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622A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622A
KR20180012622A KR1020160095691A KR20160095691A KR20180012622A KR 20180012622 A KR20180012622 A KR 20180012622A KR 1020160095691 A KR1020160095691 A KR 1020160095691A KR 20160095691 A KR20160095691 A KR 20160095691A KR 20180012622 A KR20180012622 A KR 2018001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body
container
stor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205B1 (ko
Inventor
김상형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6009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2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Containers having parallel or coaxi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리필용기가 상호 별도로 포장되어 분리형성되되, 용기본체의 하부에 리필용기를 결합시킨후, 가압부를 가압시 리필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여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 내용물의 혼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A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리필용기가 상호 별도로 포장되어 분리형성되되, 용기본체의 하부에 리필용기를 결합시킨후, 가압부를 가압시 리필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여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 내용물의 혼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의 내용물 중에는 사용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유발하는 내용물이 있지만 처음부터 혼합하여 동일한 용기에 함께 수용하는 경우,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인한 응고,침전으로 인하여 배출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의 변색 또는 변질의 우려가 있어 별도의 용기에 분리하여 수용하였다가 사용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성분들이 있는 바, 예를 들어 소정의 액상 화장품과 미백효과와 피부재생 효과, 잔주름 제거 등에 효과가 좋은 비타민이나, 통상적인 졸(sol) 상태의 치약과 침투력이나 향이 우수한 졸이나 겔(gel)상의 치약, 또는 샴푸와 린스의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상기한 각각의 내용물들은 별도의 용기에 각각 수용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다수의 용기에 수용된 각각의 내용물을 일일이 토출하여 손에 덜어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용기내에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구조가 등록특허 제10-119260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내용물이 보관되는 보관실이 구비되며, 상기 보관실의 내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보관실의 내측을 향하여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며, 상부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편과 끼워져 작동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토출구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펌핑부재가 구비되는 버튼부;와,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버튼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탈리되도록 설치되는 밀폐링;과, 내부에는 상기 보관실에 보관된 내용물과 다른 내용물이 보관된 상태로 상기 버튼부에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부재:와, 이 수용부재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고, 상기 펌핑부재의 하부와 결합되되,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시 상기 펌핑부재와 보관실이 연통되도록 연통홀이 구비된 밀폐부재:가 포함되는 보관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밀폐링을 제거한 후, 버튼부를 하방향으로 가압시에 펌핑부재에 의해 밀폐부재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용부재의 하단을 개방하는데, 이에 따라, 수용부재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보관실로 유입되어 이종의 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수용부재에 내용물을 충진하고 가이드브라켓의 내측에 보관통을 조립해야 하며, 수용부재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내용물이 자유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부재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하는 밀폐부재가 결합되어야 하는 등, 내용물을 혼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품의 단가 상승 및 제조시간의 증가를 초래할뿐만 아니라, 수용부재에 수용된 내용물의 리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제조시에 하나의 용기 내부에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저장된 상태로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260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리필용기가 상호 별도로 포장되어 분리형성되되, 용기본체의 하부에 리필용기를 결합시킨후, 가압부를 가압시 리필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여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 내용물의 혼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기본체와 리필용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충전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리필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을 선택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 사용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제1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와 분리 형성되되, 제2내용물이 저장되며 그 상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유출되도록 내용물 유출구가 구비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며 저장부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리필용기;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그 내측에 상기 리필용기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피스톤의 상승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용기본체로 이동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되도록 가이드하는 혼합가이드부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펌핑작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제1내용물 또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의 혼합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재; 및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용을 유도하며 그 일측에 내용물 토출구가 형성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필용기는 상기 혼합가이드부재의 내측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가압부를 가압시 상승하였다가 상기 가압부의 가압이 해제될 경우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저장부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가이드부재는 상기 리필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필용기와 용기본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 및 상기 저장부의 상승시 상기 저장부의 상단과 접촉되며 함께 상승하였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의 승하강시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가이드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이동하되, 상기 연통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되며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며, 그 측면에 상기 내용물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이동홀은 상기 개폐부재의 하강시에는 상기 연통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폐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승시에는 상기 연통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리필용기가 상호 별도로 포장되어 분리형성되되, 용기본체의 하부에 리필용기를 결합시킨후, 가압부를 가압시 리필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여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 내용물의 혼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와 리필용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충전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리필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을 선택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내용물 리필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용기본체(100), 리필용기(200), 혼합가이드부재(300), 펌핑부재(400), 버튼부재(500)가 포함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제1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저장된 제1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출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10)에는 펌핑부재(400)를 고정시키는 펌프고정체(600)가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펌프고정체(600)에는 펌핑부재(400)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노즐부(520)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오버캡(70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0)는 그 하부에 후술할 혼합가이드부재(300)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부가 개방 형성된다
상기 리필용기(200)는 제2내용물이 저장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100)와 분리 형성되고, 혼합가이드부재(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내용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제2내용물이 유출되도록 그 상부에 내용물 유출구(211)가 구비된 저장부(210)와, 혼합가이드부재(300)의 내측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210)는 가압부(240)를 가압시 상승하였다가 가압부(240)의 가압이 해제될 경우 하강하도록 구성되는데, 상승하는 과정에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300)를 가압함에 따라 개폐부재(330)의 내용물 이동홀(331)이 개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결합부(230)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부(210)의 승하강시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돌기(231)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돌기(231)의 내측 상부에는 저장부(210)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한턱(232)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200)에는 상기 저장부(2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며 저장부(21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피스톤(22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피스톤(220)의 하부에는 사용자 가압에 의해 상승하며 상기 피스톤(220)을 상승시키는 가압부(240)가 구비되는데, 가압부(240)의 가압시 피스톤(220)이 상기 저장부(2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며 저장부(21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킴에 따라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내용물 유출구(211)를 지나 내용물 이동홀(331)을 통해 용기본체(10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혼합가이드부재(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내측에 상기 리필용기(200)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이드부재(300)는 상기 피스톤(220)의 상승시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용기본체(100)로 이동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혼합가이드부재(300)는 상기 리필용기(200)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용기본체(100)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필용기(200)와 용기본체(10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310)와, 상기 저장부(210)의 상승시 상기 저장부(210)의 상단과 접촉되며 함께 상승하였다가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는 승하강부재(320)와, 상기 승하강부재(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승하강부재(32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이동하되, 상기 연통부(310)의 개구된 상단을 폐쇄하며,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용기본체(100)로 이동하도록 그 측면에 내용물 이동홀(331)이 형성되는 개폐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연통부(310)에는 상기 개폐부재(330)가 하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부재(330)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31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부재(320)에는 스프링(S)을 지지하는 안착부(321)와, 상기 안착부(32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장부(210)의 승하강시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32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330)는 상기 연통부(3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이동홀(331)을 통해 이동하는 제2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내용물 이동홀(331)은 상기 개폐부재(330)의 하강시에는 상기 연통부(3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폐쇄되며, 상기 개폐부재(330)의 상승시에는 상기 연통부(3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펌핑부재(4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펌핑작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 또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의 혼합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그 하부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용물 흡입관(41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펌핑작용을 위한 펌핑부재(400)의 상세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버튼부재(500)는 상기 펌핑부재(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400)의 펌핑작용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용물 토출구(510)가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토출구(510)에는 버튼부재(500)의 가압여부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노즐부(520)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한데, 버튼부재(500)의 가압시 노즐부(520)의 내용물 토출홀(521)이 개방되어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혼합가이드부재(300)에 리필용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리필용기(200)의 가압부(240)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부(240)가 상승함에 따라 가압부(240)의 상부에 결합된 피스톤(220)과 제2내용물(M2)이 저장된 저장부(210)가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저장부(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320)가 가압되어 승하강부재(320)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며, 승하강부재(320)가 상승함에 따라 승하강부재(320)의 상부에 결합된 개폐부재(330)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330)가 상승하게 되면, 개폐부재(330)의 측면에 형성된 내용물 이동홀(331)이 연통부(3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2내용물(M2)이 내용물 이동홀(331)을 통해 용기본체(100)로 이동하여 제1내용물(M1)과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압부(240)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부재(320)가 하강함에 따라 승하강부재(320)의 상부에 결합된 개폐부재(330)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개폐부재(330)의 측면에 형성된 내용물 이동홀(331)이 연통부(3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내용물(M1)과 제2내용물(M2)의 혼합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500)의 가압을 통해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혼합내용물(M3)을 노즐부(520)의 내용물 토출홀(521)로 토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내용물 리필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리필용기(200)에 저장된 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되면, 새로운 제2내용물(M2)이 저장된 리필용기(200')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가이드부재(300)로부터 리필용기(200)를 탈리시킨 후, 새로운 제2내용물(M2)이 충진된 리필용기(200')의 마감캡(250)을 제거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가이드부재(300)에 새로운 리필용기(200')를 결합하여 전술한 사용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1내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리필용기(200)를 탈착하여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2가지 내용물 뿐만 아니라, 3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200: 리필용기 210: 저장부
211: 내용물 유출구 220: 피스톤
230: 결합부 231: 가이드돌기
232: 제한턱 240: 가압부
250: 마감캡 300: 혼합가이드부재
310: 연통부 311: 걸림턱
320: 승하강부재 321: 안착부
322: 가이드관 330: 개폐부재
331: 내용물 이동홀 400: 펌핑부재
410: 내용물 흡입관 500: 버튼부재
510: 내용물 토출구 520: 노즐부
521: 내용물 토출홀 600: 펌프고정체
700: 오버캡

Claims (7)

  1. 제1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와 분리 형성되되, 제2내용물이 저장되며 그 상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유출되도록 내용물 유출구가 구비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며 저장부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리필용기;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그 내측에 상기 리필용기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피스톤의 상승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용기본체로 이동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되도록 가이드하는 혼합가이드부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펌핑작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제1내용물 또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의 혼합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재; 및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용을 유도하며 그 일측에 내용물 토출구가 형성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는 상기 혼합가이드부재의 내측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가압부를 가압시 상승하였다가 상기 가압부의 가압이 해제될 경우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저장부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이드부재는 상기 리필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필용기와 용기본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 및 상기 저장부의 상승시 상기 저장부의 상단과 접촉되며 함께 상승하였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의 승하강시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이드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이동하되, 상기 연통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되며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며, 그 측면에 상기 내용물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홀은 상기 개폐부재의 하강시에는 상기 연통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폐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승시에는 상기 연통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0160095691A 2016-07-27 2016-07-27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87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91A KR101879205B1 (ko) 2016-07-27 2016-07-27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91A KR101879205B1 (ko) 2016-07-27 2016-07-27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22A true KR20180012622A (ko) 2018-02-06
KR101879205B1 KR101879205B1 (ko) 2018-07-17

Family

ID=6122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691A KR101879205B1 (ko) 2016-07-27 2016-07-27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20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730B1 (ko) 2018-05-24 2018-07-3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듀얼 믹싱용기
KR101884287B1 (ko) 2018-06-18 2018-08-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동결 건조 타입 듀얼 믹싱용기
WO2019178525A1 (en) * 2018-03-16 2019-09-19 Ortiz Thomas Dispenser system
KR102035519B1 (ko) 2019-04-24 2019-10-23 (주)네스필러피케이지 듀얼 믹싱용기
KR20190137336A (ko) 2018-06-01 2019-12-11 김휘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CN112874987A (zh) * 2021-01-27 2021-06-01 上海英宇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分开存放流体材料的双料包装瓶
FR3115530A1 (fr) * 2020-10-27 2022-04-29 L'oreal Dispositif personnalisa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à pist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196B1 (ko) * 2018-08-14 2020-07-29 주식회사 데브 화장수 분사용기
KR102214128B1 (ko) * 2019-12-12 2021-02-09 이상훈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603B1 (ko) 2010-11-22 2012-10-2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5432891B2 (ja) * 2008-04-24 2014-03-05 東洋製罐株式会社 複式容器、及び注出方法
KR20160001844U (ko) * 2014-11-20 2016-05-31 (주)아모레퍼시픽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2891B2 (ja) * 2008-04-24 2014-03-05 東洋製罐株式会社 複式容器、及び注出方法
KR101192603B1 (ko) 2010-11-22 2012-10-2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60001844U (ko) * 2014-11-20 2016-05-31 (주)아모레퍼시픽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8525A1 (en) * 2018-03-16 2019-09-19 Ortiz Thomas Dispenser system
US10919064B2 (en) 2018-03-16 2021-02-16 Thomas Ortiz Dispenser system
KR101883730B1 (ko) 2018-05-24 2018-07-3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듀얼 믹싱용기
KR20190137336A (ko) 2018-06-01 2019-12-11 김휘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KR101884287B1 (ko) 2018-06-18 2018-08-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동결 건조 타입 듀얼 믹싱용기
KR102035519B1 (ko) 2019-04-24 2019-10-23 (주)네스필러피케이지 듀얼 믹싱용기
FR3115530A1 (fr) * 2020-10-27 2022-04-29 L'oreal Dispositif personnalisa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à piston
CN112874987A (zh) * 2021-01-27 2021-06-01 上海英宇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分开存放流体材料的双料包装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205B1 (ko)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205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38535Y1 (ko) 승하강버튼에 의한 정량 토출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형화장품 용기
KR1016358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JP2016529169A5 (ko)
JP2016529169A (ja) 分割体又は多孔質材料を含む液溜め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ー
KR200467835Y1 (ko) 거품 발생 펌프
KR20140122386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2018510821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AU2016344366B2 (en) Dispenser
KR101387591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2019510546A (ja) サイドボタンを具備した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KR101383919B1 (ko)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JP2014080239A (ja) レフィルタイプの吐出容器
KR10168861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JP5126838B2 (ja) 液体吐出容器
KR10167602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562399B1 (ko) 액체로 채워질 유리병과 충진 모듈을 포함하는 충진 시스템
JP5336116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を備えた容器
KR100294986B1 (ko) 다종 액체 공급용 용기
KR20200029872A (ko) 이중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