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495B1 -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 Google Patents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495B1
KR101321495B1 KR1020120029931A KR20120029931A KR101321495B1 KR 101321495 B1 KR101321495 B1 KR 101321495B1 KR 1020120029931 A KR1020120029931 A KR 1020120029931A KR 20120029931 A KR20120029931 A KR 20120029931A KR 101321495 B1 KR101321495 B1 KR 10132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let
inlet
discharge cylind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826A (ko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102012002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4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투입구와 용기투입구마개 그리고 용기배출구와 용기배출구마개를 구비한 용기에, 용기배출구와 연통한 배출실린더부의 밀폐와 개폐 그리고 압출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용기 내의 저장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밀폐용기와 기밀용기이다.

Description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The airtight container equipped with dispens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용기투입구와 용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에, 용기배출구와 연통된 배출실린더부의 밀폐와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용기 상단부에 위치하는 투입구에 구비하여, 저장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기밀용기 또는 밀폐용기에 관련된 것이다.
액체나 분말 가루 곡물 등을 저장하는 용기는 기밀용기, 밀폐용기, 저장용기 등 다양하며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재질은 병 캔 플라스틱 통 비닐 파우치 종이 팩 등 다양하여 각기 다양한 저장물에 따라 적합한 재질과 형태의 밀폐용기와 기밀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의 기밀용기는 용기 상단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겸용으로서, 뚜껑과 함께 구성되는 경우와, 투입구와 배출구를 별도로 하고 각기 뚜껑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저장물의 유출이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밀폐용기는 주로 가루나 분말 곡류의 저장에 사용되며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지는 않으나 타 물질과 섞이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밀용기의 하부에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용기의 하부나 바닥에 배출구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장 큰 문제는 배출구의 마개를 개폐하는 순간 기밀용기 내부의 저장물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저장물의 손실과 오염이 발생한다. 또한 저장물이 동 배출구를 통하여 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경우도 동 배출구를 여는 것과 동일한 어려움이 있다.
기밀용기의 하부 배출구에 밸브를 구성하여 밸브의 개폐로 저장물을 이전과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나 밸브의 구성을 용기 하부에 구조적으로 구성하기 어렵고 구성하더라도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일회용 용기에는 더욱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현재의 기밀용기는 저장물을 용기 외부로 옮기는 과정에서 저장물이 외부로 손실되거나 저장물을 전량 이송하지 못하여 저장물의 일부가 미량 용기 내부에 남아 폐기되게 된다.
최근 한 소비자모임의 연구 조사결과 펌프식 용기는 최고 20%까지, 튜브형 용기는 15%까지 병 형태의 용기는 10%까지 저장물의 잔존 폐기량이 용기 내에 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한 이송 기구들을 사용하여 저장물을 이전하는 경우에는 이송 작업의 불편함과 이송과정에서 저장물의 손실이 발생한다.
기밀용기의 제조에 있어 현재의 투입구와 배출구가 용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투입구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약하게 된 용기의 구조를 보완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부와 투입구를 견고하게 제작하여야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 하단부에 구비된 배출구실린더부의 개폐와 밀폐 그리고 압출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기밀용기와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 용기는, 하부에 용기배출구와 연통 된 배출구실린더의 밀폐와 개폐 그리고 압출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투입구와 배출실린더부 사이를 조절막대로 연결하고, 그 조절막대의 한쪽을 투입구마개에 부착하고, 다른 쪽을 배출실린더부와 맞물리도록 하여 투입구마개의 회전조절시 배출실린더부에 맞물리는 밀폐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출을 조절하는 수단이 스프링을 구비하여 탄성을 이용하여 배출실린더부에 맞물리는 조절막대기밀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기밀용기 내부에 남아 폐기되는 잔존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자원절약과 환경보호가 가능하다.
저장물의 이전 작업이 쉬워지며 작업시 손실되는 손실 양을 줄일 수 있다.
기밀용기의 제조시 동 용기 상부의 투입구와 투입구마개를 작게 하거나 투입구를 개도조절구로 대체하는 경우 용기의 상부가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제조원료의 절감이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구성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구성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2a는 구성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구성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구성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구성을 조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압출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압출조절 기밀용기의 구성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압출조절 기밀용기의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기밀용기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압출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는 구성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 및 도 5c는 조립된 구성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상부에 별도의 저장물 투입구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회전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용기배출구와 용기투입구가 용기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의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출조절 기밀용기에 대한 것으로, 각각은 단면, 부분 분리 상태 및 조립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c의 압출조절식 기밀용기는 하단에 배출구와 배출구마개를 구비하여, 펌프의 한계에 의하여 발생한 잔존량을 손쉽게 용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배출구를 용기 상단부에 구성한 압출조절 기밀용기에 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투입구와 용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의 하단부에 용기배출구와 연통 된 배출실린더부의 밀폐와 개폐 그리고 압출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용기 상단부에 구비하여 저장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저장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번호가 부여된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임을 의미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투입구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조절막대의 위치이동을 이용하는 회전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는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b는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회전조절 기밀용기(110)는 용기배출구(101)와 용기투입구(104)를 구비하고 조절막대(106)가 부착된 용기투입구마개(105)의 회전 조절로 용기배출구(101)와 연통된 배출실린더부(103)의 밀폐와 개폐를 조절한다. 용기배출구(101)는 용기배출구마개(102)로 밀폐와 개폐를 하며 용기의 하단부 일단에 구비된다. 용기배출구(101)와 연통된 배출실린더부(103)는 원통형 구조로 조절막대(106)의 외경과 일치하는 부분에서 밀폐되어 저장물의 배출을 차단한다. 용기의 상단부의 일단에 구비된 용기투입구(104)는 소정의 내용물이 투입되는 용도를 가지며, 용기투입구마개(105)를 결합하는 나사가 투입구 외면에 구성되어 있다. 조절막대(106)는 그 상단부(108)측의 일단이 용기투입구마개(105)의 내측에 결합 또는 부착되며 다른 쪽은 조절막대(106)나 배출실린더부(103)로 밀폐된다. 배출실린더부(103)는 기밀 향상을 위하여 소재나 형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회전식 용기투입구마개(105)의 회전조작으로 배출실린더부(103)의 밀폐와 개폐를 조작하며 저장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저장용기본체(109)의 용기 바닥과 배출구의 구성은 저장물과 사용목적에 따라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경사와 바닥의 경사에 따른 수평유지용 바닥지지부(206)의 구성이 가능하고, 배출구의 위치는 용기 바닥의 최저점에 또는 바닥의 한쪽 측면에 구성이 가능하다.
배출구의 출구 위치가 용기바닥의 최저점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도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여 배출구가 구비된 바닥을 중력의 최저점이 되도록 기울여주면 소량의 잔존량도 남김없이 용기배출구(101)을 통하여 배출된다.
액체와 같은 저장물은 완벽한 기밀을 위하여 용기배출구(101)를 완벽히 밀폐하는 용기배출구마개(102)를 구성한다.
용기배출구와 용기투입구의 위치는 용기의 상부와 하부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용기배출구와 용기투입구가 용기에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어 투입구의 회전조절로 배출구의 밀폐와 개폐를 조절하는 기밀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용기 상부에 별도의 저장물 투입구(601) 및 저장물투입구마개(602)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회전조절 기밀용기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기밀용기의 각 구성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이들 구성을 결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의 기밀용기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용기의 밀폐와 개폐를 조절한다.
도 2a 및 도 2b의 압력조절 기밀용기(207)는 용기 하단부에 용기배출구와 용기배출구마개를 구비하여 저장물을 완벽하게 기밀을 한다. 용기의 상단부에는 용기투입구와 지지형압력조절부(204)가 구비되고, 지지형압력조절부(204)는 2개의 구멍과 지지대 그리고 지지스프링(203)을 구비한다. 용기투입구와 배출구실린더부 사이에 조절막대(106)가 구비되고 조절막대(106)의 상단부에는 투입구밀폐부(201)와 압력조절부결합구(202)를 구비한다.
용기의 바닥은 배출실린더부(103)가 낮은 위치에 오도록 경사지게 구성이 가능하며 용기 하단에 바닥지지부(206)를 구성하여 용기가 수평면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조절막대(106)의 하단부의 배출실린더부(103)와 맞물리는 부분은 조절막대기밀부(107)나 도 3a 및 도 3b에서와 피스톤형 조절막대기밀부(301)를 구비할 수 있다. 조절막대(106) 상단부의 압력조절부결합구(202)는 지지형압력조절부(204)의 한쪽의 구멍에 핀으로 결합한다. 지지형압력조절부(204)의 또 다른 구멍은 용기 상단에 구비된 지지대(205)에 결합한다. 지지스프링(203)은 지지형압력조절부(204) 다른 쪽의 용기 상단부와 지지형압력조절부(204)의 하면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형압력조절부(204)를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조절막대(106)와 결합한 부분은 아래 방향으로 밀어주어 조절막대기밀부(107)가 배출실린더부(103)와 맞물리어 밀폐되고 동시에 상단부의 투입구밀폐부(201)가 용기의 투입구의 윗면에 압착되어 밀폐된다. 지지형압력조절부(204)의 압력조절로 배출실린더부(103)와 맞물리는 동 조절막대(106)의 상하위치와 투입구밀폐부(201)의 위치를 조작하여 용기배출구(101)와 연통된 배출실린더부(103)의 밀폐와 개폐를 조절하는 기밀용기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기밀용기의 각 구성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이들 구성을 결합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의 기밀용기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용기의 밀폐와 개폐를 조절한다.
도 3a 및 도 3b의 기밀용기는 스프링압력조절 기밀용기(315)로서, 용기 하단부에 용기배출구(309)와 용기배출구마개(310)를 구비하고 용기배출구마개(310)에 용기배출구(309)와 연통된 마개배출구(312)와 마개배출구마개(307)를 구비한다. 용기배출구(309)의 내측에는 배출구 구멍을 작게 하여 스프링이 걸리는 턱을 구성하고 배출실린더부(313)의 중간부분에 저장물유도실(311)을 구비한다. 조절막대(106)의 하단부에는 조절막대기밀부(301)를 구비하고 조절막대기밀부(301)과 용기배출구(309), 즉 배출실린더부(313)에 스프링을 투입한다. 조절막대(106)의 상단부에는 조절막대결합홈(305)과 압력조절부걸이홈(304)이 구비된 투입구밀폐부(303)를 결합하고 압력조절부걸이홈(304)에 반달형압력조절부(306)가 결합한다. 용기의 상단부 용기투입구와 배출실린더부(313) 사이에 구비된 조절막대(106)는 용기배출구(309)와 피스톤 형 조절막대기밀부(301)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 탄성에 의하여 투입구밀폐부(303)로는 용기투입구 상단부를 압착하여 밀폐하고, 동시에 조절막대기밀부(301)는 마개배출구하면출구(314)를 압착하여 밀폐한다. 사용자가 반달형압력조절부(306)에 압력을 전달하면 조절막대(106)의 하단부에 구비된 조절막대기밀부(301)와 투입구밀폐부(303)가 개폐되고 저장물유도실(311) 내의 저장물이 배출실린더부(313)로 이전되며 용기내부 저장물은 저장물 유도실에 유입되고 저장물이 마개배출구(312)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반달형압력조절부(306)를 압력을 풀면 용수철의 힘으로 조절막대기밀부(301)가 초기위치로 환원하며 배출실린더부(313) 내의 저장물이 마개배출구(312)로 압출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형태의 기밀용기는 압력조절 기밀용기와 압출조절 기밀용기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는 압출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구성을 분리한 것이고, 도 4b는 구성을 조립한 것이다. 도 4c는 압출조절 기밀용기의 변형례에 해당한다.
도 4a 및 도 4b의 기밀용기는 용기 하단부에 용기배출구(101)와 용기배출구마개(405)를 구비하고 용기 상단부에 용기투입구(104)와 용기투입구마개(403)를 구비하며, 동 용기투입구마개(403) 내측에 조절막대결합부(404)를 구비하고 용기투입구마개(403)와 배출실린더부(406) 사이에 조절막대(106)를 구비하며, 조절막대(106) 상단부에 가압판(401)과 투입구마개밀폐부(402)를 구비하고, 용기투입구마개(403)와 가압판(401) 사이에 스프링(302)을 구비한다. 스프링(302)의 탄성으로 동 조절막대(106)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투입구마개밀폐부(402)가 조절막대결합부(404)에 압착되어 밀폐되고 동시에 동 조절막대(106) 하단부의 조절막대기밀부(301)는 배출구밀폐부(408)와 맞물려 밀폐된다. 또한 가압판(401)에 압력 전달시 조절막대(106)가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며 조절막대 상단부의 투입구마개밀폐부(402)가 조절막대결합부(404)와 떨어져 개폐되고, 동시에 조절막대(106) 하단부의 조절막대기밀부(301)가 배출구밀폐부(408)에서 저장물유도실(407)로 움직이며 배출실린더부(406)에 맞물리어 밀폐되며 배출실린더부(406) 내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저장물을 용기배출구(101)를 통하여 용기 밖으로 압출된다.
도 4b는 투입구마개밀폐압출식 기밀용기(409)로서, 조절막대(106)가 용기투입구마개(403)에 결합되고 용기투입구마개(403)는 용기투입구에 결합한다.
도 4c는 투입구밀폐압출조절 기밀용기(410)로서, 용기투입구 내측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가압판(401)에 탄성의 힘을 전달하고 조절막대 하부에 배출구밀폐부(408)의 아랫면에 조절막대기밀부(301)의 윗면이 압착되어 밀폐되고 가압판에 압력이 전달되면 배출구밀폐부(408)가 개방되며 배출실린더부(406) 내부의 저장물을 용기배출구를 통하여 압출하는 압출조절 기밀용기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는 압출조절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구성을 분리한 것이고, 도 5b 및 도 5c는 구성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일부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의 기밀용기(507)는 용기배출구마개밀폐조절식 기밀용기로서, 용기 하단부에 용기배출구와 용기배출구마개(504)를 구비하고 용기배출구마개(504)에 용기배출구와 연통 된 마개배출구(312)와 마개배출구마개(307) 그리고 저장물유도실(506)과 배출실린더부(505)를 구비한다. 또한 용기 상단부에 용기투입구(104)와 용기투입구마개(503)를 구비하며, 용기투입구(104)와 배출실린더부(505) 사이에 조절막대(106)를 구비하고 조절막대의 상단부를 가압판투입구밀폐부(501)와 조절막대결합부(502)에 결합하고 조절막대(106)의 하단부를 조절막대기밀부(301)와 결합하고 용기투입구에 가압판투입구밀폐부(501)가 맞물리어 결합된다. 용기배출구마개(504)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으로 조절막대기밀부(301)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용기배출구 하면과 압착시켜 밀폐하고, 동 가압판투입구밀폐부(501)에 압력 전달시에는 조절막대기밀부(301)가 용기배출구 하면에서 떨어져 개폐되고 배출실린더부(505)와 맞물려 도 5c와 같이 소정의 배출실린더부(505) 내부 저장물을 마개배출구(312)를 통하여 압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례에 따른 기밀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기밀용기는 원통형 용기의 하단부 중앙부 바닥을 낮게 하여 바닥의 최저점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배출구와 연통된 배출실린더 내부로 모이는 저장물의 압출시 용기 내에 저장물의 잔존폐기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펌프식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각각 단면, 부분 분리 상태 및 조립 상태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의 기밀용기는 용기의 상단부에 구비한 펌프식배출구(901)로 저장물이송관(902)의 저장물을 흡입 배출한다. 도 9a 내지 도 9b의 기밀용기는 용기 하단부에 용기배출구(903)와 용기배출구마개(904)를 구비하여 잔존량을 손쉽게 용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기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배출구를 용기 상단부에 구성한 것이다. 배출실린더부(1004)에서 압출된 저장물이 저장물이송관(1001)을 통하여 용기 상단부에 구비된 용기배출구(1002)로 압출된다. 용기배출구(1002)에는 용기배출구마개(1003)가 결합될 수 있다. 배출실린더부(1004)에는 저장물유도실(1005)을 형성하여 조절막대기밀부(301)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저장물이 저장용기에서 저장물유도실(1005)을 통하여 배출실린더부(1004)에 모이도록 한다. 도면부호 1007은 사용 대기상태의 조절막대기밀부(301)가 용기의 배출구밀폐부(1006)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 1008은 조절막대기밀부(301)가 저장물유도실(1005)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1009은 배출실린더부(1004)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01: 용기배출구 102: 용기배출구마개
103: 배출실린더부 104: 용기투입구
105: 용기투입구마개 106: 조절막대
107: 조절막대기밀부 108: 조절막대의 상단부
109: 저장용기본체 110: 회전조절 기밀용기
201: 투입구밀폐부 202: 압력조절부결합구
203: 지지스프링 204: 지지형압력조절부
205: 지지대 207: 압력조절 기밀용기
206: 바닥지지부 301: 조절막대기밀부
302: 조절막대결합스프링 303: 투입구밀폐부
304: 압력조절부걸이홈 305: 조절막대결합홈
306: 반달형압력조절부 307: 마개배출구마개
308: 조절막대결합부 309: 용기배출구
310: 용기배출구마개 311: 저장물유도실
312: 마개배출구 313: 배출실린더부
314: 마개배출구하면출구 315: 스프링압력조절 기밀용기
401: 가압판 402: 투입구마개밀폐부
403: 용기투입구마개 404: 조절막대결합부
405: 용기배출구마개 406: 배출실린더부
407: 저장물유도실 408: 배출구밀폐부
409: 투입구마개밀폐압출식 기밀용기
410: 투입구밀폐압출식 기밀용기
501: 가압판투입구밀폐부 502: 조절막대결합구
503: 투입구마개 504: 배출구마개
505: 배출실린더부 506: 저장물유도실
507: 용기배출구마개밀폐조절 기밀용기
601: 저장물투입구 602: 저장물투입구마개
901: 펌프식배출부 902: 저장물이송관
903: 용기배출구 904: 용기배출구마개
1001: 저장물이송관 1002: 용기배출구
1003: 용기배출구마개 1004: 배출실린더부
1005: 저장물유도실 1006: 배출구밀폐부

Claims (5)

  1. 삭제
  2. 용기투입구와, 용기투입구마개와, 용기배출구와, 상기 용기배출구에 연통되는 배출실린더부와, 용기배출구마개를 구비한 용기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저장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실린더부의 밀폐, 개폐 및 압출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용기투입구마개와 배출실린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조절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막대는,
    일측이 상기 용기투입구마개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실린더부와 맞물리는 조절막대기밀부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투입구마개의 회전조절로 상기 배출실린더부에 맞물리는 상기 조절막대기밀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3. 용기투입구와, 용기투입구마개와, 용기배출구와, 상기 용기배출구에 연통되는 배출실린더부와, 용기배출구마개를 구비한 용기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저장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실린더부의 밀폐, 개폐 및 압출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용기투입구와 상기 배출실린더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 배출실린더부와 맞물리는 조절막대기밀부를 구비하는 조절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투입구 또는 상기 용기배출구에 배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조절막대로 전달하며 상기 조절막대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는 조절막대를 포함하는 압력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120029931A 2012-03-23 2012-03-23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KR10132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931A KR101321495B1 (ko) 2012-03-23 2012-03-23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931A KR101321495B1 (ko) 2012-03-23 2012-03-23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826A KR20130107826A (ko) 2013-10-02
KR101321495B1 true KR101321495B1 (ko) 2013-10-23

Family

ID=4963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931A KR101321495B1 (ko) 2012-03-23 2012-03-23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4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213A (ko) * 2000-10-16 2002-04-24 인효석 다용도 용액배출기
KR200438541Y1 (ko) * 2007-02-21 2008-02-21 방원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213A (ko) * 2000-10-16 2002-04-24 인효석 다용도 용액배출기
KR200438541Y1 (ko) * 2007-02-21 2008-02-21 방원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826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99022A (ja) 流体の押上式デイスペンサー
AU2014207015B2 (en) Metering valve
KR20100068578A (ko) 잠금수단을 가지는 에어리스 이중화장품용기
KR20140038338A (ko) 계량 장치
JP6400398B2 (ja) 逆止弁付きキャップ
JP5809102B2 (ja) 吐出器
KR101321495B1 (ko)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JP2006508295A (ja) 流体圧機械
KR102272109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CN211703763U (zh) 自动吸液滴管装置
JP2017197224A (ja) 吐出キャップ
CN110914168A (zh) 设置有双向鸭嘴阀的容器盖
CN104709572A (zh) 一种电动多口径自适应瓶塞
EP3849709B1 (en) A dispenser
CN209492871U (zh) 按压式防晒霜塑料包装瓶
KR102061949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용 중력밸브
CN211618625U (zh) 一种旋拉式储物盖
CN210213367U (zh) 一种具有多级密封的容器封盖
JP6100183B2 (ja) 二重容器用液漏れ防止キャップ
KR200416438Y1 (ko) 액체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CN110436059A (zh) 一种按压式干粉喷雾器
EP2134623B1 (en) A container for holding a fluid and an assembly of a container and an outlet
JP6629674B2 (ja) 振り出し容器
KR102629163B1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CN212862448U (zh) 限流组件、限流盖及限流软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