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109B1 -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109B1
KR102272109B1 KR1020190174041A KR20190174041A KR102272109B1 KR 102272109 B1 KR102272109 B1 KR 102272109B1 KR 1020190174041 A KR1020190174041 A KR 1020190174041A KR 20190174041 A KR20190174041 A KR 20190174041A KR 102272109 B1 KR102272109 B1 KR 102272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rotrusions
inner cylinder
pai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구 filed Critical 강민구
Priority to KR102019017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5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수단은 상기 피스톤(230)의 원주형 돌설부(232)의 외주연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사각돌기(234)와; 상기 다수의 사각돌기(234)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피스톤(230)이 좌우 회전시 연동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230)이 수직 하강시에는 하강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개구의 내주연에 다수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251)과;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외주연에 서로 대칭되게 돌설된 한 쌍의 돌기(252)와; 상기 밀착지지부재(240)의 외주연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돌설부로서, 서로 원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의 상면에 접촉되되, 상기 내측실린더(250)가 회전하면서 승강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상기 외측실린더(280)의 상측부 내주연에 돌설된 돌설면으로서,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의 하면에 접촉되되, 상기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승강이동홈을 이루는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돌기(234)는 상기 피스톤(230)의 상승시 상기 다수의 수직홈(251)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PUMP DISPENSER FOR SHAMPOO VESSEL}
본 발명은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버튼의 펌핑 작동을 규제함으로써 샴푸 용기를 휴대하거나 비 사용시에 내용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없애도록 하고, 특히 휴대시 내용물이 펌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누름버튼을 잠그기 위하여 누름버튼을 하강시킬 시 피스톤에 의해 내용물이 펌핑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즉 제품의 초기 출하시 누름버튼을 숄더부재에 나사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누름버튼과 숄더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그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누름버튼의 하강 회전과 동시에 내측실린더를 회전시켜 내측실린더의 돌기가 외측실린더의 내부 다단 돌기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내용물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도록 한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627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액상, 페이스트상(paste phase) 또는 젤상(gel phase) 등의 내용물은 용기에 수용되어 보관, 유통되고 있다. 특히 크림, 로션, 린스, 샴푸, 헤어젤 등과 같이 점성을 가지는 내용물은 주로 가압버튼의 누름 작용에 의해 펌핑되는 가압식 펌핑 장치에 수용되어 보관, 유통되고 있다. 가압식 펌핑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 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 가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펌핑되어 노즐을 통해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식 펌핑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펌핑 장치는 일반적으로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내장되어 가압력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 펌핑하는 펌핑수단(20)과, 상기 펌핑수단(20)에 가압력을 제공하고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35)을 구비한 가압버튼(30)을 갖는다. 상기 펌핑수단(20)의 구조는 현재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어 제품으로 적용되고 있다. 도 9는 종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펌핑수단(20)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이러한 펌핑수단(20)의 작동과정을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버튼(30)을 누르면, 가압력은 피스톤부재(24)에 전달되어 탄성부재(23)가 수축된다. 이때, 실린더(21) 내에 충만되어 있던 내용물은 유도관(25)을 따라 상승한 후, 노즐(35)을 통하여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부재(24)가 위로 상승하면서 용기 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실린더(21) 내에 내용물을 충만시킨다. 도면부호 22는 가압버튼(30)의 가압 시 실린더(21) 내에 충만된 내용물이 아래로 하강하지 않도록 실린더(21)의 입구를 차단하는 볼 밸브이고, 도면부호 29는 실린더(22)와 연통되어 용기본체(10) 내용물을 흡입하는 흡입관이다.
위와 같은 가압식 펌핑 장치는 수용된 내용물을 누름 작용에 의해 일정량씩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종래의 펌핑 장치는, 노즐(35)이 유도관(25)과 연통된 구조를 가지면서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음에 따라, 휴대시나 보관시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했을 때, 가압버튼(30)이 눌러지게 되면 목적과는 상반되게 내용물이 토출되어 내용물의 낭비가 발생되고, 휴대하는 물건에도 내용물이 묻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펌핑 장치는 가압버튼(30)이 눌려지게 되면, 가압버튼(30)의 상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있는 즉, 내용물을 조금만 사용할 경우 가압버튼(30)을 하강시켜 놓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누름버튼의 펌핑작동을 규제함으로써 샴푸 용기를 휴대하거나 비 사용시에 내용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없애도록 하고, 특히 휴대시 내용물이 펌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또 다른 목적은 누름버튼의 하강 회전과 동시에 내측실린더를 회전시켜 내측실린더의 돌기가 외측실린더의 내부 다단 돌기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내용물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도록 한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 개구부(110)의 내주연을 통해 삽입되고 안착되는 펌프 디스펜서(200)로 이루어진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프 디스펜서(200)의 누름버튼(210)은 피스톤(230)의 상단외주돌기(235)에 걸려 결합되는 원통형 걸림돌기(2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버튼(210)의 좌우 회전에 따라 피스톤(230)과 내측실린더(25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피스톤(230)의 원주형 돌설부(232)의 외주연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사각돌기(234)와; 상기 다수의 사각돌기(234)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피스톤(230)이 좌우 회전시 연동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230)이 수직 하강시에는 하강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개구의 내주연에 다수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251)과;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외주연에 서로 대칭되게 돌설된 한 쌍의 돌기(252)와; 상기 밀착지지부재(240)의 외주연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돌설부로서, 서로 원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의 상면에 접촉되되, 상기 내측실린더(250)가 회전하면서 승강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상기 외측실린더(280)의 상측부 내주연에 돌설된 돌설면으로서,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의 하면에 접촉되되, 상기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승강이동홈을 이루는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돌기(234)는 상기 피스톤(230)의 상승시 상기 다수의 수직홈(251)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에 의하면, 샴푸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고 다닐시 누름버튼을 숄더부재 바로 상면까지 하강시켜 놓을 때 내용물이 펌핑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내용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하는 가방 내에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누름버튼을 잠그기 위하여 누름버튼을 하강시킬 시 피스톤에 의해 내용물이 펌핑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즉 제품의 초기 출하시 누름버튼을 숄더부재에 나사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누름버튼과 숄더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그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버튼의 하강 회전과 동시에 내측실린더를 회전시켜 내측실린더의 돌기가 외측실린더의 내부 다단 돌기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내용물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외측실린더의 내부 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비 작동시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가 펌핑 작동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를 휴대하기 위하여 누름 버튼을 잠글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의 잠금을 해제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의 원통형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식 펌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식 펌핑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 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외측실린더의 내부 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비 작동시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가 펌핑 작동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를 휴대하기 위하여 누름 버튼을 잠글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의 잠금을 해제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의 원통형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샴푸 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 개구부(110)의 내주연을 통해 삽입되고 안착되는 펌프 디스펜서(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 디스펜서(200)는, 상단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에 의해서 상기 펌프 디스펜서(200)를 작동시켜 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부재로서, 내부에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구(21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나사봉(212)이 나사 결합된 누름버튼(210)과;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내주연에는 상기 용기(100)의 상부 개구부(110)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21)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원형홀(222)이 형성되어 있는 숄더부재(220)와; 상기 숄더부재(220)의 원형홀(222)을 통해 상단이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상단 개구가 상기 누름버튼(210)의 나사봉(212)과 결합되고, 상단 외주에 상기 누름버튼(210)의 원통형 걸림돌기(213)에 걸려 결합되는 상단외주돌기(235)가 형성되며, 폐쇄된 하단의 외주연에 다수의 유입홀(231)이 형성된 피스톤(230)과; 상기 피스톤(230)의 상단 개구를 통해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단은 상기 숄더부재(220)의 하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피스톤(230)의 중단에 원주형으로 돌설된 원주형 돌설부(232)의 원주형홈(233)에 끼워져 지지되는 밀착지지부재(240)와;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단 개구의 외주연은 상기 밀착지지부재(240)의 내주연에 위치하는 내측실린더(250)와; 상기 피스톤(230)의 원주형 돌설부(232)의 하면에 상단이 위치하고, 그 하측부는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내주연에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 스프링(260)과; 상기 원통형 스프링(260)의 하단이면서 상기 피스톤(230)의 외주연과 내측실린더(250)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실린더(210)의 내주연에 접촉되는 실린더접촉부(271)와, 상기 실린더접촉부(271)와 상하부에 사이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30)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피스톤접촉부(272)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230)의 승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230)의 다수의 유입홀(231)을 개폐하는 개폐패킹부재(270)와;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하부측 내주연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용 체크밸브(30)와;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설된 상단플렌지(281)가 용기(100)의 상면과 숄더부재(220)의 내측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서 고정되어 있고, 상부측의 내주연이 상기 밀착지지부재(240)의 외주부에 밀착되어 있는 외측실린더(280)와; 상기 누름버튼(21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230)과 내측실린더(25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피스톤(230)의 원주형 돌설부(232)의 외주연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사각돌기(234)와; 상기 다수의 사각돌기(234)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피스톤(230)이 좌우 회전시 연동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230)이 수직 하강시에는 하강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개구의 내주연에 다수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251)과;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외주연에 서로 대칭되게 돌설된 한 쌍의 돌기(252)와; 상기 밀착지지부재(240)의 외주연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돌설부로서, 서로 원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의 상면에 접촉되되, 상기 내측실린더(250)가 회전하면서 승강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상기 외측실린더(280)의 상측부 내주연에 돌설된 돌설면으로서,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의 하면에 접촉되되, 상기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승강이동홈을 이루는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각돌기(234)는 피스톤(230)의 상승시 상기 다수의 수직홈(251)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이동홈은 상기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돌기(252) 들이 이동하는 홈이다.
상기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는, 수직기둥부(282a)와, 상기 수직기둥부(282a)의 상부로부터 상기 외측실린더(280)의 내주연 하부까지 하강하도록 형성된 곡면부(282b)와, 상기 곡면부(282b)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한 쌍의 돌기(252)가 각각 얹혀지는 다수개의 다단절곡홈(282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와 상기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의 사이 공간, 즉 승강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이동홈에는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돌설부(282)의 다단절곡홈(282c)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승강하부돌기(241)의 하면에 다수의 절곡돌기(2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스프링(26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된 것으로, 중앙에 홀이 형성된 상부고리판(261)과, 상기 상부고리판(261)의 일측 하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제1트위스트부(262)와, 상기 상부고리판(261)의 일측 하면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인 타측 하면에서 상기 제1트위스트부(26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제2트위스트부(263)와, 상기 제1트위스트부(262)의 하면과 제2트위스트부(263)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1연결대(264)와, 상기 제1연결대(264)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트위스트부(263)의 하면과 제1트위스트부(262)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연결대(265)와, 상기 제1 및 제2트위스트부(262, 263)의 하단을 연결하는 고리형상의 부재인 하부고리판(266)과, 상기 하부고리판(266)의 하부면에 다수의 텐션기둥(267)으로 연결된 하부원형고리(268)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원형고리(268)는, 상기 개폐패킹부재(270)의 실린더접촉부(271)를 하측으로 밀어 피스톤접촉부(272)가 피스톤(230)의 돌설턱과 밀착되어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외부의 공기가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99는 용기(100)의 상면과 외측실린더(280)의 상단플렌지(281)의 하면에 삽입되어 용기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샴푸 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누름버튼(210)을 수직방향으로 누르면, 누름버튼(210)의 하부에 연결된 피스톤(230)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피스톤(23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있는 개폐패킹부재(270)는 내측실린더(250)의 내주연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피스톤(230)이 먼저 하강하고 개폐패킹부재(270)가 나중에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230)이 개폐패킹부재(270)보다 먼저 하강하므로, 피스톤(230)의 돌설턱의 상부에 밀착되어 있던 개폐패킹부재(270)가 이와 이격되어 상기 유입홀(231)이 개방된다.
상기 피스톤(230)과 개폐패킹부재(270)가 하강하면서 내측실린더(250) 내의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 체적이 감소됨에 따라 실린더(230)의 하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있는 체크밸브(30)가 개방되어 내측실린더(23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된다.
내측실린더(250) 내로 유입된 액상의 내용물은 상기 유입홀(231)을 통해 유입되고 누름버튼(210)의 토출구(211)를 통해 토출된다.
누름버튼(210)의 누름 작동을 멈추면, 원통형 스프링(260)의 팽창에 의해 상기 피스톤(230)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피스톤(230)이 상승하면, 개폐패킹부재(270)도 상승하게 되고, 그 상승은 원통형 스프링(260)의 하부원형고리(268)와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개폐패킹부재(270)의 실린더접촉부(271) 상단을 상기 원통형 스프링(260)의 다수의 텐션기둥(267)과 하부원형고리(268)의 탄성력으로 하부로 밀고 있으므로, 피스톤(230)의 돌설턱에 피스톤접촉부(272)가 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스톤(230)의 돌설턱에 피스톤접촉부(272)가 밀착되어 있어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외부의 공기가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샴푸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고 다닐시, 누름버튼(210)을 하강시켜 숄더부재(220)의 상면에 바로 밀착시켜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와 같이 누름버튼(210)을 잠금할 때에는, 누름버튼(21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피스톤(230)과 내측실린더(250)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일체로 하강하게 된다.
즉, 피스톤(230)과 내측실린더(250)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은 피스톤(230)의 사각돌기(234)가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내주연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홈(251)에 삽입되어 있어서 이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피스톤(230)과 내측실린더(250)가 일체로 하강하는 것은 내측실린더(250)의 외주연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252)가 상기 밀착지지부재(240)의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상기 외측실린더(280)의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가 이루는 승강이동홈 내에서 이동하면서 내측실린더(250)와 피스톤(230)이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도 5).
상기와 같이, 샴푸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고 다닐시 누름버튼(210)을 숄더부재(220) 바로 상면까지 하강시켜 놓을 때 내용물이 펌핑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내용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하는 가방 내에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누름버튼(210)을 잠그기 위하여 누름버튼(210)을 하강시킬 시 피스톤(230)에 의해 내용물이 펌핑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즉 제품의 초기 출하시 누름버튼을 숄더부재에 나사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누름버튼과 숄더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그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샴푸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누름버튼(210)을 상부로 수직으로 잡아 올리면, 누름버튼(210)의 원통형 걸림돌기(213)에 피스톤(230)의 상단외주돌기(235)가 걸려 피스톤(230)이 수직상승하며, 수직 상승후 일측으로 누름버튼(210)을 돌리면, 피스톤(230)의 사각돌기(234)들이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내주연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홈(251) 내에 맞물려 있으므로, 피스톤(230)의 회전과 함께 내측실린더(25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이 승강이동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내측실린더(250)을 도 3과 같이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버튼(210)을 누르면 도 4와 같이 펌핑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외주연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252)가 상기 밀착지지부재(240)의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상기 외측실린더(280)의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가 이루는 승강이동홈 내에서 하강하게 되는데, 내용물을 조금만 펌핑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누름버튼(210)을 조금만 돌려 하강시키면,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외주연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252)가 상기 밀착지지부재(240)의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상기 외측실린더(280)의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의 다단절곡홈(282c) 중 하나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버튼(210)을 수직으로 눌러 펌핑하게 된다. 즉 누름버튼(210)의 하강 거리가 작게 되므로 내용물의 펌핑량이 적어진다(도 2).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0 : 용기
200 : 펌프 디스펜서
210 : 누름버튼
213 : 원통형 걸림돌기
220 : 숄더부재
230 : 피스톤
231 : 유입홀
234 : 다수의 사각돌기
235 : 상단외주돌기
240 : 밀착지지부재
241 : 승강하부돌기
241a : 다수의 절곡돌기
250 : 내측실린더
251 : 다수의 수직홈
252 : 한 쌍의 돌기
260 : 원통형 스프링
270 : 개폐패킹부재
280 : 외측실린더
281 : 상단플렌지
282 : 한 쌍의 승강돌설부
282a : 수직기둥부
282b : 곡면부
282c : 다단절곡홈

Claims (2)

  1.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 개구부(110)의 내주연을 통해 삽입되고 안착되는 펌프 디스펜서(200)로 이루어진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프 디스펜서(200)의 누름버튼(210)은 피스톤(230)의 상단외주돌기(235)에 걸려 결합되는 원통형 걸림돌기(2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버튼(210)의 좌우 회전에 따라 피스톤(230)과 내측실린더(25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피스톤(230)의 원주형 돌설부(232)의 외주연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사각돌기(234)와;
    상기 다수의 사각돌기(234)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피스톤(230)이 좌우 회전시 연동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230)이 수직 하강시에는 하강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개구의 내주연에 다수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251)과;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상단 외주연에 서로 대칭되게 돌설된 한 쌍의 돌기(252)와;
    밀착지지부재(240)의 외주연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돌설부로서, 서로 원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의 상면에 접촉되되, 상기 내측실린더(250)가 회전하면서 승강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외측실린더(280)의 상측부 내주연에 돌설된 돌설면으로서, 상기 내측실린더(250)의 돌기(252) 들의 하면에 접촉되되, 상기 한 쌍의 승강하부돌기(241)와 승강이동홈을 이루는 한 쌍의 승강돌설부(2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각돌기(234)는 상기 피스톤(230)의 상승시 상기 다수의 수직홈(251)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20190174041A 2019-12-24 2019-12-24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227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41A KR102272109B1 (ko) 2019-12-24 2019-12-24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41A KR102272109B1 (ko) 2019-12-24 2019-12-24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109B1 true KR102272109B1 (ko) 2021-07-01

Family

ID=7685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041A KR102272109B1 (ko) 2019-12-24 2019-12-24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324A (ko) 2021-09-24 2023-03-31 (주)아모레퍼시픽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KR20230048754A (ko) 2021-10-05 2023-04-12 김남례 절약형 펌프 디스펜서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274Y1 (ko) * 2006-07-19 2006-10-1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20090048727A (ko) *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100065941A (ko) * 2008-12-09 2010-06-17 주식회사 하나 액체용기의 배출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274Y1 (ko) * 2006-07-19 2006-10-1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20090048727A (ko) *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100065941A (ko) * 2008-12-09 2010-06-17 주식회사 하나 액체용기의 배출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324A (ko) 2021-09-24 2023-03-31 (주)아모레퍼시픽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KR20230048754A (ko) 2021-10-05 2023-04-12 김남례 절약형 펌프 디스펜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2272109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US11559822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retractable button
KR102122160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JP2009543742A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101666683B1 (ko) 버튼 출몰식 디스펜서 용기
KR20130004827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660678B1 (ko)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JPS61174959A (ja) 計量分配ポンプ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JP2007502755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装置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KR20190034076A (ko) 가변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 용기
KR101387591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102341616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237203B1 (ko) 펌프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10230669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240035188A (ko)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200277208Y1 (ko)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20240053459A (ko)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2629163B1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KR102562399B1 (ko) 액체로 채워질 유리병과 충진 모듈을 포함하는 충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