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957A -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957A
KR20090068957A KR1020070136772A KR20070136772A KR20090068957A KR 20090068957 A KR20090068957 A KR 20090068957A KR 1020070136772 A KR1020070136772 A KR 1020070136772A KR 20070136772 A KR20070136772 A KR 20070136772A KR 20090068957 A KR20090068957 A KR 20090068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ackaging container
container
isolated
sea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명환
정창명
오상훈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8957A/ko
Publication of KR2009006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2581/3471Microwave reactive substances present in the packag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랜지와 상기 리드 필름 사이에는 실링부와 미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 상승 시에 압력이 집중되어 용이하게 박리가 일어나는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에는 플랜지를 관통하는 배기구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용기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할 때에 포장 용기 내에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에서 리드 필름과 플랜지가 우선적으로 분리되고 배기구를 통하여 증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리드 필름의 파손, 내용물의 비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포장 용기, 고립형 실링부, 돌출형 실링부, 오목부, 미실링부, 배기구, 가스레인지, 증기 배출

Description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PACKA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VAPOR AUTOMATICALLY}
본 발명은, 플랜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플랜지와 열접착되어 내용물을 밀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리드 필름(lid film)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 용기 내에 보관된 식품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할 때에, 포장 용기 내에서 발생한 증기가 가열 중에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 본체의 플랜지와 리드 필름의 열접착에 의하여 밀봉 상태로 유지된 포장 용기 내에 담긴 식품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내용물로부터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포장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리드 필름이 팽창하고, 리드 필름의 순간적인 파열에 의하여 내용물이 비산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전자레인지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포장 용기를 가열하기 전에, 용기에 열접착된 리드 필름의 일부를 벗기거나, 포크 등과 같은 예리한 도구로 리드 필름에 미리 구멍을 뚫어 둠으로써, 가열 중에 증기가 포장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조작은 소비자에게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다.
또한, 전자레인지 가열 시 수분의 과도한 증발로 인하여 식품 표면의 수분 함량 저하로 내용물이 건조해져서 제품 고유의 풍미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레인지 가열용 포장 용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비자가 무심코 포장 용기를 그대로 가열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내용물이 밀봉된 포장 용기에 여하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포장 용기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는 중에 포장 용기 내에 발생한 증기에 의한 압력이 소정치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증기가 포장 용기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플랜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리드 필름 사이에는 접착이 이루어진 실링(sealing)부와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 상승 시에 압력이 집중되어 용이하게 박리가 일어나는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립형 실링부 또는 돌출형 실링부에는 플랜지를 관통하는 배기구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 용기를 전자레인지 내에서 가열할 때에 발생하는 증기는, 용이하게 박리가 일어나는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에 마련된 배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고립형 실링부는 미실링부에 의해 포위되고, 상기 미실링부는 용기의 내측 공간과 연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 용기 내에서 상승된 압력이 고립형 실링부 주위의 미실링부에 작용하여, 고립형 실링부에서 리드 필름과 플랜지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과 플랜지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열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서로 대면하는 면에 열접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링부는 열접착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실링부는 플랜지와 리드 필름의 열접착 공정 중에 미가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실링부를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플랜지는 미실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돌출형 실링부를 마련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링부와 미실링부를 각각 플랜지의 외주와 내주 근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실링부의 일부를 미실링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돌출형 실링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출형 실링부에는 다른 부위보다 압력이 집중되는 현상에 의하여 큰 압력이 작용하여 우선적으로 분리가 일어나고, 돌출형 실링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하여 증기가 배출됨으로써, 포장 용기 내에 과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돌출형 실링부의 선단을 V자 형태로 함으로써, 플랜지와 리드 필름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 및/또는 리드 필름의 재질로는 열접착성 수지인 폴리프로필 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PP, PET, PS 중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질을 사용할 경우에, 상기 실링부는 열접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과 같은 내용물이 밀봉 상태로 보관된 포장 용기를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가열하더라도, 내용물에 의하여 발생한 증기가 포장 용기 내에 채워져 소정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배기구가 개방됨으로써, 리드 필름의 파열이나 내용물의 비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가 개방되기 전까지는 포장 용기 내에 충만된 증기에 의하여 내용물을 가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포장 용기를 미리 개방하여 가열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가열 시간이 단축되고 내용물 고유의 풍미를 더욱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용기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와 리드 필름 사이에는 접착이 이루어진 실링부와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의 일부는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 상승 시에 큰 압력을 받게 되어 다른 부분보다 우선적으로 박리가 일어나는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에는 플랜지를 관통하는 배기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식품이 밀봉 상태로 보관된 포장 용기를 그대로 전자레인지 내에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포장 용기(100)는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의 개방부를 밀폐하기 위한 리드 필름(20)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용기 본체(10)는 개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설된 플랜지(30)를 구비함으로써, 플랜지(30)와 리드 필름(20)의 가장자리 부위가 서로 접착되어 실링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용기 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도 1에는 도시 생략)을 밀봉한다.
도 1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장 용기(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우선적으로 박리가 일어나는 고립형 실링부(40)를 형성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10)의 내측 공간과 연통하는 오목부(50)를 플랜지(30)에 형성한다. 오목부(50)는 고립형 실링부(40)를 포위하도록 가공되어, 실링부의 일부인 고립형 실링부(40)는 실링부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고립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고립형 실링부(40)에는 포장 용기(100)의 외부와 연통하는 배기구(60)가 천공된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포장 용기(100)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리드 필름(20)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포장 용기(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그 압력은 오목부(50)에도 작용하여 오목부(50) 상방의 리드 필름(20)을 가압하게 되므로, 고립형 실링부(40)는 사방으로부터 전단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포장 용기(100) 내의 압력이 소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립형 실링부(40)에서 리드 필름(20)과 플랜지(30)가 분리된다.
이 때에, 고립형 실링부(40)에 형성된 배기구(60)를 통하여 증기가 배출됨으로써, 포장 용기(100)의 내압이 감소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일련의 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영역이 플랜지(30)에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0)의 일부를 연장한 연장부(7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10) 및/또는 리드 필름(20)은 단층 구조의 열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리드 필름(20)과 대면하는 면에 열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목부(50)를 제외한 플랜지(30)는 열접착 공정에 의하여 리드 필름(20)과 함께 실링부를 형성할 수 있다.
고립형 실링부(40)와 오목부(50)의 크기 및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립형 실링부(40)에서의 리드 필름(20)과 플랜지(30)의 접착 강도를 고려하여 적의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하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는 원통형인 것으로 도 1에 예시되어 있으나, 각통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용기 본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각통형의 용기 본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모서리 또는 변의 위치에 연설된 플랜지에 전술한 바와 같은 증기 자동 배출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플랜지(30)의 한 곳에만 자동 증기 배출 수단을 마련하였으나, 2개소 이상의 위치에 마련할 수도 있다는 점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제1 실시예에서 예시된 오목부(50) 대신에, 고립형 실링부(40) 주위에 미실링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열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열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를 용기 본체(10) 및/또는 리드 필름(20)으로 사용하는 경우, 플랜지(30)와 리드 필름(20)을 열접착하는 과정 중에 상기 오목부(50)에 해당하는 부위를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미실링부를 형성할 수 있다.
고립형 실링부(40)를 포위하는 미실링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포장 용기(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그 압력은 미실링부에 작용하여 미실링부 상방의 리드 필름(20)을 가압하게 되므로, 고립형 실링부(40)는 사방으로부터 전단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포장 용기(100) 내의 압력이 소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도 3과 마찬가지로 고립형 실링부(40)는 리드 필름(20)과 분리되고, 고립형 실링부(40)에 형성된 배기구(60)를 통하여 증기가 배출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100)의 플랜지(30)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플랜지(30)의 외주 근방에 대략 환형의 실링부(80)가 형성되도록, 플랜지(30)와 리드 필름(20)을 접착한다. 실링부(80)의 내측에는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실링부(90)가 존재하며, 실링부(80)의 일부를 미실링부(90)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돌출형 실링부(4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돌출형 실링부(40')를 포함하는 실링부(80)가 형성된 포장 용기(100)가 증기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방의 리드 필름(20)이 팽창하게 되면, 실링부(80)의 돌출형 실링부(40')가 다른 부분보다 압력의 응집에 의하여 큰 압력을 받게 되어 우선적으로 박리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돌출형 실링부(40')의 영역 내에 플랜지(20)를 관통하는 배기구(60)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돌출형 실링부(40')에서의 리드 필름(20)과 플랜지(30)의 분리와 더불어 증기의 배출이 일어나게 된다.
돌출형 실링부(40')의 형상은 도 4에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용이하게 박리가 개시될 수 있도록, 돌출형 실링부(40')의 최내측의 위치가 플랜지(30)의 내주에 접하도록 하고, 선단의 형상을 V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용기 본체(10) 및/또는 리드 필름(20)을 열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 하거나, 열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열접착성 수지의 대표적인 예로는 PP, PET, PS를 들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본질 및 필수적인 특징적인 구성을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 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실시 형태는 예시적인 것일 뿐 제한적인 의미를 갖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이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모든 변형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장 용기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의 리드 필름 변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플랜지만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기 본체 20: 리드 필름
30: 플랜지 40: 고립형 실링부
40': 돌출형 실링부 50: 오목부
60: 배기구 70: 연장부
80: 실링부 90: 미실링부
100: 포장 용기

Claims (9)

  1. 플랜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리드 필름 사이에는 실링부와 미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 상승 시에, 압력이 집중되어 우선적으로 박리가 일어나는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립형 또는 돌출형 실링부에는 플랜지를 관통하는 배기구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립형 실링부는 미실링부에 의해 포위되고,
    상기 미실링부는 용기의 내측 공간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미실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과 플랜지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열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대면하는 면에 열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실링부는 플랜지와 리드 필름의 열접착 공정 중에 미가압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플랜지의 외주 근방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미실링부가 존재하며,
    상기 실링부의 일부가 미실링부 측으로 돌출되어 돌출형 실링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실링부는 선단이 V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리드 필름 중 하나 또는 모두는, PP, PET, PS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이거나, PP, PET, PS 중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열접착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KR1020070136772A 2007-12-24 2007-12-24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KR20090068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72A KR20090068957A (ko) 2007-12-24 2007-12-24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72A KR20090068957A (ko) 2007-12-24 2007-12-24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957A true KR20090068957A (ko) 2009-06-29

Family

ID=4099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772A KR20090068957A (ko) 2007-12-24 2007-12-24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89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490A1 (ko) * 2013-11-19 2015-05-28 주식회사 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WO2016117784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KR200491706Y1 (ko) 2018-12-12 2020-05-22 윤석환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490A1 (ko) * 2013-11-19 2015-05-28 주식회사 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WO2016117784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태방파텍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US10611550B2 (en) 2015-01-22 2020-04-07 Taebang Patec Co., Ltd. Dent prevention structure of food cooking container
KR200491706Y1 (ko) 2018-12-12 2020-05-22 윤석환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1234U (ja) 電子レンジで調理するための食品容器
US6648163B2 (en) Package having cup with beveled sealing flange
US6602309B2 (en) Vented, grooved back, heat induction foil
JP5038692B2 (ja) レトルト食品用容器
EP1353860B1 (en) Heatable food package with venting means
EP1422163A1 (en) Food package for heating in an oven
KR20060119080A (ko) 음식물 포장 용기
KR200491706Y1 (ko)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KR20090068957A (ko) 자동 증기 배출용 포장 용기
JP2009078865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US20100068352A1 (en) Venting mechanism for a microwave flexible package
US20100065555A1 (en) Venting mechanism for a microwave flexible package
JP2016068981A (ja) 蓋材
JP4716368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
JP2925652B2 (ja) 食品包装体
ZA200404461B (en) Packaging sheet and package made therefrom
JP2000289784A (ja) 電子レンジ加熱食品用容器
KR200485266Y1 (ko) 이중박리구조캡을 포함한 식품용기
JPH10211972A (ja) 自動通気包装袋
JP4954661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20200038400A (ko) 가스 또는 증기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및 즉석식품 포장체
JP7063715B2 (ja)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容器本体の製造用工具、並びに、容器
GB2425108A (en) Venting of product packages
JP2005350102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JP2015151152A (ja) 易開封性容器の開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