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429Y1 -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429Y1
KR200231429Y1 KR2020010005967U KR20010005967U KR200231429Y1 KR 200231429 Y1 KR200231429 Y1 KR 200231429Y1 KR 2020010005967 U KR2020010005967 U KR 2020010005967U KR 20010005967 U KR20010005967 U KR 20010005967U KR 200231429 Y1 KR200231429 Y1 KR 200231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gas discharge
gas
fermented food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영
Original Assignee
박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영 filed Critical 박희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429Y1/ko

Link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여 용기가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발효식품 포장용기에는 포장용기 내의 가스는 통과시키지만 내용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가스 배출부가 형성되며, 가스 배출통로는 포장용기의 열융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가스 배출통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포장용기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스 배출공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발효식품 포장용기는 포장용기의 열융착부를 가로질러 가스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단순한 구성으로 포장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포장용기 내에 생성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포장용기의 내부압력에 따라 가스 배출량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GAS-EXHAUSTIBLE PACKAGE FOR FERMENTED FOOD}
본 고안은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여 용기가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와 젓갈과 같은 발효식품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품으로서, 최근에는 특히 영양가 높은 음식으로 세계적으로도 보급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발효식품은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제조되어 소비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대량으로 생산된 발효식품을 소비자가 완제품 형태로 구입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발효식품, 특히 김치 시장은 초기에는 군납이나 단체급식 등을 위한 대량유통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나, 최근에는 일반 소비자를 겨냥한 소포장 제품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발효식품의 대표적인 포장 방법으로는 병, 플라스틱 상자 등을 이용하는 포장 방법과, 스탠딩 파우치나 일반 파우치와 같은 파우치(pouch) 형의 플라스틱 필름봉투 포장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운반이 용이해서 소형 포장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파우치형 포장용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필름/폴리에틸렌 (PET/Al/PE), 나일론/알루미늄필름/폴리에틸렌(Ny/Al/PE), 나일론/캐스트 폴리프로필렌(Ny/CPP) 또는 나일론/폴리에틸렌(Ny/PE) 등을 재료를 이용하여 공압출 또는 적층하여 제작되며,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용기에 담아 상압 또는 진공 상태에서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발효식품을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발효식품을 포장하는 방법에 있어왔는데, 발효식품은 특성상 유통과정에서 지속해서 발효 및 숙성되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게 되어 포장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용기 자체가 파손되거나 내용물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내부 압력에 의해 포장용기가 팽창하게 되면 소비자들이 내용물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 구매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판매 과정에서 결국 반품하는 사례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이는 발효식품의 생산업체의 수익성을 저하시키고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스만을 배출하는 재질로 된 내포장재를 사용하여 가스를 배출하는 방법이 최근 한국식품개발연구원에서 발표된 바 있다. 김치 포장방법과 관련하여 특허출원 제 1999-78725호로 출원된 이 기술에서는, 가스투과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필름 내포장재로 김치를 포장한 다음, 차단성 플라스틱 외포장재로 재포장하고, 외포장재에 미세기공을 성형하여 내포장재를 통해 배출된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 포장방법은 포장방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추가적인 포장재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업화할 경우 포장용기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또한, 포장용기의 전면에 가스 배출구멍을 성형함으로써 포장용기의 외관을 해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구매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발효식품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효식품 포장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형성된 가스 배출통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가스 배출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40, 40'..포장용기 16, 36, 42..열융착부
22, 24, 26, 38..가스 배출통로 25, 27..스티커
24a, 26a..가스 유입구 44..가스 배출공
46, 48..열융착 개폐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변부가 밀봉되어 음식물을 저장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는 상기 포장용기 내의 가스는 통과시키지만 내용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장용기는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열융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열융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가스 배출통로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측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배출통로의 유입구는 상기 포장용기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이 되면 접착력이 해제되는 약한 접착력을 가진 스티커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스 배출통로에 부착된 스티커는 서로 다른 접착력 또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그재그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통로의 하단에는 상기 포장용기 내부의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융착부는 상기 포장용기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 배출통로가상기 가스 열융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용기의 전면에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형성하여, 상기 투명창과 상기 포장용기를 접착하는 부위에서 열융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포장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과, 상기 가스 배출공을 소정압력 이상일 때 개방하는 열융착 개폐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융착 개폐부는 상기 가스 배출공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스 배출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스 배출공을 밀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공 및 상기 열융착 개폐부는 서로 다른 접착력으로 열융착되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배출공 및 상기 열융착 개폐부는 상기 포장용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포장용기에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포장용기의 겉면에 상기 배출공을 덮도록 소정 압력에 의해 해제되는 접착력으로 부착된 스티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파우치형 포장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와 유사한 종류의 다른 포장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유통과정 중 발효될 가능성이 있는 식품을 담는 모든 용기에 적용 가능하며, 일반적인 비닐팩, 종이에 합성수지가 코팅된 우유팩, 플라스틱 케이스에 은박 덮개를 접착하여 밀봉한 일반적인 요구르트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참고로, 일반적인 파우치형 포장용기는 공지의 재질로 되어 있는 두 개의 필름을 적층하고 그 가장자리를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밀봉하여 제작되는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제조원리는 본 고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기(10)의 측단부 및 하단부에 해당하는 밀봉부(12)가 초기 제조과정에서 열융착과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밀봉되는데, 이때에 포장용기(10)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이며 내부에는 내용물을 넣을 수 있는 공간(14)이 형성된다. 이후,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용기 내에 넣은 후, 개방된 상태로 있는 포장용기(10)의 상단(16)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용기(10)의 포장과정이 끝나게 된다.
여기서, 열융착으로 포장용기(10)를 밀봉하는 부분을 열융착부라 명명하며, 본 고안에서는 용기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가 열융착부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가스 배출부가 형성되는 열융착부는 최종적으로 열융착되는 용기의 상단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에는 용기 상단의 열융착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 배출부는 용기의 측부에 있는 열융착부(12)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용기의 상부 및 측부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열융착부(16)에는 외부로부터 포장용기 내부(14)로 연결되는 가스 배출부가 형성되며, 이때 본 실시예에서 열융착부(16)를 가로질러 형성된 가스 배출부는 가스 배출통로(22, 24, 26)라 명명된다. 도면에서 중앙에 배치된 가스 배출통로(22)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가스 배출통로(24, 26)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른 변형예들이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서 가스 배출통로(22, 24, 26)는 열융착부(16) 내에, 바람직하게는 열융착부(16)를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며, 포장용기(10) 내에서 발효 및 숙성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고, 다만 김치 국물과 같은 포장용기(10) 내의 내용물은 통과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 배출통로(22, 24, 26)는 열융착부(16)의 열융착 과정에서 사용되는 열융착용 금형에 가스 배출통로(22, 24, 26)에 해당하는 홈을 형성하여 열융착함으로써, 가스 배출통로(22, 24, 26)를 자연스럽게 형성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 배출통로(22, 24, 26)는 포장용기(10) 내의 가스만 배출하고 내용물은 외부로 배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크기가 정해지는데, 가스 배출통로(22, 24, 26)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대략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 배출통로(22, 24, 26)의 직경은 열융착부(16)의 길이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데, 열융착부(16)의 길이가 길수록 가스 배출통로의 직경은 커지고 열융착부(16)의 길이가 짧을수록 가스 배출통로의 직경은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안으로는 열융착 과정에서 적층되는 필름 사이의 가스 배출통로(22, 24, 26)에 미세한 가스 배출관, 또는 스펀지나 부직포와 같은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다공성 물질을 삽입한 후 전체 면적을 밀봉함으로써 가스 배출관 또는 다공성 물질이 가스 배출통로(22, 24, 26)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중앙에 위치한 가스 배출통로(22)는 열융착부(16)의 상하단을 가로질러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가스 배출통로(22)의 상하단은 각각 외부의 대기 및 포장용기(10)의 내부공간(14)과 연통되어 있다.
도 1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한 가스 배출통로(24)는 다른 변형예로서, 포장용기(10)의 내부압력이 높을 때에만 가스배출작용이 일어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스 배출통로(24)의 하단부에는 포장용기의 내부공간(14) 쪽에 유입구(24a)가 형성되는데, 이 유입구(24a)가 약한 접착력을 가진 스티커(25)로 밀봉된다. 따라서, 포장용기의 내부(14)가 소정 압력 이상이 되면 스티커(25)의 접착력이 해제되어 가스 배출통로(24)를 통해 가스를 포장용기(10) 밖으로 배출하고,내부압력이 낮을 때에는 스티커(25)의 접착력에 의해 포장용기(10)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가스 배출통로(24)에는 스티커(25)의 접착부분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4b)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연장부(24b)는 스티커(25)가 떼어졌을 때 가스 배출통로(24)의 유입구(24a)가 포장용기 내부(14)와 보다 잘 연통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한 가스 배출통로(26)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에 형성된 가스 배출통로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가스 배출통로(26)는 열융착부(16)의 상하단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하단에 스티커(27)가 부착된다는 점에서는 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가스 배출통로(24)와 동일하나, 하단의 연장부(26b)에 다수의 가스 유입구(26a)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를 위해서, 가스 배출통로(26)의 하단 연장부(26b)에는 다수의 소형 배출경로(26c)가 좌우로 연장되어 있고, 다수의 소형 배출경로(26c) 단부에 각각 가스 유입구(26a)가 형성된다.
이러한 변형은 하나의 가스 배출통로(26)에 형성된 다수의 가스 유입구(26a)를 통해서 포장용기 내부(14)의 가스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포장용기(10) 내에 저장된 내용물에는 미세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어서 이러한 성분이 가스 배출통로의 유입구에 부착되어 가스 배출통로가 막히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본 변형과 같이 하나의 가스 배출통로에 다수의 가스 유입구(26a)를 형성하게 되면 다양해진 가스 유입경로로 인해 어느 하나의 유입구가 막혀도 다른 유입구를 통해 가스가 배출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가스 배출통로가 막히는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는 한 예로서 모두 세 개의 가스 배출통로(22, 24, 26)를 사용하였으며, 이중 두 개의 가스 배출통로(24, 26)에만 스티커(25, 27)를 사용한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일부의 가스 배출통로에만 스티커를 사용하게 되면, 평소에는 스티커가 사용되지 않은 한두 개의 가스 배출통로를 통해 발효 및 숙성과정을 촉진시키고, 포장용기 내부(14)의 가스가 과도하게 증가할 때에는 스티커의 접착력이 해제되어 모든 가스 배출통로를 통해 내부 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가스 배출통로에 사용되는 스티커는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진 스티커들이 내부압력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내부압력이 낮을 때는 하나의 가스 배출통로를 통해서 소량의 가스만 배출하고 내부압력이 높을 때는 다수의 가스 배출통로 통해서 다량의 가스를 배출하게 되므로, 가스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우측의 가스 배출통로(26)에 부착된 스티커(27)는 좌측의 가스 배출통로(24)에 부착된 스티커(25)보다 더 큰, 또는 더 접착력이 강한 스티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에 위치한 가스 배출통로(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티커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먼저 가운데의 가스 배출통로(22)가 항상 포장용기(10)의 내부를 외부 대기와 연통시키면서 포장용기(10) 내에 발생한 가스를 소량씩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포장용기(10) 내의 가스 발생량이 증가하여 포장용기(10)의 내부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약한 접착력을 가진 좌측 스티커(25)가 먼저 떼어지면서 중앙 및 좌측 가스 배출통로(22, 24)를 통해 더 많은 양의 가스가 포장용기(10)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이후 포장용기(10)의 내부압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 우측 가스 배출통로(26)에 형성된 스티커(27)가 연이어 떼어지면서 가스 배출량은 더욱 늘어나게 되어, 포장용기(10)의 내부압력은 지속적으로 적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스티커의 순차적 해제방법은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진 스티커를 사용하여 달성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접착력을 가진 스티커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여 접착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배출통로의 하단에 별도의 스티커를 부착하지 않고, 가스 배출공의 하단을 열융착 과정에서 약한 압력으로 열융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포장용기(10)의 제조공정에서 포장용기(10)의 상단을 열융착하여 밀폐하는 과정은 필수적인 공정이므로, 이때에 스티커(25, 27)에 해당하는 부위를 약한 압력으로 열융착함으로써 이로 인해 생긴 접착부가 스티커(25, 27)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열융착용 금형에 열융착부(16)에 해당하는 곳보다 스티커(25, 27)에 해당하는 곳이 약간 얇게 되도록 홈을 형성하면, 열융착부(16)를 열융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스티커(25, 27)에 해당하는 접착부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티커(25, 27)에 해당하는 접착부위의 접착강도는 스티커(25, 27)에 해당하는 금형 부위의 크기와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출통로(24)의 연장부(24b)와 가스 배출통로(26)의 연장부(26b) 및 소형 배출경로(26c) 역시 금형을 변형하여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스티커를 부착하는 대신 열융착용 금형으로 접착부를 형성하게 되면, 별도의 스티커 부착공정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화되고, 또한 스티커를 위한 별도의 재료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원가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발효식품 포장용기(10)에 세 종류의 가스 배출통로(22, 24, 26)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가스 배출통로의 종류를 선택하여 다수개의 가스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사용되는 가스 배출통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의 가스 배출통로(28)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배출통로(22, 24, 26)와 같은 일자형이 아닌 지그재그형으로 구성된다.
가스 배출통로는 외부 대기와 포장용기 내부(14)를 서로 연통시키기 때문에 가스 배출통로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포장용기(1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와 같이 가스 배출통로(28)를 지그재그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가스 배출통로(28)가 휘어지는 부분에서 이물질을 상당부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용기(10)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위생적으로 저장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포장용기(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른 가스 배출통로(28)는 지그재그형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만 도 1의 가스 배출통로와 다르며, 하단 유입구에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유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일자형 가스 배출공과 지그재그형 가스 배출통로는 서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일자형 가스배출통로만을 사용하거나 지그재그형 가스 배출통로만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가스 배출통로는 일자형과 지그재그형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이외의 다른 형태로 변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발효식품 포장용기(30)의 외측부(32)는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밀봉되며, 포장용기(30)의 전면에는 포장용기(30)에 수용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34)이 설치된다. 투명창(34)은 투명한 비닐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의 상태를 보다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투명창(34)은 또한 포장용기(30)에 사용된 포장재에 열융착 등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되는데, 이때 투명창(34)과 포장재가 접착되는 부위를 열융착부라 명명하며, 도 3에서 참조부호 36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가스 배출통로(38)가 투명창(34)의 열융착부(36)에 형성되며, 이 가스 배출통로(38)의 형상과 형성방법 및 여러 변형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이와 같이 투명창(34)의 열융착부(36)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통로(3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포장용기(10) 상단의 열융착부(16)에 형성된 가스 배출통로(26, 24, 26, 28)와 병행해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투명창(34) 부근에만 가스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40)의 일측에는 포장용기(4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스 배출통로(44)가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통로는 가스 배출공(44)이라 명명된다. 가스 배출공(44) 주변에는 포장용기(40)의 내부압이 소정 압력 이상일 때 개방되는 열융착 개폐부(46)가 형성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포장용기(4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열융착에 의해서 밀봉되는 열융착부(42)를 포함하며, 이 열융착부(42)에 인접하는 지점에 가스 배출공(44)이 형성되는 것이다. 가스 배출공(44)은 기체는 통과시키지만 액체의 통과는 용이하지 않은 적절한 직경을 가지며, 대략 1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 배출공(44)이 형성되는 위치는 포장용기(40)의 상단, 즉 상단 열융착부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출공(44)이 용기의 상단부에 형성되면, 직립식 파우치의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가스 배출공(44)을 가로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열융착 개폐부(46)는 가스 배출공(44) 주변에서 배출공(44)을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 열융착 개폐부(46)는 가스 배출공(44)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어 평상시 가스 배출공(44)으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용기의 내부압이 기준치 이상이 되면 접착력이 해제되어 가스 배출공(44)을 통해 용기 내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열융착 개폐부는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변형도 충분히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열융착 개폐부가 배출공(44) 및 그 주변의 일부 면적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열융착 개폐부는 참조번호 48로 지시된다.
도 5의 열융착 개폐부(48)는 가스 배출공(44)과 완전히 밀착되어 가스 배출공(44)의 가스 유입구 완전히 덮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는 도 4의 예와 다르지만, 용기의 내부압이 소정 기준 이상이 되면 접착력이 해제되어 가스 배출공(44)을 개방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가스 배출공(44) 및 열융착 개폐부(46, 48)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한 예로써 세 개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때, 각각의 열융착 개폐부(46, 48)는 동일한 접착력으로 열융착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압력으로 열융착되어 서로 다른 접착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열융착 개폐부(46, 48)를 서로 다른 접착력으로 열융착하게 되면, 용기의 내부압이 증가하면서 열융착 개폐부(46, 48)가 순차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용기 내에 저장된 음식물의 발효과정에 따라서 적절한 유량으로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대안으로서, 포장용기에 가스 배출공(44)과 유사한 배출공을 형성하고, 용기의 외면에 배출공을 덮도록 소정 압력에 의해 접착력이 해제되는 접착력을 가진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포장용기 내의 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증가할 때, 내부 압력이 배출공을 통해 스티커를 밀어내어 스티커의 접착력을 해제하게 되므로, 포장용기 내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발효식품용 포장용기에 따르면, 포장용기의 열융착부를 가로질러 가스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서 포장용기의 외관을 전혀 해치지 않으면서도 포장용기 내에 생성된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력이 다른 스티커를 사용하여 포장용기의 내부압력에 따라 가스 배출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장용기 내의 가스 배출을 위하여 포장용기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가스 배출공을 형성하고 가스 배출공 주변을 열융착에 의해 적절한 접착력으로 밀봉할 경우,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도 포장용기 내의 가스를 적절한 시기에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주변부가 밀봉되어 음식물을 저장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 내의 가스는 통과시키지만 내용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열융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열융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가스 배출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측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배출통로의 유입구는 상기 포장용기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이 되면 접착력이 해제되는 약한 압력으로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스 배출통로에 형성된 유입구는 서로 다른 압력으로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측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배출통로의 유입구는 상기 포장용기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이 되면 접착력이 해제되는 약한 접착력을 가진 스티커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스 배출통로에 부착된 스티커는 서로 다른 접착력 또는 크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통로는 지그재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8.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통로의 하단에는 상기 포장용기 내부의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9.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부는 상기 포장용기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 배출통로는 상기 열융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0.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전면에는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되며, 상기 열융착부는 상기 투명창과 상기 포장용기를 접착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1.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통로로 내에는 가스 배출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2.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통로 내에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다공성 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포장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과, 상기 가스 배출공을 소정압력 이상일 때 개방하는 열융착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 개폐부는 상기 가스 배출공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 개폐부는 상기 가스 배출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스 배출공을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공 및 상기 열융착 개폐부는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열융착 개폐부는 서로 다른 접착력으로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공 및 상기 열융착 개폐부는 상기 포장용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포장용기에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포장용기의 겉면에 상기 배출공을 덮도록 소정 압력에 의해 해제되는 접착력으로 부착된 스티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20010005967U 2000-12-07 2001-03-06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02314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77 2000-12-07
KR2020000034277U KR200222463Y1 (ko) 2000-12-07 2000-12-07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429Y1 true KR200231429Y1 (ko) 2001-07-19

Family

ID=730635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277U KR200222463Y1 (ko) 2000-12-07 2000-12-07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20010005967U KR200231429Y1 (ko) 2000-12-07 2001-03-06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277U KR200222463Y1 (ko) 2000-12-07 2000-12-07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224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15B1 (ko) * 2019-10-14 2020-05-29 최광수 가스통로가 구비된 접합부를 갖는 포장용 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400A (ko) 2018-10-03 2020-04-13 소윤섭 가스 또는 증기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및 즉석식품 포장체
KR102166768B1 (ko) 2018-10-17 2020-10-16 한우 발효식품 포장용 지퍼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15B1 (ko) * 2019-10-14 2020-05-29 최광수 가스통로가 구비된 접합부를 갖는 포장용 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463Y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2872A (en) Film-encapsulated-structure container for food, beverages and other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 for making of same
TWI400181B (zh) 用於將出水口安裝於彈性薄囊袋的方法
US6652144B2 (en) Beverage container pouch
JP2013540652A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リングされた容器
IT9022563A1 (it) Contenitore in laminato flessibile con inserto di apertura e richiusura.
KR20090081378A (ko) 포장체 및 용기
CN106458364B (zh) 包装材料层压结构
JP4097066B2 (ja) 流動食用包装袋
JP4816126B2 (ja) 注出具付き包装袋
JP4220044B2 (ja) 電子レンジ用射出成形容器
KR200231429Y1 (ko)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JP4108831B2 (ja) 詰め替え用ポンプ付き容器
CN104024128A (zh) 一次性的单一用途饮料包装
US20220348394A1 (en) Pouch provided with reinforced tunnel for drink suction
JP6318476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6168820A (ja) パウチ用注出口
JP5423173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
JP5375291B2 (ja) 二つ折りの包装容器
JPH10310181A (ja) 電子レンジ用包装体
CN220054865U (zh) 包装袋与联排式包装组件
KR20150088505A (ko) 식품 포장용기
KR101059499B1 (ko) 발효식품 포장 용기
KR20140114685A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JP2000142716A (ja) 不定形容器
US2023021193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uch container, pouch container, pouch container with cap, and double container with discharg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