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41Y1 -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41Y1
KR200438541Y1 KR2020070003004U KR20070003004U KR200438541Y1 KR 200438541 Y1 KR200438541 Y1 KR 200438541Y1 KR 2020070003004 U KR2020070003004 U KR 2020070003004U KR 20070003004 U KR20070003004 U KR 20070003004U KR 200438541 Y1 KR200438541 Y1 KR 200438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ir
storage space
outlet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원서
Original Assignee
방원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원서 filed Critical 방원서
Priority to KR2020070003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41Y1/ko
Priority to CN200880005431XA priority patent/CN101668685B/zh
Priority to EP08712526A priority patent/EP2114789A4/en
Priority to MX2009008989A priority patent/MX2009008989A/es
Priority to PCT/KR2008/000904 priority patent/WO2008102964A1/en
Priority to JP2009550792A priority patent/JP5319553B2/ja
Priority to CA002678802A priority patent/CA2678802A1/en
Priority to US12/522,990 priority patent/US83170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7/00Portable flexible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식품 저장용기는, 외압에 의해 형태가 오그라들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식품저장공간을 가지며, 식품배출구를 갖고, 외부의 공기가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되 식품이 주입될 수 있는 크기로써 식품저장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갖는 용기몸체와; 공기유입구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된 후 용기몸체의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에어홀이 천공되어 있고, 식품저장공간에 발생되는 배출 압력에 의해 에어홀을 차단하고, 식품저장공간의 흡입 압력에 의해 에어홀로부터 떨어져서 에어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홀개폐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유입구마개와; 용기몸체의 식품배출구에 씌워져 식품배출구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품의 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배출구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저장용기는, 저장된 식품이 유출되면 그 양만큼 외부공기가 용기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므로 항상 저장된 식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며, 식품제조회사에서도 식품을 저장하여 유통, 판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식품, 저장, 용기, 공기, 유입

Description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THE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도 1은 본 고안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배출구마개 및 에어홀개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에어홀이 닫혀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는 상태
B : 에어홀이 열려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에어홀개폐기가 차단부와 고정돌기와 절곡홈을 가지며 유입구마개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흡입 압력 및 배출압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
B : 배출 압력이 작용하는 상태
C : 흡입 압력이 작용하는 상태
도 4는 차단부와 고정돌기와 절곡홈을 갖는 에어홀개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A : 절곡홈에 대응된 면이 직선인 구조
B : 절곡홈에 대응된 면이 오목한 형상인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구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저장된 식품이 배출될 수 없는 상태
B : 배출 압력이 작용하여 식품이 배출되는 상태
C : 흡입압력이 작용하는 상태
도 6은 용기몸체에 외압이 작용할 때만 열리는 합성수지재 막이 설치된 본 고안의 배출구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합성수지재 막이 닫혀있는 상태
도 7은 용기몸체에 외압이 작용할 때만 열리는 합성수지재 막이 설치된 본 고안의 배출구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합성수지재 막이 열려있는 상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몸체 11. 식품저장공간
12. 식품배출구 13. 공기유입구
20. 배출구마개 21. 마개몸체
22. 덮개 23. 식품유출구
24. 막설치홈 25. 합성수지재 막
30. 에어홀개폐기 31. 차단부
31a. 절곡홈 32. 고정돌기
40. 유입구마개 41. 에어홀
50, 51. 코팅된 종이 60. 패킹
본 고안은 케첩, 고추장, 마요네즈 등의 각종 식품을 소량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짜서 사용하기 위한 소형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는 케첩, 고추장, 마요네즈 등과 같은 식품을 소형 저장용기에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짜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케찹, 고추장, 마요네즈 등의 식품이 식품제조회사에서 제조된 후 소형 저장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고 이를 가정에서 구입하여 저장용기에 담겨있는 상태로 짜서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품 저장용기는 식품저장공간의 식품을 짜내기 위하여 용기몸체에 외압을 가할 때 식품저장공간 내로 외부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식품이 원활하게 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식품이 유출된 양만큼 외부공기가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어야만 용기몸체가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데 외부공기가 식품저장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용기몸체가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용기몸체가 찌그러져 있으면 추후에 다시 식품을 짜내기 위하여 외압을 가할 때 식품저장공간 내의 식품이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식품이 유출되는 식품유출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한편, 본 출원의 고안자에 의하여 용기몸체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원활하게 유입 가능하도록 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05762호(출원 제20-2002-0031233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종래의 기술은 식품제조회사의 식품생산라인에 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식품을 저장용기에 주입하는 과정 및 주입 후 입구가 밀봉된 상태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통해 식품이 새어나오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용기몸체에 외압을 가하여 식품을 짜내면 유출된 식품의 양만큼 외부공기가 용기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식품이 원활하게 배출됨은 물론 용기몸체가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식품제조회사의 식품생산라인에 투입되어 식품이 주입되는 과정이나 주입 후 유통되는 과정에서 식품이 새어나오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일반 소비자는 물론 식품제조회사에서도 식품을 유통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용기몸체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하여 외압에 의해 저장된 식품 이 유출되면 그 양만큼 외부공기가 용기몸체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항상 저장된 식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식품배출구에 씌워져 식품의 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배출구마개를 구비하며, 용기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통해 식품저장공간에 식품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고, 주입 후에는 용이하게 공기유입구를 밀봉하고 소비자가 용이하게 밀봉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품생산라인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식품 저장용기는, 걸쭉한 상태의 식품이 주입되어 저장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외압에 의해 형태가 오그라들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식품저장공간을 가지며, 식품저장공간이 오그라들 때 저장된 식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형성된 식품배출구를 갖고, 외부의 공기가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되 식품 제조회사의 자동투입장치에 의해 쏟아지는 식품이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는 크기로써 식품저장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갖는 용기몸체를 갖는다.
또, 상기 공기유입구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공기유입구에 씌워져 공기유입구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된 후 용기몸체의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에어홀이 천공되어 있고, 식품저장공간이 오그라들 때에는 식품저장공간에 발생되는 배출 압력에 의해 에어홀에 밀착되어 에어홀을 차단하고, 식품저장공간이 오그라진 후 원 상태로 복원될 때에는 식품저장공간의 흡입 압력에 의해 에어홀로부터 떨어져서 에어홀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에어홀개 폐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유입구마개를 갖는다.
또, 용기몸체의 식품배출구에 씌워져 식품배출구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품의 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배출구마개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식품을 저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된 식품을 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소형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식품 저장용기도 용기몸체(10)와, 배출구마개(20)를 갖는다.
상기 용기몸체(10)에는, 통상의 것과 같이 걸쭉한 상태의 식품이 주입되어 저장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외압에 의해 형태가 오그라들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식품저장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식품저장공간(11)이 오그라들 때 저장된 식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식품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마개(20)는 용기몸체(10)의 식품 배출구에 씌워져 식품배출구(12)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저장된 식품의 유출 양만큼 외부공기가 식품저장공간(11)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항상 저장된 식품이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용기몸체(10)에는 외부의 공기가 식품저장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게 공기유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유입구(13)가 형성됨에도 저장된 식품이 식품배출구(12)만을 통해 유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식품저장공간(11)이 오그라들 때에는 식품저장공간(11)에 발생되는 배출 압력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에 밀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식품저장공간(11)이 오그라진 후 원상태로 복원될 때에는 식품저장공간(11)의 흡입 압력에 의해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를 열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홀개폐기(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홀개폐기(30)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는 체크밸브와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제조원가 등을 고려할 때 이미 공지된 구조에서는 도 2와 같이 얇은 막이 배출 압력 및 흡입 압력에 의해 움직여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구조가 현실적이다.
그런데 용기몸체(10)에 단순히 공기유입구(13)가 형성되고 에어홀개폐기(30)만이 구비된 저장용기는 식품제조회사의 식품생산라인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소형 식품 저장용기는 모두 식품배출구(12)를 통해서 식품이 식품저장공간(11)으로 주입되어 채워지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식품배출구(12)가 최상단부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공기유입구(13)는 최하단부에 위치되거나 중앙부에 위치되는 등 식품배출구(12)보다 상당히 낮은 위 치에 놓일 수밖에 없다.
이는 식품생산라인의 자동투입장치에서 배출된 식품이 식품저장공간(11)에 채워질 때 에어홀개폐기(30)가 그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는 현상을 유발하여 식품이 공기유입구(13)로 새어나오는 현상을 초래한다.
또, 식품이 채워져 유통되는 과정에서 유통 중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에어홀개폐기(30)가 그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식품이 공기유입구(13)로 배출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배출구마개(20)는 식품배출구(12)를 통한 식품의 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공기유입구(13)를 식품저장공간(11)의 상부에 크게 형성(통상의 소형 식품 저장용기의 크기를 고려할 때 본 고안의 공기유입구(13) 크기는 25㎜ ∼ 100㎜가 바람직하다)하여 식품제조회사의 자동투입장치에 의해 쏟아지는 식품이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식품저장공간(11)에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배출구마개(20)에 의해 식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식품배출구(12)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공기유입구(13)가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식품저장공간(11)에 식품을 주입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식품생산라인의 자동투입장치에서 쏟아지는 식품을 식품저장공간(11)에 채우는 과정에서 용기몸체(10)의 외측으로 식품이 새어나올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에어홀개폐기(30)가 공기유입구(13)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구조일 경 우는 식품을 식품저장공간(11)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채울 수 없다.
또, 단순히 식품저장공간(11)에 식품을 채운 후에 에어홀개폐기(30)를 공기유입구(13)에 설치하는 구조는 유통과정 중에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하여 식품이 저장용기의 외측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특히,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로 미세한 먼지나 세균이 들어와 식품을 오염시키고 상하게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에서는, 공기유입구(13)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있고 공기유입구(13)에 씌워져 공기유입구(13)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된 후 용기몸체(10)의 공기유입구(13)로 유입되도록 에어홀(41)이 천공되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유입구마개(40)를 구비한다.
또, 이 유입구마개(40)에 에어홀개폐기(30)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여, 식품저장공간(11)에 발생되는 배출 압력에 의해 에어홀개폐기(30)가 에어홀(41)을 차단하고, 식품저장공간(11)의 흡입 압력에 의해 에어홀(41)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현한다.
유입구마개(40)가 공기유입구(13)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이유는 식품저장공간(11)에 식품을 주입 후 코팅된 종이(50)나 비닐 등으로 공기유입구(13)를 완전히 차단하여 먼지나 세균이 들어갈 수 없도록 한 후 유입구마개(40)를 체결하기 위함이다.
즉, 코팅된 종이(50)나 비닐 등으로 공기유입구(13)를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유통과정 중에 발생되는 충격에도 저장된 식품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먼지나 세균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사용될 때에는 공기유입구(13)가 그 기능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차단을 위해 사용된 종이(50)나 비닐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코팅된 종이(50)나 비닐을 소비자가 제거할 수 있어야 하므로 유입구마개(40)를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코팅된 종이나 비닐을 용기의 입구에 부착하여 완전 차단하는 방법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코팅된 종이나 비닐 등을 사용하여 용기의 입구를 차단함에 있어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종이나 비닐을 공기유입구(13)에 씌운 후 유입구마개(40)를체결하는 방법으로 공기유입구(13)를 완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코팅된 종이나 비닐은 무균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유입구(13)를 차단함에 있어 코르크 마개 등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완전 차단한 후 유입구마개(40)를 체결할 수도 있다.
물론, 식품을 가정에서 직접 식품저장공간(11)에 주입하여 곧바로 사용할 때에는 공기유입구(13)를 완전 차단하는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본 고안의 용기만을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여 사용하거나, 식품제조회사에서 본 고안의 용기에 식품을 담아 판매하고 용기에 저장된 식품을 다 사용한 후 이 용기를 가정에서 재사용하는 경우 등)
상기와 같은 배출구마개(20)에 있어서 식품의 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 저장용기에 적용되어 이미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면적이 작아 식품이 조금씩 유출되도록 된 식품배출구를 갖는 구조에서 배출구마개를 제거하면 곧바로 식품이 유출될 수 있는 통상의 마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 도 5와 같이 단면적이 큰 식품배출구(12)에 체결되어 식품이 유출되는 경로를 좁혀주는 마개몸체(21)를 가지며, 마개몸체(21)의 식품이 유출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덮개(22)를 갖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식품배출구(12) 및 배출구마개(20)가 용기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도록 하고, 용기몸체(10)가 배출구마개(20)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용기몸체(10)의 하부면을 넓고 평평하게 구현하면 저장된 식품이 전부 사용될 때까지 용이하게 짜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식품배출구(12)가 하단부에 위치되면 저장된 식품을 조금 짜내서 사용한 후 다시 보관해 놓았을 때 보관된 식품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러내려 식품배출구(12)로 모이게 되므로 저장된 양이 적어도 다 사용될 때까지 쉽게 짜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유입구마개(40)에 형성된 에어홀(41)은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3과 같이 유입구마개(40)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에어홀개폐기(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와 같이 합성수지재로서 가장자리가 얇고 중앙부로 갈수록 두꺼운 원형의 차단부(31)가 에어홀(41)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차단부(3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돌기(32)에 의해 유입구마개(40)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차단부(31)가 쉽게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 중에 고장이 발생되는 고장발생률이 낮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차단부(31)의 가장자리가 식품저장공간(11)의 팽창압력에 의해 유입구마개(40)의 상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차단부(31)의 바깥쪽에는 절곡홈(3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단부(31)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팽창압력에 의해서 유입구마개(40)의 상부에는 견고하게 밀착되어 에어홀(41)을 견고하게 차단하도록 하고, 차단부가 탄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절곡홈(31a)을 갖는 구조에서, 도 4의 B와 같이 절곡홈(31a)에 대응되는 면이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견고한 밀착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서 도 3과 같이 유입구마개(40) 중 차단부(31)와 밀착되는 안쪽 면이 구형으로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할 경우 차단부가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에어홀개폐기(30)는 식품저장공간(11)에 흡입 압력과 배출 압력이 모두 발생되지 않을 때 에어홀(41)에 접촉되어 에어홀(41)을 막음으로써 에어홀(41)을 통해 식품저장공간(11)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는 것을 방지 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식품저장공간(11)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될 경우 식품저장공간(11)에 저장된 식품의 오염이 빨리 진행되고 빨리 상하여 변질되기 쉽다.
따라서 식품저장공간(11)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마개를 통해 유입구마개(40)의 에어홀(41)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별도의 마개를 사용한 방법은 식품을 유출시키려 할 때마다 마개를 열고 닫아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에어홀개폐기(30)가 배출압력에 의해 에어홀(41)에 밀착된다는 표현은 밀착에 의해 공기의 차단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에어홀개폐기(30)가 에어홀(41)에 접촉되어 에어홀(41)을 막는다는 표현은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되지 못하도록 되는 상대적으로 약한 차단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을 식품생산라인에 투입한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품생산라인의 자동투입장치에서 쏟아지는 식품이 본 고안의 식품 저장용기에 주입될 때의 상태는 공기유입구(13)가 상단부에 위치되고 식품배출구(12)가 공기유입구(13)보다 아래쪽에 위치된 상태이다.
또, 식품배출구(12)에는 배출구마개(20)가 씌워져 식품저장공간(11)에 채워 지는 식품이 용기몸체(10) 및 배출구마개(20)의 외측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물론, 식품배출구(12)를 코팅된 종이(51)나 비닐을 사용해 완전 차단한 후 배출구마개(20)를 식품배출구(12)에 체결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차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서는 배출구마개(20)에 식품배출구(12)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식품저장공간(11)에 식품을 안전하게 주입하여 채울 수 있다.
식품이 채워진 후에는 코팅된 종이(50)나 비닐, 코르크마개 등에 의해 식품배출구(12)가 차단된 후 유입구마개(40)가 결합되어 유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유통된 것을 수요자가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할 때에는 수요자가 유입구마개(40)를 분리하여 코팅된 종이(50)나 비닐, 코르크마개를 제거한 후 다시 배출구마개(2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몸체(10)의 식품저장공간(11) 외측을 누르면 식품저장공간(11)의 배출 압력에 의해서 저장된 식품이 배출된다.
이때 에어홀개폐기(30)의 작용에 의해서 에어홀(41)이 차단되기 때문에 식품이 에어홀(41)로 배출되지 못함은 물론 공기도 배출되지 못하여 저장된 식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식품저장공간(11)의 외측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식품저장공간(11)이 원상태로 복원되는데 이때 식품저장공간(11)에는 흡입 압력이 발생되고, 이 흡입 압력에 의해 에어홀개폐기(30)에 의해 막혀있던 에어홀(41)이 열리므로 식품저장공 간(11) 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식품저장공간(11)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되며, 식품이 배출된 양만큼 공기가 채워진 것이기 때문에 다시 식품저장공간(11)의 외측을 누를 때 식품이 원활하게 배출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식품배출구(12)의 직경이 커서 다량의 식품이 배출되도록 된 경우 배출구마개(20)에 의해서 식품이 소량씩 배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 도 7과 같이 식품배출구(12)로 배출된 다량의 식품이 외부로 소량씩 유출될 수 있도록 좁아져 있는 식품유출구(23)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식품유출구(23)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도 6 및 도 7과 같이 구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식품유출구(23) 끝단부에는 교차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막설치홈(24)이 형성되어 있고, 막설치홈(24) 내에는 홈의 중앙부를 따라 칼집이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 막(25)이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식품저장공간(11)의 팽창압력이 작용할 때에만 칼집이 형성된 부분이 도 7과 같이 벌어지면서 식품이 유출된다.
미설명 부호 60은 통상의 병마개에 구비된 것과 같이 밀폐를 위하여 설치된 패킹이다.
본 고안의 저장용기는, 용기몸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식품저장공간의 배출 압력 및 흡입압력에 의해 공기의 유입을 차단 및 허용하는 에어홀개폐기가 구비되어 있어 외압에 의해 저장된 식품이 유출되면 그 양만큼 외부공기가 용기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됨으로써 항상 저장된 식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또, 식품배출구에 씌워져 식품의 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배출구마개가 구비되고, 용기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통해 식품저장공간에 식품을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식품의 주입 후에는 용이하게 공기유입구를 밀봉하고 소비자가 용이하게 밀봉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에 분리, 결합되는 유입구마개가 구비되어 있어 일반 소비자는 물론 식품제조회사에서도 식품을 저장하여 유통, 판매하는데 본 고안의 저장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식품 저장용기에 있어서,
    걸쭉한 상태의 식품이 주입되어 저장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외압에 의해 형태가 오그라들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식품저장공간을 가지며, 식품저장공간이 오그라들 때 저장된 식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형성된 식품배출구를 갖고, 외부의 공기가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되 식품 제조회사의 자동투입장치에 의해 쏟아지는 식품이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는 크기로써 식품저장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갖는 용기몸체와;
    상기 공기유입구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공기유입구에 씌워져 공기유입구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된 후 용기몸체의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에어홀이 천공되어 있고, 식품저장공간이 오그라들 때에는 식품저장공간에 발생되는 배출 압력에 의해 에어홀에 밀착되어 에어홀을 차단하고, 식품저장공간이 오그라진 후 원 상태로 복원될 때에는 식품저장공간의 흡입 압력에 의해 에어홀로부터 떨어져서 에어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홀개폐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유입구마개와;
    상기 용기몸체의 식품배출구에 씌워져 식품배출구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품의 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배출구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배출구 및 배출구마개는 용기몸체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되 용기몸체가 배출구마개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용기몸체의 하부면이 넓고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은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구마개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개폐기는 합성수지로서 가장자리가 얇고 중앙부로 갈수록 두꺼운 원형의 차단부가 에어홀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차단부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의해 유입구마개에 고정되어 있되 차단부의 가장자리가 식품저장공간의 팽창압력에 의해 유입구마개의 상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차단부의 바깥쪽에는 절곡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마개는 식품배출구로 배출된 다량의 식품이 외부로 소량씩 유출될 수 있도록 좁아져 있는 식품유출구를 갖되 식품유출구의 끝단부에는 교차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막설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막설치홈 내에는 홈의 중앙부를 따라 칼집이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 막이 위치되어 있어 식품저장공간의 팽창압력이 작용할 때에만 칼집이 형성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식품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개폐기는 식품저장공간에 흡입 압력과 배출 압력이 모두 발생되지 않을 때 에어홀에 접촉되어 에어홀을 막음으로써 에어홀을 통해 식품저장공간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마개 중 차단부와 밀착되는 안쪽 면은 구형으로 오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KR2020070003004U 2007-02-21 2007-02-21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KR200438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04U KR200438541Y1 (ko) 2007-02-21 2007-02-21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CN200880005431XA CN101668685B (zh) 2007-02-21 2008-02-15 具有进气口的小型食物储存容器
EP08712526A EP2114789A4 (en) 2007-02-21 2008-02-15 SMALL STORAGE CONTAINER FOR FOODS WITH AIR INTAKE HOLE
MX2009008989A MX2009008989A (es) 2007-02-21 2008-02-15 Recipiente de almacenamiento pequeño para comida con orificio de flujo de aire.
PCT/KR2008/000904 WO2008102964A1 (en) 2007-02-21 2008-02-15 The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JP2009550792A JP5319553B2 (ja) 2007-02-21 2008-02-15 空気流入口付き小型食品貯蔵容器
CA002678802A CA2678802A1 (en) 2007-02-21 2008-02-15 The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US12/522,990 US8317064B2 (en) 2007-02-21 2008-02-15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04U KR200438541Y1 (ko) 2007-02-21 2007-02-21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41Y1 true KR200438541Y1 (ko) 2008-02-21

Family

ID=3971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004U KR200438541Y1 (ko) 2007-02-21 2007-02-21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17064B2 (ko)
EP (1) EP2114789A4 (ko)
JP (1) JP5319553B2 (ko)
KR (1) KR200438541Y1 (ko)
CN (1) CN101668685B (ko)
CA (1) CA2678802A1 (ko)
MX (1) MX2009008989A (ko)
WO (1) WO200810296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95B1 (ko) * 2012-03-23 2013-10-23 이문희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WO2013183868A1 (ko) 2012-06-05 2013-12-12 Pang Wonseo 소형 식품저장용기
KR102036650B1 (ko) * 2019-05-07 2019-10-25 (주)서용엔지니어링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관로 조사용 삽입 케이블의 소독장치
KR20210091494A (ko) 2020-01-14 2021-07-22 방원서 소형 식품저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1345U1 (de) * 2010-01-26 2010-06-10 Binde, Christian Wiederbefüllbare Tube/Flasche
EP3066024B1 (en) * 2013-11-06 2017-12-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with vent systems
US20150122841A1 (en) * 2013-11-06 2015-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asy to empty flexible containers
AU2014356121B2 (en) * 2013-11-26 2017-01-1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dapters for consumable product packag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04743224A (zh) * 2014-07-28 2015-07-01 李国� 馅料储存容器
CN104443718A (zh) * 2014-11-11 2015-03-25 句容市茂源织造厂 一种果酱包装
CH711690A1 (de) * 2015-10-27 2017-04-28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Kunststofftube.
KR101867963B1 (ko) * 2016-01-26 2018-07-17 장동환 유체 용기 및 그 밸브
JP6760623B2 (ja) * 2016-06-02 2020-09-23 八商商事株式会社 容器蓋及びその容器蓋を備えた容器
CN107521802A (zh) * 2017-10-06 2017-12-29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容器
US10273061B1 (en) * 2017-12-08 2019-04-30 Tsai-Hui Lin Container for viscous liquid
CN113840983B (zh) * 2019-04-26 2023-11-28 S·E·格伦 自动填充、自动密封的容器系统
EP3778467A1 (en) * 2019-08-12 2021-02-17 Riprup Company S.A. Food supplementation vessel with improved venting
RU199599U1 (ru) * 2019-11-20 2020-09-09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Уткин Бутылка
JP6795726B1 (ja) * 2020-02-03 2020-12-02 宝殿石油販売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の口頸体のスリット構造
CN216628205U (zh) * 2021-06-03 2022-05-31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烹饪设备及加料装置
US11591151B2 (en) * 2021-07-02 2023-02-28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Pressure relief blow-out plugs and related packages
WO2023280252A1 (zh) * 2021-07-07 2023-01-12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烹饪设备及加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5062A (en) * 1941-12-05 1942-09-08 Earle C Haas Cervical diaphragm
US2543163A (en) * 1948-02-24 1951-02-27 Greiner Leonard Bottling or dispensing container
US2913000A (en) * 1954-06-23 1959-11-17 Baxter Don Inc Flow control valve
US3241726A (en) * 1964-06-08 1966-03-22 Frank R Chester Resilient valved diaphragm for comminuted material dispenser
US3669323A (en) * 1969-12-12 1972-06-13 American Can Co One-way valve insert for collapsible dispensing containers
JPS503425Y2 (ko) * 1972-07-20 1975-01-29
US4105142A (en) * 1976-10-07 1978-08-08 Morris Jr Harold K Dispensing device for fluid substances
US4057177A (en) * 1977-01-18 1977-11-08 Laauwe Robert H Valved squeeze bottle for viscous products
JPS53148747U (ko) * 1977-04-28 1978-11-22
JPS5820531Y2 (ja) * 1979-04-02 1983-04-28 道明 山形 粘稠物質用容器
US4401224A (en) * 1979-04-13 1983-08-30 Ferdinand Alonso Feeding bottle for infants
JPS6254967U (ko) * 1985-09-24 1987-04-06
US4658979A (en) * 1986-01-13 1987-04-21 American Can Company Propellant filling and sealing valve
JPS62159458U (ko) * 1986-03-31 1987-10-09
US4842165A (en) * 1987-08-28 1989-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silient squeeze bottle package for dispensing viscous products without belching
JPH0450650U (ko) * 1990-09-05 1992-04-28
US5433353A (en) * 1991-11-21 1995-07-18 Flinn; Christopher R.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having check valve
US5277171A (en) * 1993-02-02 1994-01-11 Bradford-White Corporation Water heater heat trap
US5421488A (en) * 1993-04-23 1995-06-06 Ehrbar; James J. Squeeze bottle for dispensing viscous liquids
SE501740C2 (sv) * 1993-06-04 1995-05-02 Billy Nilson Självstängande förslutningsanordning för utmatning av flytbar substans, innefattande ett flexibelt membran vilket är försett med deformationszoner
KR950027397U (ko) * 1994-03-16 1995-10-18 김재열 음료용기의 보조마개
JPH08119298A (ja) * 1994-10-26 1996-05-14 Takeo Murakami 粘性物容器
FR2744105B1 (fr) * 1996-01-25 1998-03-06 Oreal Flacon doseur
JP2001002108A (ja) * 1999-06-24 2001-01-09 Zojirushi Corp 密閉容器の吸排気構造
US20020074367A1 (en) * 2000-12-18 2002-06-20 Kevin Kawakita Gravity-fed liquid chemical dispenser bottle
JP4956872B2 (ja) * 2001-06-29 2012-06-20 東洋製罐株式会社 逆止弁付プラスチック製チューブ容器
KR200305762Y1 (ko) 2002-10-19 2003-03-03 방원서 공기펌핑형 정량배출 용기
US20040232169A1 (en) * 2003-05-23 2004-11-25 Alberto-Culver Company Dispenser and related dispensing method
US7258251B2 (en) * 2004-08-25 2007-08-21 Juan Perez Johnson Multi-chambered dispensing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95B1 (ko) * 2012-03-23 2013-10-23 이문희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WO2013183868A1 (ko) 2012-06-05 2013-12-12 Pang Wonseo 소형 식품저장용기
KR102036650B1 (ko) * 2019-05-07 2019-10-25 (주)서용엔지니어링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관로 조사용 삽입 케이블의 소독장치
KR20210091494A (ko) 2020-01-14 2021-07-22 방원서 소형 식품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2964A1 (en) 2008-08-28
JP5319553B2 (ja) 2013-10-16
EP2114789A1 (en) 2009-11-11
EP2114789A4 (en) 2011-03-30
CA2678802A1 (en) 2008-08-28
JP2010519145A (ja) 2010-06-03
CN101668685B (zh) 2011-11-23
US8317064B2 (en) 2012-11-27
US20100044397A1 (en) 2010-02-25
MX2009008989A (es) 2009-09-24
CN101668685A (zh)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541Y1 (ko)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CA3024636C (en) Fluid dispensing assembly
US8757452B2 (en) Dispenser assembly
US8376195B2 (en) Plastic closure for dispensing thixotropic fluids
CA2190645A1 (en) Cap with self-closing valve
CA2939220A1 (en) Vented tap dispenser for liquid
MXPA05002436A (es) Valvula de membrana de cierre automatico.
JP4066251B2 (ja) 搾りディスペンサー
JP6778477B2 (ja) キャップ
KR20120077852A (ko) 튜브배출구내 공기역류방지기능을 갖춘 용기
CA2277632C (en) Improved dispenser
JP4001364B2 (ja) 注出容器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JP2006240624A (ja) 注出容器
US20050167391A1 (en) Stopper device for containers, such as cylinders, equipped with a neck of the water fountain type
JP5804849B2 (ja) 逆止弁付注出具及びこれのキャップ
JPH0826311A (ja) 逆止弁付きチューブ容器
CN210455788U (zh) 一种带柔性伞形阀的盖子
JP2002514944A (ja) ベンティングロールオンアプリケータ
CN205525737U (zh) 可防止挤压漏水的容器
JP6776594B2 (ja) 注出機構付きキャ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
KR200367507Y1 (ko) 내용물 역류 방지를 위한 화장품 용기
KR101608690B1 (ko) 밸브 튜브를 포함하는 마개
JP2013095471A (ja) 注出容器の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