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678B1 -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678B1
KR101660678B1 KR1020160085627A KR20160085627A KR101660678B1 KR 101660678 B1 KR101660678 B1 KR 101660678B1 KR 1020160085627 A KR1020160085627 A KR 1020160085627A KR 20160085627 A KR20160085627 A KR 20160085627A KR 101660678 B1 KR101660678 B1 KR 10166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unit
container
nozzle
pum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범 filed Critical 김용범
Priority to KR102016008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5Piston pumps with means for adjusting or modifying pump stroke
    • B05B11/1008Piston pumps with means for adjusting or modifying pump stroke by adjusting or modifying the pump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용기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용기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하는 흡입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흡입튜브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갖는 실린더부와; 상기 노즐부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노즐부로 이동 가능하게 일측은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결합된 피스톤부와; 일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피스톤부을 안내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고정가이드부 또는 상기 실린더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스트로크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량을 조절 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내부의 내용물뿐만 아니라 용기 외부로 토출을 위해 임시로 저장된 토출실 내부의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형상을 예방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위생적이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편리하다.

Description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Dispenser Pump Device with Multi-step adjustable Flowrate}
본 발명은 토출량 다단계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토출되는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토출량 다단계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 장치는 헤어스타일을 위한 무스, 세안용 크림, 액체비누, 주방용 세제, 염색제 등에 널리 사용되며, 액상의 내용물에 적절한 양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펌프 장치는 필요에 따라 그 토출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토출량을 조절하는 펌프 장치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08-2462호 (2008.07.0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28274호 (2006.09.29)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펌프 장치에서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사용이 불편하고 조절하는 량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든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량을 다단계로 간단하고 편리하면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는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원래위치로 돌아도록 하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간단하고 미려하게 변경한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을 지지하는 구조와 윈래위치에서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노즐부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가압위치와 상기 노즐부를 가압해제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는 가압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결합된 디스펜스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용기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용기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하는 흡입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흡입튜브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갖는 실린더부와; 상기 노즐부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노즐부로 이동 가능하게 일측은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결합된 피스톤부와; 일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피스톤부을 안내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고정가이드부 또는 상기 실린더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스트로크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량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에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노즐부를 상기 가압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상기 노즐부를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노즐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부가 길이방향인 상하 방향으로만 승강 이동하면서 회전을 제한하는 리브홈과 상기 리브홈과 이격되어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절부 상단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리브돌기를 포함하는 조절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절부 및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상기 조절부를 회전하면 상기 노즐부의 승강하는 높이가 복수의 단계로 조절 가능하게 회전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리브돌기를 안내하는 복수의 단조절부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조절부재는 1단조절부재, 2단조절부재, 3단조절부재의 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가압해제위치, 상기 1단조절부재, 상기 2단조절부재, 상기 3단조절부재로 이동하면서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는, 피스톤본체와, 상기 피스톤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고 상하측으로 U자 홈을 갖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피스톤이 결합되는 피스톤결합부재와, 상기 피스톤을 지지 가능하게 상기 피스톤결합부재와 맞물리는 피스톤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고정가이드부는 상기 피스톤의 상측 U자 홈인 실링상측U홈에 결합되어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리브돌기에 대하여 조절부를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조절부재가 상기 가압해제위치, 상기 1단조절부재의 위치, 상기 2단조절부재의 위치, 상기 3단조절부재의 위치를 각각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조절부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조절부가 맞물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량을 다단계로 간단하고 편리하면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는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원래위치로 돌아도록 하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간단하고 미려하게 변경하고, 피스톤을 지지하는 구조와 윈래위치에서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토출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스 펌프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펌프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피스톤부와 조절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a는 피스톤부와 고정가이드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서 Ⅳb-Ⅳb를 따라 절단한 사시단면도 및 평면도,
도 4c는 도 4a에서 Ⅳc-Ⅳc를 따라 절단한 사시단면도 및 평면도,
도 4d는 고정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단면도 및 평면도,
도 4e는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단면도 및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h는 펌프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피스톤부와 조절부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이하에서 간략하게 ‘펌프 장치’라고 부른다. 100)를 도 1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스 펌프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펌프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피스톤부와 조절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a는 피스톤부와 고정가이드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Ⅳb-Ⅳb를 따라 절단한 사시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에서 Ⅳc-Ⅳc를 따라 절단한 사시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d는 고정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e는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h는 펌프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피스톤부와 조절부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펌프 장치(100)에서 노즐부(110)가 위치한 부분을 상측, 고정가이드부(1400)에 결합된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바닥 부분(미도시)을 하측이라고 한다.
펌프 장치(100)는, 액체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노즐부(1100)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가압위치(도 5a, 도 5c, 및 도 5e 참조)와 상기 노즐부(1100)를 가압해제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는 가압해제위치(도 2 및 도 5g 참조)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10)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부(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용기실링부재(16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10)와 결합되는 고정가이드부(1400)와; 상기 고정가이드부(1400)와 상기 용기(1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10)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하는 흡입튜브(1680)가 결합되고 상기 흡입튜브(1680)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갖는 실린더부(1600)와; 상기 노즐부(1100)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16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노즐부(1100)로 이동 가능하게 일측은 상기 실린더부(1600)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1400)에 결합된 피스톤부(1500)와; 일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피스톤부(1500)을 안내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부(13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1300)는 상기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부(1500)가 상기 고정가이드부(1400) 또는 상기 실린더부(1600)에 대하여 이동하는 스트로크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노즐부(1100)에서 토출되는 량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장치(100)는, 상기 노즐부(1100)에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노즐부(1100)를 상기 가압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상기 노즐부(1100)를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노즐부(1100)와 상기 조절부(1300)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12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1300)는, 상기 고정가이드부(1400)에 길이방향인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리브홈(1465)과 상기 리브홈(1465)과 이격되어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절부(1300) 상단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리브돌기(1463)를 포함하는 조절가이드리브(146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1300)에는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절부(1300) 및 상기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상기 조절부(1300)를 회전하면 상기 노즐부(1100)가 승강하는 높이가 복수의 단계로 조절 가능하게 상기 리브돌기(1463)를 안내하는 단조절부재(1321, 1323. 1325)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조절부재(1321, 1323. 1325)는 1단조절부재(1321), 2단조절부재(1323), 3단조절부재(1325)의 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1100)는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1단조절부재(1321), 상기 2단조절부재(1323), 상기 3단조절부재로 이동하면서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0)는, 다양한 종류의 액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하고, 고정가이드부(1400)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부(1100)는, 외형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손 등을 가압을 하기 용이한 공지의 형상으로 구비된 노즐본체(1110)와, 노즐본체(1110)의 중앙 영역에 내용물의 배출통로로 중공 형상의 상측유로(1170)와, 상측유로(1170)와 연통되어 외부로 내용물을 배출되도록 관통되어 안내하는 토출구(1150)와, 피스톤(1570)의 상부의 노즐결합돌기(1530)와 맞물려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상측유로(1170) 내측에 형성된 피스톤결합그루브(1130)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1200)는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원통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주름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노즐부(1100)를 가압해제위치로 탄성가압하며, 높이가 줄었다 늘었다 할 수 있는 신축성 소재의 나선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1250)와, 탄성부재(1250)의 상측에 마련되어 노즐부(1100)에 지지되는 노즐지지부재(1210)와, 탄성부재(1250) 하측에 마련되어 조절부(1300)의 오목한 부분에 지지되는 조절지지부재(1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부(1200)는 나선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의 피스톤부(1500) 상측을 덮는 구조로 되어 펌프 장치(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조절부(1300)는, 고정가이드부(1400)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된 조절본체(1310)와, 피스톤부(1500)의 가압되는 높이를 가압위치에서 가압해제위치 사이에서 복수의 단계(도 2 및 도 4e에서 H1, H2, H3 참조)로 조절할 수 있는 예를 들면 3단의 단조절부재(1321, 1323, 1325)와,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조절부(1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위치스토퍼(1350)와, 가압해제위치에서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조절부(1300)의 상단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가압을 하더라도 피스톤부(1500)가 이동하지 않는 고정위치부재(1330)와, 피스톤부(1500)를 고정위치부재(1330) 및 각 단조절부재(1321, 1323, 1325)에서 조절부(1300)가 위치 유지되어 피스톤(1570)의 토출량조절돌기(155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고정가이드부(1400)의 실린더결합돌기(1430)와 맞물리는 조절결합돌기(1370)와, 각 단조절부재(1321, 1323, 1325)와 고정위치부재(1330)의 각 위치에서 토출되는 량이 표시된 문자인 표시문자(1380b)를 볼 수 있도록 조절본체(1310)에 관통 형성된 표시홈(1380a)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토출되는 량을 파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편의상 표시문자(1380b)와 표시홈(1380a)을 표시부(1380)라 부른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고정위치부재(1330) 및 각 단조절부재(1321, 1323, 1325)가 형성된 조절부(1300)를 회전하여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회전 제한되면서 승강하는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승강할 수 있는 높이(길이 내지 스트로크)를 조절하여 피스톤부(1500)의 승강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용기(10)로부터 실린더부(1600) 내부로 흡입된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가이드부(1400)는, 용기(10)와 결합되어 용기(10) 상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미도시된 고정가이드본체(미도시)와, 고정가이드본체(미도시)의 하측에 함몰되어 용기(10)를 사이에 두고 실린더부(1600)가 결합되는 용기결합시트부재(1450)와, 용기(10)와 나사결합되는 용기결합나사부재(1440)와, 상측에 마련되어 조절부(1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조절결합부재(1410)와, 조절결합돌기(1370)와 맞물려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위치에 조절부(1300)를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고정 유지시키는 실린더결합돌기(1430)와, 실린더부(1600)와 맞물리는 실린더결합돌기(1430)와, 내측 중앙측으로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된 조절가이드본체(미도시와)와 고정가이드안내홈(1540)과 결합되어 피스톤부(1500)의 승강을 회전 제한시키면서 안내 가능하게 조절가이드본체로부터 더 돌출된 리브홈(1465)과 리브홈(1465)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바람직하게는 90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토출량조절돌기(155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함몰 형성된 리브홈(1465)을 갖는 조절가이드리브(1460)와, 피스톤(1570)의 실링상측U부재(1575a)에 결합되도록 하측에 다소 경사지게 형성된 피스톤결합스커트(1470)와, 고정가이드본체의 외측 날개(미도시)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날개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각도마다 형성된 고정가이드리브(141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브돌기(1463)는 피스톤부(1500)의 고정가이드안내홈(1540)과 결합되어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피스톤부(1500)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승강을 안내하고, 리브홈(1465)은 피스톤부(1500)의 토출량조절돌기(1550)과 통과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가이드리브(1413)의 상단면에 조절부(1300)의 내측 하단면이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고정가이드부(1400)는 가압해제위치에서 탄성부(1200)의 탄성가압력에 의하여 피스톤부(1500)와 결합되어 피스톤부(1500)의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조절부(1300)의 상단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1300)를 고정가이드부(1400)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피스톤부(1500)는, 내측에 내용물의 통로인 피스톤상측통로(1523)와 피스톤하측통로(1525)로 이루어진 피스톤유로(1520)를 형성한 긴 막대 형상의 피스톤본체(1510)와, 실린더부(1600)의 내측과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면서 실린더부(1600) 내측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피스톤(1570)과, 피스톤본체(1510)와 맞물려 피스톤(1570)을 지지하는 피스톤체결부재(15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부(1500)는, 상측에 노즐부(1100)의 노즐결합돌기(1530)와 맞물려 결합되는 노즐결합돌기(1530)와, 하측에 원통형상으로부터 돌출 및 단면적이 감소되어 피스톤체결부재(1580)와 결합되는 피스톤결합부재(1560)와, 고정가이드부(1400)와 맞물려 회전방지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는 고정가이드안내홈(1540)과 고정가이드안내홈(1540)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절부(1300)의 단조절부재(1321, 1323, 1325)와 고정위치부재(1330)와 맞물려 노즐부(1100)의 이동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는 토출량조절돌기(15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결합부재(1560)는, 피스톤체결부재(1580)와 결합되며 피스톤고정부재(1577) 상측이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 피스톤결합리브(1563)와, 피스톤결합리브(1563)의 하측으로 피스톤본체(1573)의 단면적보다 적게 형성되어 연장되고 내측에 피스톤하측통로(1525)가 형성된 피스톤결합면(1565)과, 피스톤결합면(1565)에 형성되어 피스톤체결부재(1580)가 맞물려 고정되는 체결부재결합돌기(156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1570)은, 실린더본체(1610) 내측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형상으로 된 피스톤본체(1573)와, 실린더본체 내측면을 접촉하는 피스톤실링부재(1575)와, 피스톤결합부재(1560)와 피스톤체결부재(1580) 사이에 지지되는 피스톤고정부재(1577)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실링부재(1575)는, 공지의 펌프 장치(100)와 같이 실링상측U홈(1575a)과 실링하측U홈(1575b)을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체결부재(1580)는, 중앙에 내용물의 통로가 되도록 비어 있고 하측은 막힌 형태의 원통형상의 체결부재본체(1581)와, 체결부재본체(1581)의 중앙영역에 실린더부(1600)와 피스톤유로(1520)를 연결시키는 용액관통홀(1583)과, 피스톤결합부재(1560)와 맞물려 고정 유지시키는 결합부재결합그루브(1585)와, 피스톤고정부재(1577)의 하측이 점촉하도록 체결부재본체(1581)의 외측에 형성된 체결부재턱(1587)과, 피스톤하강제한부재(1660)와 접촉되도록 체결부재본체(1581)의 최하단에 형성된 피스톤하단부(1589)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피스톤(1570)의 피스톤고정부재(1577)를 사이에 두고 피스톤결합부재(1560)와 피스톤체결부재(1580)를 상호 체결부재결합돌기(1567)와 결합부재결합그루브(1585)를 맞물리고 체결유지시키면 피스톤부(1500)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피스톤부(1500)의 결합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다.
실린더부(1600)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피스톤부(15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하측은 용기(10)의 내용물이 흡입되고 토출시 흡입된 내용물이 용기(10)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체크볼(1670)이 결합되도록 하측은 깔대기 형상을 하고 있는 실린더본체(1610)와, 실린더본체(16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가이드부(1400)의 용기결합시트부재(1450)에 접촉되는 실린더스커트(1620)와 실린더스커트(1620)와 용기(1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용기(10)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시키는 용기실링부재(1630)와, 고정가이드부(1400)의 실린더결합돌기(1430)와 맞물려 결합 유지되는 고정가이드결합그루브(1640)와, 피스톤부(1500)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공기관통홀(1650)과, 노즐부(1100)를 가압하여 피스톤부(1500)가 하강하는 경우 피스톤부(1500)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실린더본체(1610)의 내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피스톤하강제한돌기(1660)와, 토출시 실린더본체(16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내용물이 용기(10)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측의 관통된 내용물 통로인 실린더흡입유로(1655)를 막도록 볼시트부재(1671)에 안착되는 체크볼(1670)과, 용기(10)의 바닥측을 향하여 긴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어 중앙에 내용물 통로인 흡입유로(1683)가 형성된 흡입튜브(1680)과 결합되는 흡입튜브결합부재(1673)와, 흡입튜브결합부재(1673)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흡입튜브(1680)가 결합되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흡입튜브걸림턱(1690)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펌프 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 2, 도 3 및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압해제위치(도 2 및 도 5g 참조), 1단조절부재(1321)와 결합하여 승강하는 1단조절위치(도 5e 및 도 5f 참조), 2단조절부재(1323)와 결합하여 승강하는 2단조절위치(도 5c 및 도 5d 참조), 3단조절부재(1325)와 결합하여 최대로 승강하는 3단조절위치(도 5a 및 도 5b 참조)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로 예를 들면, 3단계, 5단계 등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가 노즐부(1100)를 가압하여 용기(10)의 내용물이 최대로 토출되는 과정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b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가이드부(14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부(1300)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3단조절위치에서는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3단조절부재(1325)와 일치되고 표시부(1380)에서는 예를 들면 '7'이라는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사용자가 노즐부(1100)를 누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100)와 결합된 피스톤부(1500)가 조절가이드리브(146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피스톤(1570)은 실린더본체(1610) 내측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하단부(1589)가 피스톤하강제한부재(1660)에 접촉되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한다. 이 과정에서 토출량조절돌기(1550)는 고정가이드부(1400)의 내측 높이 전체(도 1, 도 4e의 'H3' 참조)에 걸쳐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강 과정에서 실린더부(1600)에 수용된 내용물은 체크볼(1670)에 의해 용기(10)측으로 역류하지 못하고 실린더본체(1610)의 내측 - 용액관통홀(1583) - 피스톤하측통로(1525) - 피스톤상측통로(1523) - 상측유로(1170)를 거쳐 토출구(1150)를 통해 외부로 가장 많은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을 해제하면 노즐부(1100)와 조절부(1300) 사이에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120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노즐부(1100), 피스톤부(1500)가 상승하여 피스톤(1570)의 실린더본체(1610)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본체(1610)의 내측에는 진공이 형성되어 체크볼(167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실린더흡입유로(1655)가 개방되어 흡입튜브(1680) 중앙의 흡입유로(1683)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실린더본체(1610)로 채워지게 된다.
여기서, 체크볼(1670)의 상측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미도시된 상측제한리브를 포함하고 있음을 물론이다.
탄성부(120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상승하는 노즐부(1100), 피스톤부(1500)는 피스톤부(1500)의 실링상측U부재(1575a)에 피스톤결합스커트(1470)가 결합되는 위치와 피스톤결합리브(1563)가 조절가이드리브(1460)과 접촉되는 지점에서 노즐부(1100), 피스톤부(1500)의 상승이 제한된다.
다음,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가이드부(14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부(13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2단조절위치로 위치시킨다. 이러한 2단조절위치에서는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2단조절부재(1323)와 일치되고 표시부(1380)에서는 예를 들면 '5'라는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사용자가 노즐부(1100)를 누르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100)와 결합된 피스톤부(1500)가 조절가이드리브(146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피스톤(1570)은 실린더본체(1610) 내측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2단조절부재(1323)의 높이만큼(도 1, 도 4e의 'H2' 참조)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하강 과정에서 실린더부(1600)에 수용된 내용물은 체크볼(1670)에 의해 용기(10)측으로 역류하지 못하고 실린더본체(1610)의 내측 - 용액관통홀(1583) - 피스톤하측통로(1525) - 피스톤상측통로(1523) - 상측유로(1170)를 거쳐 토출구(1150)를 통해 외부로 2단 토출량만큼 내용물이 토출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을 해제하면 노즐부(1100)와 조절부(1300) 사이에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120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노즐부(1100), 피스톤부(1500)가 상승하여 피스톤(1570)의 실린더본체(1610)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본체(1610)의 내측에는 진공이 형성되어 체크볼(167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실린더흡입유로(1655)가 개방되어 흡입튜브(1680) 중앙의 흡입유로(1683)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실린더본체(1610)로 채워지게 된다.
탄성부(120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상승하는 노즐부(1100), 피스톤부(1500)는 피스톤부(1500)의 실링상측U부재(1575a)에 피스톤결합스커트(1470)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승이 제한된다.
다음, 도 5f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가이드부(14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부(1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1단조절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1단조절위치에서는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1단조절부재(1321)와 일치되고 표시부(1380)에서는 예를 들면 '3.5'라는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사용자가 노즐부(1100)를 누르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100)와 결합된 피스톤부(1500)가 조절가이드리브(146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피스톤(1570)은 실린더본체(1610) 내측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1단조절부재(1321)의 높이만큼(도 1, 도 4e의 'H1' 참조) 하강할 수 있다. 즉, 토출량조절돌기(1550)는 고정가이드부(1400)의 내측 높이(도 1, 도 4e의 'H1' 참조)에 걸쳐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강 과정에서 실린더부(1600)에 수용된 내용물은 체크볼(1670)에 의해 용기(10)측으로 역류하지 못하고 실린더본체(1610)의 내측 - 용액관통홀(1583) - 피스톤하측통로(1525) - 피스톤상측통로(1523) - 상측유로(1170)를 거쳐 토출구(1150)를 통해 외부로 1단 조절 높이만큼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을 해제하면 노즐부(1100)와 조절부(1300) 사이에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120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노즐부(1100), 피스톤부(1500)가 상승하여 피스톤(1570)의 실린더본체(1610)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본체(1610)의 내측에는 진공이 형성되어 체크볼(167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실린더흡입유로(1655)가 개방되어 흡입튜브(1680) 중앙의 흡입유로(1683)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실린더본체(1610)로 채워지게 된다.
탄성부(120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상승하는 노즐부(1100), 피스톤부(1500)는 피스톤부(1500)의 실링상측U부재(1575a)에 피스톤결합스커트(1470)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승이 제한된다.
도 5g와 도 5h는 토출량조절돌기(1550)가 고정가이드부(1400)의 판면인 고정위치부재(1330)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노즐부(1100)를 가압하더라도 토출량조절돌기(1550)의 하강이 고정위치부재(1330)에 의하여 제한되어 노즐부(1100)는 하강하지 않고 록킹이 되는 상태를 표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량을 다단계로 간단하고 편리하면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는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원래위치로 돌아도록 하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간단하고 미려하게 변경하고, 피스톤을 지지하는 구조와 윈래위치에서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토출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0 : 펌프 장치 10 : 용기
1100 : 노즐부 1110 : 노즐본체
1130 : 피스톤결합그루브 1150 : 토출구
1170 : 상측유로
1200 : 탄성부 1210 : 노즐지지부재
1230 : 조절지지부재 1250 : 탄성부재
1300 : 조절부 1310 : 조절본체
1321 : 1단조절부재 1323 : 2단조절부재
1325 : 3단조절부재 1330 : 고정위치부재
1350 : 고정위치스토퍼 1370 : 조절결합돌기
1380 : 표시부 1380a : 표시홈
1380b : 표시문자 1400 : 고정가이드부
1410 : 조절결합부재 1413 : 고정가이드리브
1420 : 고정가이드결합그루브 1430 : 실린더결합돌기
1440 : 용기결합나사부재 1450 : 용기결합시트부재
1460 : 조절가이드리브 1463 : 리브돌기
1465 : 리브홈 1470 : 피스톤결합스커트
1500 : 피스톤부 1510 : 피스톤본체
1520 : 피스톤유로 1523 : 피스톤상측통로
1525 : 피스톤하측통로 1530 : 노즐결합돌기
1540 : 고정가이드안내홈 1550 : 토출량조절돌기
1560 : 피스톤결합부재 1563 : 피스톤결합리브
1565 : 피스톤결합면 1567 : 체결부재결합돌기
1570 : 피스톤 1573 : 피스톤본체
1575 : 피스톤실링부재 1575a : 실링상측U홈
1575b : 실링하측U홈 1577 : 피스톤고정부재
1580 : 피스톤체결부재 1581 : 체결부재본체
1583 : 용액관통홀 1585 : 결합부재결합그루브
1587 : 체결부재턱 1589 : 피스톤하단부
1600 : 실린더부 1610 : 실린더본체
1620 : 실린더스커트 1630 : 용기실링부재
1640 : 고정가이드결합그루브 1650 : 공기관통홀
1655 : 실린더흡입유로 1660 : 피스톤하강제한부재
1670 : 체크볼 1671 : 볼시트부재
1673 : 흡입튜브결합부재 1680 : 흡입튜브
1683 : 흡입유로 1690 : 흡입튜브걸림턱

Claims (7)

  1. 액체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노즐부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가압위치와 상기 노즐부를 가압해제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는 가압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결합된 디스펜스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용기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용기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하는 흡입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흡입튜브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갖는 실린더부와;
    상기 노즐부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노즐부로 이동 가능하게 일측은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결합된 피스톤부와;
    일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피스톤부을 안내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고정가이드부 또는 상기 실린더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스트로크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량을 조절 가능하게 하며, 상기 피스톤부가 길이방향인 상하 방향으로만 승강 이동하면서 회전을 제한하는 리브홈과 상기 리브홈과 이격되어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절부 상단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리브돌기를 포함하는 조절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조절부 및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상기 조절부를 회전하면 상기 노즐부의 승강하는 높이가 복수의 단계로 조절 가능하게 회전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리브돌기를 안내하는 복수의 단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노즐부를 상기 가압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하여 상기 노즐부를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노즐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조절부재는 1단조절부재, 2단조절부재, 3단조절부재의 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가압해제위치, 상기 1단조절부재, 상기 2단조절부재, 상기 3단조절부재로 이동하면서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피스톤본체와, 상기 피스톤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고 상하측으로 U자 홈을 갖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피스톤이 결합되는 피스톤결합부재와, 상기 피스톤을 지지 가능하게 상기 피스톤결합부재와 맞물리는 피스톤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해제위치에서 상기 고정가이드부는 상기 피스톤의 상측 U자 홈인 실링상측U홈에 결합되어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리브돌기에 대하여 조절부를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조절부재가 상기 가압해제위치, 상기 1단조절부재의 위치, 상기 2단조절부재의 위치, 상기 3단조절부재의 위치를 각각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조절부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조절부가 맞물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KR1020160085627A 2016-07-06 2016-07-06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KR10166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27A KR101660678B1 (ko) 2016-07-06 2016-07-06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27A KR101660678B1 (ko) 2016-07-06 2016-07-06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678B1 true KR101660678B1 (ko) 2016-09-29

Family

ID=5707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27A KR101660678B1 (ko) 2016-07-06 2016-07-06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67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17A1 (ko) * 2017-09-22 2019-03-28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가변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 용기
KR20190138140A (ko) * 2018-06-04 2019-12-12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선형 전동장치의 스틸볼 스페이서 링
KR102115028B1 (ko) * 2019-11-30 2020-05-25 (주)누리팩 용액 조절 펌프 배출 캡
KR20200094886A (ko) * 2019-01-30 2020-08-10 주식회사 이오코리아 마이크로 니들 장치
KR102332102B1 (ko) * 2021-06-23 2021-12-01 주식회사 신우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20220025450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102375017B1 (ko) * 2021-11-11 2022-03-17 주식회사 신우 플랙시블안내홀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WO2023048303A1 (ko) * 2021-09-24 2023-03-30 주식회사 케이알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107U (ko) * 1999-01-25 2000-08-25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의 토출량 조절구조
KR20040053054A (ko) * 2004-05-31 2004-06-23 윤석관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20080002462U (ko) * 2007-01-02 2008-07-07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로크 조절용 승강 홀더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배출펌프 유니트
KR101125511B1 (ko) * 2011-11-16 2012-03-21 엠엔지주식회사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107U (ko) * 1999-01-25 2000-08-25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의 토출량 조절구조
KR20040053054A (ko) * 2004-05-31 2004-06-23 윤석관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20080002462U (ko) * 2007-01-02 2008-07-07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로크 조절용 승강 홀더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배출펌프 유니트
KR101125511B1 (ko) * 2011-11-16 2012-03-21 엠엔지주식회사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17A1 (ko) * 2017-09-22 2019-03-28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가변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 용기
KR20190138140A (ko) * 2018-06-04 2019-12-12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선형 전동장치의 스틸볼 스페이서 링
KR102113664B1 (ko) * 2018-06-04 2020-05-22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선형 전동장치의 스틸볼 스페이서 링
KR20200094886A (ko) * 2019-01-30 2020-08-10 주식회사 이오코리아 마이크로 니들 장치
KR102262287B1 (ko) * 2019-01-30 2021-06-10 주식회사 이오코리아 마이크로 니들 장치
KR102115028B1 (ko) * 2019-11-30 2020-05-25 (주)누리팩 용액 조절 펌프 배출 캡
KR20220025450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102383635B1 (ko) 2020-08-24 2022-04-13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102332102B1 (ko) * 2021-06-23 2021-12-01 주식회사 신우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WO2022270698A1 (ko) * 2021-06-23 2022-12-29 주식회사 신우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WO2023048303A1 (ko) * 2021-09-24 2023-03-30 주식회사 케이알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375017B1 (ko) * 2021-11-11 2022-03-17 주식회사 신우 플랙시블안내홀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678B1 (ko) 다단계 토출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스 펌프 장치
KR101452982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55421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1750307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0847460B1 (ko) 액상화장품 용기용 펌핑노즐
KR102171859B1 (ko) 버튼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0484156Y1 (ko) 정량취출 기능을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1722531B1 (ko)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80012622A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206388B1 (ko) 미세정량토출이 가능한 펌프식 화장품용기
KR102122160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102272109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200477732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KR101383919B1 (ko)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US10934077B2 (en) Powder dispensing container
KR101817163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1681018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0416438Y1 (ko) 액체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146719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30143465A (ko) 잔존물 제거를 위한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