10)의 내부 수증기가 배출공(16)으로부터 배출될 때에 용기(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이동을 돌출가이드(40)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10) 내부의 전체에 수증기의 이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10) 내부에서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팽창된 커버필름(1)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돌출가이드(40)에서 커버필름(1)을 일시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용기 외부의 공기를 용기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용기(10) 내부의 수증기가 배출공(16)으로부터 배출된 후에 용기(10)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조리용 용기(10)에서 수증기가 배출공(16)을 통해 방출된 후에 외부의 공기가 배출공(16)을 통하여 용기(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측 플랜지면(11)에 돌출가이드(40)와 개구홈(41)를 형성하므로 용기(10)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인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배출공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음식물 조리용 용기(10)의 수증기 배출구조에 따른 커버필름(1)에 형성되는 배출공(16)은, 일반적인 천공 형태의 홀로도 구성이 가능하나,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형태로 완전히 천공하지 않고, 배출공(16)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태의 절취선(실선 부분이 절취선)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도 11의 (b)와 같이 구성할 경우 온도에 따라 배출량이 달라지는 수증기에 대응하여 절취선의 형태로 구성된 배출공(16)의 개방 크기도 달라지면서 배출되는 수증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의 배출 과정에서 절취선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한 틈을 통해 청각적 신호('쉬익' 등과 같은 소리)를 생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536268호(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를 참조할 수 있으며, 편의를 위해 도면 부호 및 명칭 등을 동일하게 기재하였다.
1 : 커버필름 10 : 용기
11 : 플랜지면 12 : 공간부
13 : 실링돌부 14 : 보조실링돌부
15 : 배출공간 16 : 배출공
17 : 돌출부
20, 40 : 돌출가이드
21, 41 : 개구홈

Claims (5)

  1. 용기는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부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면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 내측에는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가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이 형성된 플랜지면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필름에는 수증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손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뽀쪽하게 뽀쪽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와 이격된 내측 플랜지면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중앙에 개구홈이 형성되게 양쪽에 돌출된 돌출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의 상부에는 커버필름이 위치하며 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졌을 때에 커버필름이 상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수증기가 양쪽 돌출가이드 사이의 개구홈을 통하여 상기 배출공간의 배출공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의 공기가 커버필름의 배출공을 통하여 내부 배출공간을 통해 양쪽 돌출가이드 사이의 개구홈을 통하여 용기의 내부 공간부로 공급되어 포장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있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3. 용기는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부를 이루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면을 따라 내부 밀폐를 위한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실링돌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부 내측에는 커버필름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운데, 양단이 실링돌부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실링돌부가 플랜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이 형성된 플랜지면의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필름에는 수증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커버필름의 접착이 손쉽게 떨어질수 있도록 내측으로 뽀쪽하게 돌출된 뽀쪽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와 이격된 내측 플랜지면에 돌출된 돌출가이드와, 상기 돌출가이드의 양측 플랜지면에 개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의 상부에는 커버필름이 위치하며 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졌을 때에 커버필름이 상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보조실링돌부의 뽀쪽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수증기가 돌출가이드의 양쪽 개구홈을 통하여 상기 배출공간의 배출공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의 공기가 커버필름의 배출공을 통하여 내부 배출공간을 통해 돌출가이드의 양쪽 개구홈을 통하여 용기의 내부 공간부로 공급되어 포장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천공되지 않고 배출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태의 절취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KR1020160112390A 2016-09-01 2016-09-01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KR20180025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90A KR20180025564A (ko) 2016-09-01 2016-09-01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90A KR20180025564A (ko) 2016-09-01 2016-09-01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64A true KR20180025564A (ko) 2018-03-09

Family

ID=6172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390A KR20180025564A (ko) 2016-09-01 2016-09-01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55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414B1 (ko) * 2018-06-11 2019-10-02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102031694B1 (ko) * 2019-03-29 2019-10-14 김응기 커피 포장용 베슬 및 그를 위한 커피 포장장치
KR102146553B1 (ko) * 2019-05-28 2020-08-20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414B1 (ko) * 2018-06-11 2019-10-02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102031694B1 (ko) * 2019-03-29 2019-10-14 김응기 커피 포장용 베슬 및 그를 위한 커피 포장장치
KR102146553B1 (ko) * 2019-05-28 2020-08-20 (주)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68B1 (ko)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KR20180025564A (ko)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EP1279606B1 (en) Container with lid for closing the container under partial vacuum
EP1892197B1 (en) Fast freeze container and seal
JP4860673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KR20190054254A (ko)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TWI594932B (zh) 用來保存發酵食品的容器
US7364048B2 (en) Cheese server
JP5438357B2 (ja) 包装容器
US20180282044A1 (en) Packaging system, container therefor and process for packaging a product
KR101445641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400783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0477513Y1 (ko) 발효 식품 밀폐 용기
KR200438848Y1 (ko) 발효가스 배출용 패킹
JP3055631B2 (ja) 真空包装容器
KR20210022594A (ko) 발효식품 저장용기용 캡부 및 이를 갖는 발효식품 저장용기
WO2002068277A3 (en) Reusable vacuum lid
KR101518717B1 (ko) 공기배출수단이 형성되어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102112837B1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JP2009029441A (ja) 包装用容器
KR20150004669U (ko)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JP6752539B2 (ja) 包装用容器の蓋
KR102271397B1 (ko) 용기캡 및 그 용기캡의 제조를 위한 금형
JP7264604B2 (ja) 密封容器、及び当該密封容器を使用した真空ガス置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