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324A -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324A
KR20230043324A KR1020210126078A KR20210126078A KR20230043324A KR 20230043324 A KR20230043324 A KR 20230043324A KR 1020210126078 A KR1020210126078 A KR 1020210126078A KR 20210126078 A KR20210126078 A KR 20210126078A KR 20230043324 A KR20230043324 A KR 20230043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compression member
button
contents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1012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3324A/ko
Publication of KR2023004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5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제공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이 제공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제공되는 압축부재; 상기 압축부재가 수축 및 팽창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압축부재를 수축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재가 수축 및 팽창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버튼이 가압될 때 상기 압축부재의 내부에 제공된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Dispenser, Storage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ipul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샴푸나 린스와 같은 목욕용품이나, 주방용 세제 등과 같은 점성을 가진 액체물질(이하, 내용물이라 함)은 내부공간을 갖는 저장용기에 저장된다.
이러한, 종래의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저장용기를 뒤집은 후 저장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저장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토출시키 어렵고, 저장용기를 파지한 후 뒤집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용하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점성을 갖는 경우,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 특허 10-2272109 B1(2021.06.2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측면에 배치된 버튼을 한번 누르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잔량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리필 용기(본체)만을 교체하여 사용을 지속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제공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이 제공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제공되는 압축부재; 상기 압축부재가 수축 및 팽창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압축부재를 수축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재가 수축 및 팽창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버튼이 가압될 때 상기 압축부재의 내부에 제공된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제공된 상기 내용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제1 토출공을 포함하는 상부압축부재; 및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는 가변부가 제공되는 하부압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압축부재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내용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상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공은 상기 측면부에 제공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압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하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대적 거리는 상기 가변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부는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제공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부의 측면에는 탄성부재가 제공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할 수 있는 가이드면; 및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압축부재의 제1 토출공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측면마개면; 및 상기 압축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마개면의 직경(D)은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면은 소정 각도를 갖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소정 각도를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방사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압축부재가 축방향으로 하강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압축부재와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는 제2 경사면; 하우징의 일측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는 제3 경사면;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버튼이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압축부재를 감쌀 수 있는 측면외부덮개; 상기 측면외부덮개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면외부덮개; 상기 측면외부덮개 내측에 형성되고 압축부재의 상부압축부재와 슬라이딩되는 내부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압축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과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상기 버튼이 내측 방사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버튼은 상기 방사방향과 다른 방향인 내측 대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압축부재는 하측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는 버튼과 접촉할 수 있는 제1 경사면이 제공되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버튼은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방사방향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방사방향이 이루는 각도의 합은 180도로 제공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1 항에 기재된 디스펜서;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고리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버튼이 내측 방사방향으로 가압되는 단계(S1단계); 상기 버튼이 내측 대각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부재를 하측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S2단계); 슬라이딩부재가 하측 축방향으로 압축부재를 가압하는 단계(S3단계); 및 압축부재의 제1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1 토출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단계(S4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4단계 이후에, 버튼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어 압축부재가 팽창하고, 결합부의 제2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이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 수용공간으로 이동하는 단계(S5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은 측면에 배치된 버튼을 한번 누르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의 잔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필 용기(본체)만을 교체하여 사용을 지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저장용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내용물 저장용기(1)에 제공된 디스펜서(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500)이 제거된 디스펜서(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펜서(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펜서(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일 구성인 결합부(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일 구성인 압축부재(20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일 구성인 슬라이딩부재(400)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슬라이딩부재(400)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일 구성인 하우징(500)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슬라이딩부재(400)와 버튼(300)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저장용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저장용기(1)는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본체(20); 본체(2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본체(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디스펜서(10); 및 본체(20)의 일측에 제공되는 고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물 저장용기(1)에 저장될 수 있는 내용물은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화장료, 샴푸, 린스, 식음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내용물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용물 저장용기(1)의 디스펜서(10)는 본체(20)로부터 내용물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10)에 제공된 버튼(300)을 내측 방사방향(B-B')으로 누름으로써 디스펜서(10)의 내측에 제공된 압축부재(200)가 하측 축방향(A-A')으로 수축하여, 압축부재(200) 내측에 제공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10) 및 이의 작동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의 내용물 저장용기(1)는 디스펜서(10)의 측면에 버튼(300)을 배치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체(2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파우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일측에는 외부 일 물체에 걸릴 수 있는 고리(30)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30)는 디스펜서(10)의 반대편 모서리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고리(30)를 외부 물체에 걸어놓고, 디스펜서(10)에 제공된 버튼(300)을 눌러 내용물을 토출함으로써 내용물 저장용기(1)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리필 용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경우 본체(20)만 교체되어 디스펜서(10)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펜서(1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내용물 저장용기(1)에 제공된 디스펜서(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하우징(500)이 제거된 디스펜서(1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디스펜서(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디스펜서(10)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일 구성인 결합부(100)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일 구성인 압축부재(200)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일 구성인 슬라이딩부재(400)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슬라이딩부재(400)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일 구성인 하우징(500)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2의 디스펜서(10)의 슬라이딩부재(400)와 버튼(300)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펜서(10)는, 본체(20)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00); 결합부(100)의 상측에 제공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S1)이 제공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제공되는 압축부재(200); 압축부재(200)가 수축 및 팽창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버튼(300); 버튼(3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압축부재(200)를 수축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부재(200)가 수축 및 팽창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버튼(300)이 가압될 때 압축부재(200)의 내부(S1)에 제공된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축부재(200)가 수축하는 방향을 내측 축방향(A-A'), 팽창하는 방향을 외측 축방향(A-A')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고, 버튼(300)에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내측 방사방향(B-B'), 압력이 해제되는 방향을 외측 방사방향(B-B')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고, 버튼(300)에 외력이 가해질 때 버튼(300)의 중심이 이동하는 방향을 내측 대각방향(C-C'), 외력이 해제되어 버튼(300)의 중심이 이동하는 방향을 외측 대각방향(C-C')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도 5 및 도 11참조).
외력에 의해 버튼(300)이 내측 방사방향(B-B')으로 가압되면, 버튼(300)은 내측 대각방향(C-C')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버튼(300)은 슬라이딩부재(400)를 하측 축방향(A-A')으로 가압하고, 슬라이딩부재(400)는 압축부재(200)를 하측 축방향(A-A')으로 가압함으로써, 압축부재(200)의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내용물은 압축부재(200)에 제공된 제1 토출공(212)을 빠져나온 후 하우징(500)에 제공된 제3 토출공(512)을 빠져나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10)는 결합부(100)와 슬라이딩부재(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압축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고, 슬라이딩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결합부(100)와 슬라이딩부재(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부피가 변하여 압축부재(200)가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결합부(100)는 슬라이딩부재(400)가 슬라이딩 할 수 있는 가이드면(112); 슬라이딩부재(4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제1 돌기(114); 이 통과할 수 있는 연결통로(119)를 형성하고 체크밸브(600)가 안찰될 수 있는 안착부(116); 본체(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면(118)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112)의 내측에 압축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면(112)의 외측에서 슬라이딩부재(400)가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다.
압축부재(200)는 제1 수용공간(S1)에 있는 내용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제1 토출공(212)을 포함하는 상부압축부재(210); 및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는 가변부(222)가 제공되는 하부압축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구체적으로, 상부압축부재(210)는, 제1 수용공간(S1)에 제공된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토출공(212); 내용물이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216); 및 측면부(216)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내용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상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토출공(212)은 측면부(216)에 제공되고, 상면부(214)는 막혀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압축부재(220)가 팽창했을 때 제1 토출공(212)은 슬라이딩부재(400)에 의해 폐쇄되고, 하부압축부재(220)가 수축했을 때 제1 토출공(212)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공(212)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토출공(212)은 2개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토출공(212)은 3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압축부재(220)는,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는 가변부(222); 슬라이딩부재(4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상부플레이트(224); 및 결합부(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하부플레이트(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224)와 하부플레이트(226)의 상대적 거리는 가변부(222)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부(222)가 수축하였을 때 상부플레이트(224)와 하부플레이트(226)는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고, 가변부(222)가 팽창하였을 때 상부플레이트(224)와 하부플레이트(226)는 상대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가변부(222)는 측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변부(222)가 수축할 때 주름이 접혀져 가변부(222)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고, 가변부(222)가 팽창할 때 주름이 펴져서 가변부(222)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압축부재(200)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30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압축부재(200)가 수축한 후 버튼(300)에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압축부재(200)가 팽창하여 원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226)의 상측 및 가변부(222)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700)가 제공될 수 있다.
탄성부재(700)는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700)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700)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내용물의 점도가 작은 물질이 제공되는 경우, 압축부재(200)가 스스로 팽창하여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내용물이 점도가 높은 물질이 제공되는 경우, 탄성부재(700)가 배치됨으로써 압축부재(200)가 팽창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400)는 압축부재(200)에서 토출된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제2 토출공(412); 압축부재(200)의 제1 토출공(212)을 폐쇄할 수 있는 측면마개면(414); 압축부재(20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416); 가압면(416)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피가이드면(418); 피가이드면(418)의 단부에 형성되고 결합부(100)의 제1 돌기(114)에 걸릴 수 있는 제2 돌기(419)를 포함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측면마개면(414)에 의해 직경(D)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공간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측면마개면(414)의 직경(D)은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부재(200)가 압축되어 상부압축부재(210)가 하강할 때, 제1 토출공(212)과 측면마개면(414)의 내측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 있는바, 내용물이 제1 토출공(212)을 빠져나온 후 제2 토출공(41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디스펜서(10)가 직립해 있을때 하부측을 하측 상부측을 상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가압면(416)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버튼(300)의 제2 경사면(312)과 접촉하는 제1 경사면(416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300)은 2개 제공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1 경사면(416a) 또한 2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압면(416)의 제1 경사면(416a)과 방사방향(B-B')이 이루는 각도와 버튼(300)의 제2 경사면(312)과 방사방향(B-B')이 이루는 각도의 합은 18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면(416a)과 방사방향(B-B')이 이루는 각도가 30도 일때, 제2 경사면(312)과 방사방향(B-B')이 이루는 각도는 150도 일 수 있다.
즉, 제1 경사면(416a)과 제2 경사면(312)이 서로 맞닿았을때 맞닿는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버튼(300)이 방사방향(B-B')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경사면(416a)과 제2 경사면(312)은 슬라이딩 이동되고, 그에 따라 압축부재(200)가 축방향(A-A')으로 하강할 수 있다.
버튼(300)은 압축부재(200)의 제1 경사면(416a)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는 제2 경사면(312); 하우징(500)의 일측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는 제3 경사면(314); 및 하우징(500)의 내측 일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튼(300)은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수 있는 가압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312)과 제3 경사면(314)은 방사방향(B-B')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300)은 방사방향(B-B') 내측으로부터 외측(B'에서 B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13)는 제3 경사면(314)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압축부재(200)를 감쌀 수 있는 측면외부덮개(518); 측면외부덮개(518)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면외부덮개(514); 측면외부덮개(518) 내측에 형성되고 압축부재(200)의 상부압축부재(210)와 슬라이딩되는 내부가이드부재(5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외부덮개(514)의 상부에는 제1 토출공(212)에서 토출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는 통로인 제3 토출공(512)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측면외부덮개(518)의 외측에는 버튼(300)이 삽입될 수 있는 버튼홈(517)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홈(517)은 버튼(300)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300)과 버튼홈(517)이 각각 2개씩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버튼(300)과 버튼홈(517)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크밸브(600)는 압축부재(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S1)과 결합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S2)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체크밸브(600)에는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과홀(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300)이 가압되어 방사방향(B-B') 내측(B에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압축부재(200)는 수축할 수 있다. 이때 체크밸브(600)는 제1 수용공간(S1)과 제2 수용공간(S2)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버튼(300)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어 버튼(300)이 방사방향(B-B') 외측(B'에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압축부재(200)는 팽창할 수 있다. 이때 체크밸브(600)는 상승되어 통과홀을 통해 제2 수용공간(S2)에 수용된 내용물이 제1 수용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700)는 압축부재(200)의 외측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700)의 일측은 하부플레이트(226)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측은 슬라이딩부재(400)의 가압면(4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700)는 가변부(222)를 둘러쌀 수 있다.
탄성부재(700)는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압축부재(200)가 수축된 후 팽창(원상복귀)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펜서(10) 또는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1)의 작동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디스펜서(10)의 작동방법은 외력에 의해 버튼(300)이 내측 방사방향(B-B')으로(B에서 B'방향) 가압되는 단계(S1단계); 버튼(300)이 내측 대각방향(C-C')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부재(400)를 하측 축방향(A-A')으로 가압하는 단계(S2단계); 슬라이딩부재(400)가 압축부재(200)를 하측 축방향(A-A')으로 가압하는 단계(S3단계); 의 제1 수용공간(S1)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1 토출공(212)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단계(S4단계);
버튼(300)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어 압축부재(200)가 팽창하고, 결합부(100)의 제2 수용공간(S2)에 저장된 내용물이 체크밸브(600)를 통하여 제1 수용공간(S1)으로 이동하는 단계(S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4단계는 압축부재(200)의 제1 토출공(212)을 통과한 내용물은 슬라이딩부재(400)의 제2 토출공(412)과 하우징(500)의 제3 토출공(5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S5 단계는, 압축부재(200)가 팽창하여 압축부재(200)에 제공된 제2 토출공(412)이 압축부재(200)의 측면부(216)에 의해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300)을 측면에서 가압함으로써 내용물을 토출시키고, 버튼(300)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여 압축부재(200)에 저장된 내용물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1)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내용물 저장용기
10 : 디스펜서
100 : 결합부
112 : 가이드면
114 : 제1 돌기
116 : 안착부
118 : 결합면
119 : 연결통로
20 : 본체
200 : 압축부재
210 : 상부압축부재
212 : 제1 토출공
214 : 상면부
216 : 측면부
220 : 하부압축부재
222 : 가변부
224 : 상부플레이트
226 : 하부플레이트
30 : 고리
300 : 버튼
312 : 제2 경사면
313 : 걸림부
314 : 제3 경사면
316 : 가압부
400 : 슬라이딩부재
412 : 제2 토출공
414 : 측면마개면
416 : 가압면
416a : 제1 경사면
418 : 피가이드면
419 : 제2 돌기
500 : 하우징
512 : 제3 토출공
514 : 상면외부덮개
516 : 내부가이드부재
517 : 버튼홈
518 : 측면외부덮개
600 : 체크밸브
700 : 탄성부재

Claims (17)

  1.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제공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이 제공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제공되는 압축부재;
    상기 압축부재가 수축 및 팽창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압축부재를 수축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재가 수축 및 팽창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버튼이 가압될 때 상기 압축부재의 내부에 제공된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제공된 상기 내용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제1 토출공을 포함하는 상부압축부재; 및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는 가변부가 제공되는 하부압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축부재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내용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상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공은 상기 측면부에 제공되는
    디스펜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압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하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대적 거리는 상기 가변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디스펜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제공되는
    디스펜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측면에는 탄성부재가 제공되는
    디스펜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할 수 있는 가이드면; 및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압축부재의 제1 토출공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측면마개면; 및
    상기 압축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마개면의 직경(D)은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은 소정 각도를 갖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소정 각도를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방사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압축부재가 축방향으로 하강하는
    디스펜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압축부재와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는 제2 경사면;
    하우징의 일측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는 제3 경사면;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버튼이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압축부재를 감쌀 수 있는 측면외부덮개;
    상기 측면외부덮개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면외부덮개;
    상기 측면외부덮개 내측에 형성되고 압축부재의 상부압축부재와 슬라이딩되는 내부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압축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과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13. 제1 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버튼이 내측 방사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버튼은 상기 방사방향과 다른 방향인 내측 대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압축부재는 하측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디스펜서.
  14. 제1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부재는 버튼과 접촉할 수 있는 제1 경사면이 제공되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버튼은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방사방향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방사방향이 이루는 각도의 합은 180도로 제공되는
    디스펜서.
  15.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1 항에 기재된 디스펜서;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고리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16. 외력에 의해 버튼이 내측 방사방향으로 가압되는 단계(S1단계);
    상기 버튼이 내측 대각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부재를 하측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S2단계);
    슬라이딩부재가 하측 축방향으로 압축부재를 가압하는 단계(S3단계); 및
    압축부재의 제1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1 토출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단계(S4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 이후에,
    버튼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어 압축부재가 팽창하고, 결합부의 제2 수용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이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 수용공간으로 이동하는 단계(S5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KR1020210126078A 2021-09-24 2021-09-24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KR20230043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078A KR20230043324A (ko) 2021-09-24 2021-09-24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078A KR20230043324A (ko) 2021-09-24 2021-09-24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324A true KR20230043324A (ko) 2023-03-31

Family

ID=8600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078A KR20230043324A (ko) 2021-09-24 2021-09-24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33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109B1 (ko) 2019-12-24 2021-07-01 강민구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109B1 (ko) 2019-12-24 2021-07-01 강민구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4719B2 (ja) 2液吐出容器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833531B1 (ko) 화장품 용기
KR10192864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20160097607A (ko)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CZ20041210A3 (cs) Skládací nádoba
KR20180085253A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20140026694A (ko) 측면 버튼 가압식 화장품용기
KR101309857B1 (ko) 출몰노즐형 화장품 용기
KR20230043324A (ko) 디스펜서,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저장용기 및 디스펜서의 작동방법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US20120000942A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JP6082232B2 (ja) 吐出装置および吐出製品
KR102097276B1 (ko) 이종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CN113474087B (zh) 用于分配流体或混合物的装置
KR102134722B1 (ko) 용기뚜껑에 결합되는 밀폐패킹
JP6446238B2 (ja) 吐出容器
KR102118150B1 (ko) 작동 레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195465B1 (ko)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JP2020169056A (ja) エアゾール定量吐出アクチュエーター
KR102322690B1 (ko) 용기의 교체형 캡
KR102015622B1 (ko) 유체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