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381B1 - 마스크팩 포장재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381B1
KR101782381B1 KR1020160112716A KR20160112716A KR101782381B1 KR 101782381 B1 KR101782381 B1 KR 101782381B1 KR 1020160112716 A KR1020160112716 A KR 1020160112716A KR 20160112716 A KR20160112716 A KR 20160112716A KR 101782381 B1 KR101782381 B1 KR 101782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inner space
hole
front cover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우주
Priority to KR102016011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부에 시트가 내장된 파우치; 파우치의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에 형성된 관통홀;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중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에 결합되며, 토출홀을 통해 파우치 외부와 파우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거 또는 변형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또는 가이드부로부터 제거 또는 변형되고, 제거 또는 변형시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포장재 {PACKAGE FOR MASK PACK}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유통이 편하고 내부의 화장액이 유출될 우려가 없는 마스크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의 경우 외부에 파우치가 있고, 그 내부에 마스크팩 시트가 내장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시트가 화장액에 젖어 있어 팩을 사용할 경우 미용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액을 2가지로 하는 경우도 있고, 주사기나 앰플 등을 통해 화장액을 별도로 보관하고 유통하며, 사용시 그 화장액을 파우치의 내부로 주입하여 시트에 함침한 후 파우치를 절개하여 시트를 꺼내고 팩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화장액을 별도로 보관하고 외부에서 주입하여 사용하는 타입의 경우 주입을 위해 파우치에 형성된 주입구 부분이 외부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유통과정에서 컴팩트하지 않아 부피가 큰 문제가 있었고, 관리과정이나 사용과정에서의 잘못에 의해 주입부가 열리거나 파손되어 파우치 내부의 화장액이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582608 B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유통이 편하고 내부의 화장액이 유출될 우려가 없는 마스크팩 포장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는, 전면피복과 후면피복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시트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 파우치의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에 형성된 관통홀;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중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에 결합되며, 파우치의 내부공간측으로 토출홀이 형성되고, 토출홀을 통해 파우치 외부와 파우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에서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또는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거 또는 변형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또는 가이드부로부터 제거 또는 변형되고, 제거 또는 변형시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이 형성되고 주입라인은 관통홀 및 토출홀과 연통되어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에서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가이드부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이 형성되며 주입라인은 관통홀 및 토출홀과 연통되고, 차단부는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는 접착제를 통해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또는 가이드부에 접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차단부는 접착이 분리되며 제거 또는 변형될 수 있다.
가이드부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이 형성되고 주입라인은 관통홀 및 토출홀과 연통되며, 주입라인에는 관통홀측으로 입구가 형성되고 토출홀측으로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라인은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일 수 있다.
주입라인은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일 수 있다.
주입라인은 입구에서 출구로 연장되는 직선 또는 곡선의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부는 테두리를 따라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파우치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마주보는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내측면과 함께 주입라인을 형성하며, 주입라인은 관통홀 및 토출홀과 연통되어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주입라인은 단면이 파우치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부는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이 전면피복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후면피복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의 제거 또는 변형시 화장액 주입기구가 관통홀에 결합되고, 가이드부와 토출홀을 통해 화장액이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포장재에 따르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유통이 편하고 내부의 화장액이 유출될 우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팩 포장재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스크팩 포장재의 상세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의 다양한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팩 포장재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스크팩 포장재의 상세도이고,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의 다양한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는, 전면피복(120)과 후면피복(140)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시트(200)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100); 파우치(100)의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에 형성된 관통홀(160);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 중 관통홀(160)이 형성된 지점에 결합되며,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측으로 토출홀(320)이 형성되고, 토출홀(320)을 통해 파우치(100) 외부와 파우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00); 및 관통홀(160)이 형성된 지점에서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 또는 가이드부(300)에 결합되어 파우치(100)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거 또는 변형되는 차단부(400);를 포함하고, 차단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 또는 가이드부(300)로부터 제거 또는 변형되고, 제거 또는 변형시 파우치(100)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포장재는 파우치(100)가 구비된다. 파우치(100)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전면피복(120)과 후면피복(140)으로 구성된다. 전면피복(120)과 후면피복(140)은 한번에 일물로 성형될 수도 있고, 각각의 피복의 테두리가 열융착되어 파우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파우치(100)는 내부에 시트(200)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즉, 파우치(100)는 전면피복(120)과 후면피복(140)이 이루는 내부공간에 마스크팩 시트(200)가 내장되고, 그 시트(200)에는 화장액이 함침되거나 또는 함침 전의 건조한 상태로 내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포장재는 외부에서 별도의 화장액이 파우치(100) 내부로 주입되어 시트(200)에 투입되고 함침이 되어야 하는바, 선택적으로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그리고 파우치(100) 내부의 시트(200)에 화장액이 먼저 함침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부의 화장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확실히 밀봉하고, 추후 별도의 화장액을 추가할 경우에는 그 밀봉이 해제되어 화장액의 투입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파우치(100)의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에는 관통홀(160)이 형성된다. 관통홀(160)은 평상시에는 파우치(10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여 내부의 화장액을 충분히 실링해야 한다. 그리고 필요시에는 오픈되어야 한다.
관통홀(160)의 오픈과 해제를 위해 차단부(400)가 마련된다. 차단부(400)는 관통홀(160)이 형성된 지점에서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 또는 가이드부(300)에 결합되어 파우치(100)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거 또는 변형되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파우치(100)에서는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가 없어 다른 물체에 의해 걸리지 않아 파우치(100)의 실링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 중 관통홀(160)이 형성된 지점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을 향해 토출홀(320)이 형성되고, 토출홀(320)을 통해 파우치(100) 외부와 파우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외부에서 파우치(100)에 화장액을 주입할 경우 먼저 차단부(400)를 제거하거나 변형시킴으로써 실링을 파괴한다. 여기서 파우치(100)의 외부로는 어떠한 구성도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고 단지 차단부(400)만이 존재하는바, 차단부(400)가 돌출되거나 엣지가 형성되지 않고 차단부(400)는 평면상에 존재하는바 차단부(400)의 실링이 파괴될 물리적인 원인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이다. 차단부(400)의 실링을 해제한 후에는 별도의 기구(500) 등을 이용하여 화장액을 파우치(100) 내부로 주입한다. 그때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내부에서 주입되는 화장액을 내부공간 즉, 시트(200) 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주입되는 화장액이 역으로 파우치(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팩 포장재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스크팩 포장재의 상세도이고,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의 다양한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이드부(300)가 외부에 노출된 경우에 비해 제품의 내구성과 실링이 더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에서 파우치(100)의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우치(100)에는 먼저 가이드부(300)가 결합되고, 그 후 전면피복(120)과 후면피복(140)이 결합되어 파우치(100)를 이루도록 제조될 것이다.
한편, 가이드부(300)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350)이 형성된다. 가이드부(300)에는 화장액이 투입되고 내부의 주입라인(350)을 통해 파우치(100) 내부의 시트(200)로 화장액이 유도되는 것이다. 주입라인(350)은 파우치(100)에 형성된 관통홀(160) 및 가이드부(300) 단부의 토출홀(320)과 양단이 연통되어 파우치(100)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관통홀(160)이 형성된 지점에서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관통홀(160)은 파우치(100)의 전면피복(120)에 형성되었고, 그에 따라 가이드부(300)도 파우치(100)의 전면피복(120) 내측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가이드부(300)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350)이 형성되며 주입라인(350)은 관통홀(160) 및 토출홀(320)과 연통되고, 차단부(400)는 전면피복(12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전면피복(120)에 형성된 관통홀(160)을 기준으로 전면피복(120)의 내측면에서는 가이드부(300)가 접하고, 외측면에서는 차단부(400)가 접함으로써 외부로는 돌출된 구조가 없으면서 동시에 실링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시에는 가이드부(300)를 통해 화장액이 시트(200)를 향해 좀 더 직선의 유로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가이드부(300)가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가이드부(300)는 시트(200)에 수직인 유로가 축소되고 시트(200)에 평행한 유로가 더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통과정에서의 실링을 확보하기도 하지만, 화장액이 시트(200)를 향해 좀 더 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화장액이 효과적으로 시트(200)에 함침되고 관통홀(160)을 통해 역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단부(400)는 필름 형태이고, 적어도 관통홀(160)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접착제를 통해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 또는 가이드부(300)에 접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차단부(400)는 접착이 분리되며 제거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재의 다양한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가이드부(300)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350)이 형성되고 주입라인(350)은 관통홀(160) 및 토출홀(320)과 연통되며, 주입라인(350)에는 관통홀(160)측으로 입구(352)가 형성되고 토출홀(320)측으로 출구(35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주입라인(350)은 입구(352)에서 출구(354)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출구(354)로 갈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바, 좀 더 높은 유속으로 시트(200)를 향해 화장액을 토출하고, 화장액이 그에 따라 시트(200)에 좀 더 멀리 다다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입구(352)측에서 좀 더 큰 내부부피를 갖게 됨으로써 역으로 화장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버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의 경우는 주입라인(350)이 입구(352)에서 출구(354)로 갈수록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나타낸다. 도 4의 가이드부에 관한 실시예가 도 1 및 2의 마스크팩 포장재에 적용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출구(354)측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좀 더 넓은 범위로 화장액이 토출되어 시트(200) 전반에 걸쳐 고르게 주입될 수 있고, 출구(354)에서의 압력 해소 능력이 향상되어 주입과정에서 역으로 입구(352)를 통해 압력이 걸려 화장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입라인(350)은 입구에서 출구로 연장되는 직선 또는 곡선의 형상일 수 있다. 직선일 경우에는 어떠한 저항도 없이 다량의 화장액을 신속히 투입할 수 있고 역류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곡선의 경우에는 원하는 지점으로 화장액을 다양한 유로를 통해 주입할 수 있고, 곡선 형태의 주입라인이 외부에서 볼 때 투명하게 처리되어 있다면 미적인 부분에서 새롭고 독특하게 느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곡선의 경우에는 다소의 저항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입하는 화장액의 양을 조절해야 할 경우 주입량의 조절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가이드부(300)는 테두리를 따라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340)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마주보는 전면피복(120) 또는 후면피복(140)의 내측면과 함께 주입라인(350)을 형성하며, 주입라인(350)은 관통홀(160) 및 토출홀(320)과 연통되어 파우치(100)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내측면에 쉽게 고정되고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특히 주입라인(350)은 단면이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일 수 있어 파우치(100)의 내측면과 함께 유로를 형성하고, 파우치(100)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가해지는 압력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의 양측으로 분산되어 가이드부(300)의 손상이나 형상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가이드부(300)는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이 전면피복(12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후면피복(14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300)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좀 더 안정적인 결합위치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주입라인이 복수로 분기되고 복수의 토출홀(320)이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화장액을 분사하여 시트에 고르게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도 3과 4의 실시예에서도 토출홀(320)을 복수로 할 경우에는 동일하게 다양한 방향으로 화장액의 분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차단부(400)의 제거 또는 변형시 관통홀(160)이 노출된다. 그리고 주사기 등의 화장액 주입기구(500)가 관통홀(160)을 통과하고 내부의 가이드부(300)에 결합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파우치(100) 내부 화장액의 유출이 차단부(400)에 의해 차단되고, 가이드부(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숨어 있어 가이드부(300)를 통해 유출되는 현상이 매우 줄어든다. 특히 가이드부(300)는 내부에 있기 때문에 파우치(10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가이드부(300)는 지탱되기 때문에 입구(352)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적어 화장액이 역으로 누출되는 확률은 0에 가깝게 된다. 화장액 주입기구(500)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형태도 가능하고, 앰플의 형태도 가능하며, 화장액을 주입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차단부(400)가 제거된 후에는 주입기구(500)가 가이드부(300)의 입구(352)에 결합되고 가이드부(300)와 토출홀(320)을 통해 화장액이 파우치(100)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며 시트(200)에 함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포장재에 따르면, 가이드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아 가이드부가 보호되고, 따라서 차단부는 평면상에 존재하게 되어 차단부의 손상 확률이 적고 화장액의 유출이 방지된다. 이는 유통과정에서 더욱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가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우치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관통홀 부분은 가이드부로 보호되며 가이드부가 그 압력을 지탱하기 때문에 내부의 화장액이 차단부를 향해 역으로 가하는 압력도 줄어든다.
또한, 가이드부의 형상은 제조시 파우치와의 결합이 쉽고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하며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양측으로 분산하기 때문에 가이드부 자체의 내구성 확보에도 도움이 되고 시트 전반에 골고루 화장액을 분산시키며 주입과정에서의 역유출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파우치 200 : 시트
300 : 가이드부 400 : 차단부

Claims (13)

  1. 전면피복과 후면피복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시트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
    파우치의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에 형성된 관통홀;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중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에 결합되며, 파우치의 내부공간측으로 토출홀이 형성되고, 토출홀을 통해 파우치 외부와 파우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에서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또는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거 또는 변형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또는 가이드부로부터 제거 또는 변형되고, 제거 또는 변형시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며,
    가이드부는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이 형성되고 주입라인은 관통홀 및 토출홀과 연통되어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에서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가이드부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이 형성되며 주입라인은 관통홀 및 토출홀과 연통되고, 차단부는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부는 접착제를 통해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또는 가이드부에 접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차단부는 접착이 분리되며 제거 또는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주입라인이 형성되고 주입라인은 관통홀 및 토출홀과 연통되며, 주입라인에는 관통홀측으로 입구가 형성되고 토출홀측으로 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주입라인은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주입라인은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주입라인은 입구에서 출구로 연장되는 직선 또는 곡선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테두리를 따라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파우치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마주보는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의 내측면과 함께 주입라인을 형성하며, 주입라인은 관통홀 및 토출홀과 연통되어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주입라인은 단면이 파우치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이 전면피복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후면피복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부의 제거 또는 변형시 화장액 주입기구가 관통홀에 결합되고, 가이드부와 토출홀을 통해 화장액이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재.
KR1020160112716A 2016-09-01 2016-09-01 마스크팩 포장재 KR10178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16A KR101782381B1 (ko) 2016-09-01 2016-09-01 마스크팩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16A KR101782381B1 (ko) 2016-09-01 2016-09-01 마스크팩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381B1 true KR101782381B1 (ko) 2017-09-27

Family

ID=6003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716A KR101782381B1 (ko) 2016-09-01 2016-09-01 마스크팩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317A (ko) 2018-03-05 2019-09-17 지창락 마스크팩 포장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405Y1 (ko) 2008-06-23 2009-02-10 주식회사 코스웰 미용 마스크 팩이 포장된 다중 캡슐
KR101407412B1 (ko) * 2006-11-02 2014-06-13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및 용기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412B1 (ko) * 2006-11-02 2014-06-13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및 용기
KR200443405Y1 (ko) 2008-06-23 2009-02-10 주식회사 코스웰 미용 마스크 팩이 포장된 다중 캡슐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317A (ko) 2018-03-05 2019-09-17 지창락 마스크팩 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6617A1 (en) Facial mask kit
KR200438541Y1 (ko)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EP2295022B1 (en) Discharge container with filter
CA2228175C (en) Two-compartment type prefilled syringe
ES2588167T3 (es) Conjunto de dosificación de fluidos
PT1140369E (pt) Frasco de apertar para a distribuicao de um liquido de um modo doseado e substancialmente livre de germes
AR023880A1 (es) Dispositivo de expendio con valvula, con proteccion contra perdida de liquido de cebado
CN105813951B (zh) 分配器的保护盖以及排出药液和/或美容液体的分配器
EA024363B1 (ru) Флакон с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й защитой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и, подлежащей капельному дозированию
KR101782381B1 (ko) 마스크팩 포장재
KR20150139839A (ko) 적층 병
JP2017063746A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ITMO20110301A1 (it) Diffusore di profumi, particolarmente per piccoli ambienti, e relativo procedimento di produzione.
KR20190137111A (ko) 액체용 용기
KR101354722B1 (ko)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의료용 가온장치
BR102015016947B1 (pt) cabeça de distribuição para um sistema para distribuir um produto,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um produto pressurizado e frasco
KR20180043904A (ko) 화장품 파우치
JP6710602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ES2254744T3 (es) Dispositivo de boquilla.
KR101915641B1 (ko) 마스크팩용 화장액 주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0471799Y1 (ko) 과 배출 방지막을 구비하는 노즐 구조체
KR20150073232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6498093B2 (ja) 泡噴出容器
JP7437602B2 (ja) コネクタ
KR102626019B1 (ko) 산소혼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