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176A -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176A
KR20170076176A KR1020150186119A KR20150186119A KR20170076176A KR 20170076176 A KR20170076176 A KR 20170076176A KR 1020150186119 A KR1020150186119 A KR 1020150186119A KR 20150186119 A KR20150186119 A KR 20150186119A KR 20170076176 A KR20170076176 A KR 2017007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wall
food storag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만
Original Assignee
임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만 filed Critical 임상만
Priority to KR102015018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176A/ko
Publication of KR2017007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27Stack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뚜껑을 닫고 공기를 강제 배출시켜 부압(負壓)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뚜껑 개방시에는 진공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뚜껑에 의하면;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향 돌출된 스커트벽(211)과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밑면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적층-가이드벽(212)이 마련되고, 중앙부분에는 오목하게 함몰되며 바닥면에 배기홀(214)이 천공된 밸브안착부(213)가 이루어진 뚜껑본체(210)와; 연질의 합성수지를 통해 뚜껑본체(210)의 스커트벽(211)과 적층-가이드벽(212) 외면을 덮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스커트벽(211)이 용기(100)의 벽면에 밀착 결합되고,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밑면이 적층-가이드벽(212)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게 하는 밀착-탄성부재(220)와; 뚜껑본체(210)의 밸브안착부(213)에 천공된 고정홀(215)에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축(232)과, 고정축(232)의 상단에 원판형으로 마련되며 밸브안착부(213)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배기홀(2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자체 탄성력으로 복원되는 밸브플레이트(231)로 이루어진 연질의 진공밸브(2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AIR-TIGHT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며 별도의 진공펌프를 통해 내부공기를 강제로 배기하여 부압(負壓)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음식물)에서는 자체의 독특한 냄새와 수분이 새어나오기 때문에, 밀폐 식품보관용기에 식품을 담아 냉장고 등에 보관한다. 이러한 종래 밀폐 식품보관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와, 이 용기를 개폐하는 뚜껑을 갖추고 있다. 용기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과실주 등을 담을 수 있도록 대형 사이즈의 용기도 출시되며, 이들의 입구에는 뚜껑을 돌려 잠그기 위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용기 입구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입구에 뚜껑을 돌려서 잠그면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어 식품이 밀폐 보관된다. 그러나 종래 식품보관용기 구조에서는 용기 내부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이로 인해 뚜껑 개방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식품 발효가 진행되면 용기 내부압력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는데, 뚜껑이 용기 입구를 견고하게 막고 있기 때문에 심한 경우 용기가 터질 수도 있다. 이러한 용기 터짐현상은 매실이나 장아찌 등과 같은 발효식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장기 보관시 내부압력이 높아져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각 용기의 개방부에 잠금돌기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뚜껑에는 용기의 개방부를 여유있게 덮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잠금돌기와 결합되도록 잠금날개가 마련된 밀폐 식품보관용기도 개시되어 있다. 잠금날개는 뚜껑의 네 변에서 각각 바깥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일체로 이루어지며, 각각에는 잠금돌기와 대응하도록 잠금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의 저장공간에 식품(음식물)을 넣고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잠금날개들을 각각 내리누르면, 용기 잠금돌기가 잠금홀에 탄성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 밀폐 식품보관용기 역시 뚜껑을 개방하지 않고서는 내부압력을 해제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없기 때문에, 식품 발효 등으로 인해 용기 내부압력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으며 뚜껑 개방 시 음식물이 튀어나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식품보관용기에서는 뚜껑을 통해 밀폐하여도 내부에 공기가 잔존하는데, 이러한 잔존 공기 중의 산소는 김치 등과 같은 보관식품을 산화시키는 촉진제가 되어 보관식품이 쉽게 상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펌핑도구(진공펌프)를 통해 내부공기를 강제 배출시켜 부압(負壓)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뚜껑 개방시에는 진공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보관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견실하게 적층하여 이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식품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벽면과 밑면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향 돌출된 스커트벽과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밑면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적층-가이드벽이 마련되고, 중앙부분에는 오목하게 함몰되며 바닥면에 배기홀이 천공된 밸브안착부가 이루어진 뚜껑본체와; 연질의 합성수지를 통해 상기 뚜껑본체의 스커트벽과 적층-가이드벽 외면을 덮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스커트벽이 상기 용기의 벽면에 밀착 결합되고,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밑면이 상기 적층-가이드벽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게 하는 밀착-탄성부재와; 상기 뚜껑본체의 밸브안착부에 천공된 고정홀에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원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밸브안착부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배기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자체 탄성력으로 복원되는 밸브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연질의 진공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뚜껑이 상기 뚜껑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통홀이 천공된 돌출테와, 상부가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돌출테를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캡과, 상기 고무캡의 하단부가 상기 돌출테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테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고무캡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으로 이루어진 인디게이터를 더 구비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고무캡의 상단부 형상이 변형되어 외부에서 상기 용기의 부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에 의하면; 뚜껑을 닫고 밸브안착부에 펌핑도구(진공펌프)를 밀착시킨 후 이를 구동시키면, 진공밸브가 개방되면서 용기 내부공기가 배기홀을 통해 강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를 부압(負壓) 상태로 만들 수 있어 식품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진공밸브의 밸브플레이트 가장자리를 살짝 들어올리면, 외부공기가 순간적으로 용기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진공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뚜껑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스커트벽과 적층-가이드벽 외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통해 밀착-탄성부재가 이를 덮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서, 뚜껑을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덮을 수 있고 다른 식품보관용기를 상하방향으로 견실하게 적층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에 의하면; 인디게이터의 고무캡을 통해 용기의 부압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뚜껑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 선에 따른 뚜껑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내부공기를 진공펌프를 통해 강제 배기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뚜껑 개방 시 진공해제 동작을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적층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구성 설명>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는 내부에 식품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100)와, 이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100)는 투명한 경질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벽면(110)과 밑면(120)을 구비하여 내부에 식품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뚜껑(200)은 경질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된 뚜껑본체(210)와, 이 뚜껑본체(21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일체로 성형된 연질의 밀착-탄성부재(220)와, 뚜껑본체(210)에 형성된 배기홀(214)을 개폐하기 위한 진공밸브(230)와, 용기(100)의 부압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인디게이터(240)를 갖추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뚜껑본체(210)는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향 돌출된 스커트벽(211)과,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밑면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적층-가이드벽(21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뚜껑(210)의 중앙부분에는 오목하게 함몰되며 바닥면에 복수개의 배기홀(214)이 천공된 밸브안착부(213)가 이루어져 있다. 밸브안착부(213)를 오목하게 구성한 것은 다른 식품보관용기를 적층하였을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밀착-탄성부재(220)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통해 뚜껑본체(210)의 스커트벽(211)과 적층-가이드벽(212) 외면을 덮도록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이것에 의해 스커트벽(211)이 용기(100)의 벽면에 밀착 결합되고,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밑면이 적층-가이드벽(212)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밀착-탄성부재(220)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마로 구성할 수 있다.
진공밸브(230)는 뚜껑본체(210)의 밸브안착부(213)에 천공된 고정홀(215)에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축(232)과, 이 고정축(232)의 상단에 원판형으로 마련되며 밸브안착부(213)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배기홀(2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자체 탄성력으로 복원되는 밸브플레이트(231)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진공밸브(230)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고무(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됨)로 이루어져 있어서,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배기홀(214)들을 닫는 방향으로 복원되며, 용기(100)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 밸브안착부(213)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배기홀(214)들을 닫게 된다. 이를 위해 진공밸브(230)의 밸브플레이트(231)는 얇은 박막(멤브레인;MEMBRANE)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인디게이터(240;indicator)는 뚜껑본체(2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용기(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통홀(241a)이 천공된 돌출테(241)와, 상부가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돌출테(241)를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캡(242)과, 이 고무캡(242)의 하단부가 돌출테(241)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테(241)에 억지끼움되어 고무캡(24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243)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용기(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고무캡(242)의 상단부 형상이 변형되어 외부에서 용기(100)의 부압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사용상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사용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사용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뚜껑(200)을 눌러 덮으면, 뚜껑본체(210)의 가장자리에 하향 돌출된 스커트벽(211)이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스커트벽(211)의 외벽을 덮도록 성형된 밀착-탄성부재(220)를 통해 용기(100)의 벽면(110)에 밀착 결합된다. 그리고 진공밸브(230)의 밸브플레이트(231)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배기홀(214)들을 닫고, 인디게이터(240)의 고무캡(242)은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0)의 밸브안착부(213)에 진공펌프(300) 흡입구를 밀착시킨 후 진공펌프(300)를 구동시키면, 진공밸브(230)의 밸브플레이트(231) 가장자리가 들려 배기홀(214)들이 개방된다. 따라서 용기(100) 내부공기는 배기홀(214)들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며, 이로 인해 부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용기(100) 내부 압력변화에 따라 인디게이터(240)의 고무캡(242) 상부가 용기(100) 내측을 향해 쭈그러들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100) 내부가 부압(負壓)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진공펌프(300)를 구동시킨 후 중지하면, 용기(100)의 부압상태와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밸브플레이트(231)가 복원되면서 밸브안착부(213)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배기홀(214)들을 닫는다. 따라서 용기(100) 내부가 부압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식품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뚜껑(200)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밸브(230)의 밸브플레이트(231) 가장자리를 살짝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외부공기가 개방된 배기홀(214)들을 통해 순간적으로 유입되어 부압 상태가 해제되며, 인디게이터(240)의 고무캡(242) 역시 상측방향으로 탄성 복원된다. 이와 같이, 용기(100)의 부압상태가 해제되면 뚜껑(200)을 용기(100)로부터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에서는 뚜껑(200)의 상부에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용기 밑면을 끼움으로써 상측방향으로 적층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적층되는 식품보관용기의 용기 밑면이 밀착-탄성부재(220)가 코팅된 적층-가이드벽(212) 내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밀착 결합됨으로써, 식품보관용기들을 보다 견실하게 적층 보관할 수 있다.
100..용기 110..벽면 120..밑면
200..뚜껑 210..뚜껑본체 211..스커트벽
212..적층-가이드벽 213..밸브안착부 214..배기홀
215..고정홀 220..밀착-탄성부재 230..진공밸브
231..밸브플레이트 232..고정축 240..인디게이터
241..돌출테 241a..연통홀 242..고무캡
243..고정링 300..진공펌프

Claims (2)

  1. 내부에 식품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벽면(110)과 밑면(120)을 갖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00)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상기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향 돌출된 스커트벽(211)과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밑면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적층-가이드벽(212)이 마련되고, 중앙부분에는 오목하게 함몰되며 바닥면에 배기홀(214)이 천공된 밸브안착부(213)가 이루어진 뚜껑본체(210)와;
    연질의 합성수지를 통해 상기 뚜껑본체(210)의 스커트벽(211)과 적층-가이드벽(212) 외면을 덮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스커트벽(211)이 상기 용기(100)의 벽면에 밀착 결합되고,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식품보관용기의 밑면이 상기 적층-가이드벽(212)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게 하는 밀착-탄성부재(220)와;
    상기 뚜껑본체(210)의 밸브안착부(213)에 천공된 고정홀(215)에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축(232)과, 상기 고정축(232)의 상단에 원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밸브안착부(213)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배기홀(2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자체 탄성력으로 복원되는 밸브플레이트(231)로 이루어진 연질의 진공밸브(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상기 뚜껑본체(2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용기(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통홀(241a)이 천공된 돌출테(241)와,
    상부가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돌출테(241)를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캡(242)과,
    상기 고무캡(242)의 하단부가 상기 돌출테(24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테(241)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고무캡(24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243)으로 이루어진 인디게이터(24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용기(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고무캡(242)의 상단부 형상이 변형되어 외부에서 상기 용기(100)의 부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1020150186119A 2015-12-24 2015-12-24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20170076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119A KR20170076176A (ko) 2015-12-24 2015-12-24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119A KR20170076176A (ko) 2015-12-24 2015-12-24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176A true KR20170076176A (ko) 2017-07-04

Family

ID=5935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119A KR20170076176A (ko) 2015-12-24 2015-12-24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1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9173A (zh) * 2018-11-23 2019-01-29 青岛格兰泰克进出口有限公司 一种可抽真空的容器盖
KR20200114462A (ko) 2019-03-28 2020-10-07 우리스타 주식회사 밀폐용기용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9173A (zh) * 2018-11-23 2019-01-29 青岛格兰泰克进出口有限公司 一种可抽真空的容器盖
KR20200114462A (ko) 2019-03-28 2020-10-07 우리스타 주식회사 밀폐용기용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0143A2 (en) Container lid of vacuum valve operation type
US20100200588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JP3194876U (ja) 真空保存容器
ZA200409270B (en) Hose direct canister lid
KR101495610B1 (ko) 원터치형 진공 누름버튼이 구비된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보관방법
KR20140076018A (ko)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KR101400783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101445641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0408386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180113332A (ko) 식품의 신선도의 유지 기간 및 보관 기간을 향상시킨 밀폐 용기
KR101496238B1 (ko)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KR200433727Y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0477513Y1 (ko) 발효 식품 밀폐 용기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1597903B1 (ko) 밀폐용기 누름판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KR102329534B1 (ko) 음식물 보관용기의 밀폐구조
KR101519305B1 (ko) 밀폐용기용 압착뚜껑
KR200358108Y1 (ko)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